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107B1 -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107B1
KR102589107B1 KR1020210092898A KR20210092898A KR102589107B1 KR 102589107 B1 KR102589107 B1 KR 102589107B1 KR 1020210092898 A KR1020210092898 A KR 1020210092898A KR 20210092898 A KR20210092898 A KR 20210092898A KR 102589107 B1 KR102589107 B1 KR 102589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pair
installing
fixing parts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3663A (ko
Inventor
공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씨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씨앤씨
Priority to KR102021009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107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9Mounting arrangements for attaching lighting devices to the ceiling, the lighting devices being recessed in a false or stretch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천장부에 시공된 전산볼트 하단에 특정 구조의 클램프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장착한 후 소정 조명장치나 각종 시설물 등을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는, 소정 탄성력을 갖는 금속재질을 매개로 일체형 몸체를 이루도록 구성되되, 띠형상을 갖는 금속재질의 양단이 각각 일정 길이만큼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판 및 양 측판을 형성하고, 상기 양 측판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와 인접한 지점에 걸쳐서는 각각 "" 형상으로 절개된 후 그 절개된 부분이 상기 상판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절곡되면서 한 쌍의 고정부를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상호 겹쳐지는 각 단부 및 상기 상판에는 상호 연통되도록 관통홀이 천공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CLAMP FOR FIXING LAMP}
본 발명은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천장부에 시공된 전산볼트 하단에 장착되어 소정 등기구 구조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상가, 아파트를 비롯한 각종 건축물의 실내에는 건물 내에서의 시야 확보를 위해 건물 천장부에 다양한 형태의 등기구가 설치되어 제공된다.
특히, 지하 주차장이나 지하철 역사, 복도나 계단실 등과 같은 층고가 높은 실내에서는 천장부에 일정 길이의 전산볼트가 수직으로 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전산볼트의 하단에 장착되는 클램프를 매개로 소정 등기구 구조물이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물의 천장부에 소정 등기구 구조물을 고정 설치하도록 장착되는 클램프의 일예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2813호에는 "천정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전산봉이 끼워지는 관통공을 가진 클램프 몸체; 상기 관통공의 상단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전산봉 가이드; 및 상기 전산봉 가이드를 감싸도록 끼워져 상기 전산봉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면서 상기 전산봉과의 결합되는 편심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고정용 클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건물의 천장부에 시공된 전산볼트에 소정 등기구 구조물을 설치하도록 제공되는 클램프는, 복수 개의 부품으로 클램프가 구성됨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그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됨과 아울러, 해당 클램프의 설치 또는 해체 시에는 그 작업과정 또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2813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03472호 국내 등록특허 제10-059770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건물의 천장부에 시공된 전산볼트 하단에 특정 구조의 클램프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장착한 후 소정 조명장치나 각종 시설물 등을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는, 소정 탄성력을 갖는 금속재질을 매개로 일체형 몸체를 이루도록 구성되되, 띠 형상을 갖는 금속재질의 양단이 각각 일정 길이만큼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판 및 양 측판을 형성하고, 상기 양 측판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와 인접한 지점에 걸쳐서는 각각 "" 형상으로 절개된 후 그 절개된 부분이 상기 상판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절곡되면서 한 쌍의 고정부를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상호 겹쳐지는 각 단부 및 상기 상판에는 상호 연통되도록 관통홀이 천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 각 단부 측의 관통홀 형성지점 주변은 원형상을 이루도록 표면적이 확대된 확장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에 천공된 관통홀의 내주면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서는 톱니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 측판의 하단은 각각 내측을 향해 갈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걸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한 쌍의 고정부는 상기 상판 및 각 측판의 경계지점에서 각각 라운드 형태를 이루도록 일정 곡률로 절곡되어 각 단부가 상호 겹쳐지면서, 한 쌍의 고정부가 전체적으로 호(弧) 형태의 정면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천장부에 시공된 전산볼트에 장착되어 소정 조명장치나 각종 시설물 등을 설치하도록 제공되는 클램프를 특정 구조로 형성하므로서, 해당 클램프를 전산볼트 하단에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장착하면서 소정 조명장치나 각종 시설물 등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때, 건물 천장부의 전산볼트에 장착되는 클램프는 자체 탄성력 및 관통홀에 형성된 톱니 구조를 통해 전산볼트의 일정 지점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보다 견고한 구조로 조명장치나 각종 시설물 등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해당 클램프는 일체형 몸체를 갖는 구조물로 구성됨에 따라, 클램프 제품의 제조비용 및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구현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됨과 아울러, 제품의 유통이나 보관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가 전산볼트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는, 각종 건물의 천장부에 시공된 전산볼트에 