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120Y1 - 학습효율을 증대한 책상 - Google Patents

학습효율을 증대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120Y1
KR200478120Y1 KR2020150004478U KR20150004478U KR200478120Y1 KR 200478120 Y1 KR200478120 Y1 KR 200478120Y1 KR 2020150004478 U KR2020150004478 U KR 2020150004478U KR 20150004478 U KR20150004478 U KR 20150004478U KR 200478120 Y1 KR200478120 Y1 KR 200478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b
fixing
extend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진
Original Assignee
김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진 filed Critical 김윤진
Priority to KR2020150004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1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1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6Writing-tables with parts, e.g. trays, movable on a pivot or by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02Adjustable fo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10Devices for holding pupils upright, i.e. body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47B41/02Adjustable, inclinable, sliding or foldable desks top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습효율을 증대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학교에서 대부분의 일과시간을 보내는 학생에게 책상이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편안함과 함께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평판 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고정되어 배면으로부터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포함하는 상판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수납부의 저면 중앙에 고정되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 파이프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를 잡고 회전하면 끝단이 슬라이드 파이프를 가압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손잡이와,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의 후방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쿠션 브라켓과, 상기 쿠션 브라켓의 배면에 장착되는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부쿠션과;
상기 상판의 배면 일측에서 전방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수직 관통되는 투명창 삽입절개부와, 상기 투명창 삽입절개부의 양측면과 전방의 절개된 면을 따라 상단에서 이격되어 함몰되는 함몰 안착부와, 상기 함몰 안착부에 삽입되는 평판형의 투명한 재질을 가진 하부 투명판넬과. 저면이 상기 하부 투명판넬의 상면과 이격되고 상면은 상판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테두리를 따라 수직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하부 투명판넬에 부착되는 투명한 재질을 가진 상부 투명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투명창과;
상기 상판의 상면 전방 끝단에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함몰되는 독서대 안착함몰부와,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의 전방 끝단에 상부로 돌출되는 걸림단턱부와,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의 후방 양측에 전방으로 연장되었다가 수직하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힌지핀 가이드홈과,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면에는 함몰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바와,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에 삽입되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가지고 후방 양측에 상기 힌지핀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힌지핀과 정면에 함몰되는 파지홈을 구비하는 안착판넬과, 일측 끝단은 상기 안착판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바의 홈에 안착되는 걸림핀을 구비하는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대와;
상기 상판의 양측면이 2 ~ 4개가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결합날개와, 일측에 인접한 제1 결합날개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제2 결합날개가 형성되고 타측은 2~4개가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결합날개와 제1 내지 제2 결합날개가 맞물린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제1 보조판넬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 힌지봉을 구비하는 평판 형상의 제1 보조판넬과, 상기 제1 보조판넬 보다 넓은 폭을 가진 평판 형상을 가지고 일측은 인접한 제1 보조판넬의 제3 결합날개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제4 결합날개와 제3 내지 제4 결합날개가 맞물린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제2 보조판넬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 힌지봉을 구비하는 제2 보조판넬과, 제1 보조판넬이 수평으로 펼쳐졌을 때 제2 보조판넬이 경사지게 지지프레임 방향으로 연장된 후 끝단이 안착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고정훅과, 제1 보조판넬이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 고정수단과, 제1 보조판넬이 수직으로 입설되었을 때 제2 보조판넬이 수직으로 입설 고정되도록 하는 제2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측면칸막이와;
상기 상판의 저면 전방에서 저면과 이격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힌지봉을 일측 끝단이 감싸면서 회전가능하게 연장되는 사각의 얇은 합성수지판넬로 이루어지는 정면칸막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율을 증대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학습효율을 증대한 책상{The desk that can grow in learning efficiency}
본 고안은 학습효율을 증대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학교에서 대부분의 일과시간을 보내는 학생에게 책상이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편안함과 함께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학습효율을 증대한 책상(학습효율의 극대화, 우리가 원하는 트랜스포머책상)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초중고 학생들은 하루 중 절반 이상을 학교에서 보내고 있으며 또 대부분을 의자에 앉아 책상을 사용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책상은 대량으로 조달청을 통하여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저렴한 가격에 필수 구성요소만 가지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근래에 들어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이 도입되고 어느 정도 인체공학적인 설계가 반영된 것은 사실이나 과거와 비교하면 단지 재질과 디자인의 문제이지 기능적으로의 발전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이 책상에서 느끼는 불편함은 먼저 일반적으로 책상은 책을 올려놓고 수업을 듣거나 공부를 하는데 사용되는데 인쇄물이 많을 경우 책상의 공간의 부족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또한, 수업 중에 책상에 펼쳐진 책이나 인쇄물과 교사를 번갈아 보게 되면 목의 사용이 많아 편리함을 위해 책을 펼쳐들거나 별도의 독서대에 책을 올려놓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책상에 장시간 앉아 있을 때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쿠션을 책상과 복부 사이에 끼워넣음으로 허리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책상의 내부를 확인하는 것이 불편하며 중요한 기억해야 할 암기내용을 적은 카드를 별도로 눈에 잘보이는 곳에 수시로 확인하기에는 책상의 공간이 좁다.
