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39025A1 -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39025A1
WO2017039025A1 PCT/KR2015/009160 KR2015009160W WO2017039025A1 WO 2017039025 A1 WO2017039025 A1 WO 2017039025A1 KR 2015009160 W KR2015009160 W KR 2015009160W WO 2017039025 A1 WO2017039025 A1 WO 201703902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one
fixing part
screw
centrifug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91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순정
김찬봉
이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to PCT/KR2015/00916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39025A1/ko
Publication of WO201703902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390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2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for bone cercl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late for mandibular jaw correction surgery. More specifically, after the mandibular jaw correction surgery due to the fracture of the mandibular bone, when the mesial bone fragment including the jaw joint returns to the preoperative position, the distal bone fragment containing the tooth does not rotate and remains corrected by the surgery.
  • a functional plate for orthodontic surgery for fixing each bone piece to be able to.
  • jaw correction surgery is an operation to improve the facial skeletal structur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jaw bone through the cutting, movement and recombination of the jaw bone in order to improve the malocclusion of the lower teeth.
  • Such jaw correction surgery is divided into maxillary surgery to operate the upper jaw, mandibular surgery to operate the lower jaw and double jaw surgery to operate the upper and lower jaw simultaneously.
  • mandibular surgery which accounts for most of jaw correction surgery, includes mandibular ascending sagittal amputation (SSRO: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vertical osteotomy (IVRO: intratramal split vertical ramus osteotomy) and bilateral mandibular ascending sagittal amputation (BSSRO: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SSRO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IVRO intratramal split vertical ramus osteotomy
  • BSSRO bilateral mandibular ascending sagittal amputation
  • FIG. 5 is a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11832 (name of the invention: mandibular fixing plate) of the mandible so that the bone fragments of the mandible can flow in the upper, lower, left, right directions when performing the jaw procedure or oral cancer procedure
  • a fixing plate is disclosed in which the mesial bone fragment is semi-fixedly connected to the mandibular body, which is a centrifugal bone fragment.
  • the mandibular fixation plate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 has a ring shape at one end of the plate body 10 and the plate body 10, a flow hole 23 is formed therein, and a vertical stepped at the edge of the flow hole 23 ( 21 is formed in the ring 20 and the other end of the plate body 10 is formed in a ring shape, a first through hole 33 is formed therein and a tapered surface 31 at the edge of the first through hole 33. ) Is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plate body 10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ring 30 and the flow ring 20 and the first coupling ring 3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43 therein.
  • the second fastening ring 40 is formed and the tapered surface 41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second through hole 42.
  • the conventional mandible fixing plate is placed in the centrifugal bone of the mandible with the head of the screw fully inserted into the vertical step space of the flow ring. Therefore, if the wrong position of the jaw joint is corrected immediately after surgery, it must be corrected with loosened or removed completely until the inserted screw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step space. More often, however, the screw is not spontaneously loosened by muscle force, it is not designed to predict spontaneous loosening, it also takes time to loosen, and when the screw is released outside the vertical step space, the loosened screw falls out. It will cause various problems. In addition, because the occlusal joint is maintained in an incorrect position in the jaw joint, there is a problem that interferes with orthodontic treatment and increases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In addition, in order to correct the position of the jaw joint in a short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crew is artificially released by re-cutting the sutured incision.
  • the mesial bone fragments are fixed while being rotated rearward to increase the masticatory muscles.
  • the reconstruction of the masticatory muscles causes the mandibular bone (the whole of the mesial bone fragment and the distal bone fragment) to rotate in the anterior direction (upper part) around the jaw joint.
