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224Y1 - 컨베이어용 롤러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용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224Y1
KR200478224Y1 KR2020140004875U KR20140004875U KR200478224Y1 KR 200478224 Y1 KR200478224 Y1 KR 200478224Y1 KR 2020140004875 U KR2020140004875 U KR 2020140004875U KR 20140004875 U KR20140004875 U KR 20140004875U KR 200478224 Y1 KR200478224 Y1 KR 200478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nd cap
fixed
circumferential surfac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규
Original Assignee
이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규 filed Critical 이석규
Priority to KR2020140004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2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2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마모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를 사용함으로써, 분해,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하며, 내구성 향상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는, 본체; 본체 양측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외부로 개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며, 수용홈에 삽입 고정된 베어링이 구비된 엔드캡;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베어링과 관통되게 연결되어 베어링을 지지하도록 하는 샤프트; 및 수용홈에 삽입 고정되고, 수용홈 내부에 삽입된 베어링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며, 수용홈을 통해 파이프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패킹부;를 포함하되, 본체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엔드캡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과 결합하여 체결 고정되고, 본체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된 제1 볼트구멍과 엔드캡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된 제2 볼트구멍과 볼트로 체결 고정되며, 본체 일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된 제3 볼트구멍과 엔드캡의 일측면에 다수개로 형성된 제4 볼트구멍과 볼트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용 롤러{Rollers for conveyor}
본 고안은 컨베이어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마모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를 사용함으로써, 분해,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하며, 내구성 향상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컨베이어용 롤러에 관한 것이다.
야외용 컨베이어는 주로 골재, 목재 등을 운반하는 장치로서, 그 사용환경이 매우 열악한 데 특징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컨베이어에 설치된 롤러는 사용수명이 매우 짧고, 분진 등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롤러는 베어링에 의해 롤러축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은 베어링 자체에 설치된 시일에 의해 내부 볼과 케이지 및 윤활유가 보호되는 단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컨베이어 롤러는 야외에 설치되어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되어 모래, 분진, 진동 등에 의하여 손상되고, 윤활유가 빠르게 손실되며, 이에 따라 베어링이 파손되어 소음과 진동의 과다 발생으로 롤러 및 컨베이어의 내구 수명을 급격히 단축되는 문제뿐만 아니라 방수 처리가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재질의 파이프를 양측에 각각 삽입되는 캡을 용접으로 고정함으로써, 용접에 의한 빠른 부식과 베어링 내부에 녹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용접에 의해 본체 내부에 윤활유를 투입시키기 어려운 문제점과 그로 인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9842호 (2013년08월19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853491호 (2008년08월14일 등록)
본 고안은 내마모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를 사용함으로써, 분해,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하며, 내구성 향상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컨베이어용 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 외주면에 보강부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사용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와 마찰에 의해 마모된 보강부재만 교체하여 재료비가 절감되고, 본체와 엔드캡을 볼트로 체결 고정하여 본체에서 엔트캡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본체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는, 본체; 본체 양측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외부로 개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며, 수용홈에 삽입 고정된 베어링이 구비된 엔드캡;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베어링과 관통되게 연결되어 베어링을 지지하도록 하는 샤프트; 및 수용홈에 삽입 고정되고, 수용홈 내부에 삽입된 베어링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며, 수용홈을 통해 파이프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패킹부;를 포함하되, 본체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엔드캡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과 결합하여 체결 고정되고, 본체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된 제1 볼트구멍과 엔드캡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된 제2 볼트구멍과 볼트로 체결 고정되며, 본체 일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된 제3 볼트구멍과 엔드캡의 일측면에 다수개로 형성된 제4 볼트구멍과 볼트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본체는,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과 삽입홈에 탈착 가능하도록 끼움 고정되고, 벨트와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내마모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다수개의 제1 볼트구멍에 위치하고, 원기둥의 원주면을 따라 일정깊이 파인 형상으로 형성된 끼움홈; 및 끼움홈에 끼움 고정되고, 제1 볼트구멍에 삽입 고정된 제1 볼트가 외부 충격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밀착 고정되는 압착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내마모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통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는, 내부에 위치하고, 표면과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표면이 마모될 경우 다른 색상이 보이도록 하여 본체의 교체 시기를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도록 하는 보조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는 내마모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를 사용함으로써, 분해,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하며, 내구성 향상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는 