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151B1 -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151B1
KR100800151B1 KR1020060111941A KR20060111941A KR100800151B1 KR 100800151 B1 KR100800151 B1 KR 100800151B1 KR 1020060111941 A KR1020060111941 A KR 1020060111941A KR 20060111941 A KR20060111941 A KR 20060111941A KR 100800151 B1 KR100800151 B1 KR 100800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water supply
piston
supply devic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숙
Original Assignee
이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숙 filed Critical 이재숙
Priority to KR1020060111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2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single means not covered by groups B05C1/00 - B05C7/00, whether or not also using other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 마른 휴지는 건조하기 때문에 소변과 같이 수분이 있는 오물을 닦는데 적합하지만 반대로 대변과 같이 수분이 없는 오물을 닦는 데는 한계가 있는 점을 고려하여 수분이 없는 용변을 닦는데 휴지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화장실에 설치되는 액체 수용용기와, 용기를 개폐하고 액체를 정량식 공급하는 펌프식 캡으로 구성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펌프식 캡은, 용기 내부로 연장된 노즐을 통해 액체를 분출할 수 있도록 버튼 타입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튼은 액체를 펌프식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부와 피스톤부로 구성된다. 실린더부의 내부에는 피스톤부가 왕복 이동하도록 내부에 슬라이드홈이 성형되고, 슬라이드홈에는 피스톤부가 유출구 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과 액체 역류방지용 볼밸브가 설치된다. 피스톤부의 내부 중심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토출홈이 성형되고, 토출홈에는 압력유지용 볼밸브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간단한 원터치 동작만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어 어린이나 노약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펌프, 수용용기, 실린더, 볼밸브, 화장실

Description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Pump type moisture supply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에 의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A-A를 절단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A를 절단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 도 13 및 도 1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110: 용기
112: 주입마개 114: 배출마개
116: 투명 계량부 120: 펌프식 캡
130: 버튼 140: 실린더부
142: 슬라이드홈 144: 탄성스프링
150: 역류방지용 볼밸브 160: 피스톤부
162: 토출홈 170: 압력유지용 볼밸브
180: 노즐 182: 필터
190: 커버 192: 제1커버
194: 제2커버
본 발명은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지는 건조하기 때문에 수분이 있는 오물, 예컨대 소변을 닦는데 유용하지만, 반대로 수분이 없는 오물을 닦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마른 휴지에 원하는 량만큼 수분을 정량식 공급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변을 마친 후에 항문을 휴지로 닦을 경우 휴지는 건조하기 때문에 항문에 상처를 낼 수 있고, 항문 부위에 대변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여성의 경우에는 소변 후에도 휴지를 사용하여 생식기를 닦는 경우가 있으며, 마른 휴지에 의하여 생식기 역시도 상처를 받을 수 있다.
특히 항문이나 생식기에 냄새가 날 수 있으며, 각종 세균으로 염증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냄새와 세균을 대변이나 소변 후 바로바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물론, 비데(bidet)와 같이 항문과 생식기를 세척하는 기구가 개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비데는 용변 후, 생식기와 항문 주위를 세척하는 데 쓰이는 기구로서, 일반가정에서 위생 청결을 위해 사용되거나 혹은 의료용으로 사용되며, 용변 후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구 중앙부에서 냉수 혹은 온수가 분출되어 부드럽게 국부를 세척해주며, 치질, 방광염, 질염, 설사로 인한 쓰라림 등을 제거하는 데 적합하고, 여성의 월경과 산후조리 시에도 사용된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욕구를 높여주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춘 비데로 등장하고 있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비데 는 반드시 좌변기에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이 상당히 고가(高價)여서 대중화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위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티슈(wet tissue)가 있다. 이와 같은 물티슈는 식당이나 공공장소에서 인체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회용 물수건으로서 피부 청량감을 주기 위하여 알코올이나 멘톨 등의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피부에 직접 사용되기 때문에 과다한 알코올이나 멘톨의 사용은 피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용변 후 용변을 제거하기 위하여 용변 부위에만 수분을 공급하면 충분한데, 전체가 젖어 있기 때문에 수분 등이 불필요하게 손에 묻거나 용변이 수분으로 전달되어 손에 뭍을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변을 마친 후 마른 휴지로 용변 부위를 닦을 경우 용변이 덜 닦였다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른 휴지의 일부분에만 정량식 적셔줄 수 있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린이나 노약자 혹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도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마른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용변 후 용변부위에서 용변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한 휴지의 일부분에만 용액을 공급함으로써 용변 부위를 적셔주는 수분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측이 개방되어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개폐하고 펌프식으로 상기 액체를 정량식 공급하는 펌프식 캡을 포함한다.