  • the mesial bone fragment to which the masticatory muscles are attached and the contractile force of the masticatory muscle is trying to move forward is moved upward, if the vertical step space is small or the direction is not appropriate, the mesial bone fragment is not sufficiently rotated up and down, so Toge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mandible protrudes forwar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andible fixing plate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uscle force attached to the mesial bone fragment occurs, the free end of the fixed part located in the distal bone fragment of the mandible is open and bent by itself, without resisting the screw fixed to the hole of the fixing part, At the same time, when the screw placed in the other fixing part located in the centrifugal bone loosens slightly by the muscle force, and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metal plate and the screw decreases, the entire metal plate together with the mesial bone within the space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xing part is reduced. It provides a functional plate for jaw correction surgery that can be mov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wrongly set jaw joint immediately after surgery can be quickly corrected without additional dissection and reopera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ndibular mesothelial bone of the mandibular bone during the operation to enhance the stability of the bone fragments inevitably fixed in the state in which the mesothelial bone is rotated rearward in the process of enhancing the stability of the bone fragments, the increased mastication after operation It is to provide a functional plate for jaw correction surgery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regression of the mandible caused by the mesial bone fragments to rotate forward.
  • the functional plate for jaw correction surgery is disposed on the myoskeletal segment of the mandible, the myoskeleton side fixing portion formed with a hole for fastening of the screw, and extends from the myocardial fragment side fixing portion and is disposed on the distal bone fragment of the mandible,
  • the head of the screw to be fastened does not penetrate and the body of the screw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first centrifugal bone-side fixing portion and the first centrifugal bone-side fixing portion extending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distal bone of the mandibular bone is disposed
  • a functional plate for jaw correction surgery comprising a second centrifugal bone side fixing part having a cutout portion in which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hole for fastening of a body is opened.
  • the center of the 2nd centrifugal bone piece fixing part of this invention is arrange
  • the myocardial bone piece side fix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each of the adjacent mesial bone piece side fixing por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hole of the first centrifugal bone side fix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art, and the hole is a convex protruding portion of the heart shape toward the mesial bone piece side fixing part.
  • the functional plate for jaw correction surgery can be quickly corrected by recalibration even if the position of the jaw joint is misaligned during surgery by loosely adjusting the screw placed in the distal bone fragment.
  • the second centrifugal bone fragment fixing portion having a cutout extending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late supports the myocardial bone fragment and the centrifugal bone fragment separated by the bone fracture in a stable state primarily at a time when muscle force is not greatly applied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It is effective.
  • the muscle is transmitted through the opening action early, the myocardial fragments rotate with great force.
  • the centrifugal bone fragment does not rotate and maintains an improved corrected state by surgery, thereby preventing the mandibular regression phenomenon. It work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plate for jaw correction surgery in the left mand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unctional plate for jaw correction surgery in the left mand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mesial bone fragment and the distal bone fragment of the mandible.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yopic bone fragments return to the pre-operation position after the operation of the jaw correction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late for jaw correction surgery 100 includes a mesial bone fragment fixing part 110, a first centrifugal bone fixing part 130, and a second centrifugal bone fixing part 140.
  • the mesial bone fragment side fixing part 110 is disposed on the mesial bone piece 210 of the cut bone pieces of the mandible 200, and consists of a first fixing part 111 and the second fixing part 113.
  • the first fixing part 111 is a circular ring having a first hole 112 in the center thereof.
  • the second fixing part 113 is the same as the first fixing part 111 and is spaced apart or spaced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part 111 and has a second hole 114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side connection part 115 are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1st fixing part 111 and the left side of the 2nd fixing part 113 arrange
  • the diameter of the first hole 112 and the second hole 114 is preferably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body diameter of the screw so that it can be fixed without play when the screw is placed.
  • Myoskeleton side fixing part 110 is composed of the first fixing part 111 and the second fixing part 113 at intervals, but not limited to one fixing part or two or more high It may be composed of governments. And of course, if it is composed of two or more fixing parts between the adjacent fixing part and the fixing part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side of course.
  • the first fixing part 111, the second fixing part 113, and the fixing part side connecting part 115 arranged at intervals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but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ngle.
