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658B1 - 워킹 스틱 - Google Patents

워킹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658B1
KR101472658B1 KR1020130016433A KR20130016433A KR101472658B1 KR 101472658 B1 KR101472658 B1 KR 101472658B1 KR 1020130016433 A KR1020130016433 A KR 1020130016433A KR 20130016433 A KR20130016433 A KR 20130016433A KR 101472658 B1 KR101472658 B1 KR 101472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folded
cap
stick body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2917A (ko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130016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65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2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45B1/04Walking sticks with means for hanging-up or with l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킹 스틱에 관한 것으로, 워킹 스틱을 구성하는 스틱 본체를 분리된 관체의 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관체를 서로 연결한 상태로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요소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며, 관체의 절첩 상태를 락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스틱 본체를 일자로 편 상태로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락수단을 해제하여 스틱 본체를 접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워킹 스틱을 접이식으로 간편하게 펴거나 접을 수 있어 쉽게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펼친 상태에서의 록킹 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 쉽게 체결하거나 풀 수 있으므로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인의 경우에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중 풀림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워킹 스틱{trekking Pole}
본 발명은 워킹 스틱에 관한 것으로,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의 구조가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간편하게 펼쳐서 사용하거나 접어서 보관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워킹 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킹 스틱은 보행시 보조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주로 등산을 하거나 트래킹을 할 때 사용하고 오르막이나 내리막길 계단 등에서 균형감각을 보완하고 체중을 지지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충격을 완화하여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워킹 스틱의 구조는 스틱 본체의 하단에 스파이크가 형성되고 스틱 본체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스틱 본체가 하나의 관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휴대 및 보관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가벼운 등산을 하거나 트래킹을 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20리터 미만의 작은 백팩에 물이나 간식, 기타 소지품 등을 넣어 다니는데, 이러한 백팩에 등산스틱을 담을 수 없어서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틱 본체를 내관과 외관의 이중 관체로 형성하여 스틱 본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것의 문제가 사용중 하중을 많이 받으면 관체를 연결하는 락장치 부분이 파열되거나 풀리게 되고, 지면에 스틱을 지탱하는 순간 내관이 외관에 삽입되어버리면서 체중이 쏠려 넘어지게 되며, 매우 위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 락장치 부분을 강하게 조여서 풀림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악력이 낮은 여성이나 노인의 경우에는 여전히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또한 이렇게 강하게 조이면 풀 때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되어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스틱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스파이크는 대부분 철심을 박아 형성하는 등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바닥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이 단순히 균형을 맞춰주고 체중의 분산을 할 뿐이어서 등산용으로만 사용시 효과가 있을 뿐이고, 트래킹이나 워킹 운동을 할 때 바른 보행자세를 유도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62076호(2004.09.0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8330호(2005.10.05)
따라서 본 발명은 스틱 본체를 휴대하거나 보관할 경우에 보다 간편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펼친 상태에서는 수직하중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틱 본체의 상,하측으로 손잡이와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워킹 스틱에 있어서, 스틱 본체를 분리된 관체의 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관체를 서로 연결한 상태로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요소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며, 관체의 절첩 상태를 락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스틱 본체를 일자로 편 상태로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락수단을 해제하여 스틱 본체를 접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요소는 가요성 와이어를 이용하여 관체를 서로 연결하고, 관체가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는 끼움 수단을 형성하여 관체를 끼워 고정하도록 하며, 락수단은 관체에 타공홀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탄성 작동하는 탄성버튼을 내장하여 관체의 맞물림 상태를 걸어 고정하거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요소는 분리된 관체가 하나의 축 또는 두 개의 축에 의하여 힌지 작동되도록 하여 절첩 가능토록 하고, 그 절첩된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하여 스틱 본체를 펴서 사용하거나 접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틱 본체의 하단에는 스파이크에 보조캡을 끼워 휴대하거나 보관할 때 스파이크가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보조캡의 