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324B1 - 인공 턱관절 - Google Patents

인공 턱관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324B1
KR102009324B1 KR1020170159852A KR20170159852A KR102009324B1 KR 102009324 B1 KR102009324 B1 KR 102009324B1 KR 1020170159852 A KR1020170159852 A KR 1020170159852A KR 20170159852 A KR20170159852 A KR 20170159852A KR 102009324 B1 KR102009324 B1 KR 102009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xillary
joint
coupling
mandible
connec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449A (ko
Inventor
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움
Priority to KR1020170159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3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988Other joint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F2/32 - A61F2/4425
    • A61F2/3099Other joint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F2/32 - A61F2/4425 for temporo-mandibular [TM, TMJ]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61B17/807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03Bones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75Skull or cranium
    • A61F2002/2889Maxillary, premaxillary or molar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공 턱관절은 상악에 고정 결합하는 상악 고정부와, 그 하면이 반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함몰되고 상기 상악 고정부로부터 일측으로 절곡 연장된 상악 연결부를 구비하는 상악 관절부; 및 반구형으로 함몰된 상기 상악 연결부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형 또는 타원형의 골두와, 상기 골두로부터 연장되고 복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하악에 고정 결합하는 판형의 하악 연결부를 구비하는 하악 관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악 연결부에 형성된 각 결합홀은 하향 경사지도록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턱관절은 하악 관절부의 결합홀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이내절개술을 통하여 하악 관절부를 하악에 식립시킬 수 있어 절개부위를 최소로하며,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수술 후 상처 및 흉터의 잔존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악 관절부의 제 1연결편과 제 2연결편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손상 및 마모 시, 제 2연결편만을 교체가능하여 교체 및 수술 편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골두가 속이 빈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컴퓨터 단층촬영(CT), 엑스레이(X-Ray)촬영 및 자기공명 촬영(MRI)과 같은 영상 촬영 시 주변 조직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인공 턱관절{Artificial temporomandibular joint}
본 발명은 인공 턱관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악 및 하악에 결합되어 턱관절을 대체하기 위한 인공턱관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턱관절장애(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TMJ)는 턱관절의 염증이나 탈구로 인해 통증과 잡음이 생기고 입을 벌리는 데 장애가 있는 질환이다. 상기한 턱관절장애는 턱을 둘러싼 근육, 뼈 및 관절의 배열이 틀어지거나, 턱관절을 감싸는 근육, 연골, 디스크 등이 손상되어 입을 잘 벌리지 못하거나, 입을 벌릴 때마다 턱관절에서 잡음이 나는 증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턱관절장애는 턱뼈와 관련된 얼굴과 목의 근육 긴장을 일으켜 두통과 목의 통증이 동반되며 손상된 쪽의 턱관절이 잘 열리지 않아 안면비대칭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턱관절장애는 선척적으로는 턱관절의 기형으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으며, 후천적으로는 관절염이나, 사고 및 사소한 습관이 누적되어 발생될 수 있다.
상기한 턱관절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뼈의 근육이완 및 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물리치료나, 치아의 교정 및 교합을 통하여 턱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플린트 방법 등이 있으며, 턱관절장애가 심할 경우 턱에 인공턱관절을 결합하여 턱관절을 대체하는 인공턱관절 대치술과 같은 외과적 치료의 방법 등이 있다.
상기한 턱관절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중 인공턱관절 대치술은, 마모가 심하여 다른 치료로는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의 턱에 인공턱관절을 결합함으로써 턱관절을 대체하도록 수술하는 방법으로, 상악관절부와 하악관절부로 구성된다. 즉, 상악관절부와 하악관절부가 각각 상악 및 하악에 결합됨으로써 턱관절을 대체할 수 있다.