  • the first centrifugal bone side fixing part 130 extends at intervals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part 111 and has a hole 131 penetrated in the center thereof. A portion where the first centrifugal bone side fixing part 130 and the first fixing part 111 extend is called a connection part 120.
  • the hole 131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body of the screw such that the head of the screw does not pass but the body of the screw passes.
  • the hole 13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art in order to make the head of the screw as small as possible without disturbing or caught the movement of the myocardial bone fragments, the convex protruding portion of the heart-shaped bone center side fixing portion 110 Toward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circle, a closed curve, and a polygon to sufficiently move along the screw.
  • the second centrifugal bone piece fixing part 140 extends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centrifugal bone piece fixing part 130, and the center C2 of the second centrifugal bone piece fixing part 140 is the myopic bone piece high side.
  • the center 110 is disposed at a spaced apart position in the lower direction toward the center C1.
  • the second centrifugal bone piece fixing part 140 is a circular ring, the hole 141 is formed in the center.
  • the diameter of the hole 141 is preferably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body diameter of the screw so that it can be fixed without play when the screw is placed.
  • the cutout portion 142 is a portion open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hole 141, the second centrifugal bone side fixing portion 140 is the first free end 143a which opens in the left direction with the cutout portion 142 interposed therebetween. ) And the second free end 143b extending in the right direction.
  • the mesial bone side fixing part 110 is extended to the right side of the connecting part 120 with the connection part 12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centrifugal bone side high side is to the left side.
  • the government 130 and the second centrifugal bone fixing part 140 are extended.
  • the second centrifugal bone side fixing part 140 is extend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ng part 12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irst centrifugal bone side fixing part 130 and intersect with the connecting part 120.
  •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centrifugal bone side fixing part 130 and the center line C1 of the mesial bone fragment side fixing part is the center C2 of the second centrifugal bone side fixing part 140 and the myocardial bone side high.
  • the angle is larger than the angle formed by the central line C1 of the government.
  • the second centrifugal bone piece fixing part 140 includes a cutout part 142 that is ope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necting part 120. Therefore, the plate 100 fixed to the mandible may stably support the myocardial bone fragment 210 and the centrifugal bone fragment 220 that are fractured by at least three screws placed on the left, right, and lower left sides of the plate 100, respectively. Can be.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jaw correction surgery plate is installed in the myocardial bone fragments and distal bone frag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myocardial bone fragment surgery after the operation of the jaw correction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ed the state returned to the previous position.
  • the mesial bone piece fixing part 110 of the plate 100 is disposed on the mesial bone piece 210 of the mandible 200.
  • the mesial bone piece fixing part 110 is fixed to the mesial bone piece 210. That is, the first screw 151 is implanted and fixed by the first hole 112 of the first fixing part 111 and the second hole 114 of the second fixing part 113, respectively.
  • the connection part 120 extending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part 111 is disposed at the fracture line between the myocardial bone fragment 210 and the centrifugal bone fragment 220.
  • the connection part 12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lengths according to the bone defect length.
  • the first hole 112 and the second hole 114 of the mesial bone fragment side fixing portion 110 the tapered surface is formed at the edge so that the head of the first screw 151 can be securely seated and fastened It may be.
  • the first centrifugal bone piece fixing part 130 of the plate 100 is disposed on the centrifugal bone piece 220 of the mandibular bone 200, and the first centrifugal bone piece fixing part (using the second screw 152) ( 130) is fixed to the centrifugal bone piece (220).
  • the second screw 152 is preferably placed in the center of the heart-shaped hole 131 of the first centrifugal bone side fixing part 130, but according to the operator's decis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operator or the jaw joint It can be located in various ways.
  • the second screw 152 fixed to the centrifugal bone piece 220 is loosened a little to quickly position the jaw joint. Can be corrected.
  • the second screw 152 implanted in the loosened first centrifugal bone side fixing part 130 is not completely released, the mesial bone fragment 210 and the centrifugal bone fragment 220 are excessively separated, thereby preventing the union of the bone union. I never do that.
