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493B1 - 흡착판 - Google Patents

흡착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493B1
KR102266493B1 KR1020190126915A KR20190126915A KR102266493B1 KR 102266493 B1 KR102266493 B1 KR 102266493B1 KR 1020190126915 A KR1020190126915 A KR 1020190126915A KR 20190126915 A KR20190126915 A KR 20190126915A KR 102266493 B1 KR102266493 B1 KR 102266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extension shaft
edge
elastic
pu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3946A (ko
Inventor
김경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빙씨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빙씨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빙씨엔피
Priority to KR1020190126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493B1/ko
Priority to CN202080072066.5A priority patent/CN114729666A/zh
Priority to PCT/KR2020/013935 priority patent/WO2021075823A1/ko
Publication of KR20210043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흡착판은, 연질로 형성되되, 저면이 흡착면이면서 상면 중심부에 연장축이 구비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장축이 중심부에 관통되며,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밀착력 증대부가 상기 흡착부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경질의 몸체부; 상기 연장축의 관통된 단부에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흡착부의 흡착면이 고정면에 흡착되도록 상기 연장축을 당기는 당김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당김부의 대향면 사이에 위치된 상기 연장축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를 상기 흡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이 상기 몸체부를 계속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흡착부의 가장자리를 누르도록 하여 상기 흡착부가 설치면과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의 탄성력이 몸체부를 계속적으로 가압하면서 몸체부의 가장자리가 흡착부의 가장자리를 누르도록 하여 흡착부가 설치면과의 진공 상태를 장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흡착판 {SUCTION PLATE}
본 발명은 흡착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 유리 또는 면이 매끄러운 벽면 등에 진공 흡착시켜 옷 또는 다양한 물품을 걸 수 있도록 사용하는 흡착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력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시키는 흡착구는 탈부착이 용이하여 떼어낸 후에도 피부착면에 자국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각종 수납 선반이나 생활소품 등을 걸어두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다.
이러한, 흡착판은 부착되는 대상면이 평탄정도에 제한을 받는 단점이 있지만, 간단한 구조로 제조되어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그 이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흡착판과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07-0037374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압축 스프링이 피스톤 샤프트의 주위에 위치되면서 피스톤의 안쪽을 가압하므로 피스톤의 테두리가 설치면에서 이격되어 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37374호(2007.04.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탄성력이 몸체부를 계속적으로 가압하면서 흡착부를 눌러 설치면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흡착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흡착판은, 연질로 형성되되, 저면이 흡착면이면서 상면 중심부에 연장축이 구비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장축이 중심부에 관통되며,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밀착력 증대부가 상기 흡착부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경질의 몸체부; 상기 연장축의 관통된 단부에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흡착부의 흡착면이 고정면에 흡착되도록 상기 연장축을 당기는 당김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당김부의 대향면 사이에 위치된 상기 연장축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를 상기 흡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이 상기 몸체부를 계속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흡착부의 가장자리를 누르도록 하여 상기 흡착부가 설치면과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당김부는 나선 체결형 또는 레버형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와 상기 당김부의 사이에 상기 당김부의 조임시 상기 탄성부의 단부를 압축시키는 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흡착부는 그 가장자리가 환형 형상인 상기 밀착력 증대부에 일부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질로 형성되되, 저면이 흡착면이면서 상면 중심부에 연장축이 구비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장축이 중심부에 관통되며,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밀착력 증대부가 상기 흡착부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경질의 몸체부; 상기 연장축의 관통된 단부에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흡착부의 흡착면이 고정면에 흡착되도록 상기 연장축을 당기는 당김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당김부의 대향면 사이에 위치된 상기 연장축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를 상기 흡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이 상기 몸체부를 계속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흡착부의 가장자리를 누르도록 하여 상기 흡착부가 설치면과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연장축 상부에 횡방향으로 관통된 설치홀 양측에 외면에 경사면을 가지면서 대향면이 탄성 지지된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축에 관통되도록 상기 탄성부와 상기 당김부의 사이에 상기 당김부의 조임시 상기 탄성부의 단부를 압축시키는 가압부에 상, 하부 연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당김부가 상기 연장축에 회전 체결시 상기 하부 연통공이 상기 걸림부의 경사면을 점차 대칭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하부 연통공이 경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 하부 연통공의 사이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의 탄성력이 몸체부를 계속적으로 가압하면서 몸체부의 가장자리가 흡착부의 가장자리를 누르도록 하여 흡착부가 설치면과의 진공 상태를 장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에 다른 실시예의 당김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을 부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에 다른 실시예의 당김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착판을 부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흡착판(100)은 흡착부(110), 몸체부(120), 탄성부(130), 가압부(140) 및 당김부(150)를 포함한다.