또, 시험을 보거나 자습을 할 때 주위에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방을 올려놓아야 하고 정면이 개방되어 있어 치마를 입은 여학생들은 항상 다리를 모으는 불편한 자세를 유지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88352-0000호 (2000년04월26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16941호 (2010년02월16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951043-0000호 (2010년03월26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43355호 (2010년04월29일) (특허 문헌 5)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143872-0000호 (2012년05월01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책상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으며, 일부를 독서대로 활용을 할 수 있고, 책상과 복부 사이에 쿠션이 장착되며, 책상의 내부를 확인하고 상황에 따라 암기카드를 배치할 수 있고, 칸막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학습효율을 증대한 책상(학습효율의 극대화, 우리가 원하는 트랜스포머책상)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학습효율의 극대화, 우리가 원하는 트랜스포머책상)은 평판 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 고정되어 배면으로부터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포함하는 상판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수납부의 저면 중앙에 고정되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 파이프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를 잡고 회전하면 끝단이 슬라이드 파이프를 가압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손잡이와,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의 후방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쿠션 브라켓과, 상기 쿠션 브라켓의 배면에 장착되는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부쿠션과;
상기 상판의 배면 일측에서 전방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수직 관통되는 투명창 삽입절개부와, 상기 투명창 삽입절개부의 양측면과 전방의 절개된 면을 따라 상단에서 이격되어 함몰되는 함몰 안착부와, 상기 함몰 안착부에 삽입되는 평판형의 투명한 재질을 가진 하부 투명판넬과. 저면이 상기 하부 투명판넬의 상면과 이격되고 상면은 상판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테두리를 따라 수직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하부 투명판넬에 부착되는 투명한 재질을 가진 상부 투명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투명창과;
상기 상판의 상면 전방 끝단에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함몰되는 독서대 안착함몰부와,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의 전방 끝단에 상부로 돌출되는 걸림단턱부와,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의 후방 양측에 전방으로 연장되었다가 수직하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힌지핀 가이드홈과,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면에는 함몰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바와,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에 삽입되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가지고 후방 양측에 상기 힌지핀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힌지핀과 정면에 함몰되는 파지홈을 구비하는 안착판넬과, 일측 끝단은 상기 안착판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바의 홈에 안착되는 걸림핀을 구비하는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대와;
상기 상판의 양측면이 2 ~ 4개가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결합날개와, 일측에 인접한 제1 결합날개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제2 결합날개가 형성되고 타측은 2~4개가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결합날개와 제1 내지 제2 결합날개가 맞물린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제1 보조판넬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 힌지봉을 구비하는 평판 형상의 제1 보조판넬과, 상기 제1 보조판넬 보다 넓은 폭을 가진 평판 형상을 가지고 일측은 인접한 제1 보조판넬의 제3 결합날개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제4 결합날개와 제3 내지 제4 결합날개가 맞물린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제2 보조판넬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 힌지봉을 구비하는 제2 보조판넬과, 제1 보조판넬이 수평으로 펼쳐졌을 때 제2 보조판넬이 경사지게 지지프레임 방향으로 연장된 후 끝단이 안착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고정훅과, 제1 보조판넬이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 고정수단과, 제1 보조판넬이 수직으로 입설되었을 때 제2 보조판넬이 수직으로 입설 고정되도록 하는 제2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측면칸막이와;