  • the third screw 153 is implanted and fixed in the hole 141 of the second centrifugal bone piece fixing part 140 disposed on the centrifugal bone piece 220.
  • the hole 141 of the second centrifugal bone piece fixing part 140 may have a tapered surface at its edge so as to stably seat and fasten the head of the third screw 153. Therefore, when the movement of the mesial bone fragment 210 is minute, the mesial bone fragment separated by bone cutting by the third screw 153 placed in the hole 141 of the second centrifugal bone fragment fixing part 140 is disposed. 210 and the centrifugal bone fragments 220 has the effect of more stable support.
  • the fixing force existing between the second screw 152 and the first centrifugal bone side fixing part 130 decreases, and the entire metal plate together with the myocardial bone fragment 210 is reduced. It moves within the heart-shaped space range formed in the hole 131 of the first centrifugal bone side fixing part 130.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wrong jaw joint is corrected or the upper and upper regression phenomenon of the entire mandible that occurs after the operation is to act to offset the upper and upper movement of the mesial bone fragment (21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악골의 골절단에 의해 하악 턱교정 수술을 한 후 턱관절이 포함된 근심골편이 수술 전 위치로 회귀할 때 치아가 포함된 원심골편은 회전하지 않고 수술에 의해 교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골편을 고정하기 위한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는, 하악골의 근심골편에 배치되고 스크류의 체결을 위한 구멍이 형성된 근심골편측 고정부와, 근심골편측 고정부에서 연장되고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배치되며, 체결되는 스크류의 헤드는 관통되지 못하고 스크류의 바디는 관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와,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와 이웃한 위치에 연장되고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배치되며, 스크류의 체결을 위한 구멍의 외주면 일부가 개방된 절결부를 구비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본 발명은 하악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악골의 골절단에 의해 하악 턱교정 수술을 한 후 턱관절이 포함된 근심골편이 수술 전 위치로 회귀할 때 치아가 포함된 원심골편은 회전하지 않고 수술에 의해 교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골편을 고정하기 위한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턱교정 수술은 아래위 치아의 맞물림에 대한 부정교합을 개선하기 위하여, 턱뼈의 절단, 이동 및 재결합을 통해 턱뼈의 위치를 변화시켜 안면 골격 구조의 이상을 개선하는 수술이다. 이와 같은 턱교정 수술은 위턱을 수술하는 상악 수술과 아래턱을 수술하는 하악 수술 그리고 위턱과 아래턱을 동시에 수술하는 양악 수술로 나뉜다. 그 중 턱교정 수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하악 수술은, 하악골 상행지 시상 절단술(SSRO :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수직골절단술(IVRO : Intraloral Split Vertical Ramus Osteotomy) 및 양측 하악골 상행지 시상 절단술(BSSRO :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이 있다.
