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26Y1 - 멀티덕트 행거 - Google Patents

멀티덕트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626Y1
KR200477626Y1 KR2020140008044U KR20140008044U KR200477626Y1 KR 200477626 Y1 KR200477626 Y1 KR 200477626Y1 KR 2020140008044 U KR2020140008044 U KR 2020140008044U KR 20140008044 U KR20140008044 U KR 20140008044U KR 200477626 Y1 KR200477626 Y1 KR 200477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rod
rod clamp
bracke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덕칠
Original Assignee
윤덕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칠 filed Critical 윤덕칠
Priority to KR2020140008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덕트 등을 천정에 매달거나 지지하기 위한 멀티덕트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멀티덕트 행거는 "┌┐" 형상을 가진 행거 본체(10)의 수평부(11)에 원통형의 로드 클램프(20)가 일체로 형성되고, 로드 클램프(20)의 중공부(21)에 행거 로드(30)가 끼워져, 행거 로드(30)의 둘레에 나선부(31)가 형성되고, 행거 로드(30)가 로드 클램프(20)의 중공부(21)에 끼워지고, 로드 클램프(20)의 내주면에 나사산(22)이 형성되고, 원통형의 로드 클램프(20)에 일부가 절취된 절취 개방부(23)가 형성되고, 로드 클램프(20)에 한 쌍의 축받침부(24)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부로 개방된 반원 형태의 축받침부(24)가 절취 개방부(23)의 상부에 배치되고, 반원통 형상을 가진 회전 브라켓(40)의 내측 원호부에 나사산(41)이 형성되고, 회전 브라켓(40)의 양 측부 상단에 부채꼴 형상의 마찰 록킹부(42)가 각각 형성되고, 마찰 록킹부(42)에 원판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원판부(43)가 마찰 록킹부(42)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원판부(42)의 안쪽면 중앙에 축돌기(44)가 형성되어, 축돌기(44)가 축받침부(24)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회전 브라켓(40)이 로드 클램프(20)에 상하로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덕트 행거{MULTI-DUCT HANGER}
본 고안은 덕트 등을 천정에 매달거나 지지하기 위한 멀티덕트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축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브라켓의 하부로 각회전되어, 회전 브라켓이 로드 클램프의 절취 개방부를 커버하는 닫힌 상태가 될 때, 회전 브라켓의 마찰 록킹부가 로드 클램프의 축받침부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닫힌 상태가 계속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행거 로드의 나선부에 회전 브라켓의 나사부가 타이트하게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멀티덕트 행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031822호(2011년 4월 21일, 등록)에 "전선덕트 클램프"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전선덕트 클램프는 외측에 나사산을 구비한 행거 로드와; 내측 원형 홀에 형성된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원형 홀에 삽입되는 상기 행거 로드의 나사산과 맞물리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일측에 개방부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텝과; 일측에 나사산을 구비하고 지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브라켓과; 상기 회전 브라켓과 상기 텝을 지지하는 지지 축과; 상기 지지 축과 몸체가 일체로 고정되고 몸체에 형성되는 전선 덕트를 지지하기 위한 ∩ 형상의 지지바; 및 상기 ∩ 형상의 지지 바의 끝단에 형성되어 전선 덕트를 삽입하도록 구성된 걸림 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전선덕트 클램프는 회전 브라켓이 닫힌 상태에서 회전 브라켓을 압착 고정하는 수단이 회전 브라켓의 나사산이 행거 로드의 나사산에 헐겁게 맞물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축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브라켓의 하부로 각회전되어, 회전 브라켓이 로드 클램프의 절취 개방부를 커버하는 닫힌 상태가 될 때, 회전 브라켓의 마찰 록킹부가 로드 클램프의 축받침부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닫힌 상태가 계속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행거 로드의 나선부에 회전 브라켓의 나사부가 