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016Y1 - 마치부 강도가 개선된 무봉제 니트웨어 - Google Patents

마치부 강도가 개선된 무봉제 니트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016Y1
KR200479016Y1 KR2020150006548U KR20150006548U KR200479016Y1 KR 200479016 Y1 KR200479016 Y1 KR 200479016Y1 KR 2020150006548 U KR2020150006548 U KR 2020150006548U KR 20150006548 U KR20150006548 U KR 20150006548U KR 200479016 Y1 KR200479016 Y1 KR 200479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leeve
knitted
nose
mi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종현
Original Assignee
나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종현 filed Critical 나종현
Priority to KR2020150006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0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무봉제 니트는, 몸판과 좌측소매 및 우측소매로 구성되는 무봉제 니트로서, 상기 몸판과 좌측소매를 연결하는 좌측마치는, 상기 좌측소매로부터 상기 몸판을 향해 일렬로 배열된 좌측미스선과, 상기 좌측미스선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좌측소매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좌측미스선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좌측 편성코와, 상기 좌측 편성코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을 향해 일렬로 연장되어 상기 몸판에 연결되는 좌측연장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판과 우측소매를 연결하는 우측마치는, 상기 몸판으로부터 상기 우측소매를 향해 일렬로 배열된 우측미스선과, 상기 우측미스선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우측미스선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우측 편성코와, 상기 우측 편성코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우측소매를 향해 일렬로 연장되어 상기 우측소매에 연결되는 우측연장선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마치부 강도가 개선된 무봉제 니트웨어 {Seamless knitwear with improved tensile strength of machi}
본 고안은 몸판과 좌우측 소매가 일체로 제작되는 무봉제 니트웨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몸판과 좌우측 소매가 접속되는 마치부(machi)의 강도가 개선된 무봉제 니트웨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봉제 니트웨어란 편직기계에서 완전한 한 벌의 옷이 입체적으로 편성되는 방식으로 봉제 이음새와 시접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의류제품을 의미하며, 이러한 무봉제 니트웨어의 종류로는 제작방식에 따라 크게 환편기에 의해 제작되는 제품과, 횡편기에 의해 제작되는 제품으로 구분된다.
환편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1990년대 이태리 니팅기계 제조업체인 산토니사가 개발한 무봉제 편기에 의해 스타킹이나 바디웨어 제품이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환편기 제품의 특징으로는, 일반적으로 몸판부분이 하나의 튜블러방식으로 편직되어 옆선에는 이음새가 생기지 않아 아름다운 바디라인을 살릴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쪽 소매부분은 별도로 편직하여 봉제하게 된다.
횡편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횡편기계 제조업체인 일본 시마 세이키사의 홀가먼트에 의한 제품과 동일 스톨사의 니트 앤 웨어에 의해 제작된 제품이 대표적이다. 횡편기 제품의 특징으로는 편직 시작과 동시에 몸판부분 뿐만 아니라 양쪽 소매가 함께 연결되어 3개의 튜블러가 입체적으로 제작되어 스웨터 형태로 완성된다는 점에 있다.
또한, 횡편기의 편성원리는 뒷베드에서 뒤 몸판을 편성하고, 앞베드에서 앞 몸판을 편성하며, 몸판만 편성되는 환편기의 무봉제와는 달리 양쪽 소매가 봉제 없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특수한 편성방법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봉제과정을 거치지 않는 무봉제 니트편성의 특성상 양쪽 소매가 각각 동시에 편성되다가 암홀 및 겨드랑이 부분에서 몸판과 소매가 두 코씩 겹쳐진 후 편안한 착용감을 주기 위해 적당량의 여유분을 두어 연결된다. 이와 같이 몸판과 양쪽 소매가 접속되는 부분을 마치(Machi)라 하는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몸판과 양쪽 소매가 두 코씩 겹쳐지도록 연결되는 경우, 양쪽 소매를 잡아당겼을 때 양쪽 소매와 몸판 간의 연결부 즉, 마치부가 늘어나거나 터지는 현상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무봉제 니트웨어는 마치부 형성방향 조절이 어려워 상기 마치부를 인체공학적 곡선으로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무봉제 니트웨어의 착용감을 높이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KR 10-1283757 B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몸판과 양쪽 소매 간의 연결부 즉, 마치부의 인장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상기 마치부를 인체공학적 유선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착용감이 우수한 무봉제 니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무봉제 니트는,
몸판과 좌측소매 및 우측소매로 구성되는 무봉제 니트로서,
상기 몸판과 좌측소매를 연결하는 좌측마치는, 상기 좌측소매로부터 상기 몸판을 향해 일렬로 배열된 좌측미스선과, 상기 좌측미스선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좌측소매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좌측미스선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좌측 편성코와, 상기 좌측 편성코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을 향해 일렬로 연장되어 상기 몸판에 연결되는 좌측연장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판과 우측소매를 연결하는 우측마치는, 상기 몸판으로부터 상기 우측소매를 향해 일렬로 배열된 우측미스선과, 상기 우측미스선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우측미스선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우측 편성코와, 상기 우측 편성코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우측소매를 향해 일렬로 연장되어 상기 우측소매에 연결되는 우측연장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편성코가 상기 좌측미스선을 감싸는 횟수와, 상기 우측편성코가 상기 우측미스선을 감싸는 횟수는 동일하게 설정된다.
