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714Y1 - 택트 스위치 - Google Patents

택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714Y1
KR200478714Y1 KR2020140000522U KR20140000522U KR200478714Y1 KR 200478714 Y1 KR200478714 Y1 KR 200478714Y1 KR 2020140000522 U KR2020140000522 U KR 2020140000522U KR 20140000522 U KR20140000522 U KR 20140000522U KR 200478714 Y1 KR200478714 Y1 KR 200478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protective sheet
space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960U (ko
Inventor
곽영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그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to KR2020140000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714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9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7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08Adhesiv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스프링의 사이즈가 점차 작아짐에 따라, 보호시트의 신축부 길이가 짧아질 경우에도 판스프링의 탄성 변형에 대응하여 신축부가 충분히 신축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판스프링의 스위치 기능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택트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택트 스위치는, 상면에 복수의 고정접점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어 바깥둘레 가장자리부는 양쪽 고정접점에 접촉하고 정점부는 중앙의 고정접점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돔형상의 판스프링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고 상기 판스프링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 및 판스프링의 정점부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판스프링을 스페이서의 공간부 내에서 유지하기 위한 보호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과 접착제로 부착되는 보호시트에 접착제로 부착되지 않은 비부착부를 형성하되, 상기 판스프링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곳에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보호시트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정점부를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신축 변형을 원활하게 하는 주름부를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택트 스위치{Tact Switch}
본 고안은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나 전자기기의 스위치 장치에 사용되는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트 스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복수의 고정접점(1a,1b)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 상에 설치되어 바깥둘레 가장자리부는 양쪽 고정접점(1b)에 접촉하고 정점부(2a)는 중앙의 고정접점(1a)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 돔형상의 판스프링(메탈돔)(2)과, 상기 판스프링(2)이 수용되는 공간부(3a)가 형성된 스페이서(3)와, 상기 스페이서(3)의 상면 및 판스프링(2)의 정점부(2a)에 접착제(4a)로 부착되어 판스프링(2)을 스페이서(3)의 공간부(3a) 내에서 유지하기 위한 보호시트(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판스프링(2)의 정점부(2a)에 누름력을 가하게 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2)의 정점부(2a)가 하방으로 탄성 변형하여 인쇄회로기판(1) 중앙의 고정접점(1a)에 판스프링(2)의 정점부(2a)가 접촉하고, 누름력을 해제하게 되면 판스프링(2)의 정점부(2a)가 탄성복원하여 판스프링(2)의 정점부(2a)가 중앙의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격하는 것에 의해 휴대단말기나 전자기기의 스위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택트 스위치는, 도 2a에서와 같이 판스프링(2)의 정점부(2a)가 하방으로 탄성 변형할 때, 이에 대응하여 판스프링(2)의 정점부(2a)와 스페이서(3)에 부착된 보호시트(4)도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는 변형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보호시트(4)의 재질은 외력에 대하여 어느 정도 신축성이 있는 재질,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의 얇은 필름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휴대단말기나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택트 스위치의 판스프링(2)의 사이즈도 점점 작아짐에 따라, 도 1에서와 같이 보호시트(4)에서 접착부분(a,b)을 제외한 신축 가능한 부분, 즉 스페이서(3)의 접착부분(a)에서 판스프링(2)의 접착부분(b) 사이의 길이(신축부)(L)도 점점 짧아지게 되었으며, 판스프링(2)의 가압 동작시 신축부(L)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도 2b에서와 같이 신축부(L)의 변형량이 적어 판스프링(2)의 정점부(2a)가 중앙의 고정접점(1a)에 접촉하지 못하여 스위치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판스프링의 사이즈가 점차 작아짐에 따라, 보호시트의 신축부 길이가 짧아질 경우에도 판스프링의 탄성 변형에 대응하여 신축부가 충분히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판스프링의 스위치 기능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택트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에 복수의 고정접점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어 바깥둘레 가장자리부는 양쪽 고정접점에 접촉하고 정점부는 중앙의 고정접점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돔형상의 판스프링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고 상기 판스프링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 및 판스프링의 정점부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판스프링을 스페이서의 공간부 내에서 유지하기 위한 보호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과 접착제로 부착되는 보호시트에 접착제로 부착되지 않은 비부착부를 형성하되, 상기 판스프링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곳에 형성한 택트 스위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면에 복수의 고정접점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어 바깥둘레 가장자리부는 양쪽 고정접점에 접촉하고 정점부는 중앙의 고정접점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돔형상의 판스프링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고 상기 판스프링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중간시트와, 상기 중간시트의 상면 및 판스프링의 정점부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판스프링을 스페이서의 공간부 내에서 유지하기 위한 보호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시트의 상면과 