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401Y1 -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401Y1
KR200478401Y1 KR2020150002471U KR20150002471U KR200478401Y1 KR 200478401 Y1 KR200478401 Y1 KR 200478401Y1 KR 2020150002471 U KR2020150002471 U KR 2020150002471U KR 20150002471 U KR20150002471 U KR 20150002471U KR 200478401 Y1 KR200478401 Y1 KR 200478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roller
wound
reel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이성근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고향집농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근,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고향집농산 filed Critical 이성근
Priority to KR2020150002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4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4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7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plant cove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빗물에 의해 흙이 튀어 오르거나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파종 전 토사 상에 부직포가 자동으로 덮여지거나 또는 자동을 회수될 수 있으며, 이동대차의 전, 후방에 롤러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일측으로 말리거나 접히지 않게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부직포가 부직포 릴 측에서 권출 되어 토사 상에 펼쳐질 수 있고, 또한 이동대차 상에 견인롤러가 구비되어 있어 일측으로 말리거나 접히지 않게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부직포가 부직포 릴에 권취 될 수 있으며, 이물질 제거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부직포 릴 측에 권취되는 부직포 상에 형성된 흙이나 농작물 잔해 등 각종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으며, 이동대차 상에 보관통이 구비되어 있어 토사 상에 펼쳐진 부직포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고정핀 또는 회수되는 부직포에 꽂혀진 고정핀이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한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는 전방에는 앞바퀴가, 후방에는 뒷바퀴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전방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부직포가 권취 및 권출되는 부직포 릴과, 상기 앞바퀴의 전방과 뒷바퀴의 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부직포가 일측으로 말리거나 접히지 않도록 상기 부직포 권출시 그 상부에 지지 된 상태로 회전되는 전, 후방 롤러와, 상기 이동대차 후방 상부면에 설치되되 중앙에는 상기 부직포 릴로 권취되는 상기 부직포가 통과되고, 그 상, 하측에는 권취되는 상기 부직포 상의 이물질이 제거되는 브러쉬가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수단과, 상기 이동대차 상에 설치되되 상기 전, 후방 롤러의 직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에 통과된 상기 부직포가 상기 부직포 릴에 귄취되기 앞서 그 방향이 안내되는 견인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INSTALLATION AND RECOVER APPARATUS OF NONWOVEN WEB}
본 고안은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에 의해 흙이 튀어 오르거나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파종 전 토사 상에 부직포가 자동으로 덮여지거나 또는 자동을 회수될 수 있으며, 이동대차의 전, 후방에 롤러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일측으로 말리거나 접히지 않게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부직포가 부직포 릴 측에서 권출 되어 토사 상에 펼쳐질 수 있고, 또한 이동대차 상에 견인롤러가 구비되어 있어 일측으로 말리거나 접히지 않게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부직포가 부직포 릴에 권취 될 수 있으며, 이물질 제거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부직포 릴 측에 권취되는 부직포 상에 형성된 흙이나 농작물 잔해 등 각종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으며, 이동대차 상에 보관통이 구비되어 있어 토사 상에 펼쳐진 부직포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고정핀 또는 회수되는 부직포에 꽂혀진 고정핀이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한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초 및 제초방법으로는 제초제를 살포하여 잡초를 고사시키거나 수작업에 의한 제초가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그러나, 제초제를 사용할 경우 토양의 오염이나 토양에 생존하여 작물성장에 이로운 미생물까지 죽이게 되어 토양의 황폐화를 가져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로부터 잡초 광합성을 차단해 그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부직포가 제안되어 