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592Y1 - 샘플시료 채취기 - Google Patents

샘플시료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592Y1
KR200478592Y1 KR2020140005494U KR20140005494U KR200478592Y1 KR 200478592 Y1 KR200478592 Y1 KR 200478592Y1 KR 2020140005494 U KR2020140005494 U KR 2020140005494U KR 20140005494 U KR20140005494 U KR 20140005494U KR 200478592 Y1 KR200478592 Y1 KR 200478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base layer
layer
bas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범
김순옥
Original Assignee
이경범
김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범, 김순옥 filed Critical 이경범
Priority to KR2020140005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5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5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6Inoculator or sampler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는 베이스기재층, 상기 베이스기재층 일면에 형성되며 샘플시료가 안착되는 제1 기재층, 상기 제1 기재층상에 형성되며, 상기 샘플시료 안착되는면을 노출시키되, 상기 샘플시료가 수용되도록 두께 방향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기재층, 상기 수용공간을 밀봉하도록 상기 제2 기재층상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된 접착층에 의해 상기 제2 기재층상에 형성되는 제3 기재층 및 상기 제3 기재층상에 형성되어, 외부 노출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표지기재층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샘플시료 채취기{Sampling Device}
본 고안은 샘플시료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우를 비롯한 가축의 도축장 및 유통현장에서는 친자감별 및 개체식별 등의 유전자 검사를 위하여 개체별 조직의 생육샘플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러한 생육샘플은 누구라도 쉽게 채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생육샘플 채취시에는 신속·간편하고 안전하면서 위생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 생육샘플 채취시점이나 채취 후의 조직 생육샘플 상호간에 혼입 또는 혼동되지 않도록 해야하고, 장기간 보관 기능의 유지는 물론 보관 공간을 최소화해야 하며, 개체의 충분한 감별 및 식별을 위해 일정한 순도의 DNA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생육샘플의 채취를 위해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67125호에서와 같이, 단순히 상부와 하부시트 사이에 한우 조직시료를 채취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료 채취기는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관련 조직시료를 압착하게 되어있어, 시료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한 시료의 변형, 예상하지 못한 이물질의 침입이나 변질 등의 우려가 있다. 또한, 장기간의 보관유지에 필요한 시료를 안정적으로 보호 및 유지시키는데에도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KR 0367125 Y1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샘플 시료의 안정적인 채취를 위한 공간의 확보 및 이물질 유입의 원천적인 차단과 샘플 시료 원형을 장기관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샘플시료 채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는, 베이스기재층, 상기 베이스기재층 일면에 형성되며 샘플시료가 안착되는 제1 기재층, 상기 제1 기재층상에 형성되며, 상기 샘플시료 안착되는면을 노출시키되, 상기 샘플시료가 수용되도록 두께 방향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기재층, 상기 수용공간을 밀봉하도록 상기 제2 기재층상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된 접착층에 의해 상기 제2 기재층상에 형성되는 제3 기재층 및 상기 제3 기재층상에 형성되어, 외부 노출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표지기재층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재층상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 기재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기재층의 시료 안착면이 노출되도록 안착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의 직경은 안착되는 대상 샘플시료의 직경의 1 내지 1.5배로 형성되는 원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커버시트, 상기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의 적층된 일측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기재층은, 상기 제3 기재층의 접착층에 탈부착 가능한 보호필름이 더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기재층은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영역 이외에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기재층 타면에는 상기 샘플시료의 일련변호를 기재하기 위한 기재박스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박스상에는, 상기 기재박스내에 기재된 내용의 유지보관을 위해 기재박스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기판 타면상에 