타이트하게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멀티덕트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멀티덕트 행거는 "┌┐" 형상을 가진 행거 본체의 수평부에 원통형의 로드 클램프가 일체로 형성되고, 로드 클램프의 중공부에 행거 로드가 끼워져, 행거 로드의 둘레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행거 로드가 로드 클램프의 중공부에 끼워지고, 로드 클램프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원통형의 로드 클램프에 일부가 절취된 절취 개방부가 형성되고, 로드 클램프에 한 쌍의 축받침부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부로 개방된 반원 형태의 축받침부가 절취 개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반원통 형상을 가진 회전 브라켓의 내측 원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회전 브라켓의 양 측부 상단에 부채꼴 형상의 마찰 록킹부가 각각 형성되고, 마찰 록킹부에 원판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원판부가 마찰 록킹부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원판부의 안쪽면 중앙에 축돌기가 형성되어, 축돌기가 축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회전 브라켓이 로드 클램프에 상하로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행거 본체는 "┌┐" 형상을 갖도록 수평부의 양 측단에서 2개의 수직부가 각각 하부로 굴절되어 연장되며, 각각의 수직부의 내측면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수평부에서 수직부 중간까지 보강 덧살이 형성되고, 로드 클램프의 절취 개방부를 커버한 회전 브라켓의 닫힌 상태가 록킹핀에 의해 유지되도록, 수평부의 핀구멍에 록킹핀이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로드 클램프의 절취 개방부를 커버한 닫힌 상태의 회전 브라켓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멀티덕트 행거는 회전 브라켓이 로드 클램프의 절취 개방부를 커버하는 닫힌 상태가 되었을 때, 회전 브라켓의 마찰 록킹부가 로드 클램프의 축받침부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닫힌 상태가 계속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행거 로드의 나선부에 회전 브라켓의 나사부가 타이트하게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덕트 행거에 멀티덕트가 매달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덕트 행거에 멀티덕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덕트 행거에 멀티덕트를 도시한 사시도로, 도 3은 회전 브라켓이 열린 상태이고, 도 4는 회전 브라켓이 닫힌 상태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덕트 행거에 멀티덕트를 도시한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덕트 행거에 멀티덕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멀티덕트 행거는 "┌┐" 형상을 가진 행거 본체(10)의 수평부(11)에 원통형의 로드 클램프(20)가 일체로 형성되고, 로드 클램프(20)의 중공부(21)에 행거 로드(30)가 끼워져, 행거 로드(30)의 둘레에 나선부(31)가 형성되고, 행거 로드(30)가 로드 클램프(20)의 중공부(21)에 끼워지고, 로드 클램프(20)의 내주면에 나사산(22)이 형성되고, 원통형의 로드 클램프(20)에 일부가 절취된 절취 개방부(23)가 형성되고, 로드 클램프(20)에 한 쌍의 축받침부(24)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부로 개방된 반원 형태의 축받침부(24)가 절취 개방부(23)의 상부에 배치되고, 반원통 형상을 가진 회전 브라켓(40)의 내측 원호부에 나사산(41)이 형성되고, 회전 브라켓(40)의 양 측부 상단에 부채꼴 형상의 마찰 록킹부(42)가 각각 형성되고, 마찰 록킹부(42)에 원판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원판부(43)가 마찰 록킹부(42)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원판부(42)의 안쪽면 중앙에 축돌기(44)가 형성되어, 축돌기(44)가 축받침부(24)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회전 브라켓(40)이 로드 클램프(20)에 상하로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행거 본체(10)는 "┌┐" 형상을 갖도록 수평부(11)의 양 측단에서 2개의 수직부(12)가 각각 하부로 굴절되어 연장되며, 각각의 수직부(12)의 내측면 하단에 걸림턱(13)이 형성되고, 수평부(11)에서 수직부(12) 중간까지 보강 덧살(14)이 형성되고, 로드 클램프(20)의 절취 개방부(23)를 커버한 회전 브라켓(40)의 닫힌 상태가 록킹핀(50)에 의해 유지되도록, 수평부(11)의 핀구멍(15)에 록킹핀(50)이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로드 클램프(20)의 절취 개방부(23)를 커버한 닫힌 상태의 회전 브라켓(40)에 밀착된다.
