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145Y1 - 확장성을 가지는 감지신호 무선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확장성을 가지는 감지신호 무선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145Y1
KR200479145Y1 KR2020130009394U KR20130009394U KR200479145Y1 KR 200479145 Y1 KR200479145 Y1 KR 200479145Y1 KR 2020130009394 U KR2020130009394 U KR 2020130009394U KR 20130009394 U KR20130009394 U KR 20130009394U KR 200479145 Y1 KR200479145 Y1 KR 200479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main body
signal
connect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956U (ko
Inventor
박영세
Original Assignee
박영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세 filed Critical 박영세
Priority to KR2020130009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14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9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9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1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화재 감지기, 가스 감지기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본체 및 본체에 탈부착되는 것으로서 확장용 보조 커넥터를 구비하는 보조체로 구성되는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가 개시된다.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탈착될 수 있는 보조체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며 제1감지기가 탈부착되는 본체 커넥터;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본체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제1감지기에서 발생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발생된 무선 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안테나;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확장성을 가지는 감지신호 무선 중계 장치 {Wireless relay device of detection signal with expandability}
본 고안은 화재 감지기, 가스 감지기 등에 의해 발생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신호로서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감지신호 무선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재 감지기, 가스 감지기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본체 및 본체에 탈부착되는 것으로서 확장용 보조 커넥터를 구비하는 보조체로 구성되는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핵가족화로 인한 독거노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 및 지방자치제 차원에서 독거노인 가구의 실내 및 실외 환경을 모니터링하여 응급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응급안전 돌보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응급안전 돌보미 시스템은 댁내 시스템, 실외 시스템, 연계 시스템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 중에서 댁내 시스템은 활동량 감지기, 가스 감지기, 화재 감지기, 카메라 등을 댁내 게이트웨이와 연결하여 이상 상태 발생시 댁내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소방방재청으로 연락을 취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댁내 시스템은 활동량 감지기, 가스 감지기, 화재 감지기 등에서 감지한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댁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활동량 감지기에 지그비 모듈을 내장하여 감지 신호를 지그비 모듈을 통하여 댁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현재 시중에 상품화되어 있는 무선(지그비) 내장형 화재/가스감지기는 특정 지그비에 국한되어 다른 업자가 자신이 개발한 다른 종류의 무선(지그비) 모듈을 감지기에 내장하여 생산하고자 할 때마다 소방기술원에 매 번 소방검정(인증)을 취득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검정(인증) 기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하여, 댁내 시스템 개발비용의 부담이 크게 되고, 요구되는 개발 및 납품마감 기한이 소방기술원의 검정(인증)을 취득하기에 소요되는 기간보다 짧을 때는 사업자 자신의 지그비 모듈을 사용한 화재/가스 감지기의 사용이 불가하여 사업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파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감지기를 탈부착할 수 있는 커넥터 및 감지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 있는 지그비 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특정 감지기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감지기를 수용할 수 있게 하는 감지신호 무선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는
감지기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여 게이트웨이에 중계하기 위한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며 제1감지기가 탈부착되는 본체 커넥터;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본체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제1감지기에서 발생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발생된 무선 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안테나;
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본체 커넥터를 통하여 수신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보 수신부;
상기 경보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감지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지그비 모듈; 및
상기 지그비 모듈 및 상기 경보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경보 해제 신호를 상기 본체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제1감지기로 출력하는 경보 해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경보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 해제 신호를 상기 경보 해제부를 통하여 상기 제1감지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복수의 본체 커넥터가 설치되며,
상기 통신부는 각각의 본체 커넥터에 따라 서로 다른 구분 신호를 부가하여 상기 안테나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 하우징에는 제1체결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2경보수신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경보수신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보조체;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보조체는
보조체 하우징;
상기 보조체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구에 상응하는 제2체결구; 및
제2감지기가 탈부착되는 보조체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본체 커넥터 및 보조체 커넥터에서 수신되는 감지 신호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구분 신호를 부가하여 상기 안테나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는 단독형/연동형 화재 감지기, 단독형/연동형 가스 감지기, 활동량 감지기 등의 각종 감지기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지그비 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감지기가 변경될 때마다 별도의 인증이 필요 없이 이미 인증된 화재 감지기, 가스 감지기, 활동량 감지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댁내 시스템의 개발 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보조체의 탈부착 방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커넥터에 있어서 활동량 감지기와 화재 감지기를 각각 접속시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체와 보조체를 결합시키고 두 개의 화재 감지기를 각각 본체 및 보조체에 장착시킨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감지 신호 무선 전송 장치(100)는 본체(102) 및 본체(102)에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보조체(104)를 포함한다.