투명접착필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반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기재층은, 제3 기재층의 접착층에 탈부착 가능한 보호필름이 더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베이스기재층, 상기 제1 기재층, 상기 제2 기재층 및 상기 보호필름이 적층된 일측면에 내측방향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내측방향으로 반원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필요한 샘플시료를 원하는 기간 및 보관상태로 용이하게 유지 및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한 샘플시료 채취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보관시 샘플이 채취된 공간의 이물질의 유입이나 기타 샘플 시료를 채취함에 있어서 채취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이물질의 유입이나 샘플 시료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샘플시료 채취를 위한 별도의 공간 및 수용된 샘플시료 상면을 접착층으로 밀봉함으로써 안정적인 샘플시료의 보관을 가능하게 하며 샘플시료 형태의 변형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샘플시료가 수용되는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의 접착층을 제거함으로써 보관 샘플시료가 접착층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변형이나 신뢰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샘플시료를 보관하기 위한 채취기의 상부와 하부의 결합되는 결합력이 샘플시료에 직접적으로 거의 전달되지 않음으로서 최초 채취된 샘플시료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샘플시료 채취기의 일측단에는 샘플시료를 채취하는 별도공간을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펼쳐 샘플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샘플시료 채취시 사용방법상의 편의성 및 신뢰성을 보다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부분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배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일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측면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1)는 베이스기재층(10), 상기 베이스기재층(10) 일면에 형성되며 샘플시료(70)가 안착되는 제1 기재층(20), 상기 제1 기재층(20)상에 형성되며, 상기 샘플시료(70) 안착되는면을 노출시키되, 상기 샘플시료(70)가 수용되도록 두께 방향의 수용부(31)가 형성된 제2 기재층(30), 상기 수용부(31)를 밀봉하도록 상기 제2 기재층(30)상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된 접착층(42)에 의해 접합되는 제3 기재층(40) 및 상기 제3 기재층(40)상에 형성되어, 외부 노출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표지기재층(5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샘플시료(70)를 양 부재 사이에 수용하여 결합시킨다. 중간부분이 폴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손쉽게 샘플시료(70)를 보관하고, 경우에 따라 장기간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1)는 베이스기재층(10), 제1 기재층(20), 제2 기재층(30), 제3 기재층(40) 및 표지기재층(5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기재층(10)과 표지기재층(50)은 접히는 부분이 자유롭게 폴딩되도록 연결부재(예를 들어, 힌지 등; 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베이스기재층(10)과 표지기재층을 종이나, 플라스틱과 같이 유연한 부재로 연결,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자연스럽게 폴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결합방식 및 재질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표지기재층과 베이스기재층(10)은 각각 최외곽에서 샘플시료 채취기(1)를 지지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적절한 완충작용 및 강성을 갖는 하드커버지 등의 종이재질이나 플라스틱을 적절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재층(20)은 베이스기재층(10) 일면에 형성되며 샘플시료(70)가 안착되는 면을 형성한다. 제1 기재층(20)은 샘플시료(70)가 되는 재료(예를 들어, 소고기의 채취샘플 등)의 수분이나 기타 샘플시료(70)를 적절한 환경에서 보관 및 보호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특별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련 샘플시료(70)에 대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시트지를 선택, 적용할 수 있다.
제2 기재층(30)은 제1 기재층(20)상에 형성된다. 제2 기재층(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시료(70)를 수용하는 수용부(31)가 형성되도록 안착홈(31a)을 형성한다. 안착홈(31a)은 샘플시료(70)가 제1 기재층(20)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제2 기재층(30)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하여 샘플시료(7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안착홈(31a)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러한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원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직경이 샘플시료(70)의 직경의 1 내지 1.5배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여기서, 직경이란, 샘플의 경우 반드시 원형의 샘플이 아니라 할지라도, 시료의 양단부의 최대거리에 있는 두 지점을 각각 이었을때의 거리로 정의하며, 샘플의 최대 폭을 확보하도록 안착홈(31a)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재층(30)상에는 제3 기재층(40)을 형성한다. 