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452B1 - 무늬 형성을 위한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봉제 니트 - Google Patents

무늬 형성을 위한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봉제 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452B1
KR101752452B1 KR1020160173484A KR20160173484A KR101752452B1 KR 101752452 B1 KR101752452 B1 KR 101752452B1 KR 1020160173484 A KR1020160173484 A KR 1020160173484A KR 20160173484 A KR20160173484 A KR 20160173484A KR 101752452 B1 KR101752452 B1 KR 101752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mall
nose
knitting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종현
Original Assignee
나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종현 filed Critical 나종현
Priority to KR1020160173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Abstract

기준사를 배열하는 제1 단계; 복수 개의 제1 작은코가 연이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1 큰코가 연이어 형성되도록 상기 기준사에 제1 원사를 편직하는 제2 단계; 복수 개의 제2 큰코가 연이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2 작은코가 연이어 형성되되, 상기 제2 큰코가 상기 제1 작은코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작은코가 상기 제1 큰코에 연결되도록 제2 원사를 편직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을 이용하면, 서로 다른 종류의 원사를 복층으로 직조하거나 편직방향을 변경하지 아니하더라도 편직물에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편직이 용이해질 뿐만아니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봉제 니트는 무늬를 형성하더라도 각 부위의 두께가 일정하므로 착용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늬 형성을 위한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봉제 니트 {Knitting methode for pattern formation seamless knitwear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원사를 복층으로 직조하거나 편직방향을 변경하지 아니하더라도 특정 패턴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는 편직방법과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봉제 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털실을 편직하여 만들어지는 직물 제품은 신축성이 풍부하고 착용하기 쉬우며 보온성이 상당히 좋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니트 편직물 제품은 가볍고 구김살이 잘 가지 않으며, 이러한 니트 편직물 제품으로는 스웨터(sweater), 카디건(cardigan), 셔츠(shirt), 조끼(waistcoat) 등의 의류 제품과 숄(shawl), 모자, 장갑 등의 신변장식품들이 있다. 그리고, 상기 니트 편직물을 자동으로 편직하는 기계장치로 니트 편직물을 판상으로 편직하는 횡편기와 앞/뒤판의 이음매가 서로 없이 원통형으로 편직하는 환편기가 있다.
이때, 편직물에 무늬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상용화된 편직 방법의 하나로 자카드 직조방법이 있다. 통상적으로 자카드 직물은 디자인에 따라 구멍을 뚫은 문지를 개재하여 줄로 연결되는 종광바늘에 의한 경사의 상승을 조정하여 직기의 정교한 조직 효과를 유발하고 원하는 영역에 꽃, 도형 등의 무늬를 돌출시킨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4322호에는, 입체적 돌출형태의 파일로 형성된 벨벳무늬와 그 벨벳무늬와 상대적이면서 조화로움을 가진 비돌출형 바닥 자카드 무늬를 하나의 자카드 벨벳직기에서 각각의 무늬형성용 문지 또는 디스켓을 통해 동시 형성시켜 패턴이 다른 2차원적인 파일로 형성시킨 벨벳무늬와 바닥에서 형성되어지는 1차원적인 바닥무늬가 동시에 생성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발명은 벨벳 직물에 관련되어 양면으로 다양한 무늬의 표현이 곤란할 뿐 아니라 그 세부적 구성이 구체적으로 개시되지 않아 당업자에 의한 구현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402733호에는, 전체 제직 직물 폭 범위내에서 특정 부위에만 자카드 무늬를 표현하기 위해, 무늬가 표현되지 않는 바탕직을 위해서는 하나의 종광에 두 가닥 이상의 경사를 동시에 수납하여 인접한 종광에는 경사가 수납되지 않은 빈 종광이 되도록 형성하고, 자카드 무늬가 표현되는 부위는 하나의 종광에 한가닥의 경사가 수납되도록 하는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무늬가 전 폭에 걸쳐 반복 생성됨에 따른 단조로움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으로 가슴이나 깃 또는 소맷단과 같이 특정 부위에 무늬를 배치할 수 있기는 하지만 비대칭성을 요지로 하기 때문에 독립적인 무늬를 양면으로 표현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고 기본조직과 무늬조직이 조직의 치밀도가 달라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무늬 형성방법들은 여러 종류의 원사를 여러겹으로 직조하도록 구성되는바, 이음매 없이 한 번의 직조를 통해 제작이 완료되는 무봉제 니트에는 적용이 불가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KR 10-2004-0004322 A KR 10-040273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원사를 복층으로 직조하거나 편직방향을 변경하지 아니하더라도 편직물에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편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봉제 니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은,