도 5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1832호(발명의 명칭 :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에는 턱 시술이나 구강암 시술을 할 때 하악골의 골편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하악골의 근심골편을 원심골편인 하악체에 반 고정 상태로 연결된 고정 플레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몸체(10)와 플레이트 몸체(10)의 일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유동공(23)이 형성되며 유동공(23)의 가장자리에 수직 단턱(21)이 형성된 유동링(20)과, 플레이트 몸체(10)의 타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1 관통공(33)이 형성되며 제1 관통공(33)의 가장자리에 테이퍼 면(31)이 형성된 제1 체결링(30)과, 유동링(20)과 제1 체결링(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플레이트 몸체(10) 상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2 관통공(43)이 형성되며 제2 관통공(42)의 가장자리에 테이퍼 면(41)이 형성된 제2 체결링(40)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스크류의 헤드가 유동링의 수직 단턱 공간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식립된다. 그러므로 수술 직후 잘못 설정된 턱관절의 위치를 바로잡을 경우, 식립된 스크류가 수직 단턱 공간의 외부로 노출될 때까지 풀거나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교정해야 한다. 하지만 스크류가 근육 힘에 의해 자발적으로 풀어지지 않은 경우가 더 많고, 자발적 풀림을 예측되게 디자인되어 있지도 않으며, 또한 풀릴 때까지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수직 단턱 공간 밖에서 나사가 풀어지면 풀어진 나사가 탈락되어 다양한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턱관절이 올바르지 못한 위치에서 교합이 틀어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교정적 치료에 방해가 되고 환자의 불편감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짧은 시간에 턱관절의 위치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봉합된 절개부위를 다시 절개해서 스크류를 인위적으로 풀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술 과정에서 많은 경우에 있어서 근심골편이 후방으로 회전되면서 고정됨으로 저작근이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수술 후 저작근이 다시 수축되면서 하악골(근심골편과 원심골편 전체)이 턱관절을 중심으로 전상방(전면의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귀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저작근이 부착되어 저작근의 수축력이 가해지는 근심골편이 전상방으로 움직이려고 해도, 수직 단턱 공간이 작거나 방향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에는 근심골편이 충분히 전상방으로 회전하지 못해서 근심골편이 원심골편과 함께 하악골 전체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심골편에 부착된 근육 힘이 발생하면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위치하고 일부가 개방된 고정부의 자유단이 고정부의 구멍에 고정된 스크류에 저항하지 못하고 스스로 휘어져서 벌어지고, 동시에 원심골편에 위치하는 다른 고정부에 식립된 스크류가 근육 힘에 의해서 저절로 약간 이완되면서 금속판과 스크류 사이에 존재하던 마찰력이 저하되면 고정부 내부 공간에 형성된 공간 범위 내에서 근심골편과 함께 전체 금속판이 이동할 수 있어서 수술 직후 잘못 설정된 턱관절의 위치를 추가적인 절개와 재수술 없이 신속하게 바로잡을 수 있는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술 중에 하악골의 근심골편이 원심골편과의 적합성을 높여서 골편의 안정성을 높이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근심골편이 후방으로 회전한 상태로 고정된 경우, 수술 후에 늘어난 저작근이 원위치로 수축되면서 근심골편이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생기는 하악골의 회귀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는, 하악골의 근심골편에 배치되고 스크류의 체결을 위한 구멍이 형성된 근심골편측 고정부와, 근심골편측 고정부에서 연장되고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배치되며, 체결되는 스크류의 헤드는 관통되지 못하고 스크류의 바디는 관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와,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와 이웃한 위치에 연장되고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배치되며, 스크류의 체결을 위한 구멍의 외주면 일부가 개방된 절결부를 구비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를 포함하는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의 중심은, 근심골편측 고정부의 중심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근심골편측 고정부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이웃한 근심골편측 고정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의 구멍은 하트 모양으로 형성되고, 구멍은 하트 모양 중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이 근심골편측 고정부를 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는, 원심골편에 식립된 스크류를 조금만 느슨하게 조정하면 수술 중에 턱관절의 위치가 잘못되어도 재교정해서 신속하게 바로잡을 수 있다. 이는 저작력이 큰 환자는 원심골편에 식립된 스크류가 단단히 고정되어 있어도 저작근육의 힘에 의해 스크류가 이완될 수 있다. 