본체 외주면에 보강부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사용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와 마찰에 의해 마모된 보강부재만 교체하여 재료비가 절감되고, 본체와 엔드캡을 볼트로 체결 고정하여 본체에서 엔트캡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본체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본체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의 본체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10)는 컨베이어에 설치된 벨트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벨트 상에 올려진 피가공물을 다른 장소로 이송시키며, 또한, 벨트가 하부로 처지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용 롤러(10)는 본체(100), 엔드캡(200), 샤프트(300) 및 패킹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내마모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통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컨베이어 벨트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는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110)과 엔드캡(200)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210)과 결합하여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즉, 종래의 본체와 엔드캡의 결합 방법은 본체와 엔드캡이 금속으로 이루어져 본체와 엔드캡이 맞닿는 부분에 용접을 하였고, 그로 인해 본체가 마모되거나 녹이 생기게 되면 컨베이어용 롤러 자체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체(100)를 내마모성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마모가 심한 본체(100)만 교체가 용이하도록 나사결합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컨베이어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외부충격에 의해 본체(100)에 나사결합된 엔드캡(200)이 외부로 이탈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체(100)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된 제1 볼트구멍(120)과 엔드캡(200)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된 제2 볼트구멍(220)과 볼트(B)로 체결 고정되고, 본체(100) 일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된 제3 볼트구멍(130)과 엔드캡(200)의 일측면에 다수개로 형성된 제4 볼트구멍(230)과 볼트(B)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나사산(110)과 제2 나사산(210)에 의해 본체(100)와 엔드캡(200)이 1차 체결 고정되고, 제1 볼트구멍(120)을 통해 제2 볼트구멍(220)에 볼트(B)를 체결 고정함으로 2차 체결 고정되며, 제3 볼트구멍(130)을 통과해 제4 볼트구멍(230)에 볼트(B)를 체결 고정함으로 3차 체결 고정되도록 하여 진동과 충격에 의해 본체(100)에서 엔드캡(2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작동시 벨트에 의해 롤러(10)가 상,하 또는 좌,우측방향의 진동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되면 제2 볼트구멍(220)에서 볼트(B)가 이탈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압착밴드(170)가 구비될 수 있다.
압착밴드(170)는 일정한 사각 두께는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본체(100)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홈(16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끼움홈(160)은 본체(100)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제1 볼트구멍(120)에 위치하고, 제1 볼트구멍(120)이 배치된 둘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압착밴드(170)와 동일한 깊이로 파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컨베이어 벨트와 마찰을 최소화하고, 컨베이어 벨트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보강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150)는 본체(100)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체(100)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배치된 삽입홈(140)에 탈착 가능하도록 끼움 고정되고, 컨베이어 벨트와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본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내마모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150)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홈에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보다 하부가 넓은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150)는 본체(100)의 외주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컨베이어 벨트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고, 컨베이어 벨트와 마찰력에 의해 마모되면 마모된 부분만 교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본체(100)의 표면과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표면이 마모될 경우 다른 색상이 보이도록 하여 본체(100)의 교체 시기를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도록 하는 보조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베이어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본체(100)와 컨베이어 벨트의 마찰에 의해 본체(100)의 표면이 조금씩 마모되는데 작업자가 마모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계속 사용할 경우 본체(100)의 두께가 얇아져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체(100) 내부에 본체(100)와 다른 색깔의 보조파이프(180)가 형성된다.
엔드캡(200)은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본체(100)의 내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엔드캡(200)은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210)에 일정깊이 들어가도록 제2 볼트구멍(220)과,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 들어간 제4 볼트구멍(2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볼트구멍(220)은 엔드캡(200)이 본체(100)에 결합시 제1 볼트구멍(12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제1 볼트구멍(120)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B)와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4 볼트구멍(230)은 제3 볼트구멍(130)과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볼트(B)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300)는 본체(100) 내부에 위치하고, 베어링(2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300)는 엔드캡(200), 베어링(250), 패킹부(400) 및 와셔(W)가 순차적으로 끼움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샤프트(300)에 베어링(250)이 고정 지지되고, 본체(100)가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회전되면 본체(100)에 연결된 엔드캡(200)이 베어링(250)에 의해 마찰력과 진동을 최소화하도록 베어링(250)을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패킹부(400)는 본체(100)의 수용홈(240)에 삽입되어 샤프트(30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고, 본체(100) 내부로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패킹부(400)의 일측에 와셔(W)가 부착되어 수용홈(240)에 수용된 패킹부와 베어링(250)이 진동 또는 외부충격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컨베이어용 롤러 100; 본체