상기 좌측편성코는 상기 좌측미스선을 3회 감싸고, 상기 우측편성코는 상기 우측미스선을 3회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우측소매 우측단으로부터 상기 몸판을 향해 편성되는 제1 우측앞소매와, 상기 제1 우측앞소매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을 향해 일렬로 배열된 제1 앞미스선과, 상기 제1 앞미스선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우측앞소매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앞미스선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제1 앞편성코와, 상기 제1 앞편성코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을 향해 일렬로 연장되는 제1 앞연장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앞연장선의 끝단에는 이전에 편직된 앞몸판에 연결되는 턱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우측앞소매 상에 적층되는 제2 우측앞소매와, 상기 턱으로부터 상기 제2 우측앞소매를 향해 일렬로 배열된 제2 앞미스선과, 상기 제2 앞미스선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앞미스선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제2 앞편성코와, 상기 제2 앞편성코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2 우측앞소매를 향해 일렬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우측앞소매에 연결되는 제2 앞연장선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무봉제 니트는, 몸판과 양쪽 소매 간의 연결부 즉, 마치부의 인장강도가 향상되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상기 마치부가 인체공학적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착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무봉제 니트를 편직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2는 몸판과 우측소매와 좌측소매의 배열구조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몸판에 좌측소매와 우측소매가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우측소매의 앞판이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마치부 강도가 개선된 무봉제 니트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무봉제 니트를 편직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도 2는 몸판과 우측소매와 좌측소매의 배열구조를 도시하며, 도 3 내지 도 7은 몸판에 좌측소매와 우측소매가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무봉제 방식으로 니트를 편직할 때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판(10)과 좌우측 소매(20, 30)의 하단부터 편직해 나아가다가, 좌측소매(20)와 우측소매(30)를 몸판(10)에 연결시킴으로써, 니트 전체를 한 번에 편직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무봉제 니트는 몸판(10)에 좌측소매(20) 및 우측소매(30)가 연결되는 마치(Machi)가 쉽게 늘어나거나 터지지 아니하도록 기준치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구조로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마치부는, 몸판(10)과 좌측소매(20)를 연결하는 좌측마치와, 몸판(10)과 우측소매(30)를 연결하는 우측마치로 구분되는데, 상기 좌측마치와 우측마치는 단순히 니트 편직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인장력에 대해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갖는 구성요소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좌측마치와 우측마치의 형성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좌측소매(20) 한 라인이 편직되면, 원사를 3코에 걸쳐 미스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곧게 연장되는 좌측미스선(22)을 형성한 후, 좌측미스선(22)이 연장된 방향과 반대방향(도 4에서는 좌측방향)으로 원사 진행방향을 바꾸어 상기 좌측미스선(22)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좌측편성코(24)를 형성시킨다. 좌측편성코(24) 형성이 완료되면, 다시 몸체를 향하는 방향(도 4에서는 우측방향)으로 원사를 일렬로 곧게 연장시켜 좌측연장선(26)을 형성함으로써, 좌측마치를 제작한다.
