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014Y1 -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텐트용 후크 - Google Patents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텐트용 후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9014Y1 KR200479014Y1 KR2020140003449U KR20140003449U KR200479014Y1 KR 200479014 Y1 KR200479014 Y1 KR 200479014Y1 KR 2020140003449 U KR2020140003449 U KR 2020140003449U KR 20140003449 U KR20140003449 U KR 20140003449U KR 200479014 Y1 KR200479014 Y1 KR 20047901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webbing
- tent
- pole
- cli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텐트에 사용되는 텐트용 후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폴대와의 연결을 위해 텐트천에 구비된 웨빙을 임의로 분리시킬 수 있는 후크를 제공하고자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로써 저렴한 제조 비용과 파손으로 인한 AS시 간편히 후크만을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폴대가 끼워지는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에서 연결형성된 것으로 웨빙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클립부 또는 본체 또는 이들 모두에는 웨빙이 후크로부터 분리착탈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폴대가 끼워지는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에서 연결형성된 것으로 웨빙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클립부 또는 본체 또는 이들 모두에는 웨빙이 후크로부터 분리착탈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텐트에 사용되는 텐트용 후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폴대와의 연결을 위해 텐트천에 구비된 웨빙을 임의로 분리시킬 수 있는 후크를 제공하고자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로써 저렴한 제조 비용과 파손으로 인한 AS시 간편히 후크만을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사용자가 캠핑장 혹은 야외에서 간편하게 거처할 수 있도록 방수 기능이 있는 텐트천과 각종 규격의 텐트 폴대를 이용하여 상호 대응 조립해서 하나의 특정 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것인데,
좀 더 구체적으로 다수 개의 폴대를 상호 연결하여 직선 또는 곡선의 아치형을 이루어 그 골격을 형성하고, 방수 기능의 텐트천을 폴대에 연결하여 폴대가 형성하는 골격에 따라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텐트천을 폴대에 연결함에 있어 텐트천의 단부에는 웨빙이 박음질되어 있으며, 텐트천에 박음질된 웨빙이 후크에 장착되고, 상기 후크가 폴대에 끼워짐으로서 텐트천이 폴대에 연결된다.
특히 안정적인 텐트 형성을 위해 후크와 웨빙간의 장착은 웨빙이 후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웨빙의 일단을 후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시켜 감은 후 상기 일단을 웨빙의 다른 면과 박음질처리 함으로서 박음질이 풀리지 않는 한 웨빙이 후크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즉 도 1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후크(H')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후크(H')의 일측에 형성된 선단부가 관형의 폴대(P)의 대부분을 감싸도록 굴곡져 있고, 상기 후크의 타측에는 텐트천에 박음질 또는 일체로 연장되는 웨빙(C)이 상기 후크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공(21')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물론, 관통공을 거친 웨빙 일단은 웨빙의 다른 면과 접촉된 후 박음질처리가 되면서 웨빙과 후크간의 결합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웨빙이 장착된 후크(H')를 폴대(P)에 걸어 텐트천과 폴대를 결합시켜 텐트 형태를 유지토록 한다.
그런데 후크의 관통공을 거친 웨빙의 일단이 웨빙의 다른 면과 접촉되어 박음질처리되다보니 일단 후크에 웨빙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웨빙이 후크에 결합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후크의 관통공을 거쳐 웨빙의 일단이 웨빙의 다른 면과 접촉되어 박음질처리되는 과정은 텐트를 구매하는 일반 수요자들이 제어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 텐트 제조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으로 일반 수요자들의 텐트 구매시에는 박음질 처리가 이미 완료된 상태이고 이에 따라 후크가 폴대에 결합되는 방향 역시 기 설정된 상태가 되어 결국 후크의 결합 방향성이 이미 정해진 상태로 일반 수요자들은 제품을 받게 된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좌측의 확대도는 후크가 폴대를 후방으로 물도록 하는 방향을 도시하고 있으며, 우측의 확대도는 후크가 폴대를 전방으로 물도록 하는 방향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처럼 폴대에 대한 기존 후크 결합에 대한 방향성은 텐트 사용자들이 임의로 제어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었다.