상기 펌프식 캡은, 액체를 분출하는 버튼과, 상기 용기의 내부로 연장된 노즐과, 상기 용기의 개방부를 밀봉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은, 액체를 펌프식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부와 피스톤부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부가 왕복 이동하도록 내부에 슬라이드홈이 성형되고, 일측으로는 상기 피스톤부가 삽입되도록 개방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노즐이 체결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에는 상기 피스톤부가 유출구 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이 안착된다.
상기 피스톤부의 내부 중심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토출홈이 성형된다.
상기 피스톤부의 내부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토출홈이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다수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부의 내부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토출홈이 중심과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부의 내부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토출홈이 중심에서 일정한 거리에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토출홈 유입구 측에는 피스톤의 팽창작용시 상기 실린더부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압력유지용 볼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홈 유입구 측에는 피스톤의 팽창작용시 상기 실린더부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압력유지용 환형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홈의 유입구 측에는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용 볼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실린더부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용기의 개구부에 나사체결되는 제1커버와, 상기 피스톤부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피스톤부의 외연을 확장하여 상기 버튼을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2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는 물과 같은 수용액이며, 쑥, 감초, 백지와 같은 생약성분이 더 포함된다.
상기 노즐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액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필터에는 상기 생약성분이 혼합된다.
상기 수분 공급장치가 화장실 벽 일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에 의하면 원하는 부분에만 수분을 적셔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는, 액체를 수용하고 상부가 개구된 용기(110)와, 상기 용기(110)를 개폐하는 펌프식 캡(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110)는 상기 펌프식 캡(120)과는 별도로 액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주입마개(112) 및 배출마개(114)를 더 구비한다. 상기 펌프식 캡(120)은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기능도 갖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후술할 노즐(180)과 필터(182) 그리고 버튼(130)을 조립하고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고, 상기 주입마개(112)와 배출마개(114)는 전적으로 액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기(110)의 측면 일측에는 내부의 액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계량부(1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식 캡(120)은, 액체를 정량씩 분출시키는 버튼(130)과 용기(110)의 내부로 연장된 노즐(180) 그리고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커버(190)로 구성된다.
상기 버튼(130)은 액체를 펌프식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부(140)와 피스톤부(160)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부(140)에는 피스톤부(160)가 왕복 이동하도록 내부에 슬라이드 홈(142)이 성형되고 일측으로는 피스톤부(160)가 삽입되도록 개방되고, 타측으로는 노즐(180)이 체결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된다. 슬라이드홈(142)에는 피스톤부(160)가 유출구 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144)이 안착되고, 슬라이드홈(142)의 유입구 측에는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용 볼밸브(150)가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부(160)는 슬라이드홈(142)에 대응되는 크기의 직경으로 제작되고, 내부 중심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의 토출홈(162)이 성형된다. 토출홈(162)의 유입구 측에는 피스톤의 팽창작용시 실린더부(140)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압력유지용 볼밸브(170)가 설치되고, 토출홈(162)의 유출구 내측에는 압력유지용 볼밸브(170)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스토퍼(도면부호 없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180)의 일측에는 액체 속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18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182) 내부에는 부직포, 섬유 혹은 금속 등 다양한 여과망이 설치되며, 상기 여과망은 그물망의 구조를 한다. 또한, 필터(182)의 교환 및 청소를 위하여 필터(182)는 노즐(180)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190)는 실린더부(14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용기(110)의 개구부에 나사체결되는 제1커버(192)와, 피스톤부(16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버튼(130)을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부(160)의 외연을 확장하는 제2커버(194)로 구성된다. 상기 제2커버(194) 상에는 피스톤부(160)의 유출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3커버(도시되지 않음)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는 물과 같은 수용액이 사용될 수 있는데, 물은 항균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하지 않고 오히려 세균을 제공하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세정기능을 하는 세정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세정제에는 감초, 찬궁, 백복령, 금은화, 백지, 백년초와 같은 생약성분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지노베타딘과 같은 청결재가 물과 일정한 배율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치네올, 세스, 커텔펜 등 향성분을 지니고 있고, 그 외 각종 비타민과, 철분, 칼슘, 인 등의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쑥을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쑥 기타 생약성분은 액체에 직접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상기 필터(182)의 여과망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정제는 소염 및 청결작용은 물론이고 피부를 보호하며 혈액순환을 도와준다.