상기 상판의 저면 전방에서 저면과 이격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힌지봉을 일측 끝단이 감싸면서 회전가능하게 연장되는 사각의 얇은 합성수지판넬로 이루어지는 정면칸막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제1 힌지봉과 이격된 제1 보조판넬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입구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장착홀과, 긴 봉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장착홀에 삽입되고 전방 끝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1 삽입봉과,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장착홀의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은 제1 삽입봉의 전방 끝단이 관통되도록 하는 제1 무두볼트와, 제1 무두볼트와 제1 삽입봉의 단턱진 끝단 사이에 장착되는 제1 압축코일스프링과, 제1 보조판넬이 수직 입설되었을 때 상기 제1 장착홀과 동일한 거리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판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홀 및 제1 보조판넬에 형성되는 제2 고정홀과, 상기 제1 또는 제2 고정홀에 삽입되는 제1 고정봉과, 상기 제1 삽입봉과 제1 고정봉의 전방 끝단을 연결하는 제1 손잡이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제2 힌지봉과 이격된 제2 보조판넬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입구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장착홀과, 긴 봉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장착홀에 삽입되고 전방 끝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2 삽입봉과, 외주면에는 상기 제2 장착홀의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은 제2 삽입봉의 전방 끝단이 관통되도록 하는 제2 무두볼트와, 제2 무두볼트와 제2 삽입봉의 단턱진 끝단 사이에 장착되는 제2 압축코일스프링과, 제2 보조판넬이 제1 보조판넬과 동일 평면상으로 연장되었을 때 상기 제2 장착홀과 동일한 거리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판넬에 형성되는 제3 고정홀 및 제2 보조판넬에 형성되는 제4 고정홀과, 상기 제3 또는 제4 고정홀에 삽입되는 제2 고정봉과, 상기 제2 삽입봉과 제2 고정봉의 전방 끝단을 연결하는 제2 손잡이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책상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으며, 일부를 독서대로 활용을 할 수 있고, 책상과 복부 사이에 쿠션이 장착되며, 책상의 내부를 확인하고 상황에 따라 암기카드를 배치할 수 있고, 칸막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부쿠션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창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판을 확장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칸막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칸막이를 올린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의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책상(1)에는 복부쿠션(14)과, 투명창(15)과 독서대(16)와, 측면칸막이(2)와 정면칸막이(3)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하 자세한 구성은 본원의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배면 사시도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정면방향과 배면방향은 본원의 도 1 내지 도 2에 따라 기술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부쿠션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본 고안은 평판 형상의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저면에 고정되어 배면으로부터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부(12)와, 상기 수납부(12)를 포함하는 상판(11)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책상(1)에 있어서;
상기 책상(1)의 수납부(12)의 저면 중앙에 고정되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 파이프(141)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141)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 파이프(142)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141)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를 잡고 회전하면 끝단이 슬라이드 파이프(142)를 가압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손잡이(143)와,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142)의 후방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쿠션 브라켓(144)과, 상기 쿠션 브라켓(144)의 배면에 장착되는 쿠션(14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부쿠션(14)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의자에 착석했을 때 책상과 복부 사이에 쿠션을 놓으면 편안함을 느끼게 되는 것으로 이를 책상에 고정설치하도록 한 것으로 쿠션브라켓(144)과 쿠션(145)은 상기 도면과 같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수납부(12)의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하였으며,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자세에 따라 쿠션(145)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구조를 가지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창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본원은 상기 상판(11)의 배면 일측에서 전방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수직 관통되는 투명창 삽입절개부(151)와, 상기 투명창 삽입절개부(151)의 양측면과 전방의 절개된 면을 따라 상단에서 이격되어 함몰되는 함몰 안착부(152)와, 상기 함몰 안착부(152)에 삽입되는 평판형의 투명한 재질을 가진 하부 투명판넬(153)과. 