상기 회전 브라켓(40)은 하단 중앙에 손잡이 노브(45)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멀티덕트 행거는, 도 1 에 도시된 것처럼, 행거 본체(10)의 걸림턱(13)이 멀티덕트(60)를 걸 수 있도록, 회전 브라켓(40)이 오픈된 상태에서, 천장(도시하지 않음)에 상단이 고정된 행거 로드(30)를 로드 클램프(20)의 중공부(21)에 끼워, 행거 로드(30)에 배치되는 로드 클램프(20)의 배치 높이를 조절한다.
이후, 회전 브라켓(40)이 축받침부(24)에 장착된 축돌기(44)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을 회전하도록, 회전 브라켓(40)의 손잡이 노브(45)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면, 회전 브라켓(40)이 로드 클램프(20)의 절취 개방부(23 ; 도 3 참조)를 커버하는 닫힌 상태가 된다(도 4 및 도 6 참조). 이때, 회전 브라켓(40)의 마찰 록킹부(42)의 내주면이 축받침부(24)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닫힌 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그리고, 행거 로드(30)의 나선부(31)가 로드 클램프(20)의 나사부(22)에 체결된 상태에서, 로드 클램프(20)의 절취 개방부(23)를 통해 회전 브라켓(40)의 나사부(41)가 행거 로드(30)의 나선부(31)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행거 로드(30)가 회전 브라켓(40)에 의해 로드 클램프(20)에 고정된다.
이후, 행거 본체(10)의 핀홈(15)에 록킹핀(50)을 꽂으면, 록킹핀(50)이 회전 브라켓(40)의 바깥면에 밀착되어, 회전 브라켓(40)의 록킹이 저절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 브라켓(40)이 닫힌 상태에서, 록킹핀(50)을 뽑고, 회전 브라켓(40)의 손잡이 노브(45)를 위로 올리면, 회전 브라켓(40)이 축돌기(44)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각회전하게 되어, 행거 로드(30)의 록킹이 해제됨으로써, 행거 로드(30)에서의 로드 클램프(20)의 배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멀티덕트 행거는 회전 브라켓(40)을 상하로 열고 닫으며, 회전 브라켓(40)이 닫혔을 때, 회전 브라켓(40)의 마찰 록킹부(42)가 축받침부(24)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회전 브라켓(40)의 헐겁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회전 브라켓(40)의 나사산(41)과 행거 로드(30)의 나선부(31)가 헐겁게 맞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행거 본체 20 : 로드 클램프
30 : 행거 로드 40 : 회전 브라켓
50 : 록킹핀 60 : 덕트

Claims (2)

  1. "┌┐" 형상을 가진 행거 본체(10)의 수평부(11)에 원통형의 로드 클램프(20)가 일체로 형성되고, 로드 클램프(20)의 중공부(21)에 행거 로드(30)가 끼워져, 행거 로드(30)의 둘레에 나선부(31)가 형성되고, 행거 로드(30)가 로드 클램프(20)의 중공부(21)에 끼워지고, 로드 클램프(20)의 내주면에 나사산(22)이 형성되고, 원통형의 로드 클램프(20)에 일부가 절취된 절취 개방부(23)가 형성되고, 로드 클램프(20)에 한 쌍의 축받침부(24)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부로 개방된 반원 형태의 축받침부(24)가 절취 개방부(23)의 상부에 배치되고, 반원통 형상을 가진 회전 브라켓(40)의 내측 원호부에 나사산(41)이 형성되고, 회전 브라켓(40)의 양 측부 상단에 부채꼴 형상의 마찰 록킹부(42)가 각각 형성되고, 마찰 록킹부(42)에 원판부(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원판부(43)가 마찰 록킹부(42)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원판부(42)의 안쪽면 중앙에 축돌기(44)가 형성되어, 축돌기(44)가 축받침부(24)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회전 브라켓(40)이 로드 클램프(20)에 상하로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덕트 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본체(10)는 "┌┐" 형상을 갖도록 수평부(11)의 양 측단에서 2개의 수직부(12)가 각각 하부로 굴절되어 연장되며, 각각의 수직부(12)의 내측면 하단에 걸림턱(13)이 형성되고, 수평부(11)에서 수직부(12) 중간까지 보강 덧살(14)이 형성되고, 로드 클램프(20)의 절취 개방부(23)를 커버한 회전 브라켓(40)의 닫힌 상태가 록킹핀(50)에 의해 유지되도록, 수평부(11)의 핀구멍(15)에 록킹핀(50)이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로드 클램프(20)의 절취 개방부(23)를 커버한 닫힌 상태의 회전 브라켓(4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덕트 행거.