따라서 재수술을 하지 않고 턱관절이 포함된 근심골편의 위치를 바로잡는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서 시술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수술에 따른 환자와 수술자의 육체적 및 정신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턱교정 수술을 한 후 시간이 지나면 늘어났던 저작근이 수술 전 위치로 수축되면서 근심골편이 회전할 때 원심골편은 회전하지 않고 수술직 후 개선된 안정된 교합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원심골편이 전방 상부로 회전하면서 돌출되지 않으므로, 재수술이나 장기간의 교정적 치료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술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재수술에 따른 환자와 수술자의 육체적 및 정신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의 연결부에 연장된 절결부를 구비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는, 수술 직후 근육 힘이 크게 작용하지 않는 시기에 골절단에 의하여 분리된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을 일차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개구연습과 저작 등의 근육 힘이 작용하는 수술 후이거나 턱관절의 위치가 잘못된 경우, 조기에 개구작용을 통하여 근육 힘이 전달되게 하여 근심골편이 큰 힘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2 원신골편측 고정부의 개방된 링 형태의 자유단이 벌어지면서 플레이트가 움직이기 때문에 원심골편은 회전하지 않고 수술에 의해 개선된 교정 상태를 유지하여 하악골의 회귀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측 하악에서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측 하악에서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가 하악골의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플레이트가 수술이 경과한 후 근심골편이 수술 전 위치로 회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턱교정 수술용 플레이트(100)는 근심골편측 고정부(110)와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 및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근심골편측 고정부(110)는 하악골(200)의 절단된 골편 중 근심골편(210)에 배치되고,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로 구성된다. 제1 고정부(111)는 원형 링으로써 중심에 제1 구멍(112)을 구비한다. 제2 고정부(113)는 제1 고정부(111)와 동일하고, 제1 고정부(111)의 우측 방향으로 간격을 두거나 간격 없이 위치하며 중심에 제2 구멍(114)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측 연결부(115)의 양단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고정부(111)의 우측과 제2 고정부(113)의 좌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구멍(112)과 제2 구멍(114)의 직경은, 스크류가 식립될 때 유격이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크류의 바디 직경과 같거나 약간 큰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근심골편측 고정부(110)는 간격을 두고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1개의 고정부 또는 2개 이상의 고정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2개 이상의 고정부로 구성될 경우 이웃한 고정부와 고정부 사이는 고정부측 연결부로 연결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 및 고정부측 연결부(115)는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지만 소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는 제1 고정부(111)의 좌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장되며, 중심에 관통된 구멍(131)을 구비한다.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와 제1 고정부(111)가 연장된 부분을 연결부(120)라 한다. 구멍(131)은, 스크류의 헤드가 통과되지 못하지만 스크류의 바디가 통과되되도록 스크류의 바디보다 직경이 크다. 본 발명의 구멍(131)은 근심골편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거나 걸리지 않으면서 스크류의 헤드를 가능한 작게 제작하기 위해서 하트 모양으로 형성되고, 하트 모양의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이 근심골편측 고정부(110)를 향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식립된 스크류를 따라 충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형, 폐곡선 및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는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와 이웃한 위치에 연장되는 것으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의 중심(C2)은 근심골편측 고정부(110)의 중심(C1) 하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는 원형 링으로써 중심에 구멍(1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멍(141)의 직경은, 스크류가 식립될 때 유격이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크류의 바디 직경과 같거나 약간 큰 것이 좋다. 절결부(142)는 구멍(141)의 내부에서 외주면으로 개방된 부분으로써,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는 절결부(142)를 사이에 두고 좌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제1 자유단(143a)과 우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제2 자유단(143b)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100)는, 연결부(120)를 사이에 두고 연결부(120)의 우측에는 근심골편측 고정부(110)가 연장되고, 좌측에는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와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가 연장되어 있다. 그 중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는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와 이웃하고 연결부(120)와 교차되도록 연결부(120)의 하부에 연장되어 있다. 즉,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의 중심과 근심골편측 고정부의 중심선(C1)이 이루는 각은,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의 중심(C2)과 근심골편측 고정부의 중심선(C1)이 이루는 각보다 큰 각을 갖는다. 또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는 연결부(120)와 대향되는 방향에 개방된 절결부(142)를 구비한다. 