좌측마치 제작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한 라인이 편직되면, 몸체와 우측소매(30)를 연결하는 우측마치를 형성한다. 몸체를 편직한 원사를 3코에 걸쳐 미스시켜 일렬로 곧게 연장되는 우측미스선(12)을 형성한 후, 우측미스선(12)이 연장된 방향과 반대방향(도 5에서는 좌측방향)으로 원사 진행방향을 바꾸어 상기 우측미스선(12)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우측편성코(14)를 형성시킨다. 우측편성코(14) 형성이 완료되면, 다시 우측소매(30)를 향하는 방향(도 6에서는 우측방향)으로 원사를 일렬로 곧게 연장시켜 우측연장선(16)을 형성함으로써, 우측마치를 제작한다.
즉, 본 고안에 포함되는 좌측마치는, 상기 좌측소매(20)로부터 상기 몸판(10)을 향해 일렬로 배열된 좌측미스선(22)과, 상기 좌측미스선(22)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좌측소매(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좌측미스선(22)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좌측 편성코와, 상기 좌측 편성코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10)을 향해 일렬로 연장되어 상기 몸판(10)에 연결되는 좌측연장선(26)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포함되는 우측마치는, 상기 몸판(10)으로부터 상기 우측소매(30)를 향해 일렬로 배열된 우측미스선(12)과, 상기 우측미스선(12)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우측미스선(12)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우측 편성코와, 상기 우측 편성코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우측소매(30)를 향해 일렬로 연장되어 상기 우측소매(30)에 연결되는 우측연장선(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니트웨어에 포함되는 좌측마치와 우측마치는, 코를 형성하도록 권취구조를 갖는 원사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직선으로 연장된 좌측미스선(22)과 우측미스선(12)을 구비하는바, 좌측소매(20)나 우측소매(30)를 당기는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좌측미스선(22)과 우측미스선(12)이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을 지지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포함되는 좌측마치와 우측마치는, 좌측미스선(22)과 우측미스선(12)이 끊어지지 아니하는 한, 좌측소매(20)나 우측소매(30)가 당겨지더라도 늘어나거나 터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좌측마치와 우측마치가 늘어나거나 터지지 아니하면, 니트웨어의 내구성이 증가될 뿐만아니라, 옷이 변형되는 현상도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이 길어진다는 장점도 있다.
이때, 좌측소매(20) 및 우측소매(30)로 인가되는 외력에 대한 좌측마치와 우측마치의 내인장성은 좌측미스선(22)과 우측미스선(12)이 몇 코를 미스하고 좌측편성코(24)와 우측편성코(14)가 몇 회에 걸쳐 좌측미스선(22)과 우측미스선(12)을 나선형으로 감싸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좌측마치와 우측마치의 내인장성이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좌측편성코(24)가 상기 좌측미스선(22)을 감싸는 횟수와, 상기 우측편성코(14)가 상기 우측미스선(12)을 감싸는 횟수는 동일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좌측미스선(22)과 우측미스선(12)이 너무 짧으면 내인장성 증가효과가 크지 아니하고, 좌측미스선(22)과 우측미스선(12)이 너무 길면 좌측마치와 우측마치의 폭이 커지게 되어 외관이 좋지 아니하는바, 좌측미스선(22)과 우측미스선(12)의 길이는 적절하게 선정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좌측편성코(24)는 상기 좌측미스선(22)을 3회 감싸고, 상기 우측편성코(14)는 상기 우측미스선(12)을 3회 감싸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좌측편성코(24)가 좌측미스선(22)을 감싸는 횟수와 우측편성코(14)가 우측미스선(12)을 감싸는 횟수는, 좌측마치와 우측마치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우측소매(30)의 앞판이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좌측소매(20)와 우측소매(30)를 몸판(10)에 연결시키는 좌측마치와 우측마치의 제작이 완료된 이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소매(30)의 앞판을 제작한다. 상기 우측소매(30)의 앞판은, 상기 우측소매(30) 우측단으로부터 상기 몸판(10)을 향해 편성되는 제1 우측앞소매(30a)와, 상기 제1 우측앞소매(30a)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10)을 향해 일렬로 배열된 제1 앞미스선(32a)과, 상기 제1 앞미스선(32a)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우측앞소매(30a)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앞미스선(32a)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제1 앞편성코(34a)와, 상기 제1 앞편성코(34a)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10)을 향해 일렬로 연장되는 제1 앞연장선(36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우측앞소매(30a)와 제1 앞미스선(32a)과 제1 앞편성코(34a)와 제1 앞연장선(36a)을 편직하는 과정은, 우측소매(30)와 우측미스선(12)과 우측편성코(14)와 우측연장선(16)을 편직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고안에 포함되는 우측소매(30) 앞판은, 제1 앞연장선(36a)의 끝단이 이전에 형성되었던 앞몸판(10a)에 고정되도록 즉, 제1 앞연장선(36a)의 끝단에 앞몸판(10a)과의 연결을 위한 턱(38)(tuck)이 구비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무봉재 니트웨어를 편직할 때에는 좌측소매와 몸판과 우측소매의 뒷판을 1열 편직하는 과정과 우측소매와 몸판과 좌측소매의 앞판을 1열 편직하는 과정을 수 차례에 걸쳐 반복하게 되는데, 제1 앞연장선(36a)을 처음 편직할 때 즉, 제1 앞연장선(36a) 