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938B1 -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938B1
KR101660938B1 KR1020140082508A KR20140082508A KR101660938B1 KR 101660938 B1 KR101660938 B1 KR 101660938B1 KR 1020140082508 A KR1020140082508 A KR 1020140082508A KR 20140082508 A KR20140082508 A KR 20140082508A KR 101660938 B1 KR101660938 B1 KR 101660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piece
centrifugal
hole
side fix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088A (ko
Inventor
황순정
김찬봉
이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082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9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61B17/807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for the ja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악골의 골절단에 의해 하악 턱교정 수술을 한 후 턱관절이 포함된 근심골편이 수술 전 위치로 회귀할 때 치아가 포함된 원심골편은 회전하지 않고 수술에 의해 교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골편을 고정하기 위한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는, 하악골의 근심골편에 배치되고 스크류의 체결을 위한 구멍이 형성된 근심골편측 고정부와, 근심골편측 고정부에서 연장되고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배치되며, 체결되는 스크류의 헤드는 관통되지 못하고 스크류의 바디는 관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와,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와 이웃한 위치에 연장되고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배치되며, 스크류의 체결을 위한 구멍의 외주면 일부가 개방된 절결부를 구비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FUNCTIONAL PLATE FOR ORTHOGNATHIC SUGERY}
본 발명은 하악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악골의 골절단에 의해 하악 턱교정 수술을 한 후 턱관절이 포함된 근심골편이 수술 전 위치로 회귀할 때 치아가 포함된 원심골편은 회전하지 않고 수술에 의해 교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골편을 고정하기 위한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턱교정 수술은 아래위 치아의 맞물림에 대한 부정교합을 개선하기 위하여, 턱뼈의 절단, 이동 및 재결합을 통해 턱뼈의 위치를 변화시켜 안면 골격 구조의 이상을 개선하는 수술이다. 이와 같은 턱교정 수술은 위턱을 수술하는 상악 수술과 아래턱을 수술하는 하악 수술 그리고 위턱과 아래턱을 동시에 수술하는 양악 수술로 나뉜다. 그 중 턱교정 수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하악 수술은, 하악골 상행지 시상 절단술(SSRO :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수직골절단술(IVRO : Intraloral Split Vertical Ramus Osteotomy) 및 양측 하악골 상행지 시상 절단술(BSSRO :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이 있다.
도 5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1832호(발명의 명칭 :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에는 턱 시술이나 구강암 시술을 할 때 하악골의 골편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하악골의 근심골편을 원심골편인 하악체에 반 고정 상태로 연결된 고정 플레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몸체(10)와 플레이트 몸체(10)의 일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유동공(23)이 형성되며 유동공(23)의 가장자리에 수직 단턱(21)이 형성된 유동링(20)과, 플레이트 몸체(10)의 타단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1 관통공(33)이 형성되며 제1 관통공(33)의 가장자리에 테이퍼 면(31)이 형성된 제1 체결링(30)과, 유동링(20)과 제1 체결링(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플레이트 몸체(10) 상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2 관통공(43)이 형성되며 제2 관통공(42)의 가장자리에 테이퍼 면(41)이 형성된 제2 체결링(40)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스크류의 헤드가 유동링의 수직 단턱 공간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식립된다. 그러므로 수술 직후 잘못 설정된 턱관절의 위치를 바로잡을 경우, 식립된 스크류가 수직 단턱 공간의 외부로 노출될 때까지 풀거나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교정해야 한다. 하지만 스크류가 근육 힘에 의해 자발적으로 풀어지지 않은 경우가 더 많고, 자발적 풀림을 예측되게 디자인되어 있지도 않으며, 또한 풀릴 때까지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수직 단턱 공간 밖에서 나사가 풀어지면 풀어진 나사가 탈락되어 다양한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턱관절이 올바르지 못한 위치에서 교합이 틀어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교정적 치료에 방해가 되고 환자의 불편감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짧은 시간에 턱관절의 위치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봉합된 절개부위를 다시 절개해서 스크류를 인위적으로 풀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술 과정에서 많은 경우에 있어서 근심골편이 후방으로 회전되면서 고정됨으로 저작근이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수술 후 저작근이 다시 수축되면서 하악골(근심골편과 원심골편 전체)이 턱관절을 중심으로 전상방(전면의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귀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저작근이 부착되어 저작근의 수축력이 가해지는 근심골편이 전상방으로 움직이려고 해도, 수직 단턱 공간이 작거나 방향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에는 근심골편이 충분히 전상방으로 회전하지 못해서 근심골편이 원심골편과 함께 하악골 전체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심골편에 부착된 근육 힘이 발생하면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위치하고 일부가 개방된 고정부의 자유단이 고정부의 구멍에 고정된 스크류에 저항하지 못하고 