접착제로 부착되는 보호시트에 접착제로 부착되지 않은 비부착부를 형성하되, 상기 판스프링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곳에 형성한 택트 스위치에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비부착부는 판스프링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가장자리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한 택트 스위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호시트에, 상기 판스프링의 정점부를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신축 변형을 원활하게 하는 주름부를 형성한 택트 스위치에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주름부는, 보호시트에 다수개의 직선형의 홈을 형성하되, 직선형 홈을 바둑무늬 형태로 형성하거나, 보호시트에 판스프링의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홈을 형성하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거나, 보호시트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진 택트 스위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스페이서의 상면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보호시트 또는 중간시트에 접착제로 부착되지 않은 비부착부를 판스프링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곳에 형성함으로써, 판스프링의 정점부를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킬 때, 이에 대응하여 변형하는 보호시트의 신축부 변형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판스프링의 사이즈가 점점 작아져 보호시트의 신축부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판스프링의 스위치 기능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호시트의 신축부에 주름부가 형성됨에 따라, 판스프링의 탄성 변형에 대응하여 보호시트의 신축부 변형량이 더욱 증가하여 판스프링의 스위치 기능을 더욱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택트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택트 스위치를 나타낸 동작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동작 상태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 보호시트의 비부착부를 나타낸 변형예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동작 상태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서 스페이서와 보호시트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시트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저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B-B선 단면도로서, 택트 스위치의 동작 상태 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제3 실시예에서 주름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동작 상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는, 상면에 복수의 고정접점(11a,11b)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1) 상에 설치되는 돔형상의 판스프링(12)을 구비한다.
상기 판스프링(12)의 바깥둘레 가장자리부는 인쇄회로기판(11)의 양쪽 고정접점(11b)에 접촉하고 정점부(12a)는 중앙의 고정접점(11a)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정점부(12a)를 가압하여 하방으로 탄성 변형시키거나 가압해제하는 것에 의해 중앙의 고정접점(11a)과 접촉 또는 이격시켜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1) 상에는 스페이서(13)가 구비된다. 스페이서(13)에는 판스프링(12)을 수용하는 공간부(13a)가 형성되어 있고, 스페이서(13)의 상면과 판스프링(12)의 정점부(12a) 상면에 접착제(14a)로 부착된 보호시트(14)에 의해 판스프링(12)은 스페이서(13)의 공간부 내에서 유지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13)의 상면과 접착제(14a)로 부착되는 보호시트(14)에 접착제(14a)로 부착되지 않은 비부착부(14b)를 형성하되, 비부착부(14b)는 상기 판스프링(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곳에 형성한다.
예를 들면, 비부착부(14b)는, 도 3에서와 같이, 판스프링(12)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가장자리 양쪽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부착부(14b)는 판스프링(12)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가장자리 중 어느 한쪽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판스프링(12)의 정점부(12a)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하방으로 탄성 변형시키면, 정점부(12a)가 중앙의 고정접점(11a)에 접촉 또는 이격되어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이러한 정점부(12a)의 탄성 변형에 대응하여 보호시트(14)의 신축부(L), 즉 스페이서(13)와의 접착부분(a)과 판스프링(12)과의 접착부분(b) 사이도 변형하게 된다.
이때, 보호시트(14)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스페이서(13)와 접착제(14a)로 부착되지 않은 비부착부(14b)가 구비된 것이므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판스프링(12)의 탄성 변형에 대응하여 보호시트(14)의 비부착부(14b)에서 신축부(L)의 변형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종래에 신축부(L)에서 변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정점부(12a)가 중앙의 고정접점(11a)과 접촉되지 않는 스위치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스페이서(13)의 높이를 분할하여 스페이서(13)와 보호시트(14) 사이에 중간시트(15)를 더 구비한 구성이고, 그 외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중간시트(15)는 상면을 보호시트(14)와 접착제(14a)로 부착하고, 저면을 스페이서(13)와 접착제(15a)로 부착한 것으로, 중간시트(15)의 상면을 보호시트(14)와 부착하되,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시트(15)의 상면 전체를 접착제(14a)로 부착하고, 중간시트(15)의 저면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3)의 상면과 접착제(15a)로 부착하되, 접착제(15a)로 부착되지 않은 비부착부(15b)가 상기 판스프링(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곳에 형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비부착부(15b)는, 도 9b에서와 같이, 판스프링(12)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가장자리 양쪽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실시예의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12)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가장자리 중 어느 한쪽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에 의하면,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판스프링(12)의 정점부(12a)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하방으로 탄성 변형시키면, 정점부(12a)가 중앙의 고정접점(11a)에 접촉 또는 이격되어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이러한 정점부(12a)의 탄성 변형에 대응하여 보호시트(14)의 신축부(L), 즉 스페이서(13)와의 접착부분(a)과 판스프링(12)과의 접착부분(b) 사이가 변형하게 된다.
