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761U -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0761U KR20110000761U KR2020090009258U KR20090009258U KR20110000761U KR 20110000761 U KR20110000761 U KR 20110000761U KR 2020090009258 U KR2020090009258 U KR 2020090009258U KR 20090009258 U KR20090009258 U KR 20090009258U KR 20110000761 U KR20110000761 U KR 2011000076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ring
- hanger
- elastic member
- ring
- upper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64—Standing garment supporting racks; Garment 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혼자서도 쉽게 행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행거의 높이조절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행거의 하단파이프의 일측 끝단부에 장착되고 관통된 내주면에 경사걸림턱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단파이프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단파이프가 끼워지는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걸림턱 위에 얹어지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이 상기 경사걸림턱에 얹어진 상태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링을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상단파이프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덮개 및 상기 고정링을 상기 경사걸림턱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작동레버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작동레버를 해지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링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상단파이프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작동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고정링을 가압하면 상기 고정링이 기울어지면서 상기 상단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우징, 고정링, 탄성부재, 덮개, 작동레버
Description
본 고안은 행거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행거의 높이조절이 쉽고 빠르게 조절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행거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행거용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볼트를 풀거나 조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에 따라 높낮이 조절시 상당히 불편할 뿐 아니라 조절 후 그 고정력이 아주 약해 사용중에 행거가 쓰러지거나 그 조절장치가 파손되는 등 고장이 잦은 문제점이 있다.
즉, 볼트를 조여 조절하는 종래 조절장치는 사용시 외측파이프와 내측파이프 2개의 파이프 중 아래측의 외측파이프를 한손으로 붙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는 그 내측 파이프를 필요한 높이까지 끌어올려야 하므로 혼자서는 높낮이 조절을 위한 볼트를 잠그기가 어렵기 때문에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최소한 두사람 이상이 필요하다.
또한, 얇은 파이프 두께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조절볼트가 조여짐에 따라 구조적으로 아주 취약할 뿐 아니라 오랜 시간 볼트 체결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그 나 사산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리고 볼트 조임시 얇은 내측파이프에 국부적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흠집이나 찌그러짐이 발생되어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오랜 시간이 지나면 볼트가 풀리게 되어 고정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행거의 높낮이 조절을 쉽고 빠르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행거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행거의 높이조절장치는 행거의 하단파이프의 일측 끝단부에 장착되고 관통된 내주면에 경사걸림턱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단파이프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단파이프가 끼워지는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걸림턱 위에 얹어지는 고정링; 상기 고정링이 상기 경사걸림턱에 얹어진 상태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링을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상단파이프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덮개; 및 상기 고정링을 상기 경사걸림턱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레버를 해지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링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상단파이프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작동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고정링을 가압하면 상기 고정링이 기울어 지면서 상기 상단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파이프를 고정시킨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링은 상기 상단파이프가 삽입되는 링부; 및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레버에 접촉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방사형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부는 측명투영 시 호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링부가 절곡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덮개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 및 상기 힌지결합부에서 상기 탄성부재 측 까지 연장되고 상기 고정링에 접촉되며 호형상을 이루는 완곡면과 상기 완곡면을 끝단에 형성되는 가압면이 구비된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링과 일측 끝단이 접촉되며 타측 끝단은 상기 하우징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압축; 및 상기 가압축이 상기 고정링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축을 상기 고정링이 장착된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행거의 높이 조절장치는 행거의 높이 조절장치는 고정링이 상단파이프의 외주면 전체를 지지하기 때문에 높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레버를 회동시키는 단순한 동작으로 고정링이 상단파이프를 고정시키거나 해지시키는 동작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 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행거의 높이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행거의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높이조절장치의 잠금상태가 해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높이조절장치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행거의 높이조절장치는 하단파이프(1)의 일측 끝단부에 장착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링(20)과, 하우징(10)이 상단측에 결합되는 덮개(30)와, 덮개(30)에 힌지결합되어 고정링(20)을 가동시키는 작동레버(40)와, 덮개(30)를 관통하고 하단파이프(1)의 내부에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단파이프(2)로 구성된다.
하우징(10)은 소정의 내경(11)을 갖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에는 하단파이프(1)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걸림면(12)이 형성된다. 하우징의 일측에는 작동레버(40)가 요입되는 요입홈(13)이 형성되고, 요입홈(13) 내부에는 탄성부재(50)가 장착된다. 탄성부재(50)는 고정링(20)에 일측 끝단이 접촉되며 타측 끝단은 요입홈(13)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압축(51)과, 가압축(51)이 고정링(20)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축(51)을 고정링(20)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52)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링(20)은 경사걸림면(12) 위에 얹어진 상태로 일측이 탄성부재(50)를 이 루는 가압축(51)에 지지된다. 고정링(20)은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파이프(2)가 중심을 관통하는 링부(21)와, 링부(21)의 일측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방사형으로 돌출된 지지부(22)로 이루어진다. 링부(21)의 내경은 상단파이프(2)가 이동가능할 정도로 상당파이프(2)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갖는다.