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부직포는 폴리올레핀계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원료로 하는 스판본드 부직포가 제안되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부직포는 파종 전 이랑을 따라 작업자가 직접 덮어주게 되는데, 권취 상태의 부직포를 귄출하면서 덮어주다보면 일측이 말리거나 접혀서 온전히 토사가 덮힐 수 없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농사가 다 끝난 뒤 부직포를 걷어낼 때에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부직포를 걷어내야 하고, 이때 부직포에 묻은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 또한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부직포가 온전히 펼쳐진 상태로 토사 상에 펼쳐지거나, 추수가 마무리 된 토사 상에서 부직포의 이물질이 제거됨과 동시에 온전히 권취시켜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65438호(2008.10.20)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8-0104897호(2008.12.03)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빗물에 의해 흙이 튀어 오르거나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파종 전 토사 상에 부직포가 자동으로 덮여지거나 또는 자동을 회수될 수 있으며, 이동대차의 전, 후방에 롤러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일측으로 말리거나 접히지 않게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부직포가 부직포 릴 측에서 권출 되어 토사 상에 펼쳐질 수 있고, 또한 이동대차 상에 견인롤러가 구비되어 있어 일측으로 말리거나 접히지 않게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부직포가 부직포 릴에 권취 될 수 있으며, 이물질 제거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부직포 릴 측에 권취되는 부직포 상에 형성된 흙이나 농작물 잔해 등 각종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으며, 이동대차 상에 보관통이 구비되어 있어 토사 상에 펼쳐진 부직포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고정핀 또는 회수되는 부직포에 꽂혀진 고정핀이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한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방에는 앞바퀴가, 후방에는 뒷바퀴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전방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부직포가 권취 및 권출되는 부직포 릴과, 상기 앞바퀴의 전방과 뒷바퀴의 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부직포가 일측으로 말리거나 접히지 않도록 상기 부직포 권출시 그 상부에 지지 된 상태로 회전되는 전, 후방 롤러와, 상기 이동대차 후방 상부면에 설치되되 중앙에는 상기 부직포 릴로 권취되는 상기 부직포가 통과되고, 그 상, 하측에는 권취되는 상기 부직포 상의 이물질이 제거되는 브러쉬가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수단과, 상기 이동대차 상에 설치되되 상기 전, 후방 롤러의 직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에 통과된 상기 부직포가 상기 부직포 릴에 귄취되기 앞서 그 방향이 안내되는 견인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전, 후방 롤러는, 상기 이동대차의 전, 후방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 1 롤러와, 상기 제 1 롤러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되 양측의 간격은 상기 부직포 릴에서 권출되는 상기 부직포의 너비 이하로 위치되는 제 2 롤러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이물질 제거수단은, 하측은 상기 이동대차 측에 고정되고 상측에는 상기 부직포 릴 측으로 권취되는 부직포가 통과될 수 있도록 권취구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권취구에서 상기 부직포가 유입되는 방향의 상,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브러쉬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견인롤러는, 상기 이동대차 상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롤러와, 상기 지지대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 3 롤러와 연접 회전되는 제 4 롤러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이물질 제거수단과 견인롤러 사이에는 상기 부직포 고정에 사용되는 고정핀이 보관되는 보관통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이동대차 일측에는 상기 이동대차의 주행이 제어되는 손잡이가 작업자에 의해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에 의하면 빗물에 의해 흙이 튀어 오르거나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파종 전 토사 상에 부직포가 자동으로 덮여지거나 또는 자동을 회수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동대차의 전, 후방에 롤러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일측으로 말리거나 접히지 않게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부직포가 부직포 릴 측에서 권출 되어 토사 상에 펼쳐질 수 있고, 또한 이동대차 상에 견인롤러가 구비되어 있어 일측으로 말리거나 접히지 않게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부직포가 부직포 릴에 권취 