이때, 제2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페이서(13)의 상면에 부착되는 중간시트(15)에는 도 9b에서와 같이 접착제(15a)로 부착되지 않은 비부착부(15b)가 구비된 것이므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판스프링(12)의 탄성 변형에 대응하여 보호시트(14)의 신축부(L) 변형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종래에 신축부(L)에서 변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정점부(12a)가 중앙의 고정접점(11a)과 접촉되지 않는 스위치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2 실시예에서는 비접착부(15b)의 높이가 제1 실시예에서의 비접착부(14b) 높이보다 중간시트(15)의 두께만큼 낮게 위치된 것이므로, 판스프링(12)의 탄성 변형에 대응하여 보호시트(14)의 신축부(L) 변형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택트 스위치의 평면도로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보호시트(14)의 신축부(L)에 주름부(16)를 형성한 것으로, 그 외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을 형성하고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주름부(16)는 판스프링(12)의 정점부(12a)가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할 때, 이에 대응하여 보호시트(14)의 신축부(L)가 원활하게 신축 변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주름부(16)는 스페이서(13) 상면과의 접착부분(a), 판스프링(12)의 정점부(12a) 상면과의 접착부분(b)을 제외한 부분, 즉 스페이서(13)와의 접착부분(a)과 판스프링(12)과의 접착부분(b) 사이인 신축부(L)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부(16)는, 예를 들면 보호시트(14)에 다수개의 직선형 홈을 형성하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홈을 바둑무늬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홈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시트(14)의 상, 하면 양쪽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호시트(14)의 상,하면 중 어느 한쪽에만 홈을 형성하여도 좋으며, 보호시트(14)에 가공을 통해 표면을 파내어 홈을 형성하여도 좋고, 보호시트(14)를 프레스 성형하여 홈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주름부(16)의 변형예로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시트(14)에 판스프링(12)의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홈을 형성하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구성하거나,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시트(14)에 원형의 요철을 엠보싱 가공하는 것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하면, 도 11a 및 도 11b에서와 같이, 판스프링(12)의 정점부(12a)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하방으로 탄성 변형시키면, 정점부(12a)가 중앙의 고정접점(11a)에 접촉 또는 이격되어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이러한 정점부(12a)의 탄성 변형에 대응하여 보호시트(14)의 신축부(L)도 함께 변형하게 된다.
이때,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 더하여, 보호시트(14)의 신축부(L)에 형성한 주름부(16)에 의해 신축 변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판스프링(12)의 사이즈가 작아 주름형상 신축부(L)의 길이가 짧아져도, 신축부(L)가 용이하게 신축 변형되어 정점부(12a)의 탄성 변형에 대응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에 신축부(L)에서 신축 변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판스프링(12)의 정점부(12a)가 중앙의 고정접점(11a)고 접촉되지 않는 스위치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택트 스위치의 단면도로서, 전술한 제2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보호시트(14)의 신축부(L)에 주름부(16)를 형성한 것으로, 그 외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을 형성하고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 더하여, 보호시트(14)의 신축부(L)에 형성한 주름부(16)에 의해 신축 변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판스프링(12)의 사이즈가 작아 주름형상 신축부(L)의 길이가 짧아져도, 신축부(L)가 용이하게 신축 변형되어 정점부(12a)의 탄성 변형에 대응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에 신축부(L)에서 신축 변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판스프링(12)의 정점부(12a)가 중앙의 고정접점(11a)고 접촉되지 않는 스위치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 : 인쇄회로기판 12 : 판스프링
13 : 스페이서 14 : 보호시트
14a,15a : 접착제 14b,15b : 비접착부
16 : 주름부 L : 신축부

Claims (4)

  1. 상면에 복수의 고정접점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어 바깥둘레 가장자리부는 양쪽 고정접점에 접촉하고 정점부는 중앙의 고정접점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돔형상의 판스프링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고 상기 판스프링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 및 판스프링의 정점부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판스프링을 스페이서의 공간부 내에서 유지하기 위한 보호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과 접착제로 부착되는 보호시트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 변형에 대응하여 보호시트의 신축부에 대한 변형량을 증가시키도록 접착제로 부착되지 않은 비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비부착부는 상기 판스프링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곳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 스위치.