제3 기재층(40)은 샘플시료(70)가 수용되는 수용부(31)인 안착홈(31a)을 완전히 밀봉할 수 있도록, 제2 기재층(3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합된다. 제3 기재층(40)은 샘플시료(70)의 안착홈(31a)에 대응되는 면에는 접착층(42)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샘필시료(70)가 접착층(42)과의 접촉으로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홈(31a)의 두께방향을 충분히 확보함에 따라, 비접착영역(E)를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샘플시료(70)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접착층(42)은 제3 기재층(40)이 제2 기재층(30)의 안착홈(31a)에 삽입된 샘플시료(70)가 완전히 밀봉되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의 유입이나, 보관시에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화학적, 물리적인 외부 자극으로부터 샘플시료(70)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제3 기재층(40)은 지지기재(41)와 지지기재(41)의 일면상에 접착층(42)을 형성하여, 제2 기재층(30)과의 접착력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샘플시료(7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일 때, 접착층(42)상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필름(43)을 더 추가함으로써, 필요시에 이러한 보호필름(43)을 자연스럽게 박리하여, 접착층(42)을 제2 기재층(30)에 손쉽게 접합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42)은 제2 기재층(30)상에 형성된 샘플시료(70)가 안착되는 안착홈(31a)에 대응되도록 비접착영역(E)을 형성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제2 기재층(30)의 안착홈(31a)에 수용되는 샘플시료(70)와 접착층(42)과의 접촉을 회피하여, 샘플시료(70)의 화학적인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고, 접착층(42)으로 밀봉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전면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안착홈(31a)에 두께방향 공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샘플시료(70)가 안착홈(31a)에 밀폐된 공간내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의 배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샘플시료 채취기(1)의 가이드홈(60)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기재층(10), 제1 기재층(20), 제2 기재층(30) 및 제3 기재층(40)을 적층하여 표지기재층과 완전히 포개진 상태에서, 샘플시료(70)를 채취하기 위해 가이드홈(60)으로 손가락을 넣어 펼치게 되면, 바로 제2 기재층(30)의 안착홈(31a)이 펼쳐지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나서, 안착홈(31a)에 샘플시료(70)를 채취하여 수용한 후, 펼쳐진 제3 기재층(40)의 보호필름(43)을 박리하면서 접착층(42) 부분으로 샘플시료(70)를 제3 기재층(40)에 의해 고정 및 밀폐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기재층(40)의 보호필름(43)을 박리하고, 최종 지지기재(41)와 접착층(42)이 제2 기재층(30)에 접착될 때, 가이드홈(60) 부분에 접착층(42)이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이드홈(60)에 의해 접착층(42)이 박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접착층(42)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기재(41)와 접착층(42)이 결합된 부분은 사전에 가이드홈(60)과 동일한 위치에 패터닝하고, 박리되는 보호필름(43)만 가이드홈(60)부에 의해 걸려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최종 보호필름(43)을 박리한 후에는 접착층(42)이 가이드홈(60)부에 딱 맞도록 접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샘플시료(70)를 제2 기재층(30)의 안착홈(31a)에 수용한 후, 가이드홈(60)부에 의해 접착층(42)이 외부구조물에 걸려 재차 다시 떨어지거나, 탈부착에 의한 접착력의 약화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기재층(10)의 타면상에 형성된 기재박스(I)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샘플시료(70)의 연혁이나 일련번호 등의 필요한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것이다. 채취기의 뒷면에 이를 기재해둠으로써, 샘플시료의 분류 및 종류별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기타, 바코드 라벨지 등을 인쇄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으로 샘플시료를 관리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일측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샘플시료 채취기 10: 베이스기재층
20: 제1 기재층 30: 제2 기재층
31: 수용부 31a: 안착홈
40: 제3 기재층 41: 지지층
42: 접착층 43: 보호필름
50: 표지기재층 60: 가이드홈
70: 샘플시료 A: 접착영역
E: 비접착영역 I: 기재박스

Claims (11)

  1. 베이스기재층;
    상기 베이스기재층 일면에 형성되며 샘플시료가 안착되는 제1 기재층;
    상기 제1 기재층상에 형성되며, 상기 샘플시료 안착되는면을 노출시키되, 상기 샘플시료가 수용되도록 두께 방향의 수용부가 형성된 제2 기재층;
    상기 수용부를 밀봉하도록 상기 제2 기재층상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된 접착층에 의해 상기 제2 기재층상에 형성되는 제3 기재층 및
