KR200479198Y1 -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198Y1
KR200479198Y1 KR2020130009271U KR20130009271U KR200479198Y1 KR 200479198 Y1 KR200479198 Y1 KR 200479198Y1 KR 2020130009271 U KR2020130009271 U KR 2020130009271U KR 20130009271 U KR20130009271 U KR 20130009271U KR 200479198 Y1 KR200479198 Y1 KR 200479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ndible
screw fixing
fixing pa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901U (ko
Inventor
유상진
Original Assignee
유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진 filed Critical 유상진
Priority to KR2020130009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198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9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9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1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61B17/807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61B17/663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for jaw bones, e.g. subcutaneous distractors with external ac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6/00Surgery
    • Y10S606/902Cortical plate specific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bone
    • Y10S606/903Cranial and facial plate
    • Y10S606/904Jaw p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턱수술을 위해 분할되어 있는 하악골의 골편들을 서로 고정하는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를 개시한다. 상기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제1관통홀을 갖는 제1나사 고정부와, 제2관통홀을 갖는 제2나사 고정부와, 상기 제1나사 고정부와 제2나사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편을 포함하는 제1고정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2관통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3관통홀을 가지며 일측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3나사 고정부와 상기 제3나사 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제2연결편을 포함하는 제2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근심 골편과 원심 골편의 고정력이 우수하고 하악골의 회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와 골편간의 접촉 계면에서 슬립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골접합 후에 하악골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가 변형되는 현상과 나사의 풀림 현상이 최소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Fixing Plate Of Mandible}
본 고안은 턱수술을 위해 분할되어 있는 하악골의 골편들을 서로 고정해서 골접합을 수행하는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턱수술 후에 하악골의 회귀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나사 풀림이나 하악골에 가해지는 힘에 의한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턱수술은 위턱(상악) 수술 및/또는 아래턱(하악)에 외과적 시술을 가하는 수술법이다. 상기 턱수술은 아래위 치아의 맞물림에 대한 이상(부정교합)을 개선하거나 안면 골격 구조의 이상을 개선하기 위한 수술법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안면 골격 자체의 이상을 수술로 바로잡아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얼굴라인을 만들기 위한 성형법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상기 턱수술은 악교정 수술이나 악안면 수술이라고도 불리우며, 상악이나 하악이 정상에서 벗어나 과잉, 부족, 혹은 비대칭적인 성장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이러한 형태와 크기의 변이를 바로잡는 수술을 말한다.
상기 턱수술이 필요한 구체적인 예로는, 음식물을 씹거나 깨물기 어렵거나 삼키기 어려운 경우, 발음에 이상이 있는 경우, 만성적으로 턱뼈주위에 통증이 있는 경우, 치아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닳아 없어진 경우, 앞니가 닿지 않는 경우 즉 앞니로 음식을 끊어먹을 수 없는 경우, 앞니만 닿고 어금니가 닿지 않는 경우, 얼굴에 비대칭이 있는 경우(얼굴이 비뚤어진 경우), 사고 등으로 얼굴에 손상을 입은 경우, 심한 주걱턱이나 무턱의 경우, 그리고 입술을 다물기가 힘든 경우 등이 있다.
상기 턱수술은 일반적으로 턱뼈의 절단, 이동 및 재결합(골접합)을 통해 턱뼈의 위치변화를 가져다 주며, 이를 통해 보다 수려한 얼굴라인이 형성될 수 있고 부정교합이나 안면 골격 구조의 이상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턱수술로는 위턱을 수술하는 상악수술과 아래턱을 수술하는 하악수술과 이 두가지를 동시에 수행하는 양악수술이 있다.
상기 턱수술, 특히 하악 수술의 예로는 SSRO(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하악골 상행지 시상 절단술 또는 시상골절단술)이나 IVRO(Intraloral Split Vertical Ramus Osteotomy; 수직골절단술) 등이 있으며, 상기 SSRO가 양측 하악골 상행지에 모두 적용되는 것을 BSSRO(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양측 하악골 상행지 시상 절단술)라 한다.
여기서, 상기 IVRO는 하악골 상행지(Ramus)를 수직으로 절단하는 하악 수술방법으로서, 주로 주걱턱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반면, 상기 BSSRO와 같은 SSRO는 양측 하악골 상행지를 시상절단하는 수술법으로서 주걱턱뿐만 아니라 무턱의 개선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악골은 두개골의 하측에 위치하는 뼈로서, 아랫니들이 심어져 있으며, 상기 하악골의 상행지는 측두골의 관절와(Fossa)에 매칭(Matching)되어서 악관절(턱관절)을 이루는 관절두(Condyle)를 갖는다.
상기 하악 수술에서는 골절단에 의해 골편의 분할이 수행되는데, 예를 들어 (B)SSRO에서의 골절단에 의해 하악골이 관절두(Condyle)가 구비되는 근심 골편(Proximal Segment 또는 Condyle Bearing Part)과 아랫니가 박힌 원심 골편(Distal Segment 또는 Tooth Bearing Part)로 분할된다.