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물질 제거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부직포 릴 측에 권취되는 부직포 상에 형성된 흙이나 농작물 잔해 등 각종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으며, 이동대차 상에 보관통이 구비되어 있어 토사 상에 펼쳐진 부직포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고정핀 또는 회수되는 부직포에 꽂혀진 고정핀이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한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a 및 도 2b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는 전방에는 앞바퀴가, 후방에는 뒷바퀴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전방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부직포가 권취 및 권출되는 부직포 릴과, 상기 앞바퀴의 전방과 뒷바퀴의 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부직포가 일측으로 말리거나 접히지 않도록 상기 부직포 권출시 그 상부에 지지 된 상태로 회전되는 전, 후방 롤러와, 상기 이동대차 후방 상부면에 설치되되 중앙에는 상기 부직포 릴로 권취되는 상기 부직포가 통과되고, 그 상, 하측에는 권취되는 상기 부직포 상의 이물질이 제거되는 브러쉬가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수단과, 상기 이동대차 상에 설치되되 상기 전, 후방 롤러의 직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에 통과된 상기 부직포가 상기 부직포 릴에 귄취되기 앞서 그 방향이 안내되는 견인롤러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1)의 구성부재 및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이동대차(10)는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설치되며, 작업자에 의해 밭 이랑을 따라 주행 되면서 부직포(70)가 권출되거나 권취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방에는 앞바퀴(11)가, 후방에는 뒷바퀴(12)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이동대차(10)는 작업자에 의해 그 주행이 제어될 수도 있고, 동력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는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작업자에 의해서 그 주행이 제어되는 것으로 하며, 이를 위해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대차(10) 일측에는 손잡이가 작업자에 의해 파지 가능하게 구비된다.
전술한 이동대차(10)의 전방 상부면에는 부직포 릴(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전술한 부직포 릴(20)은 부직포(70)가 귄취 및 권출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부직포 릴(20)은 부직포(70) 권출 시에는 이동대차(10)가 전진하면서 앞바퀴(11)와 뒷바퀴(12) 그리고 전,후방 롤러(30a,30b)에 의해서 부직포(70)가 밟혀지기 때문에 그 힘에 의해서 부직포 릴(20)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직포(70) 귄취 시에는 추후에 설명될 이물질 제거수단(40) 및 견인롤러(50)를 통과한 부직포(70)가 부직포 릴(20)에 권취되는 것이므로 이동대차(10)의 후진시 자동으로 부직포 릴(20)에 귄취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부직포 릴(20)을 수동으로 감아주어야 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직포 릴(20) 측에 별도의 구동수단이 구비되어 부직포 릴(20)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이동대차(10)의 앞바퀴(11)의 전방과 뒷바퀴(12)의 후방에 각각 전,후방 롤러(30a,30b)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전술한 전,후방 롤러(30a,30b)는 부직포 릴(20)로부터 권출되는 부직포(70)가 일측으로 말리거나 접히지 않도록 부직포(70) 권출시 그 상부에 지지 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 후방 롤러(30b)는, 이동대차(10)의 전, 후방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 1 롤러(31)와, 제 1 롤러(31)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되 양측의 간격은 부직포 릴(20)에서 권출되는 부직포(70)의 너비 이하로 위치되는 제 2 롤러(32)가 포함된다.
최초에는 부직포(70)가 권취 된 상태의 부직포 릴(20)로부터 부직포(70)를 권출해 전방 롤러(30a)에 지지시키고 이 상태에서 조금 더 권출시켜 앞바퀴(11) 및 뒷바퀴(12) 하부와 후방 롤러(30b)에 부직포(70)가 놓여진 상태가 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이동대차(10)를 전진시키면 이동대차(10)의 전진 속도에 맞추어 부직포(70)가 연속적으로 권출되고, 권출되는 부직포(70)는 전,후방 롤러(30a,30b)와 앞바퀴(11) 및 뒷바퀴(12)에 의해 일측이 말리거나 접히지 않고 온전한 상태로 토사 상에 펼쳐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이동대차(10) 후방 상부면에는 이물질 제거수단(40)이 설치되는데, 이물질 제거수단(40)은 권취되는 부직포(70) 상의 이물질이 제거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물질 제거수단(40)은 그 하측이 이동대차(10) 측에 고정되고 상측에는 부직포 릴(20) 측으로 권취되는 부직포(70)가 통과될 수 있도록 권취구(42)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재(41)와, 권취구(42)에서 부직포(70)가 유입되는 방향의 상,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브러쉬(43)가 포함된다.
