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748Y1 -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 - Google Patents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748Y1
KR200477748Y1 KR2020150001178U KR20150001178U KR200477748Y1 KR 200477748 Y1 KR200477748 Y1 KR 200477748Y1 KR 2020150001178 U KR2020150001178 U KR 2020150001178U KR 20150001178 U KR20150001178 U KR 20150001178U KR 200477748 Y1 KR200477748 Y1 KR 200477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tick
gripping
foot
sti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용
Original Assignee
김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용 filed Critical 김성용
Priority to KR2020150001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7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1/00Umbrellas convertible into walking 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에 관한 것으로서, 파지용 손잡이부; 우산 수납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관상체로 마련되며, 상기 파지용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틱 결합보스가 일측 단부에 마련되고 타측 단부에 푸트가 마련되는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 및 상기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 내에 수납 가능하며, 상기 파지용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산 결합보스가 단부에 마련되는 우산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CLIMBING STICK WITH UMBRELLA}
본 고안은,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하여 우산을 접거나 펼쳐 사용하기가 종래보다 용이한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에 관한 것이다.
등산 스틱은 등산이나 야외 활동 시 가파른 언덕을 보다 손쉽고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레저용 도구이다.
이러한 등산 스틱은 등산객이 산행을 할 때, 등산 스틱으로 지면을 짚어 체중에 의한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장시간의 산행에 의해 무릎이나 발목의 관절에 무리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근래 들어, 정신적 또는 육체적 건강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등산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등산 스틱의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종전만 하더라도 등산 스틱은 지팡이의 역할만을 수행하여 왔으나 요즘에는 등산 스틱에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 기능성 등산 스틱이 개발되고 있다. 즉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9030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6178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9-002381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1-0000358호처럼 다양한 기능과 구조를 갖는 등산 스틱에 대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상기 문헌에 개시된 기술들 중에서 특히,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9-0023815호에 개시된 등산 스틱, 즉 다목적 지팡이의 경우에는 우산이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처럼 우산이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우산을 별도로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에서 탈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문헌을 비롯하여 종래기술에 개시된 우산을 구비하는 등산 스틱의 경우, 구조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우산을 펼치거나 접어 보관하기가 불편함은 물론 실질적으로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진보된 형태의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9030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6178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9-002381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1-0000358호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하여 우산을 접거나 펼쳐 사용하기가 종래보다 용이한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파지용 손잡이부; 우산 수납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관상체로 마련되며, 상기 파지용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틱 결합보스가 일측 단부에 마련되고 타측 단부에 푸트가 마련되는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 및 상기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 내에 수납 가능하며, 상기 파지용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산 결합보스가 단부에 마련되는 우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파지용 손잡이부는, 외면에 그립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에 연결되며, 상기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의 스틱 결합보스 또는 상기 우산의 우산 결합보스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스 결합용 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의 표면에는 상기 우산의 수납 여부를 관찰하는 관찰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산 수납공간부의 하부에는 상기 우산의 푸트가 배치되는 푸트 배치홈부이 형성되며, 상기 푸트 배치홈부의 주변에는 상기 우산 수납공간부 및 상기 푸트 배치홈부 내의 물기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우산 수납공간부 영역을 가열하는 가열부재; 및 상기 파지용 손잡이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열부재를 온/오프(on/off) 구동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하여 우산을 접거나 펼쳐 사용하기가 종래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처럼 우산이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기상조건에 무관하게 우산을 별도로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에서 탈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와 우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파지용 손잡이부에 우산이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우산을 펼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우산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에서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와 우산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의 구조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와 우산의 사시도, 도 4는 파지용 손잡이부에 우산이 결합된 상태도, 그리고 도 5는 도 4에서 우산을 펼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100)은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하여 우산(140)을 접거나 펼쳐 사용하기가 종래보다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서, 파지용 손잡이부(110),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120), 그리고 우산(14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파지용 손잡이부(110)는 등산 스틱(10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파지용 손잡이부(110)는 외면에 그립 가이드 홈(111a)이 형성되는 그립부(111)와, 그립부(111)에 연결되는 보스 결합용 네크(112)를 포함한다.
그립부(111)는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그립감이 우수한 재질, 예컨대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립 가이드 홈(111a)은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홈으로써, 손에 대한 밀착력이 우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스 결합용 네크(112)는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120)의 스틱 결합보스(123) 또는 우산(140)의 우산 결합보스(14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소를 이룬다.