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하면, 토출홈(162)이 피스톤부(16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부(140)에서 토출되는 양이 한정되고, 그 중앙에서만 액체를 분출하기 때문에 대상물을 넓은 면적에서 골고루 적시기에 한계가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실린더부(240)에는 피스톤부(260)가 왕복 이동하도록 내부에 슬라이드홈(242)이 성형되고 일측으로는 피스톤부(260)가 삽입되도록 개방되고, 타측으로는 노즐(180)이 체결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는 점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피스톤부(260)는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다수의 토출홈(262)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토출홈(262)을 통해서 액체가 다량 토출된다. 토출홈(262)의 유입구 측에는 피스톤의 팽창작용시 실린더부(240)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압력유지용 볼밸브(270)가 상기 토출홈(262) 각각에 설치된다. 상기 압력 유지용 볼밸브(270)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스토퍼가 상기 피스톤부(26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밸브(270)의 조립을 위하여 피스톤부(260)가 상하로 분리되어 성형되고 상호 나사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홈(242)에는 피스톤부(260)가 유출구 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244)이 안착되고, 슬라이드홈(242)의 유입구 측에는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용 볼밸브(250)가 설치되는데, 상기 탄성스프링(244)은 상협하광의 원뿔형 스프링이 사용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스톤부(360)의 내부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토출홈(362)이 그 중심에 성형될 뿐만 아니라, 그 외곽에도 동일한 거리에서 다수 형성됨으로써 그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스톤부(460)의 내부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토출홈(462)이 그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환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환형의 토출홈(462)으로부터 액체를 최대량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압력유지용 밸브는 환형밸브(470)가 사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100)는 화장실의 휴지를 걸어놓는 벽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원하는 양만큼 액체를 적시어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의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주입마개(112)를 통해 액체를 용기(110)에 충진하고 펌프식 캡(120)을 용기에 나사 체결한다. 필요한 경우 제3커버(도시되지 않음)를 힌지 회동시켜 개방하 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194)의 상면을 손가락으로 톡톡 두드리게 되면 제2커버(194)와 연결된 피스톤부(160)가 아래로 하강하면서 압축된다. 슬라이드홈(142)에 있던 공기는 압력에 의하여 압력유지용 볼밸브(170)를 위로 밀어내고 피스톤부(160)의 유입구 측으로 배출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놓게 되면 피스톤부(160)는 탄성스프링(144)에 의하여 위로 탄발력을 받게 되며 피스톤부(160)가 팽창한다. 압력유지용 볼밸브(170)가 토출홈(162)을 막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홈(142)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서 노즐(180)을 통해 용기(110)의 액체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슬라이드홈(142)으로 공급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제2커버(194)의 상면을 톡톡 치게 되면 제2커버(194)와 연결된 피스톤부(160)가 다시 아래로 하강하면서 압축되고, 역류방지용 볼밸브(150)가 슬라이드홈(142)의 유입구를 폐쇄하면서 슬라이드홈(142)에 충진된 액체가 압력유지용 볼밸브(170)를 위로 밀어내고, 액체를 토출홈(162)으로 정량씩 분출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용기(110)의 액체는 필터(182)를 거쳐 노즐(18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본체와 일체형이 아닌 상부와 하부로 이분되어 상부를 뚜껑 형식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렇게 구성하면 용기를 청소하거나,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 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른 휴지는 수분이 있는 오물을 제 거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수분이 없는 오물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휴지에 수분을 원하는 만큼 정량식 공급하기 위하여 수용용기를 개폐하는 캡을 펌프식으로 설치하는 구성을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가정이나 식당에서도 식탁이나 거울 등을 닦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용변을 마친 후 마른 휴지에 수분을 적셔줌으로써 용변 부위를 닦을 경우 용변이 잘 닦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둘째, 마른 휴지의 필요한 일부분에만 정량식 적셔줄 수 있어 오물이 손에 스며들지 않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셋째, 원터치 방식으로 가볍게 두들겨주는 동작만으로도 원하는 수분을 공급할 수 있어,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도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마른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용변 후 용변부위에서 용변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한 휴지의 일부분에만 용액을 공급함으로써 용변 부위를 적셔주는 수분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측이 개방되어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를 개폐하고 펌프식으로 상기 액체를 정량식 공급하는 펌프식 캡;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식 캡은,
    상기 액체를 분출하는 버튼;
    상기 용기의 내부로 연장된 노즐; 및