스스로 휘어져서 벌어지고, 동시에 원심골편에 위치하는 다른 고정부에 식립된 스크류가 근육 힘에 의해서 저절로 약간 이완되면서 금속판과 스크류 사이에 존재하던 마찰력이 저하되면 고정부 내부 공간에 형성된 공간 범위 내에서 근심골편과 함께 전체 금속판이 이동할 수 있어서 수술 직후 잘못 설정된 턱관절의 위치를 추가적인 절개와 재수술 없이 신속하게 바로잡을 수 있는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술 중에 하악골의 근심골편이 원심골편과의 적합성을 높여서 골편의 안정성을 높이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근심골편이 후방으로 회전한 상태로 고정된 경우, 수술 후에 늘어난 저작근이 원위치로 수축되면서 근심골편이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생기는 하악골의 회귀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는, 하악골의 근심골편에 배치되고 스크류의 체결을 위한 구멍이 형성된 근심골편측 고정부와, 근심골편측 고정부에서 연장되고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배치되며, 체결되는 스크류의 헤드는 관통되지 못하고 스크류의 바디는 관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와,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와 이웃한 위치에 연장되고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배치되며, 스크류의 체결을 위한 구멍의 외주면 일부가 개방된 절결부를 구비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를 포함하는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의 중심은, 근심골편측 고정부의 중심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근심골편측 고정부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이웃한 근심골편측 고정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의 구멍은 하트 모양으로 형성되고, 구멍은 하트 모양 중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이 근심골편측 고정부를 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는, 원심골편에 식립된 스크류를 조금만 느슨하게 조정하면 수술 중에 턱관절의 위치가 잘못되어도 재교정해서 신속하게 바로잡을 수 있다. 이는 저작력이 큰 환자는 원심골편에 식립된 스크류가 단단히 고정되어 있어도 저작근육의 힘에 의해 스크류가 이완될 수 있다. 따라서 재수술을 하지 않고 턱관절이 포함된 근심골편의 위치를 바로잡는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서 시술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수술에 따른 환자와 수술자의 육체적 및 정신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턱교정 수술을 한 후 시간이 지나면 늘어났던 저작근이 수술 전 위치로 수축되면서 근심골편이 회전할 때 원심골편은 회전하지 않고 수술직 후 개선된 안정된 교합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원심골편이 전방 상부로 회전하면서 돌출되지 않으므로, 재수술이나 장기간의 교정적 치료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술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재수술에 따른 환자와 수술자의 육체적 및 정신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의 연결부에 연장된 절결부를 구비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는, 수술 직후 근육 힘이 크게 작용하지 않는 시기에 골절단에 의하여 분리된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을 일차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개구연습과 저작 등의 근육 힘이 작용하는 수술 후이거나 턱관절의 위치가 잘못된 경우, 조기에 개구작용을 통하여 근육 힘이 전달되게 하여 근심골편이 큰 힘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2 원신골편측 고정부의 개방된 링 형태의 자유단이 벌어지면서 플레이트가 움직이기 때문에 원심골편은 회전하지 않고 수술에 의해 개선된 교정 상태를 유지하여 하악골의 회귀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측 하악에서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측 하악에서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가 하악골의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플레이트가 수술이 경과한 후 근심골편이 수술 전 위치로 회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턱교정 수술용 플레이트(100)는 근심골편측 고정부(110)와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 및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근심골편측 고정부(110)는 하악골(200)의 절단된 골편 중 근심골편(210)에 배치되고,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로 구성된다. 제1 고정부(111)는 원형 링으로써 중심에 제1 구멍(112)을 구비한다. 제2 고정부(113)는 제1 고정부(111)와 동일하고, 제1 고정부(111)의 우측 방향으로 간격을 두거나 간격 없이 위치하며 중심에 제2 구멍(114)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측 연결부(115)의 양단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고정부(111)의 우측과 제2 고정부(113)의 좌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구멍(112)과 제2 구멍(114)의 직경은, 스크류가 식립될 때 유격이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크류의 바디 직경과 같거나 약간 큰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근심골편측 고정부(110)는 간격을 두고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1개의 고정부 또는 2개 이상의 고정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2개 이상의 고정부로 구성될 경우 이웃한 고정부와 고정부 사이는 고정부측 연결부로 연결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 및 고정부측 연결부(115)는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지만 소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는 제1 고정부(111)의 좌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장되며, 중심에 관통된 구멍(131)을 구비한다.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와 제1 고정부(111)가 연장된 부분을 연결부(120)라 한다. 구멍(131)은, 스크류의 헤드가 통과되지 못하지만 스크류의 바디가 통과되되도록 스크류의 바디보다 직경이 크다. 