저면이 상기 하부 투명판넬(153)의 상면과 이격되고 상면은 상판(11)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테두리를 따라 수직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하부 투명판넬(153)에 부착되는 투명한 재질을 가진 상부 투명판넬(15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투명창(15)을 구비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수납부(12)에 책이나 노트를 넣으면 원하는 것을 꺼내기 위해서는 전부 꺼내보면서 골라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본원은 투명창(15)에 의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하여 수납부(12)의 책이나 노트를 보다 편리하게 선택적으로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투명판넬(153)과 상부 투명판넬(154)의 사이 이격된 공간에는 중요한 암기 내용이나 메모를 적은 카드를 넣을 수 있도록 하여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 보다 효율적인 내용이나 개념의 암기 및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독서대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상판(11)의 상면 전방 끝단에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함몰되는 독서대 안착함몰부(161)와,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161)의 전방 끝단에 상부로 돌출되는 걸림단턱부(162)와,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161)의 후방 양측에 전방으로 연장되었다가 수직하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힌지핀 가이드홈(163)과,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16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면에는 함몰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바(164)와,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161)에 삽입되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가지고 후방 양측에 상기 힌지핀 가이드홈(163)에 삽입되는 힌지핀(165)과 정면에 함몰되는 파지홈(166)을 구비하는 안착판넬(167)과, 일측 끝단은 상기 안착판넬(16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바(164)의 홈에 안착되는 걸림핀(168)을 구비하는 지지봉(16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대(16)를 나타내었다.
본원의 독서대(16)는 안착판넬(167)이 평상시에는 상판(11)의 일부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경사지게 세워 독서대(16)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사용은 먼저 파지홈(166)에 손가락을 넣고 손바닥을 안착판넬(167)의 상면에 밀착시키면서 밀면 힌지핀(165)은 인지판 가이드홈(163)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 후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안착판넬(167)의 전방을 들어올리면 지지봉(169)은 회전하면서 걸림바(164)을 따라 이동하다가 들어올리는 동작을 멈추면 걸림바(164)의 일 홈에 걸림핀(168)이 안착되면서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책을 세울 때 책의 하단은 상판(11)과 독서대 안착홈부(161) 사이의 단턱에 걸리게 되어 책이 고정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판을 확장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상판(11)의 양측면이 2 ~ 4개가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결합날개(21)와, 일측에 인접한 제1 결합날개(21)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제2 결합날개(221)가 형성되고 타측은 2~4개가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결합날개(222)와제1 내지 제2 결합날개(21, 221)가 맞물린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제1 보조판넬(22)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 힌지봉(223)을 구비하는 평판 형상의 제1 보조판넬(22)과, 상기 제1 보조판넬(22) 보다 넓은 폭을 가진 평판 형상을 가지고 일측은 인접한 제1 보조판넬(22)의 제3 결합날개(22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제4 결합날개(231)와 제3 내지 제4 결합날개(222, 231)가 맞물린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제2 보조판넬(23)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 힌지봉(232)을 구비하는 제2 보조판넬(23)과, 제1 보조판넬(22)이 수평으로 펼쳐졌을 때 제2 보조판넬(23)이 경사지게 지지프레임(13) 방향으로 연장된 후 끝단이 안착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13)에 장착되는 고정훅(24)으로 구성되는 측면칸막이(2)를 나타내었다.
