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646Y1 -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646Y1
KR200473646Y1 KR2020130001072U KR20130001072U KR200473646Y1 KR 200473646 Y1 KR200473646 Y1 KR 200473646Y1 KR 2020130001072 U KR2020130001072 U KR 2020130001072U KR 20130001072 U KR20130001072 U KR 20130001072U KR 200473646 Y1 KR200473646 Y1 KR 200473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ece
hole
upper body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수
Original Assignee
강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수 filed Critical 강병수
Priority to KR2020130001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6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25Uprights secured to ceiling and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의 탄성을 극복하여 파이프에 고정된 길이조절 장치를 쉽게 고정 및 해제할 수 있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파이프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길이조절 장치의 구조를 쉽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이동파이프가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상부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몸체 일측에는 작동홀과 타측에는 걸림홀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홀의 외측에는 힌지편을 형성하며 하단 내경에는 고정파이프가 삽입되는 하부몸체의 상단이 삽입고정되도록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몸체 내경 상측으로는 중앙에 이동파이프홀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걸림홀에 걸림되는 걸림편과 일측으로는 작동홀에 돌출되도록 작동편을 형성한 잠금링을 스프링에 의해 탄력 설치한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의 잠금링에 형성된 작동편을 회전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손잡이편을 형성한 손잡이를 힌지편에 힌지 형성한 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Length adjuster}
본 고안은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의 탄성을 극복하여 파이프에 고정된 길이조절 장치를 쉽게 고정 및 해제할 수 있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파이프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길이조절 장치의 구조를 쉽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행거는 옷걸이나 옷을 걸어 놓는 기구로서 바닥과 천장 사이에 고정된 것과 캐스터를 형성한 지지대를 형성하여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 행거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행거는 구조물의 천정과 바닥의 거리가 각각 달라서 행거를 설치할 때 파이프의 길이롤 조절하여 설치해야 하였으며 이동을 할 수 있는 행거라 하더라도 행거에 걸리는 옷의 종류에 따라 지지파는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해야 하였다.
따라서 행거를 형성하는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하는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길이조절장치는 특허등록 제 1064980호, 특허공개 제2011-3981호, 제2012-40849호 및 실용신안 등록 제 325316호, 제 455948호, 실용신안 공개 제 2012-5940호가 제안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길이조절장치는 버튼이나 회전식으로 고정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의 부주위로 고정을 해제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고정을 해제할 때에는 버튼을 누른 상태를 유지하거나 회전시킨 상태를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유지한 후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해야 함으로써 사용자가 파이프의 길이 조절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튼이나 회전으로 고정을 해제하는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프링의 탄성을 극복하여 파이프에 고정된 길이조절 장치를 쉽게 고정 및 해제할 수 있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파이프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길이조절 장치의 구조를 쉽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동파이프가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상부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몸체 일측에는 작동홀과 타측에는 걸림홀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홀의 외측에는 힌지편을 형성하며 하단 내경에는 고정파이프가 삽입되는 하부몸체의 상단이 삽입고정되도록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몸체 내경 상측으로는 중앙에 이동파이프홀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걸림홀에 걸림되는 걸림편과 일측으로는 작동홀에 돌출되도록 작동편을 형성한 잠금링을 스프링에 의해 탄력 설치한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의 잠금링에 형성된 작동편을 회전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손잡이편을 형성한 손잡이를 힌지편에 힌지 형성한 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부의 작동홀은 하단측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작동부의 손잡이편은 작동편을 하측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돌출된 작동편을 감싸기 위하여 가압돌기 측으로 하단이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삭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의 파이프 해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의 파이프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의 파이프 해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의 파이프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는 행거의 파이프가 삽입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에 삽입되는 파이프를 고정 및 해제하는 잠금부(20)와, 상기 잠금부(20)를 작동하는 작동부(30)로 구성된다.
상기의 몸체부(10)는 상측으로 이동파이프(11)가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상부몸체(12)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상부몸체(12)는 일측으로 하측이 개방된 작동홀(13)을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걸림홀(14)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홀(13)의 외측에는 힌지편(15)을 형성하고 상부몸체(12)의 하단 내경으로는 고정파이프(16)가 삽입되는 하부몸체(17)의 상단이 삽입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몸체(12)에는 이동파이프(11)를 고정 또는 해제 시킬 수 있도록 잠금부(20)를 형성한다.
상기의 잠금부(20)는 상부몸체(12) 내경 상측으로는 스프링(25)에 의해 탄력설치되도록 작동편(23)을 내장하되 상기 작동편(23) 중앙에는 이동파이프홀(2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걸림홀(14)에 걸림되는 걸림편(22)과 일측으로는 작동홀(13)에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잠금부(20)의 작동편(23)을 작동하기 위하여 작동부(30)를 몸체부(10)에 형성한다.
이러한 작동부(30)는 상기 잠금부(20)의 잠금링(24)에 형성된 작동편(23)을 회전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작동편(23)의 상측에 위치하게 손잡이편(33)을 힌지편(15)에 힌지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부(10)의 하부몸체(17) 하단에 고정파이프(16)의 단부를 내장시킨 상태에서 상부몸체(12)의 하단 내측에 삽입 고정한다.
이렇게 하부몸체(17)가 고정되는 상부몸체(12)에는 스프링(25)을 내장시킨 후 잠금링(24)의 걸림편(22)을 걸림홀(14)에 걸림되도록 삽입하고 작동편(23)을 작동홀(13)에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편(23)의 하측에는 힌지편(15)에 손잡이(33)를 힌지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3)의 손잡이편(32)을 회전시켜 가압돌기(31)가 작동편(23)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이동파이프(11)가 상부몸체(12) 내측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동파이프(11)가 이동이 가능 한 상태에서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를 양손을 사용하여 조절한 후 적당한 길이로 조절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3)의 손잡이편(32)을 회전시켜 작동편(23)을 들어올려 압력을 가하고 있는 가압돌기(31)를 해제하면 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편(22)을 축으로 작동편(23)이 회전을 하여 이동파이프(11)의 외경을 이동파이프홀(21)에 걸리게 하여 이동파이프(11)를 고정하게 한다.
이와 같이 이동파이프(11)를 해제상태로 고정할 수 있고 이동파이프(1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실수로 누를 수 없게 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10 : 몸체부 11 : 이동파이프
12 : 상부몸체 13 : 작동홀
14 ; 걸림홀 15 : 힌지편
16 : 고정파이프 17 : 하부몸체
20 : 잠금부 21 : 이동파이프
22 : 걸림편 23 : 작동편
24 : 잠금링 25 : 스프링
30 : 작동부 31 : 가압돌기
32 : 손잡이편 33 : 손잡이