본체(102)는 본체 하우징(110)에 설치된 본체 커넥터(112) 및 지그비 통신부(114)를 포함한다. 본체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으로서 본체(102)의 외형을 이룬다. 본체 커넥터(112)는 본체 하우징(110)에 설치되며 지그비 통신부(114)는 본체 하우징(110)의 내부에 내장된다.
지그비 통신부(114, 본 발명의 요약에 있어서의 통신부)는 경보 수신부(122, 124), 제어부(MCU, 126), 지그비 모듈(128)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 하우징(110)에는 안테나(130), 충전배터리(132), 배터리(134)가 설치된다.
한편, 보조체(104)는 본체(102)와 독립적인 것으로서 본체(102)에 탈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체(102)의 본체 하우징(110)측에는 제1체결구(140)가 형성되고, 보조체(104)의 보조체 하우징(150) 측에는 상기 제1체결구(140)에 체결되는 제2체결구(152)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조 커넥터(152)가 보조체 하우징(150)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커넥터는 감지기 수용 수단 및 접속 수단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화재 감지기는 불꽃 감지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분포형 감지기, 복합형 감지기,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아날ㄹ그 방식의 감지기, 다신호 방식의 감지기, 축적 방식의 감지기 등이 있고 이에 따라 그 외형 및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의 형태도 다양한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또한, 감지기가 단독형일 경우와 연동형일 경우에도 출력 단자의 구성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여기서, 단독형이란 예를 들어,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화재수신기가 필요 없이 배터리로 동작하고 스스로 알람(경보출력)을 울리는 형태의 것을 말하며, 연동형이란 단독형에서처럼 스스로 소리를 울려 경보를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 경보 출력을 화재 수신기에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수신기로 하여금 다른 곳으로 동시에 경보를 울릴 수 있도록 하거나 119 자동 신고가 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은 가스 감지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다양한 외형 및 출력 단자를 위한 커넥터를 모두 열거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불필요하다. 또한, 이 분야의 기술자는 커넥터를 설계함에 있어서 그에 접속되는 화재 감지기에 따라 적절한 수용 수단 및 접속 단자를 구비하도록 고려되어야 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감지기를 수용하여 하우징에 고정되는 브라켓(bracket)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활동량 감지기의 경우 감지 렌즈가 활동량을 감지할 수 있는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본체 커넥터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중계 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보조체의 탈부착 방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2)만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본체(102)와 보조체(104)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커넥터에 있어서 활동량 감지기와 화재 감지기를 각각 접속시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2)만을 사용하면서 활동량 감지기를 적용하거나 화재 감지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체(102)에 설치된 본체 커넥터(112)가 활동량 감지기와 화재 감지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본체 커넥터(112)는 각 감지기를 수용 및 접속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4는 본체와 보조체를 결합시키고 두 개의 화재 감지기를 각각 본체 및 보조체에 장착시킨 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화재 감지 센서를 병렬로 사용할 경우, 하나의 화재 감지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오보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한 개의 화재감지기가 불량 상태라 하더라도 나머지 한 개의 화재 감지기가 화재 경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502)에 두 개의 본체 커넥터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두 개의 본체 커넥터 중의 하나는 화재 감지기를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가스 감지기를 위한 것이다.
여기서, 지그비 모듈은 화재 감지기와 가스 감지기에서 수신된 감지 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 신호를 부가하여 전송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502)에 두 개의 본체 커넥터를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지만 동일한 원리로 보조체에도 복수의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통하여 개시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는 서로 다른 커넥터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들에 대하여 이들을 구분할 수 있는 구분 신호를 부가하여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이러한 구분 신호는 맥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전송되거나 통상의 구분자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본체(602)는 도 5에 도시된 장치처럼 두 개의 본체 커넥터를 구비하되, 자체 경보 출력 장치(알람)를 가지는 화재감지기의 경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수신기(게이트웨이)로부터의 경보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감지기로 전달하는 구성을 갖는다.
화재 감지기나 가스 감지기는 화재나 가스 발생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것 이외에도 스스로 경보 출력(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화재 감지기의 경우 오보 혹은 음식 조리 등으로 인한 불필요한 경보 출력이 발생할 경우 댁내 시스템의 게이트웨이에서 경보 출력을 원격으로 취소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체(602)는 경보 해제 신호 전달부(604)를 더 구비한다.