덮개(30)는 하우징(10)의 상단측에 결합되어 고정링(2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단파이프(2)가 통과되는 관통공(31)이 형성된다. 덮개(30)의 일측에는 작동레법(40)가 삽입되는 삽입홈(32)이 형성되고, 삽입홈(32) 내측에 작동레버(40)가 힌지결합된다.
작동레버(40)는 덮개(30)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41)와, 힌지결합부(41)에서 탄성부재(50) 측 까지 연장되는 손잡이부(42)로 이루어진다. 힌지결합부(41)는 덮개(30)에 고정되는 힌지축(41a)과, 힌지축(41a)이 끼워질 수 있도록 작동레버(40)에 형성된 힌지공(41b)으로 이루어진다. 손잡이부(42)는 삽입홈(32)과 요입홈(13)에 삽입되며 고정링(20)과 접촉되는 내측면에는 힌지결합부(41) 측에서부터 직선구간으로 연장되다가 호형상을 이루는 완곡면(43)이 형성되고, 완곡면(43) 끝단에는 짧은 직선구간을 이루는 가압면(4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행거의 높이조절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행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단파이프(2)가 자유롭게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입홈(13)에 삽입되어 있던 작동레버(40)를 회동시켜 이탈시킨다. 작동레버(40)가 회동됨과 동시에 가 압축(51)의 가압상태가 해지되면서 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축(51)이 상승하면서 고정링(20)의 일측을 들어올린다.
경사걸림면(12)에 밀착되어 경사지게 위치하던 고정링(20)이 가압축(51)에 의해 일측이 들어올려져 수평상태로 변경되면, 고정링(20)의 관통공을 따라 상단파이프(2)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단파이프(2)의 고정상태를 해지하여 행거의 길이를 조절한 후에 다시 행거의 길이를 고정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의 길이를 조절한 후에 작동레버(40)의 손잡이부(42)를 가압하여 작동레버(40)를 요입홈(13) 측으로 밀어 넣으면, 작동레버(40)가 회동되면서 완곡면(43)과 고정링(20)에 접촉되면서 고정링(20)의 일측을 가압한다.
일측이 가압되는 고정링(20)은 경사걸림면(12)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기 시작한다. 이때 스프링(52)이 압축되면서 가압축(51)은 하강하게 된다.
작동레버(40)의 회동이 진행되면서 작동레버(40)는 요입홈(13)에 완전하게 요입됨과 동시에 작동레버(40)의 가압면(44)에 고정링(20)이 일시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고정링(20)이 가압면(44)에 의해 가압되면서 고정링(20)은 경사걸림면(12)에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링(20)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면 고정링(20)의 내측면에 상단파이프(2)의 외주면이 밀착되면서 상단파이프(2)의 움직임을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상단파이프(2)는 고정링(20)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행거의 높이조절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120)이 측면투영 시 호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된 링부(121)와, 탄성부재(50)에 지지됨과 동시에 작동레버(4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방사형으로 돌출되며 링부(121)가 절곡된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지지부(122)로 이루어진다. 고정링(120)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구성과 작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링부(121)가 절곡되면 고정링(120)이 결사걸림면(12)에 밀착되도록 기울어진 경우에 그 내주면과 상단파이프(2)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증가되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지지부(122)는 링부(121)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작동레버(40)의 가압면(44)에 지지부(122)의 끝단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행거의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높이조절장치의 잠금상태가 해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높이조절장치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행거의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단파이프 2 : 상단파이프
10 : 하우징 20 : 고정링
30 : 덮개 40 : 작동레버
50 : 탄성부재
Claims (6)
- 행거의 하단파이프의 일측 끝단부에 장착되고 관통된 내주면에 경사걸림턱이 구비된 하우징;상기 하단파이프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단파이프가 끼워지는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걸림턱 위에 얹어지는 고정링;상기 고정링이 상기 경사걸림턱에 얹어진 상태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링을 가압하는 탄성부재;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상단파이프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덮개; 및상기 고정링을 상기 경사걸림턱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작동레버; 를 포함하여상기 작동레버를 해지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링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상단파이프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작동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고정링을 가압하면 상기 고정링이 기울어지면서 상기 상단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링은상기 상단파이프가 삽입되는 링부; 