본원에서 측면칸막이(2)는 칸막이의 기능도 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을 사용하던 도중에 공간이 좁을 경우 제1 보조판넬(22)을 회전시켜 상판(11)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제2 보조판넬(23)은 고정훅(24)에 걸어 제1 보조판넬(22)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고정훅(24)은 평상시에는 가방걸이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칸막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칸막이를 올린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본원의 측면칸막이(2)는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제1 보조판넬(22)이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 고정수단(25)과, 제1 보조판넬(22)이 수직으로 입설되었을 때 제2 보조판넬(23)이 수직으로 입설 고정되도록 하는 제2 고정수단(26)을 구비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2 고정수단(25, 26)의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이 가능하겠지만 본 고안에서는 일 실시 예로 상기 제1 고정수단(25)은 제1 힌지봉(223)과 이격된 제1 보조판넬(22)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입구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장착홀(251)과, 긴 봉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장착홀(251)에 삽입되고 전방 끝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1 삽입봉(252)과,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장착홀(251)의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은 제1 삽입봉(252)의 전방 끝단이 관통되도록 하는 제1 무두볼트(253)와, 제1 무두볼트(253)와 제1 삽입봉(252)의 단턱진 끝단 사이에 장착되는 제1 압축코일스프링(254)과, 제1 보조판넬(22)이 수직 입설되었을 때 상기 제1 장착홀(251)과 동일한 거리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판(11)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홀(255) 및 제1 보조판넬(22)에 형성되는 제2 고정홀(256)과, 상기 제1 또는 제2 고정홀(255, 256)에 삽입되는 제1 고정봉(257)과, 상기 제1 삽입봉(252)과 제1 고정봉(257)의 전방 끝단을 연결하는 제1 손잡이부재(258)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고정수단(26)은 제2 힌지봉(232)과 이격된 제2 보조판넬(23)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입구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장착홀(261)과, 긴 봉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장착홀(261)에 삽입되고 전방 끝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2 삽입봉(262)과, 외주면에는 상기 제2 장착홀(261)의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은 제2 삽입봉(262)의 전방 끝단이 관통되도록 하는 제2 무두볼트(263)와, 제2 무두볼트(263)와 제2 삽입봉(262)의 단턱진 끝단 사이에 장착되는 제2 압축코일스프링(264)과, 제2 보조판넬(23)이 제1 보조판넬(22)과 동일 평면상으로 연장되었을 때 상기 제2 장착홀(261)과 동일한 거리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판넬(22)에 형성되는 제3 고정홀(265) 및 제2 보조판넬(23)에 형성되는 제4 고정홀(266)과, 상기 제3 또는 제4 고정홀(265, 266)에 삽입되는 제2 고정봉(267)과, 상기 제2 삽입봉(262)과 제2 고정봉(267)의 전방 끝단을 연결하는 제2 손잡이부재(26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즉 제1 또는 제2 손잡이부재(256, 268)을 잡고 당기면 제1 또는 제2 고정봉(257, 267)이 이탈하게 되고 이를 제1 또는 제4 고정홀(255, 266)에 삽입하면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제2 및 제3 고정홀(256. 265)의 경우 제1 보조판넬(22)에 형성된 것으로 제1 내지 제2 보조판넬(22, 23)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양측의 측면칸막이(2)가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는 시험을 볼 때 컨닝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수업시간에도 주면 환경에 의한 산만함을 막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판(11)의 저면 전방에서 저면과 이격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힌지봉(31 ;도3 참조)을 일측 끝단이 감싸면서 회전가능하게 연장되는 사각의 얇은 합성수지판넬로 이루어지는 정면칸막이(3)를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의 정면칸막이(3)는 평상시에는 상판(11)의 하부를 막는 것으로 치마를 입은 여학생의 경우 전방의 시선에 의한 불편함으로 항상 다리를 모으는 불편한 자세를 유지하여야하나 정면칸막이(3)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습과 같이 전방 시야의 확보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측면칸막이(2)를 세우고 정면칸막이(3)를 세우도록 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정면칸막이(3)는 무거운 목재판넬이 필요 없으므로 비교적 얇은 소재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간단하게 정면칸막이(3)의 양측 상단과 인접한 측면칸막이(2)의 전방 상단에 자석을 설치해서 정면과 양 측면의 칸막이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설치할 수 있으며, 간단한 훅과 고리의 구조로도 고정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그 외에도 간단한 구성으로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다.