커넥터(606)를 통해 수신한 화재감지기의 감지 신호를 본체 지그비 통신부에 전달하면, 지그비 통신부(640)가 이를 수신기(게이트웨이)로 전달한다. 이때, 화재 감지기는 자체적으로 경보신호(알람)을 발생하고 있다.
만일, 오보 또는 음식조리 등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경보신호가 울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사용자가 수신기(게이트 웨이)의 경보해제 버튼을 누르면, 지그비 통신부(640)가 경보 해제 신호를 경보 해제부(604) 및 커넥터(606)를 통하여 화재 감지기에 제공하고, 화재 감지기가 이를 감지하여 경보출력을 중단시키게 된다. 가스감지기에 접속되는 커넥터(608)의 경우 단순히 감지 신호를 지그비 통신부(640)로 전달하는 구성을 갖는다.
102...본체 104...보조체
112, 152...커넥터 114...통신부
130...안테나

Claims (11)

  1. 감지기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여 게이트웨이에 중계하기 위한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에 있어서,
    자체 알람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제1감지기;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감지기가 탈부착되는 본체 커넥터;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본체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제1감지기에서 발생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 커넥터를 통하여 수신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보 수신부;
    상기 경보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감지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지그비 모듈; 및 상기 지그비 모듈 및 상기 경보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발생된 무선 신호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안테나; 및
    경보 해제 신호를 상기 본체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제1감지기로 출력하는 경보 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경보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 해제 신호를 상기 경보 해제부를 통하여 상기 제1감지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감지기는 감지 신호 발생시 자체 알람 발생 장치를 활성화시키는 한편 상기 경보 해제부를 통하여 경보 해제 신호가 수신되면 알람 발생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에는 제1체결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2경보수신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경보수신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보조체;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보조체는
    보조체 하우징;
    상기 보조체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구에 상응하는 제2체결구; 및
    제2감지기가 탈부착되는 보조체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본체 커넥터 및 보조체 커넥터에서 수신되는 감지 신호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구분 신호를 부가하여 상기 안테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신호 무선 중계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20130009394U 2013-11-14 2013-11-14 확장성을 가지는 감지신호 무선 중계 장치 KR200479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394U KR200479145Y1 (ko) 2013-11-14 2013-11-14 확장성을 가지는 감지신호 무선 중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394U KR200479145Y1 (ko) 2013-11-14 2013-11-14 확장성을 가지는 감지신호 무선 중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56U KR20150001956U (ko) 2015-05-22
KR200479145Y1 true KR200479145Y1 (ko) 2015-12-23

Family

ID=5351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394U KR200479145Y1 (ko) 2013-11-14 2013-11-14 확장성을 가지는 감지신호 무선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145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168B1 (ko) * 2003-03-11 2005-08-05 현대통신 주식회사 원격에서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홈네트웍 상태감시 장치 및 그방법
KR20090009279U (ko) * 2008-03-12 2009-09-16 (주)와이즈산전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복수개의 공기질 센서 모듈들을구비하는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56U (ko) 2015-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0605B2 (en) Auxiliary device for a hazard alarm constructed as a point type detector for function monitoring of the hazard alarm, and an arrangement and method of monitoring using a device of this kind
US20180050230A1 (en) Electrical wall outlet fire detection system
CA3092676A1 (en) Fire detection system
KR101881137B1 (ko) 공공장소용 양방향의 화재경보시스템
JP2012238190A (ja) 警報連携システム、警報連携方法及び中継器
JP2014041519A (ja) 連携報知システム
TWM498934U (zh) 居家整合監控系統
CN103247126B (zh) 一种全方位点式复合火灾探测器
KR200479145Y1 (ko) 확장성을 가지는 감지신호 무선 중계 장치
JP2006270505A (ja) 伝送システムの信号伝送方式
JP6110125B2 (ja) 警報システム
JP4688098B2 (ja) ガス濃度測定方式
JP6097052B2 (ja) 火災報知設備
CN203217701U (zh) 一种全方位点式复合火灾探测器
JP5856367B2 (ja) 無線装置
KR20130121490A (ko) 무선 통신이 가능한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전원관리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JP2010108026A (ja) 警報システム
JP2014021637A (ja) 報知システム及び報知方法
CN208061386U (zh) 一种烟感探测报警系统
JP5685418B2 (ja) 無線中継器
JP2013246546A (ja) 警報システム
JP5761965B2 (ja) 無線装置
JP5451565B2 (ja) 防犯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装置
CN214428055U (zh) 一种无线火灾检测装置
CN102741894A (zh) 用于测试火情/烟雾报警和指示装置的远程火情探测旁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