본 실시예의 경우,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120)의 스틱 결합보스(123)와 우산(140)의 우산 결합보스(141)는 나사 방식으로 보스 결합용 네크(112)에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나사 방식이 사용될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후크 결합 방식으로 적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참고로, 보스 결합용 네크(112)에 스틱 결합보스(123)와 우산 결합보스(141)가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보스 결합용 네크(112)의 내부는 이중 나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확대 그림처럼 내측 나사부(112a)에는 사이즈가 작은 우산 결합보스(141)가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외측 나사부(112b)에는 사이즈가 크면서 관 형태로 된 스틱 결합보스(123)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보스 결합용 네크(112)가 이중 나사 구조를 가질 경우, 보스 결합용 네크(112)에 스틱 결합보스(123)와 우산 결합보스(141)가 함께 모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립부(111)의 단부에는 홀(113)이 형성되며, 홀(113)에는 고리(114)가 끼워질 수 있다. 고리(1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100)을 매달아 보관하거나 손에 감아 지지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120)는 파지용 손잡이부(110)에 연결되는 길이가 긴 봉 타입의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120)는 우산 수납공간부(121)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게 관상체로 마련된다.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120)의 일측 단부에는 파지용 손잡이부(110)의 보스 결합용 네크(112)에 나사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틱 결합보스(123)가 마련된다.
그리고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120)의 타측 단부에는 푸트(124)가 마련된다. 푸트(124)는 지면에 잘 지지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푸트(124)의 상부 영역에는 푸트(124)보다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푸트(124)의 지면에 대한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커트부(125)가 마련된다. 물론, 스커트부(125)가 없는 타입의 등산 스틱일지라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산(140)은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120)의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120) 내에 수납 가능하다.
즉 평상시에는 도 1처럼 우산(140)이 접힌 상태에서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120)의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120) 내에 수납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파지용 손잡이부(110)에서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120)를 분리하면 우산(140)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우산(140)이 파지용 손잡이부(1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우산(140)의 단부에는 파지용 손잡이부(110)의 보스 결합용 네크(1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산 결합보스(141)가 마련될 수 있다. 우산 결합보스(141)와 보스 결합용 네크(112) 역시, 나사식 결합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1과 같은 평상시 상태에서 파지용 손잡이부(110)로부터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120)를 분리하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도 5처럼 우산(140)을 펼쳐 사용하면 된다.
만약, 파지용 손잡이부(110)로부터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120)를 분리했을 때, 우산(140)이 분리되어 있다면 우산(140)의 우산 결합보스(141)를 파지용 손잡이부(110)의 보스 결합용 네크(112)에 결합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하여 우산(140)을 접거나 펼쳐 사용하기가 종래보다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우산(140)이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기상조건에 무관하게 우산(140)을 별도로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에서 탈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200) 역시, 파지용 손잡이부(110)와, 파지용 손잡이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산(140, 도 5 참조)이 수납 가능한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220)의 표면에는 우산(140)의 수납 여부를 관찰하는 관찰창(225)이 형성된다.
관찰창(225)이 형성됨에 따라 굳이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220)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내부의 우산(140)을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하여 우산(140)을 접거나 펼쳐 사용하기가 종래보다 용이하며, 기상조건에 무관하게 우산(140)을 별도로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에서 탈피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300) 역시, 우산(140, 도 5 참조)이 수납되는 우산 수납공간부(321)가 내부에 형성되는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우산 수납공간부(321)의 하부에는 우산(140)의 푸트(142, 도 5 참조)가 배치되는 푸트 배치홈부(322)가 형성되는데, 푸트 배치홈부(322)의 주변에는 우산 수납공간부(321) 및 푸트 배치홈부(322) 내의 물기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공(325)이 형성된다.
배수공(325)은 다수 개가 적용되는 것이 유리하며, 도시된 것처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배수 작용에 효과적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배수공(325)이 적용됨으로써 우산 수납공간부(321) 및 푸트 배치홈부(322) 내에 물기가 고여 섞거나 악취를 풍기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하여 우산(140)을 접거나 펼쳐 사용하기가 종래보다 용이하며, 기상조건에 무관하게 우산(140)을 별도로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에서 탈피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의 구조도이고,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400) 역시, 파지용 손잡이부(410)와, 파지용 손잡이부(4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산(140)이 수납되는 우산 수납공간부(421)가 내부에 형성되는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420)에는 우산 수납공간부(421) 영역을 가열하는 가열부재(450)가 마련되고, 파지용 손잡이부(410)에는 가열부재(450)를 온/오프(on/off) 구동시키는 스위치(460)가 마련된다.