1 : 책상
11 : 상판
12 : 수납부
13 : 지지프레임
14 : 복부쿠션
141 : 가이드 파이프 142 : 슬라이드 파이프
143 : 고정손잡이 144 : 쿠션브라켓
145 : 쿠션
15 : 투명창
151 : 투명창 삽입절개부 152 : 함몰 안착부
153 : 하부 투명판넬 154 : 상부 투명판넬
16 : 독서대
161 : 독서대 안착함몰부 162 : 걸림 단턱부
163 : 힌지핀 가이드홈 164 : 걸림바
165 : 힌지핀 166 : 파지홈
167 : 안착판넬 168 : 걸림핀
169 : 지지봉
2 : 측면칸막이
21 : 제1 결합날개
22 : 제1 보조판넬
221 : 제2 결합날개 222 : 제3 결합날개
223 : 제1 힌지봉
23 : 제2 보조판넬
231 : 제4 결합날개 232 : 제2 힌지봉
24 : 고정훅
25 : 제1 고정수단
251 : 제1 장착홀 252 : 제1 삽입봉
253 : 제1 무두볼트 254 : 제1 압축코일스프링
255 : 제1 고정홀 256 : 제2 고정홀
257 : 제1 고정봉 258 : 제1 손잡이부재
26 : 제1 고정수단
261 : 제2 장착홀 262 : 제2 삽입봉
263 : 제2 무두볼트 264 : 제2 압축코일스프링
265 : 제3 고정홀 266 : 제4 고정홀
267 : 제2 고정봉 268 : 제2 손잡이부재
3 : 정면칸막이
31 : 제3 힌지봉

Claims (2)

  1. 평판 형상의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저면에 고정되어 배면으로부터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부(12)와, 상기 수납부(12)를 포함하는 상판(11)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책상(1)에 있어서;
    상기 책상(1)의 수납부(12)의 저면 중앙에 고정되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 파이프(141)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141)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 파이프(142)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141)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를 잡고 회전하면 끝단이 슬라이드 파이프(142)를 가압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손잡이(143)와, 상기 슬라이드 파이프(142)의 후방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쿠션 브라켓(144)과, 상기 쿠션 브라켓(144)의 배면에 장착되는 쿠션(14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부쿠션(14)과;
    상기 상판(11)의 배면 일측에서 전방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수직 관통되는 투명창 삽입절개부(151)와, 상기 투명창 삽입절개부(151)의 양측면과 전방의 절개된 면을 따라 상단에서 이격되어 함몰되는 함몰 안착부(152)와, 상기 함몰 안착부(152)에 삽입되는 평판형의 투명한 재질을 가진 하부 투명판넬(153)과. 저면이 상기 하부 투명판넬(153)의 상면과 이격되고 상면은 상판(11)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테두리를 따라 수직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하부 투명판넬(153)에 부착되는 투명한 재질을 가진 상부 투명판넬(15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투명창(15)과;
    상기 상판(11)의 상면 전방 끝단에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함몰되는 독서대 안착함몰부(161)와,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161)의 전방 끝단에 상부로 돌출되는 걸림단턱부(162)와,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161)의 후방 양측에 전방으로 연장되었다가 수직하부로 연장되는 한 쌍의 힌지핀 가이드홈(163)과,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16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면에는 함몰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바(164)와, 상기 독서대 안착함몰부(161)에 삽입되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가지고 후방 양측에 상기 힌지핀 가이드홈(163)에 삽입되는 힌지핀(165)과 정면에 함몰되는 파지홈(166)을 구비하는 안착판넬(167)과, 일측 끝단은 상기 안착판넬(16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바(164)의 홈에 안착되는 걸림핀(168)을 구비하는 지지봉(16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대(16)와;