추수가 완료된 후 부직포(70)를 제거할 시에는, 부직포(70)를 이물질 제거수단(40)의 권취구(42) 측으로 통과시킨 후 추후에 설명될 견인롤러(50) 측으로 통과시킨 다음 부직포 릴(20)에 권취 시킨다. 귄취되는 부직포(70)는 상, 하측 브러쉬(43)에 의해 털어지면서 흙이나 농작물 잔해 등 각종 이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전술한 전, 후방 롤러(30a,30b)의 직 후방에는 견인롤러(50)가 설치되는데, 전술한 견인롤러(50)는 이물질 제거수단(40)에 통과된 부직포(70)가 부직포 릴(20)에 귄취되기 앞서 그 방향이 안내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견인롤러(50)는, 이동대차(10) 상에 고정되는 지지대(51)와, 지지대(51)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롤러(52)와, 지지대(51)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제 3 롤러(52)와 연접 회전되는 제 4 롤러(53)가 포함된다. 이때 제 3 롤러(52)와 제 4 롤러(53)가 연접되는 높이는 전술한 이물질 제거수단(40)의 권취구(42)와 동일 높이인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이물질 제거수단(40)과 견인롤러(50) 사이에는 보관통(60)이 구비되는데, 전술한 보관통(60)은 부직포(70) 고정에 사용되는 고정핀(61)이 보관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부직포(70) 권출시에는 작업자가 일정 길이마다 보관통(60)에 보관된 고정핀(61)을 삽입해 부직포(70)가 임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해주며, 부직포(70) 귄취시에는 삽입된 고정핀(61)을 작업자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뽑아 제거한 뒤 보관통(60) 내에 보관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1)에 의하면 빗물에 의해 흙이 튀어 오르거나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파종 전 토사 상에 부직포(70)가 자동으로 덮여지거나 또는 자동을 회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대차(10)에 전,후방 롤러(30a,30b)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일측으로 말리거나 접히지 않게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부직포(70)가 부직포 릴(20) 측에서 권출 되어 토사 상에 펼쳐질 수 있고, 또한 이동대차(10) 상에 견인롤러(50)가 구비되어 있어 일측으로 말리거나 접히지 않게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부직포(70)가 부직포 릴(20)에 권취 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제거수단(40)이 구비되어 있어 부직포 릴(20) 측에 권취되는 부직포(70) 상에 형성된 흙이나 농작물 잔해 등 각종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동대차(10) 상에 보관통(60)이 구비되어 있어 토사 상에 펼쳐진 부직포(70)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고정핀(61) 또는 회수되는 부직포(70)에 꽂혀진 고정핀(61)이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어 간편하게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
10 : 이동대차
11 : 앞바퀴
12 : 뒷바퀴
20 : 부직포 릴
30a,30b : 전,후방 롤러
31 : 제 1 롤러
32 : 제 2 롤러
40 : 이물질 제거수단
41 : 프레임부재
42 : 권취구
43 : 브러쉬
50 : 견인롤러
51 : 지지대
52 : 제 3 롤러
53 : 제 4 롤러
60 : 보관통
61 : 고정핀
70 : 부직포

Claims (6)

  1. 전방에는 앞바퀴가, 후방에는 뒷바퀴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의 전방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부직포가 권취 및 권출되는 부직포 릴;
    상기 앞바퀴의 전방과 뒷바퀴의 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부직포가 일측으로 말리거나 접히지 않도록 상기 부직포 권출시 그 상부에 지지 된 상태로 회전되는 전, 후방 롤러;
    상기 이동대차 후방 상부면에 설치되되 중앙에는 상기 부직포 릴로 권취되는 상기 부직포가 통과되고, 그 상, 하측에는 권취되는 상기 부직포 상의 이물질이 제거되는 브러쉬가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수단; 및
    상기 이동대차 상에 설치되되 상기 전, 후방 롤러의 직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에 통과된 상기 부직포가 상기 부직포 릴에 귄취되기 앞서 그 방향이 안내되는 견인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 후방 롤러는,
    상기 이동대차의 전, 후방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 1 롤러;
    상기 제 1 롤러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되 양측의 간격은 상기 부직포 릴에서 권출되는 상기 부직포의 너비 이하로 위치되는 제 2 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은,