본 발명의 구멍(131)은 근심골편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거나 걸리지 않으면서 스크류의 헤드를 가능한 작게 제작하기 위해서 하트 모양으로 형성되고, 하트 모양의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이 근심골편측 고정부(110)를 향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식립된 스크류를 따라 충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형, 폐곡선 및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는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와 이웃한 위치에 연장되는 것으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의 중심(C2)은 근심골편측 고정부(110)의 중심(C1) 하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는 원형 링으로써 중심에 구멍(1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멍(141)의 직경은, 스크류가 식립될 때 유격이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크류의 바디 직경과 같거나 약간 큰 것이 좋다. 절결부(142)는 구멍(141)의 내부에서 외주면으로 개방된 부분으로써,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는 절결부(142)를 사이에 두고 좌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제1 자유단(143a)과 우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제2 자유단(143b)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100)는, 연결부(120)를 사이에 두고 연결부(120)의 우측에는 근심골편측 고정부(110)가 연장되고, 좌측에는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와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가 연장되어 있다. 그 중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는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와 이웃하고 연결부(120)와 교차되도록 연결부(120)의 하부에 연장되어 있다. 즉,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의 중심과 근심골편측 고정부의 중심선(C1)이 이루는 각은,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의 중심(C2)과 근심골편측 고정부의 중심선(C1)이 이루는 각보다 큰 각을 갖는다. 또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는 연결부(120)와 대향되는 방향에 개방된 절결부(142)를 구비한다. 따라서 하악골에 고정된 플레이트(100)는 플레이트(100)의 좌측과 우측 그리고 좌측 하부에서 각각 식립된 최소 3개의 스크류에 의해서 골절단된 근심골편(210)과 원심골편(2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플레이트가 하악골의 근심골편과 원심골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턱교정 수술용 플레이트가 수술이 경과한 후 근심골편이 수술 전 위치로 회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00)의 근심골편측 고정부(110)를 하악골(200)의 근심골편(210)에 배치한다. 제1 스크류(151)를 이용해서 근심골편측 고정부(110)를 근심골편(210)에 고정한다. 즉, 제1 고정부(111)의 제1 구멍(112)과 제2 고정부(113)의 제2 구멍(114)으로 각각 제1 스크류(151)를 식립해서 고정한다. 다음으로, 제1 고정부(111)의 우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120)를 근심골편(210)과 원심골편(220) 사이의 골절단선 부위에 배치한다. 연결부(120)는 골결손 길이에 맞춰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근심골편측 고정부(110)의 제1 구멍(112)과 제2 구멍(114)은, 제1 스크류(151)의 헤드를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체결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테이퍼 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플레이트(100)의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를 하악골(200)의 원심골편(220)에 배치하고, 제2 스크류(152)를 이용해서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를 원심골편(220)에 고정한다. 이때, 식립되는 제2 스크류(152)는 통상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의 하트 모양의 구멍(131)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좋지만, 수술자나 턱관절의 여건에 따라 수술자의 결정에 따라 다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크류(152)는 구멍(131)을 통과하지 않고 구멍(131)의 주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크류의 헤드에 와셔가 부착된 와셔 붙이 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하악골(200)에 플레이트(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턱관절의 위치가 잘못 설정된 경우 원심골편(220)에 고정된 제2 스크류(152)를 조금 느슨하게 풀어서 신속하게 턱관절의 위치를 바로잡을 수 있다. 이때, 느슨해진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에 식립된 제2 스크류(152)는 완전히 풀어지지 않으므로 근심골편(210)과 원심골편(220)이 과도하게 분리되어 골유합의 방해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원심골편(220)에 배치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의 구멍(141)에 제3 스크류(153)를 식립해서 고정한다. 또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의 구멍(141)은, 제3 스크류(153)의 헤드를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체결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테이퍼 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00)는, 근심골편(210)의 움직임이 미세한 경우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의 구멍(141)에 식립된 제3 스크류(153)에 의해서 골절단으로 분리된 근심골편(210)과 원심골편(22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술을 할 때 늘어난 저작근의 상태가 수술 후 다시 원래의 길이로 수축되는 힘이 작용하면서 하악골은 턱관절을 중심으로 전상방으로 회전하려는 현상이 생기고, 저작근육이 부착된 근심골편(210)이 전상방으로 회전하려는 큰 힘이 생긴다. 그러면 원심골편(220)에 식립된 제3 스크류(153)에 의해 고정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140)는 절결부(142)를 기준으로 제1 자유단(143a)이 벌어지면서 구멍(141)으로부터 제3 스크류(153)가 이탈된다. 그리고 제2 스크류(152)가 근육 힘에 의해 약간 이완되면서 제2 스크류(152)와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 사이에 존재하던 고정력이 감소하면서 근심골편(210)과 함께 전체 금속판이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130)의 구멍(131)에 형성된 하트 모양의 공간범위 내에서 움직인다. 이때, 잘못된 턱관절의 위치를 바로 잡거나 수술 후에 생기는 하악골 전체의 전상방 회귀현상을 근심골편(210)의 전상방 운동으로 상쇄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왜냐하면, 근심골편(210)이 회전하면서 원심골편(220)에 배치된 플레이트(100)는 이동하지만 원심골편(220)은 회전하지 않고 교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심골편(220)이 전방 상부로 회전하면서 돌출되지 않으므로, 재수술이나 장기간의 교정적 치료를 할 필요가 없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플레이트 110 : 근심골편측 고정부
