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984Y1 -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984Y1
KR200477984Y1 KR2020140002007U KR20140002007U KR200477984Y1 KR 200477984 Y1 KR200477984 Y1 KR 200477984Y1 KR 2020140002007 U KR2020140002007 U KR 2020140002007U KR 20140002007 U KR20140002007 U KR 20140002007U KR 200477984 Y1 KR200477984 Y1 KR 200477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l
urine
drain
case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윤
심재호
Original Assignee
심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윤 filed Critical 심재윤
Priority to KR2020140002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9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9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변기를 위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소변기에 탈, 부착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소변기의 소변 수용공간에 결합하되 소변 수용공간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이에 결합하는 스폰지 재질의 배수마개로 구성되어 있어, 소변기의 소변 수용공간 내에 탈, 부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하기 때문에 관리자의 청소 소홀로 인하여 소변기의 오염이 발생할 경우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사용자는 물론 관리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한편, 화장실의 미관 및 냄새에 의한 불쾌감을 개선할 수 있고, 몸체를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환경개선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배수구 부분에 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마개를 형성해 소변이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폰지로 형성되는 배수마개를 몸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하되 내측에 냄새제거제를 삽입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외관의 미려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A interchangeable sanitary urinal Case}
본 고안은 소변기를 위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소변기에 탈, 부착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변기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하는 위치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기본적으로 소변 수용공간과 배수구를 포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소변기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2783호(2010.07.19.), "다목적 소변기용 장착기"가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광고 및 위생처리, 탈취 및 배출된 액체의 튐 방지를 위해 소변기 내부의 소변 수용공간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액체를 흡수 및 배출하기 위한 액체 투과성 수용부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다목적 소변기용 장착기는 실생활에 적용하기에는 제조단가가 매우 높다.
특히, 도 1에서와 같이 소변기의 주기적인 청소를 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소변때에 대한 해결책으로서는 부족한 구조로 이루어진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는 소변기의 소변 수용공간에 탈, 부착 가능한 형태의 몸체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이면서 화장실의 환경을 개설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폰지 형태의 배수마개를 형성하여 소변 또는 물의 튀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냄새제거제를 삽입해 외관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소변기의 소변 수용공간 내에 탈, 부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하기 때문에 관리자의 청소 소홀로 인하여 소변기의 오염이 발생할 경우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사용자는 물론 관리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한편, 화장실의 환경 및 냄새에 의한 불쾌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몸체를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환경개선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배수구 부분에 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마개를 형성해 소변이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마개에 칼집을 형성한 후 냄새제거제를 삽입하여 냄새제거제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냄새제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소변기의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스폰지로 형성되는 배수마개를 몸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하되 내측에 냄새제거제를 삽입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외관의 미려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 소변기의 오염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소변기의 다양한 종류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측면 단면도.
도 6은 도 3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배수마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의 소변기(1)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벽걸이 소변기, 스툴 소변기, 벽걸이 소툴 소변기 및 이외에 다른 종류의 모든 소변기를 지칭하는 것이다.
우선, 상술한 소변기(1)의 간단한 구조를 살펴보면,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소변 수용공간(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소변 수용공간(1a)의 하측에는 배수구(1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소변 수용공간(1a)은 주지하다시피 사용자가 별도의 작동버튼(도면에 미도시)을 이용해 소변 수용공간(1a) 내의 오염물질 또는 소변을 배출구(1b)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소변기(1)의 소변 수용공간(1a) 내에 결합하기 위한 몸체(10)가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소변기(1)의 소변 수용공간(1a)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측에는 소변기(1)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1b)로 물 및 소변이 이동할 수 있도록 배수홀(1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0)는 도 5에서와 같이 소변 수용공간(1a)의 길이방향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의 일부만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재질은 금속 또는 비금속 또는 합성수지 계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변기(1)의 소변 수용공간(1a)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관리자가 이를 소변 수용공간(1a)에 맞춰서 끼움 결합만 하여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더욱 확실하게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접착부재(E)를 몸체(10) 상단부에 형성하여 소변 수용공간(1a)에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작용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소변기(1)의 배수구(1b) 및 몸체(10)의 배수홀(12)을 통해 물 및 소변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배수구(1b) 및 배수홀(12)에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지되 다수의 기공(21)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마개(20)를 더 형성하여 용변을 볼 때에 소변 및 물이 배수구(1b) 및 배수홀(12)에 고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소변 또는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마개(20)의 기공(21)에 의해 배수마개(20)가 물 또는 소변을 머금기 때문에 소변 또는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소변 또는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마개(20)는 스폰지로 이루어져 있어 외측에 칼집(23)을 형성한 후 냄새제거제(22)를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지저분하게 냄새제거제(22)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아도 되어 화장실의 환경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소변 수용공간(1a)으로 냄새제거제(22)의 잔해가 남아있지 않아 관리자의 편의성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수마개(20)는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몸체(10)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할 경우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고, 다른 색상 또는 명도를 달리하여 형성할 경우에도 소변기(1)를 통한 화장실의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50)는 소변기(1)의 소변 수용공간(1a)에 간단히 부착하여 주기적으로 몸체(10)를 교체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주 청소를 하지 않음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이 지저분해 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르는 냄새발생도 현저히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몸체(10)와 같이 이용하는 배수마개(20)의 경우 몸체(10)의 교체시 같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수마개(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변 또는 물이 튀는 현상 방지 및 냄새제거제(22) 형성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쾌감 조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 : 소변기
1a : 소변 수용공간 1b : 배수구
10 : 몸체
11 : 소변 수납홈 12 : 배수홀 E : 접착부재
20 : 배수마개
21 : 기공 22 : 냄새제거제 23 : 칼집
50 :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