흡착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되, 오목하게 형성된 저면에 흡착면(112)이 형성된다. 이렇게, 흡착면(112)이 설치면에 가압 및 밀착되면 설치면과의 사이에서 진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흡착부(110)는 볼록한 상면 중심부에 나선축인 경질의 연장축(116)이 고정된다.
몸체부(120)는 합성수지재 등과 같은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되, 연장축(116)이 관통하도록 중심부에 관통공(122)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선반 등이 고정될 수 있도록 결속고리(124)가 구비된다.
이때, 결속고리(124)는 몸체부(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환형 고리의 단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몸체부(120)에 자유 회전되는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몸체부(120)는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력 증대부(126)가 환형 형상으로 구비된다.
한편, 밀착력 증대부(126)는 양면테이프 또는 고무판 등이 이에 적용되며, 흡착부(110)의 흡착면(112)과 별도로 부착면에 견고한 고정이 가능케 한다.
여기서, 밀착력 증대부(126)는 저면 중 안쪽 가장자리가 흡착부(1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되어 일부가 중첩되도록 구비되므로 설치면이 고르지 않고 오돌토돌하여도 틈없이 설치면에 흡착부(110)를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밀착력 증대부(126)는 흡착부(110) 전체폭의 1/3 또는 1/2을 겹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밀착력 증대부(126)는 저면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홈 내에 흡착부(110)의 가장자리가 위치되면 흡착부(110)와 평면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몸체부(120)가 흡착부(110)를 가압하여 전달된 힘은 밀착력 증대부(126)에 전달되면서 흡착면(112)에 계속적인 힘을 주어 가압하므로 진공 상태를 오래 유지하게 한다.
더욱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몸체부(120)의 밀착력 증대부(126)가 부착되지 않도록 가장자리 안쪽으로 턱이 연장되어 연장된 부분이 흡착부(110)의 상면 가장자리를 가압하게 하여 흡착부(110)의 가장자리가 설치면에 견고하게 덮어누르게 된다.
그리고 몸체부(120)는 관통공(122)의 주변이 함몰 형성되어 탄성부(130)의 단부가 지지된다.
탄성부(130)는 몸체부(120)와 당김부(150)의 대향면 사이에 위치된 연장축(116)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몸체부(120)를 흡착부(110)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이다.
이렇게, 탄성부(130)는 당김부(150)와 함께 몸체부(120)가 흡착부(11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이중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므로 부착면에 부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가압부(140)는 연장축(116)에 삽입되도록 연통공(142)이 형성되며, 탄성부(130)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하부에 홈이 형성된다.
당김부(150)는 가압부(140)의 연통공(142)을 통과한 연장축(116)의 단부에 나선 체결되어 회전시 흡착부(110)의 흡착면(112)이 고정면에 흡착되도록 연장축(116)을 당기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당김부(150)는 표면에 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손으로의 파지가 용이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당김부(150')는 레버형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당김부(150')가 레버형인 경우 연장축(116')에 나선이 형성되지 않고 민무늬로 형성되면서 연장축(116)의 상단에 형성된 홈 내에 힌지(H)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당김부(150')는 가압면(152') 및 돌기(154')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당김부(150')는 가압면(152')으로부터 힌지(H)가 편심지게 결합되어 돌기(154')가 상방을 향하도록 세우게 되면 가압면(152')이 가압부(140)의 상면에서부터 이격되지만, 돌기(154')가 측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키게 되면 편심된 가압면(152')이 가압부(140)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탄성부(130)를 가압부(140)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130)는 몸체부(120)를 가압하므로 흡착부(110)을 누르면서 계속적인 가압으로 더욱 견고하게 부착된다.