110; 제1 나사산 120; 제1 볼트구멍
130; 제3 볼트구멍 140; 삽입홈
150; 보강부재 160; 끼움홈
170; 압착밴드 180; 보조파이프
200; 엔드캡 210; 제2 나사산
220; 제2 볼트구멍 230; 제4 볼트구멍
240; 수용홈 250; 베어링
300; 샤프트 400; 패킹부
W; 와셔 B; 볼트

Claims (5)

  1.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내마모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양측을 밀폐하도록 삽입 체결되고, 외부로 개방되도록 수용홈(24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40)에 삽입 고정된 베어링(250)이 구비된 엔드캡(2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베어링(250)과 관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베어링(250)을 지지하도록 하는 샤프트(300); 및
    상기 수용홈(240)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25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수용홈(240)을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패킹부(400);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는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140)에 탈착 가능하도록 외주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끼움 고정되어 컨베이어 벨트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고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내마모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보강부재(150)와, 제1볼트구멍(120)에 위치하고 원기둥의 원주면을 따라 일정 깊이 파인 형상으로 형성된 끼움홈(160)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제1 볼트구멍(120)에 삽입 고정된 제1 볼트가 외부 충격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밀착 고정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압착밴드(170)와, 내부에 위치하고 표면과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표면이 마모될 경우 다른 색상이 보이도록 하여 본체의 교체 시기를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도록 하는 보조파이프(180)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재(150)는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40)에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보다 하부가 넓은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0)의 내주면에는 각각 형성된 제1 나사산(1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산(110)과 대응하여 상기 엔드캡(200)의 외주면에는 제2 나사산(210)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나사산(110, 210)의 결합을 통해 상기 본체(100)와 상기 엔드캡(200)이 상호 체결되되, 상기 본체(100)와 상기 엔드캡(200)은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된 제1 볼트구멍(120)과 대응하여 상기 엔드캡(200)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된 제2 볼트구멍(220)을 통해 볼트로 체결 고정되고,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개로 형성된 제3 볼트구멍(130)과 대응하여 상기 엔드캡(200)의 일측면에 다수개로 형성된 제4 볼트구멍(230)을 통해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롤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4875U 2014-06-27 2014-06-27 컨베이어용 롤러 KR200478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75U KR200478224Y1 (ko) 2014-06-27 2014-06-27 컨베이어용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75U KR200478224Y1 (ko) 2014-06-27 2014-06-27 컨베이어용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224Y1 true KR200478224Y1 (ko) 2015-09-18

Family

ID=5434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875U KR200478224Y1 (ko) 2014-06-27 2014-06-27 컨베이어용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22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071B1 (ko) * 2015-12-24 2017-03-10 주식회사 아메스 롤러를 구성하기 위한 샤프트와 파이프부재의 결합장치
KR101966347B1 (ko) * 2017-10-17 2019-04-08 주식회사 디랙스 트레드밀의 롤러 제조방법,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KR20190127248A (ko) * 2018-05-04 2019-11-13 대양비엔티(주) 컨베이어용 롤러
CN112644971A (zh) * 2020-12-30 2021-04-13 南通利俊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皮带线用驱动滚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138B1 (ko) 2006-11-22 2008-04-29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내마모성 롤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138B1 (ko) 2006-11-22 2008-04-29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내마모성 롤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071B1 (ko) * 2015-12-24 2017-03-10 주식회사 아메스 롤러를 구성하기 위한 샤프트와 파이프부재의 결합장치
KR101966347B1 (ko) * 2017-10-17 2019-04-08 주식회사 디랙스 트레드밀의 롤러 제조방법,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KR20190127248A (ko) * 2018-05-04 2019-11-13 대양비엔티(주) 컨베이어용 롤러
KR102078135B1 (ko) 2018-05-04 2020-02-17 대양비엔티(주) 컨베이어용 롤러
CN112644971A (zh) * 2020-12-30 2021-04-13 南通利俊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皮带线用驱动滚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224Y1 (ko) 컨베이어용 롤러
JP5364753B2 (ja) ベルトコンベヤー用ローラー
US7914409B2 (en) Oil-free chain
JP2009173410A (ja) サイドローラ付きコンベヤチェーン
JP2013174303A (ja) 電食防止用絶縁転がり軸受
CN100436870C (zh) 用于牵引传动装置的导向轮
CN102803769A (zh) 外轴承护罩
US20120266718A1 (en) Bicycle pedal assembly
EA016501B1 (ru) Узел роликоподшипника
US6003661A (en) Roller conveyor and supporting roller
US10858195B1 (en) Conveyor pulley apparatus and methods
JP6735678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用ダストカバー
US7568988B2 (en) Chain joint seal
KR101174563B1 (ko) 컨베이어용 롤러
KR101893452B1 (ko) 마모 방지 부재가 구비된 컨베이어용 롤러
KR100878029B1 (ko) 콘형 벨트 컨베이어 리턴 롤러
KR100950875B1 (ko) 하역장비용 가이드롤러
KR101129483B1 (ko) 콘베어용 체인
KR10056005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아이들러
KR101349802B1 (ko) 볼 베어링
KR100826138B1 (ko) 컨베이어용 내마모성 롤러
KR100885707B1 (ko) 조립식 관이탈 방지용 압륜
KR101657780B1 (ko) 궤도차 차륜
US11273988B1 (en) Bearing housing and bearing protection for conveyor pulley
WO2015010158A1 (en) 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