그러다보니 사용자들은 텐트의 후크 방향에 일관성이 없음에 불만을 갖기도 하고(예를 들어, 텐트 제조사에서 하나의 방향으로 통일되게 후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웨빙과 후크간의 연결을 하였다 하더라도 이후 텐트의 AS과정에서 그 일관된 방향성이 지켜지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텐트 제조시부터 방향성에 관계없이 후크와 웨빙을 결합하는 경우도 있어 이에 대한 사용자들의 불만이 큰 실정이다),
어떤 사용자는 보다 튼튼한 구조를 위해 의도적으로 양방향 결합(즉, 특정 후크가 폴대를 전방으로 무는 구조인 경우, 이와 인접한 후크는 폴대를 후방으로 무는 구조로 하는 결합)을 원하기도 하나 기존의 제시된 후크 구조로는 이러한 결합 방향 설정을 사용자가 임의로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비용이 낮지 않은 고가의 텐트임에도 후크 방향성에 대한 사용자들의 불만을 전혀 해결할 수가 없으며, 고객들이 원하는 방향성으로의 형성과 같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전혀 부응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후크에 웨빙 장착시 박음질처리로 장착 상태를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벨크로테입(일명 찍찍이)이나 고무줄로 묶는 등의 방식으로 후크로부터 웨빙 착탈이 사용자가 가능하도록 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구조는 고가 사양의 텐트에 안정성이나 디자인측면으로 부적합하여 고객의 니즈에 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텐트에 사용되는 후크 구조와 관련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0-0254088호(2001.11.01)『텐트용 고리』가 제안된 바 있고, 실용신안등록 제20-0254088호에서는 텐트용 폴에 텐트천을 걸어주는 텐트용 고리는 상기 폴에 걸릴 수 있게 원주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굴곡되어져 있는 좌, 우의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폴을 감싸면서 상기 폴의 하측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해주는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에 절곡된 채 연결되어 상기 폴과 접촉시 마찰력을 줄여주는 미끄러짐부와, 상기 텐트천의 웨빙을 걸어주기 위해 좌,우 하단에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한 텐트용 고리 즉, 후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254088호에서도 여전히 웨빙은 후크에 박음질처리되어 장착된 상태인 것으로, 전술된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의 니즈에 맞도록 후크에 대한 결합 방향성을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도록 웨빙 분리가 가능한 텐트용 후크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고안에서 있어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간단한 구조가 도입되면서도 상기한 목적 달성이 가능한 텐트용 후크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후크는
폴대가 끼워지는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에서 연결형성된 것으로 웨빙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클립부 또는 본체 또는 이들 모두에는 웨빙이 후크로부터 분리착탈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절개부는 후크의 외부와 관통공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절개부는 웨빙이 본체에 장착되면서 감싸는 본체의 하방 프레임에 형성되되 사선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 상기 클립부 내면에는 삽입되는 폴대에 대한 클립부 이동 방지를 위한 세로방향의 둘출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후크에 의하면, 후크에 대한 웨빙의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폴대에 대한 후크 결합 방향성 설정이 가능하여 통일된 방향으로의 결합 방향성을 원하는 사용자 또는 보다 안정된 구조를 위해 양방향성을 원하는 사용자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후크 파손으로 인한 AS 필요시 텐트천 전체를 보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AS기간이라도 여분의 후크로 사용이 가능하기에 기존의 경우 AS기간동안 텐트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믈론 텐트 제작시 후크를 같이 재봉하여 발생하는 방향성의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생산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에도 효과적이다.
도 1은 일반적 텐트 설치된 상태 및 종래 후크 및 웨빙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후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후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후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후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후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후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후크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텐트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에 도시된 텐트에는 종래 언급된 형태의 텐트용 후크(H')가 텐트천과 웨빙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웨빙이 결합되는 후크의 본체 부분은 웨빙이 후크로부터 별도로 이탈될 수 있는 구조가 아님이 확인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역시 전술된 바와 같이 텐트 설치 과정에서 폴대에 끼워지는 후크 결합 방향성을 바꾸고 싶은 사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손쉽게 해결하고자 후크에 걸쳐진 웨빙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후크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절개부(30)를 구비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텐트용 후크(H)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P)가 끼워지는 클립부(10)와, 상기 클립부에서 연결형성된 것으로 웨빙(C)이 관통되는 관통공(21)이 형성된 본체(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에서 웨빙이 관통공을 통해 관통되면서 감싸게되는 하방 프레임(22)에 절개부(30)가 형성된다.