기준사를 배열하는 제1 단계;
복수 개의 제1 작은코가 연이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1 큰코가 연이어 형성되도록 상기 기준사에 제1 원사를 편직하는 제2 단계;
복수 개의 제2 큰코가 연이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2 작은코가 연이어 형성되되, 상기 제2 큰코가 상기 제1 작은코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작은코가 상기 제1 큰코에 연결되도록 제2 원사를 편직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제3 큰코가 연이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3 작은코가 연이어 형성되되, 상기 제3 큰코가 상기 제2 작은코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작은코가 상기 제2 큰코에 연결되도록 제3 원사를 편직하는 제4 단계;
복수 개의 제4 큰코가 연이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4 작은코가 연이어 형성되되, 상기 제4 큰코가 상기 제3 작은코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작은코가 상기 제3 큰코에 연결되도록 제4 원사를 편직하는 제5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원사와 상기 제3 원사는 동일한 종류의 원사이고, 상기 제2 원사와 상기 제4 원사는 동일한 종류의 원사로 설정된다.
상기 제1 원사는 상기 제1 작은코의 하단높이와 상기 제1 큰코의 하단높이가 동일하도록 편직되고,
상기 제2 원사는 상기 제2 큰코의 상단높이와 상기 제2 작은코의 상단높이가 동일하도록 편직된다.
상기 제1 원사는 상기 제1 작은코와 상기 제1 큰코의 중단높이가 동일하도록 편직되고,
상기 제2 원사는 상기 제2 큰코와 상기 제2 작은코의 중단높이가 동일하도록 편직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봉제 니트는, 상기와 같은 편직방법에 의해 제작된다.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을 이용하면, 서로 다른 종류의 원사를 복층으로 직조하거나 편직방향을 변경하지 아니하더라도 편직물에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편직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봉제 니트는 무늬를 형성하더라도 각 부위의 두께가 일정하므로 착용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에 의해 편직물이 편직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 제2 실시예에 의해 편직물이 편직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에 의해 편직된 무봉제 니트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에 의해 편직된 무봉제 니트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늬 형성을 위한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봉제 니트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에 의해 편직물이 편직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은, 편직물을 구성하는 원사 이외에 별도의 무늬사를 입체적으로 편직하는 과정(예를 들어 자카드 직조과정) 없이도 무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은, 각 원사의 코 크기 조절을 통해 무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바, 한 번의 편직과정을 통해 편직물을 제작함과 동시에 무늬까지 함께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을 이용하여 편직물을 편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직선 형태의 기준사(1)를 배열시킨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코를 갖는 코일 형태의 제1 원사(10)를 기준사(1)에 편직한다. 이때, 하나의 기준사(1)에 제1 원사(10)를 편직하는 방법은 종래의 편직물 제조에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원사(10)의 코는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1 작은코(12)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1 큰코(14)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설정된 개수(도 1에서는 6개)의 제1 작은코(12)가 형성된 후, 사전에 설정된 개수(도 1에서는 5개)의 제1 큰코(14)가 연이어 배열되며, 제1 큰코(14)가 복수 개 형성된 이후에는 또 다시 복수 개의 제1 작은코(12)가 연이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작은코(12)가 6개 형성된 이후 제1 큰코(14)가 5개 형성되도록 제1 원사(10)를 편직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1 작은코(12)의 개수 및 제1 큰코(14)의 개수는 구현하고자 하는 무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증감될 수 있다.