장착되어 소정 조명장치나 각종 시설물 등이 고정되는 클램프를 특정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전산볼트 하단에 클램프가 간편하면서도 매우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는, 임의적인 변형이 방지되도록 일정 강도를 갖음과 아울러, 외력의 인가 및 해제 시 견고한 탄성 복원력을 나타내는 금속재질을 매개로 일체형 몸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10)는 대략 띠형상을 갖는 금속재질의 양측이 각각 일정 길이만큼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판(20) 및 양 측판(30)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양 측판(30) 각각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과 인접한 지점에 걸쳐서는 대략 "" 형상으로 절개된 후 그 절개된 부분이 상기 상판(2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절곡되면서 한 쌍의 고정부(34)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34)는 상기 상판(20) 및 각 측판(30)의 경계지점에서 각각 라운드 형태를 이루도록 상측을 향해 일정 곡률로 절곡되어 구성되며, 이에 상기 고정부(34)는 각 단부와 인접한 일정 길이만큼이 상호 겹쳐지면서, 한 쌍의 고정부(34)가 형성하는 그 정면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대략 호(弧)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양 측판(30)의 하단은 각각 내측을 향해 대략 갈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어 걸림부(32)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부(32)를 통해 소정 조명장치나 각종 시설물 등이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32)는 설치되는 해당 클램프를 매개로 설치되는 조명장치나 시설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프(10)를 형성하는 대략 띠 형상의 부재는 그 폭이 대략 3 내지 7센티미터[cm] 정도의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20)과 양 측판(30)의 길이는 각각 대략 5 내지 10센티미터[cm]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34)가 상호 겹쳐지는 각 단부와 인접한 지점 및 상기 상판(20)의 중앙에는 상호 연통되도록 관통홀(22,38)이 천공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고정부(34)에 천공된 관통홀(38)은 상호 완전히 일치하지 않고 약간 어긋난 상태로 대략 타원형상이나 럭비공 형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고정부(34)에 소정 외력이 인가될 시에만 상기 관통홀(38) 상호 간이 정확히 일치되면서 소정 전산볼트 하단이 원활하게 관통되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고정부(34)에 가해진 외력의 해제 시에는 상기 관통홀(38) 상호 간이 어긋난 상태가 되도록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전산볼트 외주면을 견고하게 압박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부(34)에 천공된 관통홀(38)의 내주면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서는 톱니(38a)가 형성되어 상기 전산볼트의 외주면에 보다 견고하게 단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34)의 각 단부와 인접한 일정 지점은 상기 관통홀(38)의 주변을 따라 대략 원형상을 이루도록 그 표면적이 확대되어 확장부(36)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34)가 절개된 후 절곡되어 형성되는 각 측판(30)의 제거부분도 동일한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측판(30)에서 상기 고정부(34)가 절개된 후 절곡됨에 따라 형성되는 제거부분의 양측에 해당하는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외력이 인가되어 돌출 및 요입된 보강부(40)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상판(20) 중앙에 상기 관통홀(22)이 천공되는 지점은 그 정면이 대략 "˘" 형상을 이루도록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는, 건물의 천장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전산볼트(100)의 하단에 장착됨에 따라, 소정 조명장치나 각종 시설물(200)이 해당 클램프(10)를 통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램프(10)를 건물 천장부에 시공된 전산볼트(100)에 장착하는데 있어서는, 상기 클램프(10)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부(34)에 천공된 관통홀(38)이 상호 어긋나게 위치된 상태에서(도 3의 (가)), 상기 한 쌍의 고정부(34)에 천공된 관통홀(38)이 상호 정확히 일치되도록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한 쌍의 관통홀(38)에 전산볼트(100)의 삽입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도 3의 (나)).
그 후, 상기 클램프(10)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부(34)에 천공된 관통홀(38) 및 상판(20)에 천공된 관통홀(22)이 상호 정확히 연통되면, 상기 전산볼트(100)의 하단으로 상기 클램프(10)의 각 관통홀(22,38)이 관통되도록 한 다음, 상기 한 쌍의 고정부(34)에 가해진 외력을 해제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고정부(34)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34)에 구비된 각 관통홀(38) 상호 간은 다시 어긋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상기 한 쌍의 고정부(34)에 형성된 관통홀(38)의 내주면이 상기 전산볼트(100) 외주면을 가압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도 3의 (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고정부(34)에 구비된 관통홀(38)에는 톱니(38a)가 형성되어 제공됨에 따라, 상기 클램프(10)는 해당 전산볼트(100)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전산볼트(100)의 하단에는 추가로 너트(도시안됨)를 체결하여, 상기 클램프(10)의 고정상태를 보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특정 구조의 클램프(10)를 통해서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34)에 외력을 인가한 후 해제하는 원터치 방식으로, 건물 천장부의 전산볼트(100)에 상기 클램프(10)를 매우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가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산볼트(100)의 하단에 상기 클램프(10)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10)의 각 측판(30) 하단에 구비된 걸림부(32)를 이용하여 소정 조명장치나 또는 케이블이 내장된 덕트 등을 비롯한 각종 시설물(200)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전산볼트(100)의 하단에 장착된 상기 클램프(10)의 해체 시에도 상기 한 쌍의 고정부(34)에 외력을 인가하는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상기 전산볼트(200)로부터 분리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클램프, 20: 상판,
22: 관통홀, 30: 측판,
32: 걸림부, 34: 고정부,
36: 확장부, 38: 관통홀,
38a: 톱니, 40: 보강부,
100: 전산볼트, 200: 조명장치 또는 시설물.