111 : 제1 고정부 112 : 제1 구멍
113 : 제2 고정부 114 : 제2 구멍
115 : 고정부측 연결부 120 : 연결부
130 :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 131 : 구멍
140 :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 141 : 구멍
142 : 절결부 143a, 143b : 제1 및 제2 자유단
151, 152, 153 : 제1 내지 제3 스크류
200 : 하악골 210 : 근심골편

Claims (5)

  1. 하악골의 근심골편에 배치되고, 스크류의 체결을 위한 구멍이 형성된 근심골편측 고정부와,
    상기 근심골편측 고정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배치되며, 체결되는 스크류의 헤드는 관통되지 못하고 스크류의 바디는 관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와,
    상기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와 이웃한 위치에 연장되고 상기 하악골의 원심골편에 배치되며, 스크류의 체결을 위한 구멍의 외주면 일부가 개방된 절결부를 구비한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를 포함하는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심골편측 고정부의 중심은 상기 근심골편측 고정부의 중심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심골편측 고정부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이웃한 근심골편측 고정부가 서로 연결된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심골편측 고정부의 구멍은 하트 모양으로 형성된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하트 모양 중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이 상기 근심골편측 고정부를 향하는 턱교정 수술용 플레이트.
KR1020140082508A 2014-07-02 2014-07-02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KR101660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508A KR101660938B1 (ko) 2014-07-02 2014-07-02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508A KR101660938B1 (ko) 2014-07-02 2014-07-02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088A KR20160004088A (ko) 2016-01-12
KR101660938B1 true KR101660938B1 (ko) 2016-09-28

Family

ID=5517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508A KR101660938B1 (ko) 2014-07-02 2014-07-02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9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993A (ko) 2019-01-03 2020-07-14 (주) 케이제이 메디텍 구강악안면 재건수술을 위한 악안면 플레이트와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6147A1 (en) * 2001-11-09 2007-07-05 Robert Wang Bone fixation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2013652B1 (pt) * 2009-12-11 2022-01-04 Synthes Gmbh Placa de fixação de osso mandibular e kit incluindo uma pluralidade de placas de fixação de oss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6147A1 (en) * 2001-11-09 2007-07-05 Robert Wang Bone fixation device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993A (ko) 2019-01-03 2020-07-14 (주) 케이제이 메디텍 구강악안면 재건수술을 위한 악안면 플레이트와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088A (ko)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5290A (en) Intra-oral bone distraction device
EP2237735B1 (en) Intermaxillary fixation device
KR20220160513A (ko) 구개 확장장치
US20200085538A1 (en) Maxillary teeth orthodontic device
CN205286509U (zh) 一种下颌骨截骨导板
US9113958B2 (en) Distractor device and a method for distracting a jaw bone
KR102076634B1 (ko) 악궁 확장 장치
KR101671730B1 (ko) 상악골 확장시술용 구개 확장장치 및 이를 위한 골정착 브라켓
TW202031204A (zh) 牙齒移動器具
KR20160056855A (ko)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
KR20160018156A (ko) 하악골 천공용 가이드장치
KR101660938B1 (ko)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KR102009324B1 (ko) 인공 턱관절
KR101810851B1 (ko) 교정시술용 서지컬 앵커 가이드 및 이를 갖는 앵커 시술 키트
CN205287036U (zh) 一种下颌骨牵引成骨手术导板
JP7450845B2 (ja) 位置合わせ部材を有する外科用ガイド及びインプラント
Moon et al. Class III orthopedic treatment with skeletal anchorage
Ferri et al. Total Maxillary Set‐Back Osteotomy
US7090489B2 (en) Maxillary protraction device with chin-cup
KR101741228B1 (ko) 임플란트 드릴링 가이드 장치
KR101897702B1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장치
US201702092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ment of maxillary deficiency using Hyrax
WO2017039025A1 (ko) 턱교정 수술용 기능성 플레이트
KR102649595B1 (ko) 상악골 확장 기능을 포함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WO2011061557A1 (en) Device for placing dental im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