제1 원사(10)의 편직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원사(10)와 상이한 색상의 제2 원사(20)가 제1 원사(10)에 편직되는데, 상기 제2 원사(20) 역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복수 개의 제2 큰코(22)가 연이어 형성된 이후,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복수 개의 제2 작은코(24)가 연이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원사(20)는 제2 큰코(22)가 제1 작은코(12)에 연결되고 제2 작은코(24)가 제1 큰코(14)에 연결되도록 편직된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사(10)가 흰색이고 제2 원사(20)가 검정색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사(10)와 제2 원사(20)가 편직된 부분 중 제1 큰코(14)와 제2 작은코(24)가 편직된 가운데 부위는 제2 원사(20)에 비해 제1 원사(10)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으므로 하얀색이 도드라지고, 제1 작은코(12)와 제2 큰코(22)가 편직된 부위는 제1 원사(10)에 비해 제2 원사(20)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으므로 검정색이 도드라진다. 따라서 검정색 패턴과 하얀색 패턴이 교번으로 증감되는 무늬가 형성된다.
이때, 형성되는 무늬의 크기는 작은코와 큰코의 높이차에 따라 결정되는바, 상기 제1 작은코(12)와 제1 큰코(14)의 높이차와, 제2 큰코(22)와 제2 작은코(24)의 높이차는 형성하고자 하는 무늬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작은코(12)와 제1 큰코(14) 간의 비율과, 제2 큰코(22)와 제2 작은코(24) 간의 비율이 상이하면, 제1 원사(10)와 제2 원사(20)의 편직을 완료하였을 때 제2 원사(20)의 상단 높이가 불균일하여 미관상 좋지 아니하다는 단점이 있다. 더 나아가, 제1 원사(10)와 제2 원사(20)의 편직을 수 회에 걸쳐 반복하게 되면 제1 원사(10)와 제2 원사(20)에 의해 형성되는 줄무늬가 어느 일측으로 비틀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은, 상기 제1 작은코(12)의 하단높이와 상기 제1 큰코(14)의 하단높이가 동일하게 편직되고, 상기 제2 큰코(22)의 상단높이와 상기 제2 작은코(24)의 상단높이가 동일하게 편직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작은코(12)와 제1 큰코(14) 간의 높이 차는 제2 작은코(24)와 제2 큰코(22) 간의 높이차와 동일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원사(10)와 제2 원사(20)는 색깔만 상이할 뿐 동일한 패턴으로 편직됨이 바람직하다.
제1 원사(10)와 제2 원사(20)의 편직이 완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원사(20)에 또 다른 원사 즉, 제3 원사(30)를 편직하고, 상기 제3 원사(30)에 제4 원사(40)를 편직한다. 상기 제3 원사(30)는 복수 개의 제3 큰코(34)가 연이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3 작은코(32)가 연이어 형성되되, 상기 제3 큰코(34)가 제2 작은코(24)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작은코(32)가 제2 큰코(22)에 연결된다. 또한 제4 원사(40)는 복수 개의 제4 큰코(42)가 연이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4 작은코(44)가 연이어 형성되되, 상기 제4 큰코(42)가 제3 작은코(32)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작은코(44)가 제3 큰코(34)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원사(10)와 제2 원사(20)와 제3 원사(30)와 제4 원사(40)는 모두 다른 종류의 원사일 수도 있고, 제1 원사(10)와 상기 제3 원사(30)가 동일한 종류의 원사이고, 상기 제2 원사(20)와 상기 제4 원사(40)가 동일한 종류의 원사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사(10)와 제3 원사(30)가 흰색 원사이고, 제2 원사(20)와 제4 원사(40)가 검정색 원사인 경우, 제작자는 두 종류의 원사를 교변으로 반복 편직함으로써 폭이 증감되는 가로줄무늬를 상하로 반복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원사(10)와 제2 원사(20)와 제3 원사(30)와 제4 원사(40)를 모두 다른 종류의 원사로 선택함으로써, 다양한 컬러의 편직물을 직조하거나 다양한 컬러의 무늬를 표현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 제2 실시예에 의해 편직물이 편직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으로 편직물을 편직할 때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작은코(12)와 제1 큰코(14)의 중단높이가 동일하도록 제1 원사(10)를 편직하고, 상기 제2 큰코(22)와 제2 작은코(24)의 중단높이가 동일하도록 제2 원사(20)를 편직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코와 작은코의 하단높이나 상단높이가 동일하도록 각 원사를 편직하는 경우에는 가로줄무늬의 