종래의 인공턱관절에 관한 기술로는 중국공개특허 제2015-10010898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인공턱관절은, 이내(耳內)절개술(endaural incision)을 통하여 귀의 일측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악에 상악관절부를 결합시키며, 하악 후방절개술(posterior mandibular incision)을 통하여 하악의 일측의 일부를 절개하여 하악에 하악관절부를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인공턱관절을 결합시키는 수술 시, 절개부위가 커서 수술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환자의 얼굴에 상처 및 흉터가 크게 남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인공턱관절은 상악관절부와 하악관절부와의 결합부위인 상악관절부의 하부가 마모되거나, 손상 등으로 이유로 인하여 교체가 요구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인공턱관절은 상악관절부와 하악관절부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악관절부를 상악으로부터 해체시켜 전체적으로 교체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상악관절부의 교체시간이 오래 걸리고, 상악관절부를 새로 제작하여야함으로서 제작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절개부위를 최소화하여 안정성이 높고, 교체가 간편하여 제작효율을 향상시킨 인공턱관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턱관절은 상악에 고정 결합하는 상악 고정부와, 그 하면이 반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함몰되고 상기 상악 고정부로부터 일측으로 절곡 연장된 상악 연결부를 구비하는 상악 관절부; 및 반구형으로 함몰된 상기 상악 연결부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형 또는 타원형의 골두와, 상기 골두로부터 연장되고 복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하악에 고정 결합하는 판형의 하악 연결부를 구비하는 하악 관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악 연결부에 형성된 각 결합홀은 하향 경사지도록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악 고정부로부터 일측으로 절곡 연장된 제1연결편과, 그 하면이 반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함몰되고, 상기 제1연결편과 착탈 가능하게 암수 결합하는 제2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의 결합면 중 선택된 일 결합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돌출되고, 다른 결합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바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골두는 속이 빈 중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턱관절은 하악 관절부의 결합홀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이내절개술을 통하여 하악 관절부를 식립 할 수 있어 절개부위를 최소로하여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수술 후 상처 및 흉터의 잔존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악 관절부의 제 1연결편과 제 2연결편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손상 및 마모 시, 제 2연결편만을 교체가능하여 교체 및 수술 편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골두가 속이 빈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컴퓨터 단층촬영(CT), 엑스레이(X-Ray)촬영 및 자기공명 촬영(MRI)과 같은 영상 촬영 시 주변 조직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턱관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인공턱관절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인공턱관절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인공 턱관절의 상악 관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상악 관절부의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인공 턱관절의 하악 관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하악 관절부의 골두를 부분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골두가 중공으로 형성되지 않았을 때와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의 컴퓨터 단층촬영(CT)의 비교이미지,
도 9는 도 6에 도시한 하악 관절부의 하악 연결부의 크기를 다르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턱관절(10)은 상악 및 하악에 결합되어 턱관절의 기능을 대체하기 위한 인공관절로서, 상악 관절부(100) 및 하악 관절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상악 관절부(100)는 상악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내(耳內)절개술을 통하여 상악에 식립 할 수 있다. 상기 상악 관절부(100)는 상악 고정부(110)와 상악 연결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상악 고정부(110)는 판 형상으로 상악에 고정 결합한다. 상기 상악고정부(110)에는 복수개의 고정홀(110h)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홀(110h)에 나사를 결합함으로써 상악에 상기 상악 고정부(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상악 고정부(110)의 크기 및 상기 고정홀(110h)의 개수는 적용 환자의 상악 크기 및 상태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변경가능 할 것이다.
상기 상악 연결부(120)는 상기 상악 고정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상악 고정부(110)로부터 일측으로 절곡 연장된다. 부연하면 상기 상악 연결부(120)는 상악과 하악 사이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악 연결부(120)는 그 하면이 반구형 또는 타원형 형태의 환자의 관절 내면과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악 연결부(120)는 제1연결편(121)과 제2연결편(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편(121)은 상기 상악 고정부(110)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다. 즉 상기 상악 고정부(110)와 상기 제 1연결편(121)은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제 1연결편(121)과 상기 상악 고정부(1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티타늄(Titanium)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편(122)은 그 하면이 반구형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편(121)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 2연결편(122)의 상면이 상기 제 1연결편(121)의 하면과 결합되며, 상기 제 2연결편(122)의 하면은 반구형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편(122)은 상기 제1연결편(121)에 착탈 가능하게 암수 결합한다. 즉 상기 제1연결편(121)과 제2연결편(122)의 결합면 중 선택된 일 결합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123)가 돌출되고, 다른 결합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23)에 대응하여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24)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편(121)과 제2연결편(122)이 맞닿는 결합면 중 상기 제1연결편(121)의 결합면에는 결합홈(124)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편(122)의 결합면에는 결합돌기(123)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연결편(121)과 제2연결편(122)이 맞닿는 결합면 중 상기 제1연결편(121)의 결합면에 결합돌기(123)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편(122)의 결합면에는 결합홈(124)이 형성되도록 적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결합돌기(123)는 상기 결합홈(124)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123)가 상기 결합홈(124)에 슬라이딩하여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나사 체결이 없어도 상기 1연결편(121)과 제2연결편(122)이 간편하게 상호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결합돌기(123)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홈(124)은 상기 결합돌기(123)에 대응하여 바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돌기(123)는 그 단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24)은 상기 결합돌기(123)에 대응하는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어, 도브테일(dove tail), 단차 내입 형식으로 상호 결합 될 수 있다. 