따라서 하악골에 고정된 플레이트(100)는 플레이트(100)의 좌측과 우측 그리고 좌측 하부에서 각각 식립된 최소 3개의 스크류에 의해서 골절단된 근심골편(210)과 원심골편(2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플레이트가 하악골의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플레이트가 수술이 경과한 후 근심골편이 수술 전 위치로 회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00)의 근심골편측 고정부(110)를 하악골(200)의 근심골편(210)에 배치한다. 제1 스크류(151)를 이용해서 근심골편측 고정부(110)를 근심골편(210)에 고정한다. 즉, 제1 고정부(111)의 제1 구멍(112)과 제2 고정부(113)의 제2 구멍(114)으로 각각 제1 스크류(151)를 식립해서 고정한다. 다음으로, 제1 고정부(111)의 우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120)를 근심골편(210)과 원심골편(220) 사이의 골절단선 부위에 배치한다. 연결부(120)는 골결손 길이에 맞춰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근심골편측 고정부(110)의 제1 구멍(112)과 제2 구멍(114)은, 제1 스크류(151)의 헤드를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체결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테이퍼 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플레이트(100)의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를 하악골(200)의 원심골편(220)에 배치하고, 제2 스크류(152)를 이용해서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를 원심골편(220)에 고정한다. 이때, 식립되는 제2 스크류(152)는 통상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의 하트 모양의 구멍(131)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좋지만, 수술자나 턱관절의 여건에 따라 수술자의 결정에 따라 다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크류(152)는 구멍(131)을 통과하지 않고 구멍(131)의 주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크류의 헤드에 와셔가 부착된 와셔 붙이 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하악골(200)에 플레이트(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턱관절의 위치가 잘못 설정된 경우 원심골편(220)에 고정된 제2 스크류(152)를 조금 느슨하게 풀어서 신속하게 턱관절의 위치를 바로잡을 수 있다. 이때, 느슨해진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에 식립된 제2 스크류(152)는 완전히 풀어지지 않으므로 근심골편(210)과 원심골편(220)이 과도하게 분리되어 골유합의 방해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원심골편(220)에 배치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의 구멍(141)에 제3 스크류(153)를 식립해서 고정한다. 또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의 구멍(141)은, 제3 스크류(153)의 헤드를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체결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테이퍼 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00)는, 근심골편(210)의 움직임이 미세한 경우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의 구멍(141)에 식립된 제3 스크류(153)에 의해서 골절단으로 분리된 근심골편(210)과 원심골편(22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술을 할 때 늘어난 저작근의 상태가 수술 후 다시 원래의 길이로 수축되는 힘이 작용하면서 하악골은 턱관절을 중심으로 전상방으로 회전하려는 현상이 생기고, 저작근육이 부착된 근심골편(210)이 전상방으로 회전하려는 큰 힘이 생긴다. 그러면 원심골편(220)에 식립된 제3 스크류(153)에 의해 고정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는 절결부(142)를 기준으로 제1 자유단(143a)이 벌어지면서 구멍(141)으로부터 제3 스크류(153)가 이탈된다. 그리고 제2 스크류(152)가 근육 힘에 의해 약간 이완되면서 제2 스크류(152)와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 사이에 존재하던 고정력이 감소하면서 근심골편(210)과 함께 전체 금속판이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의 구멍(131)에 형성된 하트 모양의 공간범위 내에서 움직인다. 이때, 잘못된 턱관절의 위치를 바로 잡거나 수술 후에 생기는 하악골 전체의 전상방 회귀현상을 근심골편(210)의 전상방 운동으로 상쇄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왜냐하면, 근심골편(210)이 회전하면서 원심골편(220)에 배치된 플레이트(100)는 이동하지만 원심골편(220)은 회전하지 않고 교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심골편(220)이 전방 상부로 회전하면서 돌출되지 않으므로, 재수술이나 장기간의 교정적 치료를 할 필요가 없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5)

  1. 하악골의 근심골편에 배치되고, 스크류의 체결을 위한 구멍이 형성된 근심골편측 고정부와,
    상기 근심골편측 고정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배치되며, 체결되는 스크류의 헤드는 관통되지 못하고 스크류의 바디는 관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와,
    상기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와 이웃한 위치에 연장되고 상기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배치되며, 스크류의 체결을 위한 구멍의 외주면 일부가 개방된 절결부를 구비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를 포함하는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의 중심은 상기 근심골편측 고정부의 중심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심골편측 고정부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이웃한 근심골편측 고정부가 서로 연결된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의 구멍은 하트 모양으로 형성된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하트 모양 중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이 상기 근심골편측 고정부를 향하는 턱교정 수술용 플레이트.