Claims (5)

  1. 소정 탄성력을 갖는 금속재질을 매개로 일체형 몸체를 이루도록 구성되되;
    띠형상을 갖는 금속재질의 양단이 각각 일정 길이만큼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판 및 양 측판을 형성하고, 상기 양 측판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과 인접한 지점에 걸쳐서는 각각 "
    Figure 112023063085607-pat00003
    " 형상으로 절개된 후 그 절개된 부분이 상기 상판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절곡되면서 한 쌍의 고정부를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상호 겹쳐지는 각 단부 및 상기 상판에는 상호 연통되도록 관통홀이 천공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 각 단부 측의 관통홀 형성지점 주변은 원형상을 이루도록 표면적이 확대된 확장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천공된 관통홀의 내주면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서는 톱니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판의 하단은 각각 내측을 향해 갈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걸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는 상기 상판 및 각 측판의 경계지점에서 각각 라운드 형태를 이루도록 일정 곡률로 절곡되어 각 단부가 상호 겹쳐지면서, 한 쌍의 고정부가 전체적으로 호(弧) 형태의 정면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
KR1020210092898A 2021-07-15 2021-07-15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 KR10258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898A KR102589107B1 (ko) 2021-07-15 2021-07-15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898A KR102589107B1 (ko) 2021-07-15 2021-07-15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663A KR20230013663A (ko) 2023-01-27
KR102589107B1 true KR102589107B1 (ko) 2023-10-16

Family

ID=8510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898A KR102589107B1 (ko) 2021-07-15 2021-07-15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1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822B1 (ko) * 2010-08-20 2011-04-29 탑라이트 주식회사 전선덕트 클램프
KR200477626Y1 (ko) 2014-11-05 2015-07-07 윤덕칠 멀티덕트 행거
KR101931809B1 (ko) 2016-11-30 2019-03-20 (주)엘이디세이버 레이스 웨이 지지장치
JP2021057251A (ja) 2019-09-30 2021-04-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ダクト支持部品及び配線ダク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230Y1 (ko) * 1995-01-19 1998-10-15 황갑석 건물의 지붕패널 고정구
KR200403472Y1 (ko) 2005-09-15 2005-12-09 김대열 전등커버의 설치구조
KR100597709B1 (ko) 2005-11-28 2006-11-23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지하주차장용 조명기구 고정장치
JP5222868B2 (ja) * 2010-02-23 2013-06-26 株式会社オーティス 屋根上取付具
KR102234160B1 (ko) 2019-02-22 2021-03-31 주식회사 알프스이십일 레이스웨이 고정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822B1 (ko) * 2010-08-20 2011-04-29 탑라이트 주식회사 전선덕트 클램프
KR200477626Y1 (ko) 2014-11-05 2015-07-07 윤덕칠 멀티덕트 행거
KR101931809B1 (ko) 2016-11-30 2019-03-20 (주)엘이디세이버 레이스 웨이 지지장치
JP2021057251A (ja) 2019-09-30 2021-04-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ダクト支持部品及び配線ダク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663A (ko)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9512B1 (en) Pipe hanger and pipe support system
US91404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lining recessed installation of a component within a surface material
KR101515937B1 (ko) 말발굽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의 판넬 시공장치
AU2014212746B2 (en) Clip for perimeter trim
KR102589107B1 (ko) 등기구 설치용 클램프
KR100619136B1 (ko) 덕트 지지장치
US10156066B2 (en) Corner bead clip for attaching to steel members
KR20120007694A (ko) 파이프의 티자형 교차부위 고정장치
CN206099169U (zh) 一种电缆放线转角滑车
JP2010540807A (ja) 固定梯子製造用モジュール要素
KR20150020890A (ko) 배관 고정장치
CN205689543U (zh) 新型六点式膨胀螺栓
KR101848560B1 (ko) 거푸집 고정구조
EP2851480A1 (en) Connection means of a supporting construction for a false ceiling
JP3206776U (ja) タイル取り付け用金具
KR200274780Y1 (ko) 전선관 고정구
CN204533948U (zh) 消音装置
CN207079858U (zh) 内挂快装龙骨
CA2964871C (en) Corner bead clip for attaching to steel members
KR20090008585U (ko) 배관 고정 장치
KR101571154B1 (ko) 스틸펜스용 고정클램프
CN104481996A (zh) 一种扣装式管件连接杆
JP2020193475A (ja) アーチ鉄筋の組立方法
KR100970257B1 (ko) 연결고정구
KR20180066712A (ko) 유로폼 지지파이프용 고정후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