Claims (3)

  1. 이동파이프(11)가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상부몸체(12)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몸체(12) 일측에는 작동홀(13)과 타측에는 걸림홀(14)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홀(13)의 외측에는 힌지편(15)을 형성하며 하단 내경에는 고정파이프(16)가 삽입되는 하부몸체(17)의 상단이 삽입고정되도록 형성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몸체(12) 내경 상측으로는 중앙에 이동파이프홀(2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걸림홀(14)에 걸림되는 걸림편(22)과 일측으로는 작동홀(13)에 돌출되도록 작동편(23)을 형성한 잠금링(24)을 스프링(25)에 의해 탄력 설치한 잠금부(20)와,
    상기 잠금부(20)의 잠금링(24)에 형성된 작동편(23)을 회전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31)를 외측으로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손잡이편(32)을 형성한 손잡이(33)를 힌지편(15)에 힌지 형성한 작동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작동홀(13)은 하단측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0)의 손잡이편(32)은 작동편(23)을 하측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돌출된 작동편(23)을 감싸기 위하여 가압돌기(31) 측으로 하단이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
KR2020130001072U 2013-02-12 2013-02-12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 KR200473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72U KR200473646Y1 (ko) 2013-02-12 2013-02-12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72U KR200473646Y1 (ko) 2013-02-12 2013-02-12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646Y1 true KR200473646Y1 (ko) 2014-07-15

Family

ID=5199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072U KR200473646Y1 (ko) 2013-02-12 2013-02-12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6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929A (ko) 2018-02-06 2019-08-14 (주)엠제이버클 길이조절용 연결장치
TWI697628B (zh) * 2018-10-18 2020-07-01 錦聖科技股份有限公司 頂天立地支撐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761U (ko) * 2009-07-16 2011-01-24 삼성 에스앤피 주식회사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761U (ko) * 2009-07-16 2011-01-24 삼성 에스앤피 주식회사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929A (ko) 2018-02-06 2019-08-14 (주)엠제이버클 길이조절용 연결장치
TWI697628B (zh) * 2018-10-18 2020-07-01 錦聖科技股份有限公司 頂天立地支撐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734B2 (en) Door knob cover
JP3223701U (ja) ケーブル収容装置
WO2019206093A1 (zh) 闭门器及具有该闭门器的冰箱
KR200473646Y1 (ko)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
JP3187436U (ja) 圧力調理器の蓋開閉装置
US2723417A (en) Handle assembly
JP2009097310A (ja) 回動扉のストッパー
KR200464436Y1 (ko) 수도밸브 개폐장치의 풋 페달 스위치
JP6410597B2 (ja) 自閉式引戸装置
KR20190028581A (ko)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JP4425242B2 (ja) 吊掛装置
KR101431721B1 (ko) 압력밥솥 뚜껑개폐장치
KR101963434B1 (ko) 샤워기 헤드용 걸이구
JP3212637U (ja) 伸縮式突っ張りポール具
KR101038328B1 (ko) 개방이 편리한 문 손잡이 구조
KR200461773Y1 (ko) 미닫이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장치
KR20180106245A (ko)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성 옷걸이
KR200350534Y1 (ko) 문 고정장치
JP2014218775A (ja) ドアストップ機構を備えたドアクローザー装置
JP2014079319A (ja) ストラップ用係止具
KR20150045110A (ko) 탄성이 부여된 잠금장치
KR101427373B1 (ko)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장치
KR200486667Y1 (ko) 휴지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휴지걸이
KR101526802B1 (ko) 도어 힌지
KR20150015150A (ko) 도어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