    상기 용기의 개방부를 밀봉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상기 액체를 펌프식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부와 피스톤부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부가 왕복 이동하도록 내부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며, 일측으로는 상기 피스톤부가 삽입되도록 개방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노즐이 체결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는 상기 피스톤부가 유출구 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이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의 내부 중심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토출홈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의 내부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토출홈이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의 내부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토출홈이 중심과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의 내부에는 액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토출홈이 중심에서 일정한 거리에 환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8.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홈 유입구 측에는 피스톤의 팽창작용시 상기 실린더부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압력유지용 볼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홈 유입구 측에는 피스톤의 팽창작용시 상기 실린더부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압력유지용 환형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의 유입구 측에는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용 볼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11. 마른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용변 후 용변부위에서 용변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한 휴지의 일부분에만 용액을 공급함으로써 용변 부위를 적셔주는 수분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측이 개방되어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를 개폐하고 펌프식으로 상기 액체를 정량식 공급하는 펌프식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펌프식 캡은,
    상기 액체를 분출하는 버튼;
    상기 용기의 내부로 연장된 노즐; 및
    상기 용기의 개방부를 밀봉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실린더부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용기의 개구부에 나사체결되는 제1커버; 및
    상기 피스톤부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부의 외연을 확장하여 상기 버튼을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2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물과 같은 수용액이며, 쑥, 감초, 백지와 같은 생약성분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액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필터에는 상기 생약성분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장치가 화장실 벽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KR1020060111941A 2006-11-14 2006-11-14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KR100800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941A KR100800151B1 (ko) 2006-11-14 2006-11-14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941A KR100800151B1 (ko) 2006-11-14 2006-11-14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151B1 true KR100800151B1 (ko) 2008-02-01

Family

ID=3934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941A KR100800151B1 (ko) 2006-11-14 2006-11-14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1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7115A2 (ko) * 2009-01-03 2010-07-08 Kim Jae-Ho 비데대용 세정용 급수장치
CN107054237A (zh) * 2017-06-02 2017-08-18 安徽金诚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车用卫生间污物转运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8693U (ja) 1983-03-25 1984-10-04 小島 良教 紙を濡らす装置
KR19990008096U (ko) * 1998-11-20 1999-02-25 김병상 청결제를 함유한 세척수로 닦아내는 위생화장지케이스
JPH11165757A (ja) 1997-11-28 1999-06-22 Yoshino Kogyosho Co Ltd 液受皿を取り付けた注出容器
JP2000166804A (ja) * 1998-12-07 2000-06-20 Daiichi Seiko Kk ウェットティシュ供給器
KR200362339Y1 (ko) 2004-06-17 2004-09-16 강성일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8693U (ja) 1983-03-25 1984-10-04 小島 良教 紙を濡らす装置
JPH11165757A (ja) 1997-11-28 1999-06-22 Yoshino Kogyosho Co Ltd 液受皿を取り付けた注出容器
KR19990008096U (ko) * 1998-11-20 1999-02-25 김병상 청결제를 함유한 세척수로 닦아내는 위생화장지케이스
JP2000166804A (ja) * 1998-12-07 2000-06-20 Daiichi Seiko Kk ウェットティシュ供給器
KR200362339Y1 (ko) 2004-06-17 2004-09-16 강성일 화장품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7115A2 (ko) * 2009-01-03 2010-07-08 Kim Jae-Ho 비데대용 세정용 급수장치
WO2010077115A3 (ko) * 2009-01-03 2010-10-14 Kim Jae-Ho 비데대용 세정용 급수장치
CN107054237A (zh) * 2017-06-02 2017-08-18 安徽金诚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车用卫生间污物转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07409A1 (en) Portable Vibrating Bidet
KR20130109918A (ko) 버블공급기구를 구비한 도기세정장치 및 도기세정장치의 세정방법
US7818824B2 (en) Portable baby sanitizer with air pump
KR100800151B1 (ko) 펌프식 수분 공급장치
CN210522833U (zh) 一种可切换过滤及提示更换滤芯的多功能花洒
KR100585485B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101494264B1 (ko) 대장 세척기
KR200384276Y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US201100677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hygiene
CN113847461A (zh) 一种便捷式下压水龙头
JP4949574B2 (ja) 清浄器具
US20050159713A1 (en) Portable and self-contained lavage apparatus
CN110629843A (zh) 防溅水马桶
KR20170037204A (ko) 세정수 분사용 압축기를 구비한 착탈식 핸드비데
KR100705602B1 (ko) 정수 토출형 비데기
KR200253066Y1 (ko) 휴대용 위생 세정기
KR200239444Y1 (ko) 정수기의 보조저수통장치
KR102165022B1 (ko) 손 세정장치
US20060207007A1 (en) Portable bidet
CN214833164U (zh) 一种下水道驱虫防臭装置
KR200364804Y1 (ko) 구강용 세척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CN110052338B (zh) 一种可切换过滤及提示更换滤芯的多功能花洒
KR200369270Y1 (ko) 휴대형 비데의 여성전용 노즐
KR200329773Y1 (ko) 비데기용 살균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