그리고, 상기 골절단 후에 상기 아랫니가 박혀 있는 원심 골편의 이동 및 위치 선정이 완료되면, 상기 근심 골편과 원심 골편과의 골접합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골접합은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스크류 홀들을 갖는 직선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절개 시술에 의해 상호 분할되어 있는 상기 근심 골편과 원심 골편을 상호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환자별로 상이한 하악골의 성장 속도 및 성장 방향이나 치아 구조에 대응이 어렵고, 상기 하악골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쉽게 변형되며, 상술한 턱수술 후에 하악골의 회귀 현상을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환자별로 상이한 하악골의 성장 속도 및 성장 방향이나 치아 구조에 대응하기 위해 제안된 구조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4759호의 도 4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역시 하악골의 회귀 현상을 방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골접합 후에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와 원심 골편간의 접촉 계면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양측 골편의 고정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4759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2012년 8월 27일 공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골접합력이 우수하며 하악골의 회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의 해결을 위하여, 본 고안은 턱수술을 위해 분할되어 있는 하악골의 골편들을 서로 고정하는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상기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제1관통홀을 갖는 제1나사 고정부와, 제2관통홀을 갖는 제2나사 고정부와, 상기 제1나사 고정부와 제2나사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편을 포함하는 제1고정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2관통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3관통홀을 가지며 일측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3나사 고정부와 상기 제3나사 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제2연결편을 포함하는 제2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요철은, 골의 방향이 상기 제2연결편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골의 방향은 상기 제2연결편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꺾인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관통홀은, 상기 제2연결편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근심 골편과 원심 골편의 고정력이 우수하고 하악골의 회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와 골편간의 접촉 계면에서 슬립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하악골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가 변형되는 현상과 상기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나사의 풀림 현상이 최소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가 하악골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본 고안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 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가 하악골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100)는 턱수술을 위해 분할되어 있는 하악골의 골편들을 서로 고정해서 상기 골편들을 골접합시키는데 사용되는 기구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일 실시 예(100)는, 상기 골편들 중 어느 하나의 골편에 나사 고정되는 제1고정 플레이트(110)와 다른 하나의 골편에 나사 고정되는 제2고정 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110)는, 제1나사 고정부(111)와 제2나사 고정부(112)와 제1연결편(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나사 고정부(111)와 상기 제2나사 고정부(111)는 각각 나사 체결을 위한 제1관통홀(111a)과 제2관통홀(112a)을 가지며, 상기 제1연결편(112)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관통홀(111a)과 상기 제2관통홀(112a)은 원형의 홀이며, 나사(Screw)가 끼워지는 홀 입구측의 내주면에는 그 반대측인 홀 출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면(111b, 112b)이 형성되어서 상기 나사와의 접촉력을 강화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고정 플레이트(120)는 제3나사 고정부(121)와 제2연결편(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나사 고정부(121)는, 상기 제2관통홀(112a)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3관통홀(121a)을 가지며 일측면에 요철(121b)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편(122)은 일단이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110)에 일체로 이어지는 일자형의 구성으로서, 상기 제3나사 고정부(121)와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110)를 상호 일체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철(121b)은, 골(홈)의 방향이 상기 제2연결편(122)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조, 즉 세레이션(Serration)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골의 방향은 상기 제2연결편(122)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요철(121b)의 예가 상술한 세레이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널링(Knurling)된 형상이나 기타 다른 요철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요철(121b)이 형성되는 상기 제3나사 고정부(121)의 일측면은 상기 하악골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요철(121b)에 의해 상기 제2고정 플레이트(120)와 상기 하악골간의 고정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고, 상기 제3나사 고정부(121)의 일측면이 상기 하악골에 압화되어서 접촉 계면에서의 슬립(Slip) 현상이나 나사 풀림 현상이 최소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3관통홀(121a)의 입구측 내주면에도 경사면이 형성되어서 나사와의 접촉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관통홀(121a)은 상기 제2연결편(122)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나사 고정부(12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요철(121b)의 골(또는 마루)은 상기 제3관통홀(121a)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관통홀(121a)은, 상기 제2연결편(122)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홀이며, 상기 요철(121b) 즉 세레이션은 상기 제3관통홀(121a)의 주변에 형성되고, 골이 방향이 상기 제3관통홀(121a)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구조가 된다.