및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레버에 접촉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방사형으로 돌출된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링부는 측명투영 시 호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링부가 절곡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작동레버는상기 덮개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 및상기 힌지결합부에서 상기 탄성부재 측 까지 연장되고 상기 고정링에 접촉되며 호형상을 이루는 완곡면과 상기 완곡면을 끝단에 형성되는 가압면이 구비된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탄성부재는상기 고정링과 일측 끝단이 접촉되며 타측 끝단은 상기 하우징에 길이방향으 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압축; 및상기 가압축이 상기 고정링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축을 상기 고정링이 장착된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부재는상기 고정링과 일측 끝단이 접촉되며 타측 끝단은 상기 하우징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압축; 및상기 가압축을 상기 고정링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9258U KR20110000761U (ko) | 2009-07-16 | 2009-07-16 |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9258U KR20110000761U (ko) | 2009-07-16 | 2009-07-16 |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0761U true KR20110000761U (ko) | 2011-01-24 |
Family
ID=4420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9258U KR20110000761U (ko) | 2009-07-16 | 2009-07-16 |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00761U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8675B1 (ko) * | 2011-07-20 | 2013-04-26 | 반도산업 주식회사 |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
KR101332573B1 (ko) * | 2013-08-02 | 2013-11-25 | 주식회사 맘스오피스 |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옷걸이용 행거 |
KR200473646Y1 (ko) * | 2013-02-12 | 2014-07-15 | 강병수 |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 |
KR101465869B1 (ko) * | 2013-03-26 | 2014-11-27 | 반도산업 주식회사 |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
WO2015053429A1 (ko) * | 2013-10-07 | 2015-04-16 | 반도산업(주) | 행거의 길이 조절 기구 |
CN115413920A (zh) * | 2022-09-22 | 2022-12-02 | 宁波煜淇家居用品有限公司 | 一种隐形挂钩及其加工方法和设备 |
-
2009
- 2009-07-16 KR KR2020090009258U patent/KR20110000761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8675B1 (ko) * | 2011-07-20 | 2013-04-26 | 반도산업 주식회사 |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
KR200473646Y1 (ko) * | 2013-02-12 | 2014-07-15 | 강병수 | 행거용 파이프의 길이조절장치 |
KR101465869B1 (ko) * | 2013-03-26 | 2014-11-27 | 반도산업 주식회사 |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
KR101332573B1 (ko) * | 2013-08-02 | 2013-11-25 | 주식회사 맘스오피스 |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옷걸이용 행거 |
WO2015053429A1 (ko) * | 2013-10-07 | 2015-04-16 | 반도산업(주) | 행거의 길이 조절 기구 |
CN115413920A (zh) * | 2022-09-22 | 2022-12-02 | 宁波煜淇家居用品有限公司 | 一种隐形挂钩及其加工方法和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00761U (ko) |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 |
US6442906B1 (en) | Elevation-adjustable rod member locking structure | |
JP6382072B2 (ja) | フリーロックジョイント | |
JP2013124678A (ja) | 配管接続用クランプ | |
KR100694174B1 (ko) | 파라솔의 각도 조절 장치 | |
JP5090497B2 (ja) | 連結器具 | |
US10822778B1 (en) | Adjustable shower head holder with self-locking structure | |
WO2017059818A1 (zh) | 快速安装接头 | |
KR100658768B1 (ko) | 포스트 길이 조절 스토퍼장치 | |
JP5426934B2 (ja) | 球体のロック装置 | |
JP5205060B2 (ja) | 伸縮装置 | |
KR200403431Y1 (ko) | 포스트 길이 조절 스토퍼의 잠금장치 | |
KR100819888B1 (ko) | 수납 선반용 신축 지주 | |
JP6556313B1 (ja) | クランプ装置及び固定設備 | |
JP6307371B2 (ja) | 穴吊りクランプ | |
KR102266493B1 (ko) | 흡착판 | |
KR20120034400A (ko) | 조립식선반용 클램프 | |
KR200432651Y1 (ko) | 옷걸이용 행거 | |
JP6188901B1 (ja) | フリーロックジョイント | |
KR101403278B1 (ko) | 볼 헤드 | |
JP6386155B1 (ja) | ボールジョイント | |
JP3009257U (ja) | ハンガーフック | |
KR200476588Y1 (ko) | 다단 파이프 인출식 지팡이의 이중 고정장치 | |
KR20190130325A (ko) | 케이블 거치 스탠드의 신축 고정창치 | |
KR200478376Y1 (ko) | 볼헤드 패닝 잠금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