    상기 제3 기재층상에 형성되어, 외부 노출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표지기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재층상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 기재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기재층의 시료 안착면이 노출되고, 상기 안착면은 상기 베이스기재층으로 지지되도록 형성된 안착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기재층, 제1 기재층 및 제2 기재층의 적층된 일측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기재층은 상기 안착홈상에 수용된 샘플시료의 노출부와 상기 접착층이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3 기재층상에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영역상에 비접착영역(E)이 형성된 샘플시료 채취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직경은 안착되는 대상 샘플시료의 직경의 1 내지 1.5배로 형성되는 원형의 홈인 샘플시료 채취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재층은, 상기 제3 기재층의 접착층에 탈부착 가능한 보호필름이 더 결합되어 형성된 샘플시료 채취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기재층 타면에는 상기 샘플시료의 일련변호를 기재하기 위한 기재박스가 형성된 샘플시료 채취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재박스상에는, 상기 기재박스내에 수용된 시료의 유지보관을 위해 기재박스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기재층 타면상에 투명접착필름이 더 포함된 샘플시료 채취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반원형태로 형성된 샘플시료 채취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재층은, 상기 제3 기재층의 접착층에 탈부착 가능한 보호필름이 더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베이스기재층, 상기 제1 기재층, 상기 제2 기재층 및 상기 보호필름상에 대응되는 일측면에 내측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샘플시료 채취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내측방향으로 반원형태의 홈으로 형성된 샘플시료 채취기.
KR2020140005494U 2014-07-22 2014-07-22 샘플시료 채취기 KR200478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494U KR200478592Y1 (ko) 2014-07-22 2014-07-22 샘플시료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494U KR200478592Y1 (ko) 2014-07-22 2014-07-22 샘플시료 채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592Y1 true KR200478592Y1 (ko) 2015-10-22

Family

ID=5443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494U KR200478592Y1 (ko) 2014-07-22 2014-07-22 샘플시료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59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4806A (ja) 2008-12-01 2010-06-10 Oji Paper Co Ltd 生物試料保存容器
KR200473379Y1 (ko) * 2014-03-11 2014-07-04 (주)에스엘에스 시료채취부가 개량된 생육시료채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4806A (ja) 2008-12-01 2010-06-10 Oji Paper Co Ltd 生物試料保存容器
KR200473379Y1 (ko) * 2014-03-11 2014-07-04 (주)에스엘에스 시료채취부가 개량된 생육시료채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4753B2 (ja) 容器およびその内容物の情報処理検査装置を結合し得る装置
CA2564860C (en) Evidence collection holder for sample automation
JP6189946B2 (ja) 生検組織試料搬送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4792586B2 (ja) 生物組織固定・包埋・薄切用カセット及びその操作方法
US5186900A (en) Blood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assembly for evidentiary purposes
US20110053208A1 (en) Biological sample identification system
US8622215B2 (en) Device for collection, storage, retrieval and shipping of hair follicles from animals
US20020079239A1 (en) Microscope slide carrier assembly
AU784968B2 (en) Hair root collection kit
KR200478592Y1 (ko) 샘플시료 채취기
CN103228359B (zh) 样品保留装置
CN101097224B (zh) 试料收纳容器
CA2608774C (en) Evidence collection holder for sample automation
JP2009025144A (ja) 試料収納容器及び採血用容器
JP2003098967A (ja) プライバシー保護対応検体容器識別ラベル
JP4168091B2 (ja) ミニチューブ
US20200001289A1 (en) Sample taking kit and method for collecting a sample using such a kit
KR200478029Y1 (ko) 생육용 시료 채취기
JP6330232B1 (ja) ラベルおよびラベル貼付物並びに検体容器収納ケースおよび検体採取用キット
JP2024016073A (ja) サンプル追跡カード
JP3104387U (ja) Icチップ付ラベル
RU2008127375A (ru) Одноразовый защитный "набор пациента" для медицинских приспособлений
WO2011089300A2 (es) Dispositivo para la trazabilidad en tomas de muestras biológicas y procedimiento de trazado de las mism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