폭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증감되는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데 비해,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코와 작은코의 중단높이가 동일하도록 각 원사를 편직하면 가로줄무늬의 폭이 상하로 증감되는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바, 보다 다양한 무늬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큰코와 작은코의 중단높이가 동일하도록 각 원사를 편직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작은코(32)와 제3 큰코(34)의 중단높이가 동일하도록 제3 원사(30)를 직조한 후, 제4 큰코(42)와 제4 작은코(44)의 중단높이가 동일하도록 제4 원사(40)를 직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에 의해 편직된 무봉제 니트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에 의해 편직된 무봉제 니트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에 의해 편직된 무봉제 니트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흰색의 제1 원사(10)와 검정색의 제2 원사(20)가 교번으로 편직되되, 제1 원사(10)의 코 크기가 주기적으로 증감되고 제2 원사(20)의 코 크기 역시 주기적으로 증감된다.
따라서 제1 원사(10)의 코 크기가 증가하고 제2 원사(20)의 코 크기가 감소하는 'A'영역의 경우 흰색 무늬가 도드라지고, 반대로 제2 원사(20)의 코 크기가 증가하고 제1 원사(10)의 코 크기가 감소하는 'B'영역의 경우 검은색 무늬가 도드라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을 이용하면, 무늬 형성을 위한 별도의 편직과정 없이도 각 원사의 코 크기를 증감시킴으로써 제작자가 원하는 형태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편하게 니트 의류를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원사(10)의 코 크기와 제2 원사(20)의 코 크기를 어느 일부에서만 증감시킴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패턴의 무늬를 구현하는 효과 즉, 자가드 효과도 얻을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편직방법에 의해 제작 가능한 무늬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패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기준사 10 : 제1 원사
12 : 제1 작은코 14 : 제1 큰코
20 : 제2 원사 22 : 제1 큰코
24 : 제2 작은코 30 : 제3 원사
32 : 제3 작은코 34 : 제3 큰코
40 : 제4 원사 42 : 제4 큰코
44 : 제4 작은코

Claims (6)

  1. 기준사(1)를 배열하는 단계;
    복수 개의 제1 작은코(12)와, 상기 제1 작은코(12)보다 큰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제1 큰코(14)가 연이어서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코일 형태로 형성된 제1 원사(10)를 상기 기준사(1)에 편직하는 단계; 및
    복수 개의 제2 작은코(24)와, 상기 제2 작은코(24)보다 큰 복수 개의 제2 큰코(22)가 연이어서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코일 형태로 형성된 제2 원사(20)를 상기 제1 원사(10)에 편직하되, 상기 제2 큰코(22)가 상기 제1 작은코(1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작은코(24)가 상기 제1 큰코(14)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원사(20)를 상기 제1 원사(10)에 편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작은코(12)와 상기 제1 큰코(14) 간의 높이차 비율과, 상기 제2 작은코(24)와 상기 제2 큰코(22) 간의 높이차 비율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1 원사(10)는 상기 제1 작은코(12)와 상기 제1 큰코(14)의 하단높이가 동일하도록 상기 기준사(1)에 편직되고, 상기 제2 원사(20)는 상기 제2 큰코(22)와 상기 제2 작은코(24)의 상단높이가 동일하도록 상기 제1 원사(10)에 편직되거나,
    상기 제1 원사(10)는 상기 제1 작은코(12)와 상기 제1 큰코(14)의 중단높이가 동일하도록 상기 기준사(1)에 편직되고, 상기 제2 원사(20)는 상기 제2 큰코(22)와 상기 제2 작은코(24)의 중단높이가 동일하도록 상기 제2 원사(20)에 편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3 큰코(34)와, 복수 개의 제3 작은코(32)가 연이어서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코일 형태로 형성된 제3 원사(30)를 상기 제2 원사(20)에 편직하되, 상기 제3 큰코(34)가 상기 제2 작은코(24)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작은코(32)가 상기 제2 큰코(22)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3 원사(30)를 상기 제2 원사(20)에 편직하는 단계; 및