이에, 스위치(460)를 누르면 가열부재(450)가 동작되면서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420) 내의 우산 수납공간부(421) 영역을 가열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기로 인해 우산 수납공간부(421) 내에 물기가 고여 섞거나 악취를 풍기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항시 건조가 완료된 우산(140)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하여 우산(140)을 접거나 펼쳐 사용하기가 종래보다 용이하며, 기상조건에 무관하게 우산(140)을 별도로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에서 탈피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우산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500) 역시, 우산(140)이 수납되는 우산 수납공간부(521)가 내부에 형성되는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우산 수납공간부(521)의 하부에는 우산(140)의 푸트(142)가 배치되는 푸트 배치홈부(522)가 형성되는데, 푸트 배치홈부(522)에는 우산(140)의 푸트(142)가 탄성적으로 끼워져서 고정되는 푸트 탄성 고정구(570)가 마련된다.
이처럼 푸트 배치홈부(522)에 푸트 탄성 고정구(570)가 마련되고 이곳에 우산(140)의 푸트(142)가 탄성적으로 끼워져서 고정될 경우, 안정적으로 우산(140)이 수납될 수 있으며, 또한 우산(140)의 푸트(142)가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520)의 내벽에 부딪혀 소음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저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하여 우산(140)을 접거나 펼쳐 사용하기가 종래보다 용이하며, 기상조건에 무관하게 우산(140)을 별도로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에서 탈피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에서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와 우산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620)는 분리 또는 결합용 너트(625)에 의해 2개의 제1 및 제2 바디부(620a,620b)로 나뉠 수 있는데, 각각의 제1 및 제2 바디부(620a,620b) 내의 공간에 사이즈가 작은 우산(140a)이 개별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620) 내에 다수의 우산(140a)이 수납될 경우, 필요에 따라 하나만을 꺼내어 사용할 수 있고, 혹은 우산(140a)이 없는 주변 동료에게 우산(140a)을 나누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콤팩트하여 우산(140a)을 접거나 펼쳐 사용하기가 종래보다 용이하며, 기상조건에 무관하게 우산(140a)을 별도로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에서 탈피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상기 사항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에 도시된 등산 스틱(100)에 삽입되는 우산(140)으로 인한 부피 증가를 개선하기 위해, 등산 스틱(100)에 삽입되는 우산(미도시)은 대(shank)를 포함하지 않고, 살과 천만을 포함한 상태에서 우산 수납공간부(121)에 수납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우산에 대(shank)가 없기 때문에 우산의 전체적인 부피가 축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산 수납공간부(121)를 과도하게 크게 제조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우산을 사용할 때는 등산 스틱(100)의 푸트(124)에 결합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때, 푸트(124)의 단부에는 흙 등의 이물이 뭍을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푸트(124)의 단부가 아닌 내측에 스크루 또는 단차를 형성시켜 나사 또는 압입 결합 등의 방식으로 우산이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등산 스틱 110 : 파지용 손잡이부
111 : 그립부 112 : 보스 결합용 네크
113 : 홀 114 : 고리
120 :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 121 : 우산 수납공간부
123 : 스틱 결합보스 124 : 푸트
125 : 스커트부 140 : 우산
141 : 우산 결합보스

Claims (5)

  1. 파지용 손잡이부;
    우산 수납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관상체로 마련되며, 상기 파지용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틱 결합보스가 일측 단부에 마련되고 타측 단부에 푸트가 마련되는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 및
    상기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 내에 수납 가능하며, 상기 파지용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산 결합보스가 단부에 마련되는 우산을 포함하고,
    상기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우산 수납공간부 영역을 가열하는 가열부재; 및
    상기 파지용 손잡이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열부재를 온/오프(on/off) 구동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손잡이부는,