KR2020140008044U 2014-11-05 2014-11-05 멀티덕트 행거 KR200477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044U KR200477626Y1 (ko) 2014-11-05 2014-11-05 멀티덕트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044U KR200477626Y1 (ko) 2014-11-05 2014-11-05 멀티덕트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626Y1 true KR200477626Y1 (ko) 2015-07-07

Family

ID=5379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044U KR200477626Y1 (ko) 2014-11-05 2014-11-05 멀티덕트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2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707A (ko) * 2016-11-30 2018-06-08 (주)엘이디세이버 레이스 웨이 지지장치
KR20210001600U (ko) * 2020-01-03 2021-07-13 탑라이트 주식회사 레이스웨이용 내진행거
KR20210123088A (ko) *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투에스 와이어 덕트 고정 장치
KR20230013663A (ko) * 2021-07-15 2023-01-27 주식회사 신성씨앤씨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556U (ko) * 1998-11-06 2000-06-05 정홍열 행거 설치용 앵커고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556U (ko) * 1998-11-06 2000-06-05 정홍열 행거 설치용 앵커고정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707A (ko) * 2016-11-30 2018-06-08 (주)엘이디세이버 레이스 웨이 지지장치
KR101931809B1 (ko) * 2016-11-30 2019-03-20 (주)엘이디세이버 레이스 웨이 지지장치
KR20210001600U (ko) * 2020-01-03 2021-07-13 탑라이트 주식회사 레이스웨이용 내진행거
KR200494347Y1 (ko) 2020-01-03 2021-09-24 탑라이트 주식회사 레이스웨이용 내진행거
KR20210123088A (ko) *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투에스 와이어 덕트 고정 장치
KR102349148B1 (ko) * 2020-04-02 2022-01-11 주식회사 투에스 와이어 덕트 고정 장치
KR20230013663A (ko) * 2021-07-15 2023-01-27 주식회사 신성씨앤씨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
KR102589107B1 (ko) 2021-07-15 2023-10-16 주식회사 신성씨앤씨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626Y1 (ko) 멀티덕트 행거
TWM522300U (zh) 適用支撐機構的限位裝置
KR101031822B1 (ko) 전선덕트 클램프
KR20140002087U (ko) 용접케이블 걸이대
JP2016506073A (ja) ヒンジ装置を有するボックス
JP3210212U (ja) ハンガー
WO2021114253A1 (zh) 一种勘探设备支架铰接软性锁死结构
WO2012072988A2 (en) Mounting for a shower curtain rod
KR200473646Y1 (ko)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
KR101789581B1 (ko) 행거용 지주
KR102124248B1 (ko) 가구용 옷걸이봉 고정구
US497512A (en) Pipe-hanger
JP6495622B2 (ja) カーテンレール装置
CN110107835A (zh) 一种摄像头可旋转的户外灯
KR20170000742U (ko) 일체형 낚싯대 거치구
KR100937436B1 (ko) 우산꽂이
JP5368024B2 (ja) ハンガー
US725808A (en) Lamp-bracket.
JP2020110347A (ja) タオルハンガー付き建具
JP6920740B2 (ja) 物品保持具
CN220643568U (zh) 晾衣架
CN204105874U (zh) 实现马桶盖板与马桶本体快拆的连接机构
US1309052A (en) Planooraph co
JP3206004U (ja) タオル用ハンガー
US195148A (en) Improvement in sliding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