하단부에는 만곡면을 형성함으로써 트래킹이나 워킹 운동시 바른 보행 자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워킹 스틱을 접이식으로 간편하게 펴거나 접을 수 있어 쉽게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펼친 상태에서의 록킹 상태가 매우 견고하여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 쉽게 체결하거나 풀 수 있으므로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인의 경우에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중 풀림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조캡을 분리하거나 끼워 사용함으로써 등산이나 트래킹 또는 워킹 운동 또는 휴대하여 이동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보조캡에 의하여 걷는 상황에서의 힘을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고 바른 걸음걸이를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워킹 스틱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틱본체의 절첩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틱본체의 절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워킹 스틱의 외관도
도 5는 도 3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틱본체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는 도 3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틱본체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외관도
도 7은 도 3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틱본체를 접은 상태의 부분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스틱본체의 절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스틱본체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 본체(10)의 상,하측으로 손잡이(20)와 스파이크(30)가 형성되는 워킹 스틱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스틱 본체(10)가 분리된 관체(11)의 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분리된 관체(11)는 연결요소(40)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스틱본체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접을 경우에는 스틱 본체(10)를 180°로 접어 스틱 본체를 완전히 접을 수 있도록 하고, 그 관체의 이음새 부분에는 관체(11)를 접거나 편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락수단(50)을 구비하여 락수단(50)에 의하여 스틱 본체(10)를 일자로 편 상태로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락수단(50)을 해제하여 스틱 본체를 접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요소(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어진 관체(11)를 가요성 와이어(41)로 고정하면 가요성 와이어에 의하여 분리되어진 관체(11)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가요성 와이어(41)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관체(11)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관체(11)를 서로 분리 시킨 후, 180°로 접어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관체(11)가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는 끼움부(12)를 형성함으로써 분리된 관체(11)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되는 관체(11)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락수단(50)은 관체(11)에 타공홀(51)을 형성하고, 그 관체(11)의 내측에는 탄성 작동하면서 타공홀(51)에 끼워 고정되는 탄성버튼(52)을 내장하면 관체의 맞물림 상태를 걸어 고정하거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관체(11)를 분리하거나 조립하여 스틱 본체(10)의 형태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요소(40)와 락수단(5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관체(11)가 각각 작동구(42a)와 지지구(42b)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절첩대(42)에 결합하고, 그 작동구(42a)와 지지구(42b)를 힌지축(43)으로 연결하여 절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스틱본체(10)를 접거나 펼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힌지축(43)의 위치는 스틱 본체(10)의 중심선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함으로써 절첩대(42)를 'ㄷ'자 형태로 180°로 포개어 접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구(42a)와 지지구(42b)의 절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버튼(53)을 장착하면 스틱 본체(10)를 펴거나 접은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버튼(53)의 작동구조는 후크방식의 걸림수단을 형성하여 고정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걸림수단이 작동구(42a)와 지지구(42b)에 걸림 고정되거나 걸림 해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고정버튼(53)에 의한 스틱 본체(10)의 상태 고정은 스틱 본체(10)가 펼쳐진 상태만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스틱 본체(10)가 펼쳐진 상태와 접혀진 상태를 모두 고정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고정버튼(50)의 작동구조 및 선택적인 상태고정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지 않는 한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 가능한 것이다.
한편, 연결요소(40)와 락수단(50)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관체(11)가 연결대(44)에 형성된 두 개의 축(45a,45b)의하여 각각 축 결합되도록 형성하면 분리된 관체(11)가 개별적으로 절첩 작동되면서 간단하게 접어 휴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락수단(50)은 분리된 관체(11)의 이음부에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캡(54)을 장착하여 스틱 본체(1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이음부를 보강하면서 스틱 본체(10)를 접을 경우에는 고정캡(54)이 이음부 부분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분리된 관체(11)를 접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상기 고정캡(54)은 상,하로 위치이동이 가능케 함으로써 스틱 본체(1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스틱 본체(10)의 이음새 부분에 고정캡(54)을 위치시켜 스틱본체(100의 임의적인 절첩 작동을 방지하도록 락킹하고, 스틱 본체(10)를 접을 경우에는 고정캡(54)은 분리된 관체(11)의 이음새 