즉, 박음질처리되어 웨빙끼리의 분리가 불가한 웨빙(C)이 상기 절개부(30)를 통해 후크로부터 필요시 빠져나와 후크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텐트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폴대에 대한 후크 결합의 방향성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는 후크의 절개부(30)를 통해 웨빙을 빼낸 후 후크를 돌려 좌우를 변경한 후 다시 절개부를 통해 웨빙을 삽입하여 후크에 웨빙을 장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30)는 하방 프레임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텐트천 즉, 웨빙이 후크로부터 원치않는 순간에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사선형태의 도입은 절개부(30) 형성을 통해 하방 프레임(22)에는 공간(23)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 의해 웨빙에 대한 하방 프레임 지지력이 약해질 수 있는 문제를 감안하여 고려된 구조로,
사선형태로 절개부(30)를 형성하게 되면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는 하방 프레임의 절개면(30A)이 서로 비스듬하게 마주하면서 서로를 받쳐주게 되어 수직으로 절개면이 형성되는 경우보다 웨빙에 대한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또한 사선형태의 절개부를 형성하는 경우, 웨빙을 후크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경우 사선형태로 형성된 공간을 따라 웨빙을 인입출시킬 수 있기에 좀 더 편리한 웨빙의 인입출 작업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절개부는 본체(20) 또는 클립부(10)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될 수 있는 구조인 것으로 하방프레임의 형성에 꼭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절개부(30)를 고려해 볼 수 있는데, 필요시 사용자가 웨빙(C)을 후크로부터 빼내어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물론, 이를 위해서 상기 절개부(30)는 본체(20) 또는 클립부(10) 또는 이들 모두 등에 구애받지 않고 후크의 외부와 관통공(21)의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후크(H)를 폴대(P)에 결합하는 경우 폴대(P)에 끼워진 후크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경우 클립부 내주면에 세로 방향의 돌출 리브(40)의 형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즉, 상기 돌출 리브(40)가 폴대(P)와 접하면서 마찰력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좌우로의 움직임이 일어나지 않고 폴대에 후크가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후크(H)는 클립부(10) 단부의 내부면으로 턱부(50)를 더 형성하여 클립부(10)에 폴대(P)가 끼워진 후 클립부가 폴대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턱부(50)의 표면은 만곡진 곡면으로 형성하여 클립부(10) 내주면으로 폴대(P)의 진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텐트용 후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P: 폴대 T: 텐트천
C: 웨빙 H, H': 후크
10: 클립부 20: 본체
21, 21': 관통공 22: 하방프레임
23: 공간 30: 절개부
40: 돌출리브 50: 턱부
P: 폴대 T: 텐트천
C: 웨빙 H, H': 후크
10: 클립부 20: 본체
21, 21': 관통공 22: 하방프레임
23: 공간 30: 절개부
40: 돌출리브 50: 턱부
Claims (4)
- 폴대가 끼워지는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에서 연결형성된 것으로 웨빙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진 텐트용 후크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 또는 본체 또는 이들 모두에는 웨빙이 후크로부터 분리착탈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절개부는 후크의 외부와 관통공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웨빙이 본체에 장착되면서 감싸는 본체의 하방 프레임에 형성되되 사선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클립부 단부의 내면에는 클립부 내부로 끼워진 폴대의 이탈방지를 위한 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턱부의 표면은 만곡진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텐트용 후크.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 내면에는 삽입되는 폴대에 대한 클립부 이동 방지를 위한 세로방향의 둘출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텐트용 후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449U KR200479014Y1 (ko) | 2014-04-30 | 2014-04-30 |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텐트용 후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449U KR200479014Y1 (ko) | 2014-04-30 | 2014-04-30 |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텐트용 후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4081U KR20150004081U (ko) | 2015-11-09 |
KR200479014Y1 true KR200479014Y1 (ko) | 2015-12-09 |
Family
ID=5470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3449U KR200479014Y1 (ko) | 2014-04-30 | 2014-04-30 |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텐트용 후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9014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17107114U1 (de) | 2016-11-24 | 2017-12-04 | Dongah Aluminium Corp. | Zeltverbinder und Zelt, das diesen enthäl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4088Y1 (ko) * | 2001-08-06 | 2001-11-23 | 라제건 | 텐트용 고리 |
-
2014
- 2014-04-30 KR KR2020140003449U patent/KR20047901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4088Y1 (ko) * | 2001-08-06 | 2001-11-23 | 라제건 | 텐트용 고리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17107114U1 (de) | 2016-11-24 | 2017-12-04 | Dongah Aluminium Corp. | Zeltverbinder und Zelt, das diesen enthäl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4081U (ko) | 2015-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186240A1 (en) | Roman curtain | |
CA2899922A1 (en) | Fabric attachment system | |
KR200479014Y1 (ko) |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텐트용 후크 | |
MX2019010334A (es) | Concentrador de accesorios cargado con resorte. | |
KR200487940Y1 (ko) | 텐트용 연결구 및 그것을 구비하는 텐트 | |
KR200494071Y1 (ko) | 캠핑용품 설치용 폴대 | |
US2173750A (en) | Snap hook | |
KR200488197Y1 (ko) | 다기능 옷걸이 | |
US8840243B2 (en) | Eyeglasses with frame coupled to retainer strap or band which can separate under tension | |
JP6355417B2 (ja) |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の引手 | |
KR200254088Y1 (ko) | 텐트용 고리 | |
JP2014188172A (ja) | 紐状部材用留め具 | |
CN204378800U (zh) | 一种挂衣架与夹子的连接结构 | |
JP3142924U (ja) | 安全器具 | |
JP2006141619A (ja) | 車両用シート | |
JP2014217709A (ja) | カーテン用アジャスターフックおよびカーテン用アジャスターフックを備えたカーテンセット | |
JP2006230320A (ja) | 愛玩動物用胴輪 | |
JP2008144854A (ja) | 支持構造 | |
KR20170004139U (ko) | 낚시대의 낚시줄 걸이 | |
JP5444583B2 (ja) | びんの吊手バンド及びびん | |
KR200488913Y1 (ko) | 낚시줄 감김구의 설치가 용이한 낚시대 보관용 케이스 | |
JP3200835U (ja) | よだれカバー | |
JP6425144B2 (ja) | 傘紐用ストラップ | |
AU2011101073A4 (en) | Tethering device | |
KR20110115936A (ko) | 줄넘기의 회전 손잡이 연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