    외면에 그립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에 연결되며, 상기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의 스틱 결합보스 또는 상기 우산의 우산 결합보스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스 결합용 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수납용 스틱 바디의 표면에는 상기 우산의 수납 여부를 관찰하는 관찰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수납공간부의 하부에는 상기 우산의 푸트가 배치되는 푸트 배치홈부이 형성되며,
    상기 푸트 배치홈부의 주변에는 상기 우산 수납공간부 및 상기 푸트 배치홈부 내의 물기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
  5. 삭제
KR2020150001178U 2015-02-23 2015-02-23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 KR200477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178U KR200477748Y1 (ko) 2015-02-23 2015-02-23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178U KR200477748Y1 (ko) 2015-02-23 2015-02-23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748Y1 true KR200477748Y1 (ko) 2015-07-15

Family

ID=5379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178U KR200477748Y1 (ko) 2015-02-23 2015-02-23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74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9681A (zh) * 2016-12-27 2017-04-26 北京融创远大网络科技有限公司 多功能拐杖行踪数据采集终端及多功能老人行踪管理系统
CN106723743A (zh) * 2016-12-27 2017-05-31 北京融创远大网络科技有限公司 多功能老人行踪管理系统
KR102258346B1 (ko) * 2020-06-29 2021-05-31 김도형 등산스틱 겸용 우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915A (ja) * 1993-03-05 1994-09-13 Ishida Kinzoku Kk ステッキ
KR200181058Y1 (ko) * 1999-11-02 2000-05-15 이정옥 다목적 지팡이
JP2001070021A (ja) * 1999-09-01 2001-03-21 Michiya Obara 傘を収蔵した杖
KR200418437Y1 (ko) * 2006-03-27 2006-06-12 신승엽 우산이 수납되는 지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915A (ja) * 1993-03-05 1994-09-13 Ishida Kinzoku Kk ステッキ
JP2001070021A (ja) * 1999-09-01 2001-03-21 Michiya Obara 傘を収蔵した杖
KR200181058Y1 (ko) * 1999-11-02 2000-05-15 이정옥 다목적 지팡이
KR200418437Y1 (ko) * 2006-03-27 2006-06-12 신승엽 우산이 수납되는 지팡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9681A (zh) * 2016-12-27 2017-04-26 北京融创远大网络科技有限公司 多功能拐杖行踪数据采集终端及多功能老人行踪管理系统
CN106723743A (zh) * 2016-12-27 2017-05-31 北京融创远大网络科技有限公司 多功能老人行踪管理系统
WO2018103425A1 (zh) * 2016-12-27 2018-06-14 广州云琅信息科技有限公司 多功能拐杖行踪数据采集终端及多功能老人行踪管理系统
KR20180087233A (ko) * 2016-12-27 2018-08-01 광저우 윈랑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다기능 지팡이 행적데이터 수집단말 및 다기능 노인행적 관리시스템
KR101964182B1 (ko) * 2016-12-27 2019-04-02 광저우 윈랑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다기능 지팡이 행적데이터 수집단말 및 다기능 노인행적 관리시스템
KR102258346B1 (ko) * 2020-06-29 2021-05-31 김도형 등산스틱 겸용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748Y1 (ko) 우산을 구비한 등산 스틱
US9486044B1 (en) Reverse folding umbrella
CA2695701C (en) Fixing device of sports stick with variable length
CN201929179U (zh) 具有内置伞具的手杖
KR101195711B1 (ko) 접이식 지팡이
TWI533862B (zh) 多合一拐杖
KR101472658B1 (ko) 워킹 스틱
KR101683754B1 (ko) 의자 겸용 지팡이
KR101868080B1 (ko)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
KR102258346B1 (ko) 등산스틱 겸용 우산
CN205492841U (zh) 腋下手扶拐杖
CN201468222U (zh) 具手杖功能的三脚椅
KR200336613Y1 (ko) 다단식 지팡이용 연결관의 클램핑장치
CN207744783U (zh) 一种伞具
KR200467433Y1 (ko) 기능성 등산용 지팡이
CN204048374U (zh) 多功能折叠式拐杖
CN108209076A (zh) 带定位卡扣的伸缩手杖
KR200475502Y1 (ko) 분리형 다단식 지팡이
KR200454237Y1 (ko) 손토시가 내장된 등산용 스틱
KR20100004232U (ko)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JP4826930B2 (ja) 自立可能な杖
CN219679945U (zh) 一种雨伞防水收纳套
KR200302370Y1 (ko) 우산의 빗물 수집장치
TWM518904U (zh) 反折拐杖傘
JP2009066238A (ja) 伸縮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