그러므로 당김부(150')를 회전시켜 연장축(116')가 당겨지면 탄성부(130)의 탄성에 의하여 흡착부(110) 내에서 진공이 형성되면서 늘어난다. 그리고 흡착부(110)가 떨어질 때는 가장자리가 공기가 들어가면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흡착판(100)을 설치면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부(12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밀착력 증대부(126)에서 이형지를 제거한 후 몸체부(120)를 접착력에 의해 설치면에 1차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당김부(150)를 반시계 방향으로 풀은 상태에서 당김부(150)를 설치면 쪽으로 누르게 되면 흡착부(110)의 흡착면(112)이 설치면에 흡착된다.
다음으로, 당김부(15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당김부(150)가 연장축(116)에 나선 체결 정도가 커지면서 가압부(140)를 가압하게 된다.
다음으로, 탄성부(130)가 몸체부(120)를 가압하게 되면서 당김부(150)에 의해 흡착부(110)의 연장축(116)을 당기게 되므로 설치면과 흡착부(110)의 흡착면(112) 사이에 진공이 형성된다.
이렇게, 연장축(116)에 의해 흡착부(110)를 가압하게 되고, 탄성부(130)에 의해 몸체부(120)를 가압하게 되므로 이중 방식에 의해 설치면에 견고하게 흡착 고정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흡착판은 흡착부, 몸체부(220), 탄성부(230), 가압부(240) 및 당김부(250)를 포함하며, 흡착부의 연장축(216)에 걸림부(218)가 추가 구성되고, 가압부(240)의 형상만 변경되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걸림부(218)는 나선축인 연장축(216)의 대향된 외주면에 높이 방향의 홈을 각각 형성하고, 대향된 홈 내에 대칭 상태로 구비되며, 그 사이에 횡탄성부(S)가 구비된다.
이때, 걸림부(218)는 연장축(216)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설치홀(G) 양단 일부가 삽입되며, 연장축(216)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협하광 구조의 경사면(281a)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부(218)는 횡탄성부(S)의 탄성력에 의해 연장축(216)의 외주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하부의 수평면이 가압부(240)의 하부 연통공(242b) 주위에 걸릴 수 있게 구비된다.
가압부(240)는 연장축(216)에 관통되도록 상, 하부 연통공(242a, 242b)이 각각 형성되고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걸림부(218)가 위치된다.
그리고 가압부(240)는 상, 하부 연통공(242a, 242b)의 사이 외주면에 통과공(244)이 횡방향으로 대칭 형성되어 가압부(240)를 분리시고자 할 때 통과공(244)을 통해 양쪽 걸림부(218)를 가압할 수 있다.
더욱이, 가압부(240)는 당김부(250)의 완전 고정하기 전에는 걸림부(218)의 상측에 위치되지만, 당김부(250)의 완전 고정을 하기 위해 당김부(25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점차 하강하면서 하부 연통공(42b)이 걸림부(218)의 경사면(281a)을 점차 대칭방향(안쪽)으로 가압하게 되고, 하부 연통공(42b)이 걸림부(218)의 경사면(281a)을 통과하여 걸림부(218)가 상, 하부 연통공(242a, 242b)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걸림부(218)가 상, 하부 연통공(242a, 242b)의 사이에 위치되면 횡탄성부(S)의 복원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경사면(281a)의 하단과 인접한 수평면이 가압부(240)가 당김부(250)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간섭하게 된다.
이렇게, 탄성부(230)를 가압한 상태의 가압부(240)가 걸림부(218)에 의해 위치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위치되므로 당김부(250)가 연장축(216)에서 약간 풀려도 가압부(240)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다.