한편, 상기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110)는 상기 제1관통홀(111a)과 제2관통홀(112a)과 제3관통홀(121c)이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직선 구조이 수도 있으나, 상기 제3관통홀(121c)의 중심이 상기 제1관통홀(111a)과 제2관통홀(112a)을 잇는 가상의 선에서 일측으로 벗어나 위치가 되도록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꺾인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연결편(113)과 제2연결편(122)이 둔각을 이루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관통홀(111a)의 중심과 제2관통홀(112a)의 중심을 잇는 선, 즉 상기 제1연결편(113)의 축선과 상기 제2연결편(122)의 축선이 둔각을 이룰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100)의 휨에 대한 저항력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100)는, 금속 특히 티타늄과 같은 비흡수성 재료나 폴리머와 동물뼈 등과 같은 생체 흡수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물감이 최소화되도록 납작하고 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상기 골편들 중 하악골 상행지가 위치하는 골편(1) 다시 말해서 관절두가 위치하는 골편을 근심 골편이라 칭하고, 하악체가 위치하는 골편(2) 다시 말해서 아랫니가 박혀 있는 골편을 원심 골편이라 칭할 때, 이하에서는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의 제1나사 고정부(111)와 제2나사 고정부(112)가 상기 근심 골편(1)에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3나사 고정부(121)가 상기 원심 골편(2)에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가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꺾인 형상으로 하악골의 표면에 시술되어서, 골 절단에 의해 상호 분할되어 있는 상기 근심 골편(1)과 원심 골편(2)을 상호 고정해서 골접합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100)는 턱 수술 후에 하악골의 회귀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골접합력이 우수하며, 저작 작용 등에 의해 하악골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상기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100)가 아래로 휘는 현상 즉 상기 하악골 플레이트의 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110: 제1고정 플레이트
111: 제1나사 고정부 111a: 제1관통홀
112: 제2나사 고정부 112a: 제2관통홀
113: 제1연결편 120: 제2고정 플레이트
121: 제3나사 고정부 121a: 제관통홀
121b: 요철 122: 제2연결편

Claims (5)

  1. 턱수술을 위해 분할되어 있는 하악골의 골편들을 서로 고정하는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로서:
    제1관통홀을 갖는 제1나사 고정부와, 제2관통홀을 갖는 제2나사 고정부와, 상기 제1나사 고정부와 제2나사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편을 포함하는 제1고정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2관통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3관통홀을 가지며 일측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3나사 고정부와, 상기 제3나사 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 플레이트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제2연결편을 포함하는 제2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요철은, 골의 방향이 상기 제2연결편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복수의 돌기들을 갖는 세레이션(Serration)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꺾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관통홀은, 상기 제2연결편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홀이며; 상기 세레이션은 상기 제3관통홀의 주변에 형성되며, 골이 방향이 상기 제3관통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KR2020130009271U 2013-11-12 2013-11-12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KR200479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271U KR200479198Y1 (ko) 2013-11-12 2013-11-12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271U KR200479198Y1 (ko) 2013-11-12 2013-11-12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01U KR20150001901U (ko) 2015-05-20
KR200479198Y1 true KR200479198Y1 (ko) 2015-12-31

Family

ID=5351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271U KR200479198Y1 (ko) 2013-11-12 2013-11-12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1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993A (ko) 2019-01-03 2020-07-14 (주) 케이제이 메디텍 구강악안면 재건수술을 위한 악안면 플레이트와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025A1 (ko) * 2015-08-31 2017-03-09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085B1 (ko) * 2005-12-09 2007-10-22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조절가능한 골 접합용 고정 플레이트
US20080281327A1 (en) * 2007-05-07 2008-11-13 Stryker Trauma Sliding plate with reinforced slot
JP2010536478A (ja) * 2007-08-20 2010-12-02 ニューヴェイジヴ,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外科的固定システム及び関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089B1 (ko) 2011-02-17 2012-12-07 박성진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085B1 (ko) * 2005-12-09 2007-10-22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조절가능한 골 접합용 고정 플레이트
US20080281327A1 (en) * 2007-05-07 2008-11-13 Stryker Trauma Sliding plate with reinforced slot
JP2010536478A (ja) * 2007-08-20 2010-12-02 ニューヴェイジヴ,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外科的固定システム及び関連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993A (ko) 2019-01-03 2020-07-14 (주) 케이제이 메디텍 구강악안면 재건수술을 위한 악안면 플레이트와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01U (ko)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7306B2 (en) Fixing bone plate
US201703041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US8992582B1 (en) Fixation devices and method
JP2005185705A (ja) 歯科矯正用支持体
US20110008745A1 (en) Orthodontic bone anchor plate with mesh pad
US20170105820A1 (en) Screw and driver tool for dental procedures
WO2014088116A1 (ja) スクリューの結合力維持具及び結合力維持具付きスクリュー
KR101083280B1 (ko)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US20080227049A1 (en) Lingual Retainer
KR200479198Y1 (ko)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KR100807150B1 (ko)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KR101132495B1 (ko) 치과교정 앵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교정장치
JP2004136134A (ja) 歯列矯正用支持体
US20160199155A1 (en) Orthodontic Brackets
KR101966654B1 (ko) 교정용 브라켓, 이를 위한 브라켓 베이스 키트와 홀더 베이스 키트, 및 이를 갖는 교정용 브라켓 키트
JP2006239423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Al-Shayea A survey of orthodontists’ perspectives on the timing of treatment: A pilot study
US20200289310A1 (en) Intraoral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60073749A (ko) 지대주에 형성된 수직절개부에 곡면절개부를 형성한 치과용 임플란트
JP5728610B1 (ja) 歯科矯正用インプラント装置
KR100727095B1 (ko) 임플랜트와 이를 이용한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Kim et al. Modification protocol for an early class III treatment using 3 miniplates for bone-anchored maxillary orthopedic traction
KR102080210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KR101129111B1 (ko) 악교정 수술기구
KR100795899B1 (ko) 임플랜트와 이를 이용한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