따라서 마모 및 손상 등으로 상기 상악 관절부(100)의 교체가 요구될 때, 상기 제2연결편(122)을 상기 제1연결편(121)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2연결편(122)만을 교체할 수 있어 교체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제2연결편(122)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연결편(122)과 상기 제2연결편(122)이 이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악 관절부(100)는 상악의 골조직과 골융합 성능을 갖게 하고, 후술(後述) 할 하악 관절부(200)의 골두(210)와 결합 시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상기 상악 관절부(100)의 제2연결편(122)의 마모 및 손상 시 재수술을 통한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추가되는 외과 수술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하악 관절부(200)는 하악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악 관절부(100)에 결합된다. 상기 하악 관절부(200)는 골두(210)와 하악 연결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골두(210)는 구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으로, 턱관절의 골두 구조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악 연결부(120)의 하면에 결합된다. 즉 상기 골두(210)는 상기 제2연결편(122)의 반구형 또는 타원형의 환자의 관절 내면과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된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부연하면 상기 골두(210)와 상기 제2연결편(122)의 반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함몰된 하면은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2연결편(122)의 하면에 상기 골두(210)가 관절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골두(210)는 속이 빈 중공(2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두(210)가 속이 빈 중공(211)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공턱관절(10)을 상악 및 하악에 결합 시킨 후, 컴퓨터 단층촬영(CT) 촬영, 엑스레이(X-Ray)촬영 및 자기공명 촬영(MRI)과 같은 영상 촬영 시 주변 조직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다. 도 8의 (a)는 골두가 중공으로 형성되지 않았을 때의 컴퓨터 단층촬영(CT)의 이미지이며, 도 8의 (b)는 상기 골두(210)가 중공(211)으로 형성되었을 때의 컴퓨터 단층촬영(CT)의 이미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a)는 골두가 중공으로 형성되지 않아, 컴퓨터 단층촬영(CT)의 이미지 상에 금속 잡음(Metal Artifact) 발생이 가중되어 골두의 주변조직에 대한 확인이 어려우며, 도 8의 (b)는 상기 골두(210)가 중공(211)으로 형성됨으로써, 컴퓨터 단층촬영(CT)의 이미지에서 상기 골두(210)의 주변조직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상기 골두(210)가 속이 빈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컴퓨터 단층촬영(CT), 엑스레이(X-Ray)촬영 및 자기공명 촬영(MRI)과 같은 영상 촬영 시 주변 조직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다.
상기 하악 연결부(220)는 상기 골두(210)로부터 연장되고 판형으로 형성되어 하악에 결합된다. 상기 하악 연결부(220)는 복수개의 결합홀(221)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결합홀(221)에 나사를 결합함으로써 하악에 상기 하악 연결부(220)를 식립할 수 있다. 상기 하악 연결부(220)에 형성된 각 결합홀(221)은 각각 하향 경사지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홀(221)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이내절개술을 통하여 하악 관절부(200)를 하악에 식립 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하악 연결부(220)의 각 결합홀(221)은 상기 상악 관절부(100)를 기준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악 관절부(100)를 상악에 결합시키기 위한 이내절개술을 수행 시, 상기 결합홀(221)의 경사면을 따라 나사를 결합시킬 수 있어 하악 관절부(200)를 하악에 식립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인공 턱관절(10) 수술 시 절개부위를 최소로 하여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수술 후 상처 및 흉터의 잔존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악 연결부(220)의 크기 및 상기 결합홀(221)의 개수는 적용 환자의 하악 크기 및 상태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턱관절(10)은 하악 관절부(200)의 결합홀(221)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이내절개술을 통하여 하악 관절부(200)를 하악에 식립시킬 수 있어 절개부위를 최소로하며,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수술 후 상처 및 흉터의 잔존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악 관절부(100)의 제 1연결편(121)과 제 2연결편(122)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손상 및 마모 시, 제 2연결편(122)만을 교체가능하여 교체 및 수술 편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골두(210)가 속이 빈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컴퓨터 단층촬영(CT), 엑스레이(X-Ray)촬영 및 자기공명 촬영(MRI)과 같은 영상 촬영 시 주변 조직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인공 턱관절 100 : 상악 관절부
110 : 상악 고정부 110h : 고정홀
120 : 상악 연결부 121 : 제1연결편
122 : 제2연결편 123 : 결합돌기
124 : 결합홈 200 : 하악 관절부
210 : 골두 220 : 하악 연결부
221 : 결합홀

Claims (5)

  1. 상악에 고정 결합하는 상악 고정부와, 그 하면이 반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함몰되고 상기 상악 고정부로부터 일측으로 절곡 연장된 상악 연결부를 구비하는 상악 관절부; 및
    반구형으로 함몰된 상기 상악 연결부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속이 빈 중공 형상인 구형 또는 타원형의 골두와, 상기 골두로부터 연장되고 복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하악에 고정 결합하는 판형의 하악 연결부를 구비하는 하악 관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악 연결부에 형성된 각 결합홀은, 상기 상악 관절부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관통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의 경사면을 따라 나사를 결합시켜 상기 하악 관절부를 하악에 식립하는 인공 턱관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악 연결부는,
    상기 상악 고정부로부터 일측으로 절곡 연장된 제1연결편과,
    그 하면이 반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함몰되고, 상기 제1연결편과 착탈 가능하게 암수 결합하는 제2연결편을 포함하는 인공 턱관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의 결합면 중 선택된 일 결합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돌출되고,
    다른 결합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함몰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고정 결합되는 인공 턱관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바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인공 턱관절.