    하측은 상기 이동대차 측에 고정되고 상측에는 상기 부직포 릴 측으로 권취되는 부직포가 통과될 수 있도록 권취구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권취구에서 상기 부직포가 유입되는 방향의 상,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브러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롤러는,
    상기 이동대차 상에 고정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롤러; 및
    상기 지지대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 3 롤러와 연접 회전되는 제 4 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과 견인롤러 사이에는 상기 부직포 고정에 사용되는 고정핀이 보관되는 보관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 일측에는 상기 이동대차의 주행이 제어되는 손잡이가 작업자에 의해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
KR2020150002471U 2015-04-16 2015-04-16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 KR200478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71U KR200478401Y1 (ko) 2015-04-16 2015-04-16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71U KR200478401Y1 (ko) 2015-04-16 2015-04-16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401Y1 true KR200478401Y1 (ko) 2015-10-01

Family

ID=5434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471U KR200478401Y1 (ko) 2015-04-16 2015-04-16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4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230B1 (ko) * 2018-10-30 2019-12-02 허영호 옥상 누수방지 작업용 세발 부직포롤 이송대차
CN112499320A (zh) * 2020-12-11 2021-03-16 华南农业大学 一种果园控草布卷收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230B1 (ko) * 2018-10-30 2019-12-02 허영호 옥상 누수방지 작업용 세발 부직포롤 이송대차
CN112499320A (zh) * 2020-12-11 2021-03-16 华南农业大学 一种果园控草布卷收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7462A (en) Lawn net for capturing and retaining lawn debris
US59569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retrieving and reusing 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vines and trees
US98948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ploying and retracting a tarpaulin for collecting small fruit, and harvesting machines using same
KR200478401Y1 (ko) 부직포 설치 및 회수 장치
KR101571555B1 (ko) 농약 및 제초제 선택형 분무기
KR101746104B1 (ko) 소금밀대 견인장치
US10631461B1 (en) Device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densifying agricultural plastics
KR100618194B1 (ko) 멀칭비닐지 회수장치
KR100613735B1 (ko) 관리기용 폐비닐 회수기
US6290163B1 (en) Device for picking up covering fabrics from plantation fields
KR200483458Y1 (ko) 제초기 및 관리기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무한궤도 운반기
KR101242052B1 (ko) 차량 장착용 예초장치
JP2008125414A (ja) マルチフィルムの巻取回収機
KR100937097B1 (ko) 농업용 비닐 피복기
KR200448356Y1 (ko) 두둑 성형기 및 비닐피복기가 장착된 경운기
JP7020996B2 (ja) 茶園用被覆資材巻取り機
EP0873681B1 (de) Rebenbearbeitungseinrichtung
DE2018156C3 (de) Mit einer Schlauchtrommel, sowie einer verfahrbaren Laufkatze versehene Vorrichtung zum Bearbeiten landwirtschaftlicher Reihenkulturen
KR200410616Y1 (ko) 이동 가능한 멀칭기
JP2018068158A (ja) マルチ移植機
EP3703485A1 (fr) Dispositif à bâche de collecte de fruits et machine agricole pourvue du dispositif
JP3081012U (ja) 農業用被覆シートのはぎ取り装置
JPH0429705Y2 (ko)
BR102014015967A2 (pt) rolo recolhedor de lonas utilizadas na colheita de café
JP3650877B2 (ja) 跨走型茶園管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