    상기 상판(11)의 양측면이 2 ~ 4개가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결합날개(21)와, 일측에 인접한 제1 결합날개(21)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제2 결합날개(221)가 형성되고 타측은 2~4개가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결합날개(222)와제1 내지 제2 결합날개(21, 221)가 맞물린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제1 보조판넬(22)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 힌지봉(223)을 구비하는 평판 형상의 제1 보조판넬(22)과, 상기 제1 보조판넬(22) 보다 넓은 폭을 가진 평판 형상을 가지고 일측은 인접한 제1 보조판넬(22)의 제3 결합날개(22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제4 결합날개(231)와 제3 내지 제4 결합날개(222, 231)가 맞물린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 삽입되어 제2 보조판넬(23)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 힌지봉(232)을 구비하는 제2 보조판넬(23)과, 제1 보조판넬(22)이 수평으로 펼쳐졌을 때 제2 보조판넬(23)이 경사지게 지지프레임(13) 방향으로 연장된 후 끝단이 안착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13)에 장착되는 고정훅(24)과, 제1 보조판넬(22)이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에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 고정수단(25)과, 제1 보조판넬(22)이 수직으로 입설되었을 때 제2 보조판넬(23)이 수직으로 입설 고정되도록 하는 제2 고정수단(26)을 구비하는 측면칸막이(2)와;
    상기 상판(11)의 저면 전방에서 저면과 이격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힌지봉(31)을 일측 끝단이 감싸면서 회전가능하게 연장되는 사각의 얇은 합성수지판넬로 이루어지는 정면칸막이(3)로 구성되며,
    상기 정면칸막이(3)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정면칸막이(3)의 양측 상단과 인접한 측면칸막이(2)의 전방 상단에는 각각 자석을 설치해서 정면과 양 측면의 칸막이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율을 증대한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수단(25)은 제1 힌지봉(223)과 이격된 제1 보조판넬(22)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입구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장착홀(251)과, 긴 봉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장착홀(251)에 삽입되고 전방 끝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1 삽입봉(252)과,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장착홀(251)의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은 제1 삽입봉(252)의 전방 끝단이 관통되도록 하는 제1 무두볼트(253)와, 제1 무두볼트(253)와 제1 삽입봉(252)의 단턱진 끝단 사이에 장착되는 제1 압축코일스프링(254)과, 제1 보조판넬(22)이 수직 입설되었을 때 상기 제1 장착홀(251)과 동일한 거리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판(11)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홀(255) 및 제1 보조판넬(22)에 형성되는 제2 고정홀(256)과, 상기 제1 또는 제2 고정홀(255, 256)에 삽입되는 제1 고정봉(257)과, 상기 제1 삽입봉(252)과 제1 고정봉(257)의 전방 끝단을 연결하는 제1 손잡이부재(258)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고정수단(26)은 제2 힌지봉(232)과 이격된 제2 보조판넬(23)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입구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장착홀(261)과, 긴 봉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장착홀(261)에 삽입되고 전방 끝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2 삽입봉(262)과, 외주면에는 상기 제2 장착홀(261)의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은 제2 삽입봉(262)의 전방 끝단이 관통되도록 하는 제2 무두볼트(263)와, 제2 무두볼트(263)와 제2 삽입봉(262)의 단턱진 끝단 사이에 장착되는 제2 압축코일스프링(264)과, 제2 보조판넬(23)이 제1 보조판넬(22)과 동일 평면상으로 연장되었을 때 상기 제2 장착홀(261)과 동일한 거리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판넬(22)에 형성되는 제3 고정홀(265) 및 제2 보조판넬(23)에 형성되는 제4 고정홀(266)과, 상기 제3 또는 제4 고정홀(265, 266)에 삽입되는 제2 고정봉(267)과, 상기 제2 삽입봉(262)과 제2 고정봉(267)의 전방 끝단을 연결하는 제2 손잡이부재(26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율을 증대한 책상.