  5. 삭제
KR1020170159852A 2017-11-28 2017-11-28 인공 턱관절 KR102009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852A KR102009324B1 (ko) 2017-11-28 2017-11-28 인공 턱관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852A KR102009324B1 (ko) 2017-11-28 2017-11-28 인공 턱관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49A KR20190061449A (ko) 2019-06-05
KR102009324B1 true KR102009324B1 (ko) 2019-10-21

Family

ID=6684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852A KR102009324B1 (ko) 2017-11-28 2017-11-28 인공 턱관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8374A1 (de) * 2020-09-16 2022-03-24 Karl Leibinger Medizintechnik Gmbh & Co. Kg Implantierbare kiefergelenksprothese und entsprechendes herstellungsverfahr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1600B (zh) * 2020-04-03 2022-12-09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一种弹性仿生人工颞下颌关节突假体及其制备方法
CN113303949A (zh) * 2021-06-17 2021-08-27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一种防脱位人工颞下颌关节假体
CN115137531B (zh) * 2022-07-08 2024-09-10 中国医学科学院整形外科医院 一种人工颞下颌关节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9680A (en) 1994-02-10 1996-08-27 Biomet, Inc. Apparatus for total temporomandibular joint replacement
US6132466A (en) * 1996-05-03 2000-10-17 Hoffman; David C. Temporomandibular prosthetic joi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15283U1 (de) * 1991-12-10 1992-02-13 Howmedica GmbH, 2314 Schönkirchen Endoprothese für den teilweisen oder vollständigen Ersatz des Humerus
KR20010019405A (ko) * 1999-08-26 2001-03-15 윤택림 대퇴골 골절 고정을 위한 각도조절형 압박고 나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9680A (en) 1994-02-10 1996-08-27 Biomet, Inc. Apparatus for total temporomandibular joint replacement
US6132466A (en) * 1996-05-03 2000-10-17 Hoffman; David C. Temporomandibular prosthetic joi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8374A1 (de) * 2020-09-16 2022-03-24 Karl Leibinger Medizintechnik Gmbh & Co. Kg Implantierbare kiefergelenksprothese und entsprechendes herstellungs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49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324B1 (ko) 인공 턱관절
JP5539375B2 (ja) ラピダスアプローチにおいて使用される固定プレート
Risser Scoliosis: past and present
Karamese et al.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with temporalis fascia flap and fat graft
JP2006511278A (ja) 高性能な膝プロテーゼ
Rodrigues et al. Concomitant treatment of mandibular ameloblastoma and bilateral temporomandibular joint osteoarthritis with bone graft and total joint prostheses
US11337822B2 (en) Temporomandibular joint implants and methods of treat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TWI607746B (zh) 人工膝關節及其脛骨構件與股骨構件
Huo et al. Digital cutting guide and endoscopically-assisted vertical ramus osteotomy to treat condylar osteochondroma: a long-term study
US20220338998A1 (en) Method for Modeling Glenoid Anatomy and Optimization of Asymmetric Component Design
JP6672543B2 (ja) 顎関節脱臼防止具
KR101496580B1 (ko) 전방 경추 수술용 척추체 보형물
Kumar et al. Autogenous reconstructive modalities of TMJ ankylosis-a retrospective analysis of 45 cases
KR20120094759A (ko)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
CN109157309B (zh) 胫骨近端填充块假体
Gosain et al. Fibrous dysplasia of the face: utility of three-dimensional modeling and ex situ malar recontouring
TW201938115A (zh) 截骨手術限位裝置
Ataç et al. Early treatment of unilateral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US8211180B2 (en) Temporomandibular joint fossa-eminence prosthesis
Sales et al.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Blank et al. Treatment of protracted bilateral mandibular dislocation with Proplast-Vitallium prostheses
Nayak et al. Bilateral elongated coronoid process: A case report
Bhandari et al.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recurrent dislocation using Dautery’s procedure: report and review
CN216090943U (zh) 股骨假体
CN116492114B (zh) 一种颅底关节窝假体、其构建方法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