부분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함으로써 스틱 본체(10)를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요소(40)는 연결대(44)에 형성된 두 개의 축(45a,45b) 중 어느 일측의 축은 연결대(44)에 고정되도록 하면서 타측의 다른 축은 연결대(44)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4a)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면 두 개의 축(45a,45b) 사이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락수단(50)의 고정캡(54)이 락킹 해제된 상태에서는 스틱 본체(10)를 접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락수단(50)을 스틱 본체(10)의 분리된 관체(11)의 이음새 부분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 분리된 관체(11)를 상,하측으로 각각 당기면 연결대(44)에 장착된 두 개의 축(45a,45b)간의 거리가 벌어지게 되면서 관체(11)를 'ㄷ'자 형태로 180°로 포개어 접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접어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워킹 스틱을 펼쳐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대로 분리된 관체(11)를 일자로 위치시킨 후 끼우면 연결대(44)에 장착된 두 개의 축(45a,45b)간의 거리가 좁혀지면서 관체(11)가 서로 맞닿게 되며, 이 상태에서 락수단(50)을 이용하여 스틱 본체(10)가 일자로 펼쳐진 상태를 고정함으로써 워킹 스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락수단(50)은 고정캡(54)이 관체(11)와 나선구조로 조임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등의 탄성복원수단(56)에 의하여 락킹 및 락킹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고정캡(54)의 작동 경로 상에 스토퍼(55)를 형성함으로써 고정캡(54)의 상,하 이동범위를 제한하면서 고정캡(54)의 이탈을 방지토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스틱본체(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스파이크(30)에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보조캡(60)을 결합하면 스파이크(30)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워킹 스틱을 휴대중에 스파이크에 의하여 얼굴이나 피부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보조캡(60)의 하면에 만곡면(61)을 형성하면 사용자의 보행 자세를 바로잡을 수 있고 다양한 상황에 맞게 워킹 스틱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워킹 스틱을 등산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보조캡(60)을 제거한 후 스파이크(30)가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워킹 스틱을 휴대하거나 트래킹 및 평지에서의 워킹 운동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스파이크(30)에 보조캡(60)을 끼워 사용함으로써 워킹 스틱을 지면에 찍으면 보조캡(60)에 형성된 만곡면(61) 중 후방 부분이 지면에 먼저 닿은 후 보행이 진행됨과 동시에 지면에 맞닿은 부분이 만곡면의 전방측으로 이어지면서 사용자의 바른 보행 자세를 유도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더욱 효율적으로 양측의 균형을 고르게 분산하여 워킹을 유도하도록 되는 것이다.
10: 스틱 본체 11: 관체
12: 끼움부
20: 손잡이
30: 스파이크
40: 연결요소 41: 가요성 와이어
42: 절첩대 42a: 작동구
42b: 지지구 43: 힌지축
44: 연결대 44a: 슬라이드홈
45a, 45b: 축
50: 락수단 51: 타공홀
52: 탄성버튼 53: 고정버튼
54: 고정캡 55: 스토퍼
56: 탄성복원수단
60: 보조캡 61: 만곡면

Claims (8)

  1. 스틱 본체(10)의 상,하측으로 손잡이(20)와 스파이크(30)가 형성되는 워킹 스틱에 있어서,
    상기 스틱 본체(10)가 분리된 관체(11)의 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되되 분리된 관체(11)는 연결요소(40)에 의하여 절첩 가능케 되면서 스틱 본체(10)를 펴거나 접기 위한 락수단(5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요소(40)는,
    분리된 관체(11)가 각각 작동구(42a)와 지지구(42b)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절첩대(42)에 결합되고, 작동구(42a)와 지지구(42b)는 힌지축(43)으로 연결되어 절첩 작동을 하도록 되며, 상기 힌지축(43)은 스틱 본체(10)의 중심선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절첩대(42)를 'ㄷ'자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되고,
    상기 락수단(50)은,
    작동구(42a)와 지지구(42b)의 절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버튼(53)이 형성되어 스틱 본체를 펴거나 접은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스틱.
  2. 삭제
  3. 삭제
  4. 스틱 본체(10)의 상,하측으로 손잡이(20)와 스파이크(30)가 형성되는 워킹 스틱에 있어서,
    상기 스틱 본체(10)가 분리된 관체(11)의 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되되 분리된 관체(11)는 연결요소(40)에 의하여 절첩 가능케 되면서 스틱 본체(10)를 펴거나 접기 위한 락수단(5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요소(40)는,
    분리된 관체(11)가 연결대(44)에 형성된 두 개의 축(45a,45b)의하여 각각 축 결합되어 분리된 관체(11)가 개별적으로 절첩 작동되고,
    상기 락수단(50)은,
    분리된 관체(11)의 이음부에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캡(54)이 장착되어 이음부를 보강하도록 되며, 상기 고정캡(54)은 상,하로 위치이동이 가능케 되어 스틱 본체(10)의 이음새 부분에 위치되어 임의적인 절첩 작동을 방지하여 락킹을 하거나 스틱 본체(10)의 이음새 부분으로부터 벗어나 스틱 본체(10)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스틱.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40)는 연결대(44)에 형성된 두 개의 축(45a,45b) 중 어느 일측의 축은 연결대(44)에 고정되고 타측의 다른 축은 연결대(44)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4a)에 결합되어 두 개의 축(45a,45b) 사이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락수단(50)의 고정캡(54) 락킹 여부에 의하여 스틱 본체(10)를 접어 고정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스틱.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락수단(50)은 고정캡(54)이 관체(11)와 나선구조로 조임되거나 분리되어 관체(11)의 이음새 부분을 락킹 하거나 락킹 해제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고정캡(54)의 작동 경로 상에 스토퍼(55)가 형성되어 고정캡(54)의 상,하 이동범위를 제한하면서 이탈을 방지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스틱.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락수단(50)은 고정캡(54)이 탄성복원수단(56)에 의하여 상,하 작동되면서 관체(11)의 이음새 부분을 락킹 하거나 락킹 해제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스틱.