1열을 편직할 때에는 기존에 형성된 앞몸판(10a)이 없으므로, 제1 앞연장선(36a) 1열을 편직할 때에는 턱(38) 형성을 생략하고 제2 앞연장선(36a) 2열을 편직할 때 앞몸판(10a) 1열에 턱(38)으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제1 앞연장선(36a)의 끝단이 앞몸판(10a)에 연결되면, 마치편성 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좌측소매(20)와 우측소매(30)가 몸판(10)에 연결되는 구조를 인체공학에 따라 즉, 사람의 신체에 맞는 곡선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니트웨어를 사람의 신체구조에 적합하도록 제작할 수 있는바, 착용감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 앞연장선(36a) 끝단을 앞몸판(10a)에 연결시키는 턱(38) 편직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제1 우측앞소매(30a) 상에 적층되는 제2 우측앞소매(30b)와, 상기 턱(38)으로부터 상기 제2 우측앞소매(30b)를 향해 일렬로 배열된 제2 앞미스선(32b)과, 상기 제2 앞미스선(32b)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앞미스선(32b)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제2 앞편성코(34b)와, 상기 제2 앞편성코(34b)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2 우측앞소매(30b)를 향해 일렬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우측앞소매(30b)에 연결되는 제2 앞연장선(36b)을 추가로 형성한다. 또한, 우측소매(30) 앞판 편직을 완료한 이후에는 앞몸판(10a)과 좌측소매(20) 앞판을 편직하는데, 상기 좌측소매(20)의 앞판을 편직하는 과정은 우측소매(30)의 앞판을 편직하는 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방향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몸판 12 : 우측미스선
14 : 우측편성코 16 : 우측연장선
20 : 좌측소매 22 : 좌측미스선
24 : 좌측편성코 26 : 좌측연장선
30 : 우측소매 30a : 제1 우측앞소매
32a : 제1 앞미스선 34a : 제1 앞편성코
36a : 제1 앞연장선 30b : 제2 우측앞소매
32b : 제2 앞미스선 34b : 제2 앞편성코
36b : 제2 앞연장선 38 : 턱

Claims (5)

  1. 몸판(10)과 좌측소매(20) 및 우측소매(30)로 구성되는 무봉제 니트로서,
    상기 몸판(10)과 좌측소매(20)를 연결하는 좌측마치는, 상기 좌측소매(20)로부터 상기 몸판(10)을 향해 일렬로 배열된 좌측미스선(22)과, 상기 좌측미스선(22)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좌측소매(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좌측미스선(22)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좌측 편성코와, 상기 좌측 편성코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10)을 향해 일렬로 연장되어 상기 몸판(10)에 연결되는 좌측연장선(26)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판(10)과 우측소매(30)를 연결하는 우측마치는, 상기 몸판(10)으로부터 상기 우측소매(30)를 향해 일렬로 배열된 우측미스선(12)과, 상기 우측미스선(12)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우측미스선(12)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우측 편성코와, 상기 우측 편성코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우측소매(30)를 향해 일렬로 연장되어 상기 우측소매(30)에 연결되는 우측연장선(1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니트웨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편성코(24)가 상기 좌측미스선(22)을 감싸는 횟수와, 상기 우측편성코(14)가 상기 우측미스선(12)을 감싸는 횟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니트웨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측편성코(24)는 상기 좌측미스선(22)을 3회 감싸고, 상기 우측편성코(14)는 상기 우측미스선(12)을 3회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니트웨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측소매(30) 우측단으로부터 상기 몸판(10)을 향해 편성되는 제1 우측앞소매(30a)와, 상기 제1 우측앞소매(30a)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10)을 향해 일렬로 배열된 제1 앞미스선(32a)과, 상기 제1 앞미스선(32a)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우측앞소매(30a)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앞미스선(32a)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제1 앞편성코(34a)와, 상기 제1 앞편성코(34a)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10)을 향해 일렬로 연장되는 제1 앞연장선(36a)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앞연장선(36a)의 끝단에는 이전에 편직된 앞몸판(10a)에 연결되는 턱(3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니트웨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우측앞소매(30a) 상에 적층되는 제2 우측앞소매(30b)와, 상기 턱(38)으로부터 상기 제2 우측앞소매(30b)를 향해 일렬로 배열된 제2 앞미스선(32b)과, 상기 제2 앞미스선(32b)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몸판(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앞미스선(32b)을 나선형으로 감싸는 제2 앞편성코(34b)와, 상기 제2 앞편성코(34b)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2 우측앞소매(30b)를 향해 일렬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우측앞소매(30b)에 연결되는 제2 앞연장선(36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니트웨어.