Claims (6)

  1. 내부에 소변 수용공간(1a)과 배수구(1b)를 포함하고 있는 소변기(1)의 소변 수용공간(1a)에 결합하는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1)에 형성된 소변 수용공간(1a)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소변 수납홈(11)을 포함하고 있으며, 하측에는 소변 수용공간(1a)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1b)로 소변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홀(12)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배수홀(12)에 삽입되며, 다수의 기공(21)이 형성되어 있는 스폰지 재질로 냄새제거제(22)를 삽입하기 위한 칼집(23)이 형성된 배수마개(2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10)는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재질은 금속 또는 비금속 또는 합성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소변기(1)의 소변 수용공간(1a)에 결합시 상부에 접착부재(E)를 이용해 접착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
  5. 삭제
  6. 삭제
KR2020140002007U 2014-03-13 2014-03-13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 KR200477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007U KR200477984Y1 (ko) 2014-03-13 2014-03-13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007U KR200477984Y1 (ko) 2014-03-13 2014-03-13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984Y1 true KR200477984Y1 (ko) 2015-08-12

Family

ID=5401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007U KR200477984Y1 (ko) 2014-03-13 2014-03-13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98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134B1 (ko) 2010-12-30 2012-11-26 손태국 남아용 소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134B1 (ko) 2010-12-30 2012-11-26 손태국 남아용 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00013A1 (en) Toilet plunger cleaning system
JP2010537091A (ja) 保守管理間隔を決定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2007314975A (ja) 洋風便器装置
CN105072962A (zh) 具备杀菌除臭剂的密闭型马桶盖
KR20110015873A (ko) 세제 일체형 청소솔
ITTO20070774A1 (it) Metodo per realizzare schiuma sanitaria in dispositivi sanitari
KR20160077260A (ko) 남성용 입식 소변기의 소변 비산 방지 패널
KR200477984Y1 (ko) 교체 가능한 위생용 소변기 케이스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20100049464A (ko)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KR200384276Y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JP2007056509A (ja) 水切り具
KR101687409B1 (ko) 소변기용 냄새차단기
KR101538436B1 (ko) 소독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는 일회용 변기커버
KR20210055379A (ko) 소변에 반응 하는 변기 위생 커버
JP2007308913A (ja) 水洗便器
KR100800151B1 (ko)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JP5947446B1 (ja) 窓付便ふた
JP3188715U (ja) 飛沫拡散防止構造
US20030098044A1 (en) Toilet bowl brush cleaning system
CA2464489A1 (en) Cover lid or handle for a urinal having a fresh scent compartment
CN212175969U (zh) 防溅用品及防溅坐便器
KR102117755B1 (ko) 변기 조립체
JP2003054608A (ja) 清浄器具
KR200376663Y1 (ko) 휴대용 비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