  8.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본체(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스파이크(30)에 보조캡(60)이 결합되어 스파이크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되고, 보조캡(60)의 하면에는 만곡면(61)이 형성되어 트래킹이나 워킹 운동시 바른 보행 자세를 유도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 스틱.
KR1020130016433A 2013-02-15 2013-02-15 워킹 스틱 KR101472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433A KR101472658B1 (ko) 2013-02-15 2013-02-15 워킹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433A KR101472658B1 (ko) 2013-02-15 2013-02-15 워킹 스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917A KR20140102917A (ko) 2014-08-25
KR101472658B1 true KR101472658B1 (ko) 2014-12-16

Family

ID=5174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433A KR101472658B1 (ko) 2013-02-15 2013-02-15 워킹 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763B1 (ko) 2019-01-15 2020-05-27 주식회사 아이온 접이식 지팡이의 폴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2577B2 (en) * 2018-01-05 2019-12-03 Medline Industries, Inc. Hinged walking cane
USD860627S1 (en) 2018-01-05 2019-09-24 Medline Industries, Inc. Hinged walking cane
USD861320S1 (en) 2018-01-05 2019-10-01 Medline Industries, Inc. Walking ca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225Y1 (ko) * 2001-03-12 2001-10-06 최연군 신축형 지팡이
KR200336613Y1 (ko) * 2003-09-19 2003-12-18 김현길 다단식 지팡이용 연결관의 클램핑장치
KR100849633B1 (ko) 2008-05-23 2008-08-01 오성듀랄루민(주)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
KR101195711B1 (ko) 2010-12-20 2012-10-29 라제건 접이식 지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225Y1 (ko) * 2001-03-12 2001-10-06 최연군 신축형 지팡이
KR200336613Y1 (ko) * 2003-09-19 2003-12-18 김현길 다단식 지팡이용 연결관의 클램핑장치
KR100849633B1 (ko) 2008-05-23 2008-08-01 오성듀랄루민(주)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
KR101195711B1 (ko) 2010-12-20 2012-10-29 라제건 접이식 지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763B1 (ko) 2019-01-15 2020-05-27 주식회사 아이온 접이식 지팡이의 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917A (ko) 201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5638B2 (en) Wheeled suitcase with auxiliary wheels on legs and undercarriage therefor
KR101472658B1 (ko) 워킹 스틱
US8439057B2 (en) Walking stick
US10206469B2 (en) Item of luggage
US20150048598A1 (en) Walker Device with Air Tank Holder
US20100186789A1 (en) Length Adjustable Crutch
GB2483873A (en) A stair climbing attachment unit for a pram
US20080156838A1 (en) Wheelchair basket
CN103251495A (zh) 多功能扶行车
US20100154850A1 (en) Covertible trek pole
MX2009011688A (es) Baston andador para bebes.
TWM612882U (zh) 登山用擔架背包
US11700924B2 (en) Integrated self-opening and self-closing stairs-climbing trolley case
CN203735614U (zh) 一种多功能拐杖
US9974707B1 (en) Combination walker and cane
CN106377027B (zh) 带隐形凳的手杖
CN104116280B (zh) 一种弹性收折式拐杖
KR200286175Y1 (ko) 접히는 목발
KR20130112542A (ko) 의자 겸용 지팡이
CN209711804U (zh) 多功能折叠拐杖
KR20170141482A (ko) 접이식 의자
JP3140840U (ja) 折り畳み式杖
JP5833262B1 (ja) バッグ
JP3168627U (ja) 介助長杖
JP2004033681A (ja) 磁石とストラップを内蔵した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