KR2020150006548U 2015-10-05 2015-10-05 마치부 강도가 개선된 무봉제 니트웨어 KR200479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48U KR200479016Y1 (ko) 2015-10-05 2015-10-05 마치부 강도가 개선된 무봉제 니트웨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48U KR200479016Y1 (ko) 2015-10-05 2015-10-05 마치부 강도가 개선된 무봉제 니트웨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016Y1 true KR200479016Y1 (ko) 2015-12-09

Family

ID=5502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548U KR200479016Y1 (ko) 2015-10-05 2015-10-05 마치부 강도가 개선된 무봉제 니트웨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0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452B1 (ko) 2016-12-19 2017-07-03 나종현 무늬 형성을 위한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봉제 니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1231A (ja) 2004-12-09 2006-06-22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編地を編成させるための編成プログラム
JP2006176912A (ja) 2004-12-22 2006-07-06 Shima Seiki Mfg Ltd 袖付きニットウエアの編成方法
WO2011004694A1 (ja) 2009-07-09 2011-01-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1231A (ja) 2004-12-09 2006-06-22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編地を編成させるための編成プログラム
JP2006176912A (ja) 2004-12-22 2006-07-06 Shima Seiki Mfg Ltd 袖付きニットウエアの編成方法
WO2011004694A1 (ja) 2009-07-09 2011-01-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452B1 (ko) 2016-12-19 2017-07-03 나종현 무늬 형성을 위한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봉제 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3926B2 (ja) シューズアッパーの製造方法、およびシューズアッパー
CN106793838B (zh) 内裤、制作内裤的方法以及至少部分地制造内裤的方法
US3946579A (en) One-piece pant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4856635B2 (ja) 身頃筒状部に開き部を有するニットウエ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WO2005068698A1 (ja) ニットパンツの編成方法、ニットパンツ、および横編機にパンツを編成させるための編成プログラム
JP3983729B2 (ja) 切りっぱなし開口部を有する衣類
JP6211482B2 (ja) フ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KR101603889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151246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JP6099935B2 (ja) 下半身用衣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1004694A1 (ja)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ITMI960790A1 (it)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manufatti tubolari particolarmente per la produzione di calze o di altri capi di
EP2385160A2 (en)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JP2012180620A (ja) 筒状部分を有する分割可能なダブルラッシェル編地
KR200479016Y1 (ko) 마치부 강도가 개선된 무봉제 니트웨어
JP6085142B2 (ja) 下半身用衣類
JP5452791B2 (ja) 側端部を補強した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JP6004798B2 (ja) 靴下
JP6701490B2 (ja) 下半身用衣類の製造方法
JP4066075B2 (ja) 5本指タイプのストッキング類の製造方法及び5本指タイプのストッキング類
JP6175279B2 (ja) 下半身用肌着及び下半身用肌着に用いられるフライス編地
JP6055629B2 (ja) 開口部付き編成物の編成方法及び開口部付き編成物
JP2004124345A (ja) 端末編組織および該端末編組織を備えた衣類
JP2006152507A (ja) 襠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6161666B2 (ja) ニット製衣服、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