  2. 상면에 복수의 고정접점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설치되어 바깥둘레 가장자리부는 양쪽 고정접점에 접촉하고 정점부는 중앙의 고정접점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돔형상의 판스프링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고 상기 판스프링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중간시트와,
    상기 중간시트의 상면 및 판스프링의 정점부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판스프링을 스페이서의 공간부 내에서 유지하기 위한 보호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시트의 상면과 접착제로 부착되는 보호시트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 변형에 대응하여 보호시트의 신축부에 대한 변형량을 증가시키도록 접착제로 부착되지 않은 비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비부착부는 상기 판스프링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곳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부착부는, 판스프링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가장자리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 스위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에, 상기 판스프링의 정점부를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신축 변형을 원활하게 하는 주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 스위치.
KR2020140000522U 2014-01-23 2014-01-23 택트 스위치 KR200478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522U KR200478714Y1 (ko) 2014-01-23 2014-01-23 택트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522U KR200478714Y1 (ko) 2014-01-23 2014-01-23 택트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960U KR20150002960U (ko) 2015-07-31
KR200478714Y1 true KR200478714Y1 (ko) 2015-11-09

Family

ID=53872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522U KR200478714Y1 (ko) 2014-01-23 2014-01-23 택트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71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5738A (zh) * 2019-09-26 2020-01-10 广州视觉风科技有限公司 一种调节色温与亮度的展示装置
CN113871235A (zh) * 2021-09-28 2021-12-31 深圳市格瑞弘电子有限公司 一种集成轻触复位开关的电路板及其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0263A1 (fr) * 2000-04-18 2001-10-25 Mitsumi Electric Co., Ltd. Commutateur a membrane
JP2002109994A (ja) 2000-09-27 2002-04-12 Mitsumi Electric Co Ltd メンブレンスイッチ
JP2010015793A (ja) * 2008-07-03 2010-01-21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タクトスイッチ
KR101198886B1 (ko) 2012-02-22 2012-11-07 이현진 비접착 공기유로가 형성된 메탈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0263A1 (fr) * 2000-04-18 2001-10-25 Mitsumi Electric Co., Ltd. Commutateur a membrane
JP2002109994A (ja) 2000-09-27 2002-04-12 Mitsumi Electric Co Ltd メンブレンスイッチ
JP2010015793A (ja) * 2008-07-03 2010-01-21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タクトスイッチ
KR101198886B1 (ko) 2012-02-22 2012-11-07 이현진 비접착 공기유로가 형성된 메탈돔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960U (ko) 201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2930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5726400A (en) Thin switch
US9406460B2 (en) Push switch
KR20150038158A (ko) 휘어진 변형 가능한 접촉 소자를 갖는 푸쉬 버튼 스위치
KR200478714Y1 (ko) 택트 스위치
JP2016081915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7329823B2 (en) Movable contact element and panel switch formed using the same
JP6424353B2 (ja) タクトスイッチ
EP1548775B1 (en) Membrane for key switch and the key switch
JP5060922B2 (ja) 可動接点付きシートおよびスイッチ装置
WO2018020754A1 (ja) スイッチ体
JP2010021034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11355295B2 (en) Push switch
JP6080702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3177835U (ja) 接点ばね付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JP2010250993A (ja) スイッチ用可動接点、可動接点付きシートおよびスイッチ装置
WO2016002675A1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US20140054155A1 (en) Long-stroke dome-shaped movable contact piece
JP2009193905A (ja) パネルスイッチ
JP2004241140A (ja) スイッチ装置
KR200466734Y1 (ko) 메탈 돔 스위치
CN203799922U (zh) 轻触开关
JP2016091797A (ja) メンブレンスイッチ
JP7483137B2 (ja) 押圧操作体およびスイッチ装置
KR200453796Y1 (ko) 키패드용 메탈돔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