KR2020150004478U 2015-07-03 2015-07-03 학습효율을 증대한 책상 KR200478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478U KR200478120Y1 (ko) 2015-07-03 2015-07-03 학습효율을 증대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478U KR200478120Y1 (ko) 2015-07-03 2015-07-03 학습효율을 증대한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120Y1 true KR200478120Y1 (ko) 2015-09-03

Family

ID=5434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478U KR200478120Y1 (ko) 2015-07-03 2015-07-03 학습효율을 증대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120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4594A (zh) * 2015-07-22 2015-11-18 刘宏纲 坐姿校正器
CN105615290A (zh) * 2015-12-31 2016-06-01 天津伟聚科技有限公司 一种坐姿提示灯
CN105661925A (zh) * 2016-03-15 2016-06-15 余新奎 多功能学生课桌
CN106239452A (zh) * 2016-08-26 2016-12-21 怀宁县明慧竹业有限公司 一种蒸笼存放平台
CN108320250A (zh) * 2018-02-02 2018-07-24 李月基 一种防作弊装置
CN109288259A (zh) * 2018-09-25 2019-02-01 浙江省嘉善县第中学 一种学生考试用防作弊课桌
CN115120050A (zh) * 2022-06-30 2022-09-30 烟台方坤文化艺术交流有限公司 一种本姿腕姿坐姿调整定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764Y1 (ko) 2002-12-09 2003-03-11 최혁 기울기 조절가능한 책상용 테이블
KR100951043B1 (ko) 2009-08-12 2010-04-05 이계환 접이식 패널이 부착된 책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764Y1 (ko) 2002-12-09 2003-03-11 최혁 기울기 조절가능한 책상용 테이블
KR100951043B1 (ko) 2009-08-12 2010-04-05 이계환 접이식 패널이 부착된 책상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4594A (zh) * 2015-07-22 2015-11-18 刘宏纲 坐姿校正器
CN105615290A (zh) * 2015-12-31 2016-06-01 天津伟聚科技有限公司 一种坐姿提示灯
CN105661925A (zh) * 2016-03-15 2016-06-15 余新奎 多功能学生课桌
CN106239452A (zh) * 2016-08-26 2016-12-21 怀宁县明慧竹业有限公司 一种蒸笼存放平台
CN106239452B (zh) * 2016-08-26 2018-07-06 怀宁县明慧竹业有限公司 一种蒸笼存放平台
CN108320250A (zh) * 2018-02-02 2018-07-24 李月基 一种防作弊装置
CN108320250B (zh) * 2018-02-02 2022-03-22 山东育博苑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防作弊装置
CN109288259A (zh) * 2018-09-25 2019-02-01 浙江省嘉善县第中学 一种学生考试用防作弊课桌
CN115120050A (zh) * 2022-06-30 2022-09-30 烟台方坤文化艺术交流有限公司 一种本姿腕姿坐姿调整定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120Y1 (ko) 학습효율을 증대한 책상
KR20120037348A (ko) 책상용 복부 받침대
US7568674B2 (en) Device to read in bed or when reclining
US20150069797A1 (en) Standing Desk Accessory
KR200476126Y1 (ko) 접이식 일체 독서대
CN213664243U (zh) 一种多功能教学课桌
KR200432769Y1 (ko) 독서대 일체형 책상
KR101760562B1 (ko) 접이식 독서대
KR20170097394A (ko) 독서대와 간이 책상이 구비된 인체 공학적 의자
KR20170130237A (ko) 형태변형이 가능한 공간절약형 책상
CN209185936U (zh) 一种学生用连体课桌椅
KR200476202Y1 (ko) 휴대용 독서대
CN109240425A (zh) 升降式计算机
KR20200017670A (ko) 2단 페이지 클립을 갖는 북마크 독서대
KR101694352B1 (ko) 보드유닛이 구비된 책상
CN211048749U (zh) 一种学生用储物座椅
KR20120134343A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KR100958763B1 (ko) 학생용 책상.
JP5618303B2 (ja) ブッククリップ装置
CN114009940B (zh) 一种智慧教育校园用ai课桌
KR200492947Y1 (ko) 학습 집중력 향상장치
KR200456757Y1 (ko) 휴대용 독서지지대
CN108523448B (zh) 一种桌面可扩展的课桌
KR102267610B1 (ko)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KR20210074119A (ko) 절첩식 양문 메모판 매립형 관람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