PCT/KR2015/009160 2015-08-31 2015-08-31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WO201703902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9160 WO2017039025A1 (ko) 2015-08-31 2015-08-31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9160 WO2017039025A1 (ko) 2015-08-31 2015-08-31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9025A1 true WO2017039025A1 (ko) 2017-03-09

Family

ID=5818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9160 WO2017039025A1 (ko) 2015-08-31 2015-08-31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03902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5077B1 (en) * 2001-11-09 2007-06-26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And Community College System Of Nevada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Nevada, Reno Bone fixation device and method
KR100769085B1 (ko) * 2005-12-09 2007-10-22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조절가능한 골 접합용 고정 플레이트
KR20120094759A (ko) * 2011-02-17 2012-08-27 박성진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KR20120107955A (ko) * 2009-12-11 2012-10-04 신세스 게엠바하 하악 고정 플레이트
KR20150001901U (ko) * 2013-11-12 2015-05-20 유상진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5077B1 (en) * 2001-11-09 2007-06-26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And Community College System Of Nevada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Nevada, Reno Bone fixation device and method
KR100769085B1 (ko) * 2005-12-09 2007-10-22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조절가능한 골 접합용 고정 플레이트
KR20120107955A (ko) * 2009-12-11 2012-10-04 신세스 게엠바하 하악 고정 플레이트
KR20120094759A (ko) * 2011-02-17 2012-08-27 박성진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KR20150001901U (ko) * 2013-11-12 2015-05-20 유상진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ndström Malocclusion of the teeth regarded as a problem in connection with the apical base
Aparicio A proposed classification for zygomatic implant patient based on the zygoma anatomy guided approach (ZAGA): a cross-sectional survey
Scheffler et al. Outcomes and stability in patients with anterior open bite and long anterior face height treated with temporary anchorage devices and a maxillary intrusion splint
US20110301609A1 (en) Customised assembly including at least two osteosynthesis plates which are in turn customised
Hussain et al. Etiology and treatment of midline diastema: A review of literature
Wilmes et al. The Hybrid Hyrax Distalizer, a new all-in-one appliance for rapid palatal expansion, early class III treatment and upper molar distalization
WO2011139030A2 (ko) 치열교정용 협측고정구
DE10392443T5 (de) Orthodontische Bracket
US9113958B2 (en) Distractor device and a method for distracting a jaw bone
US10945814B2 (en) Orthodontic systems and methods
WO2017039025A1 (ko)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CN106572871A (zh) 用于将患者的骨体相对彼此保持在位的植入物和外科套件
KR101660938B1 (ko)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RU2644548C1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избыточного веса и внутриро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993711B1 (ko) 치아교정용 스크류
KR20160073749A (ko) 지대주에 형성된 수직절개부에 곡면절개부를 형성한 치과용 임플란트
Enache et al. Mandibular second molar impaction treatment using skeletal anchorage
CN220141842U (zh) 一种固定式前牙双导面功能矫治器
Baltazar et al. Root morphology and angulation analysis of mandibular first molar for the planning of immediate implant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CBCT
Muhammadali et al. EXTRACTION PLANNING IN ORTHODONTICS
Ferri et al. Total Maxillary Set‐Back Osteotomy
Hovell The surgical correction of variations in the facial skeletal pattern
Bhushan Jawale et al. “Conventional MBT Mechanotherapy for Management of Bimaxillary Dento-alveolar Protrusion”–A Case Report
KR20170072672A (ko) 치과 교정치료용 고정원 및 그 제조방법
Mahendra et al. An Interview with Dr Twelftr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9030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9030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