    복수 개의 제4 큰코(42)와, 복수 개의 제4 작은코(44)가 연이어서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코일 형태로 형성된 제4 원사(40)를 상기 제3 원사(30)를 편직하되, 상기 제4 큰코(42)가 상기 제3 작은코(32)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작은코(44)가 상기 제3 큰코(34)에 연결되도록 제4 원사(40)를 상기 제3 원사(30)를 편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3 원사(10, 30)는 동일한 색상의 원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및 제4 원사(20, 40)는 동일한 색상의 원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3 원사(10, 30)는 상기 제2 및 제4 원사(20, 40)와 다른 색상의 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73484A 2016-12-19 2016-12-19 무늬 형성을 위한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봉제 니트 KR101752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484A KR101752452B1 (ko) 2016-12-19 2016-12-19 무늬 형성을 위한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봉제 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484A KR101752452B1 (ko) 2016-12-19 2016-12-19 무늬 형성을 위한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봉제 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452B1 true KR101752452B1 (ko) 2017-07-03

Family

ID=59357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484A KR101752452B1 (ko) 2016-12-19 2016-12-19 무늬 형성을 위한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봉제 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4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853A (ja) 2001-01-30 2002-10-18 Wakayama Prefecture 柄付き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12031542A (ja) * 2010-07-30 2012-02-16 Okamoto Kk 衣料用筒状編地、およびレッグウェア
KR200479016Y1 (ko) 2015-10-05 2015-12-09 나종현 마치부 강도가 개선된 무봉제 니트웨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853A (ja) 2001-01-30 2002-10-18 Wakayama Prefecture 柄付き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12031542A (ja) * 2010-07-30 2012-02-16 Okamoto Kk 衣料用筒状編地、およびレッグウェア
KR200479016Y1 (ko) 2015-10-05 2015-12-09 나종현 마치부 강도가 개선된 무봉제 니트웨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09643B (zh) 织物及其编织方法
CN108350629B (zh) 编织物及编织物的接合方法
CN101263251B (zh) 具有衣领的针织品的编织方法
CN101184879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编织产品
CN104164737B (zh) 罗纹风格针织物的编织方法及罗纹风格针织物
US11692288B2 (en) Stretch knit metal chain fabrics
CN101677635A (zh) 一种袜子及其制造方法
CN105714463B (zh) 三线绒布
CN105369466A (zh) 纯色提花效应的双色经编间隔织物及其制作工艺
CN102534972B (zh) 多层结构的针织物的编织方法
CN109415855A (zh) 织物布料
CN108754806B (zh) 一种彩色席编菱形块组织
US9670604B2 (en) Three dimensional weave fabric for producing a woven item
JP3939884B2 (ja) ダブルラッシェル機による柄入り立体成形物及びその編成方法
CN112538682A (zh) 具有可移除纱线的立体织物
CN102965802A (zh) 折回编织方法及针织物
WO2018066463A1 (ja) 経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EP3165647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fine knitwear with air permeable holes
CN108754805B (zh) 一种针织编织方法、编织结构、编织面料及服装
JP6080699B2 (ja) 経編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52452B1 (ko) 무늬 형성을 위한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봉제 니트
JP2020523498A5 (ko)
CN103361863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CN107105820A (zh) 鞋帮的编织方法及鞋帮
CN113174686B (zh) 一种立体多维视觉纬编面料及鞋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