한편, 가압부(240)는 연장축(216)에 높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될 수 있으며, 최상측의 그것은 당김부(250)의 나선홀(252)에 의해 양쪽 경사면(281a)을 가압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흡착판 110: 흡착부
112: 흡착면 114: 밀착력 증대부
116, 116', 216: 연장축 120, 220: 몸체부
130, 230: 탄성부 140, 240: 가압부
150, 150', 250: 당김부

Claims (3)

  1. 연질로 형성되되, 저면이 흡착면이면서 상면 중심부에 연장축이 구비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장축이 중심부에 관통되며,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된 밀착력 증대부가 상기 흡착부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경질의 몸체부;
    상기 연장축의 관통된 단부에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흡착부의 흡착면이 고정면에 흡착되도록 상기 연장축을 당기는 당김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당김부의 대향면 사이에 위치된 상기 연장축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를 상기 흡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이 상기 몸체부를 계속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흡착부의 가장자리를 누르도록 하여 상기 흡착부가 설치면과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연장축 상부에 횡방향으로 관통된 설치홀 양측에 외면에 경사면을 가지면서 대향면이 탄성 지지된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축에 관통되도록 상기 탄성부와 상기 당김부의 사이에 상기 당김부의 조임시 상기 탄성부의 단부를 압축시키는 가압부에 상, 하부 연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당김부가 상기 연장축에 회전 체결시 상기 하부 연통공이 상기 걸림부의 경사면을 점차 대칭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하부 연통공이 경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 하부 연통공의 사이에 위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는 나선 체결형 또는 레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그 가장자리가 환형 형상인 상기 밀착력 증대부에 일부 중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판.
KR1020190126915A 2019-10-14 2019-10-14 흡착판 KR102266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915A KR102266493B1 (ko) 2019-10-14 2019-10-14 흡착판
CN202080072066.5A CN114729666A (zh) 2019-10-14 2020-10-13 吸附板
PCT/KR2020/013935 WO2021075823A1 (ko) 2019-10-14 2020-10-13 흡착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915A KR102266493B1 (ko) 2019-10-14 2019-10-14 흡착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946A KR20210043946A (ko) 2021-04-22
KR102266493B1 true KR102266493B1 (ko) 2021-06-17

Family

ID=7553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915A KR102266493B1 (ko) 2019-10-14 2019-10-14 흡착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66493B1 (ko)
CN (1) CN114729666A (ko)
WO (1) WO20210758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406B1 (ko) * 2021-12-17 2023-06-13 변민제 이중 흡착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737B1 (ko) 2014-04-21 2015-04-23 박수민 원터치형 흡착유닛
KR101662686B1 (ko) 2015-06-25 2016-10-14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터치 노크식 흡착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K1053581A2 (en) * 2002-08-01 2003-10-10 Golden Peak Plastic Works Ltd Suction-adhesive device
DE102005046869B4 (de) 2005-09-30 2008-06-12 Harald Richter Gerätehalter-Saugfuß mit Kolben-Zylinder-Anordnung
KR20080002255U (ko) * 2006-12-26 2008-07-01 김광철 흡착구
KR20080020660A (ko) * 2008-01-29 2008-03-05 주식회사포모바일 흡착판
KR20110105599A (ko) * 2010-03-19 2011-09-27 김경래 흡착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737B1 (ko) 2014-04-21 2015-04-23 박수민 원터치형 흡착유닛
KR101662686B1 (ko) 2015-06-25 2016-10-14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원터치 노크식 흡착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75823A1 (ko) 2021-04-22
CN114729666A (zh) 2022-07-08
KR20210043946A (ko)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3183C (en) Vacuum absorber
US8793834B2 (en) Mop cleaning set
US6478271B1 (en) Mounting sucker
KR100942316B1 (ko) 다용도 흡착판
US9055830B2 (en) Device for ensuring smooth and tight fit of sheet over mattress
US20160198801A1 (en) String winding and unwinding apparatus
KR102266493B1 (ko) 흡착판
KR101266863B1 (ko) 진공 흡착기
WO2008018372A1 (fr) Élément de support pour moustiquaire
US20150369276A1 (en) High Stiffness Suction Cup Device
JP4639190B2 (ja) 家電製品用レッグアセンブリ
USD898141S1 (en) Bat
EP1338808B1 (en) Mounting sucker
KR20110000761U (ko) 행거의 높이조절장치
KR101210682B1 (ko) 조립식선반용 클램프
KR20160102614A (ko) 진공흡착구
CN205978026U (zh) 吸盘式板夹
KR20110105599A (ko) 흡착구
KR102497651B1 (ko) 진공 흡착구
KR20090017949A (ko) 진공 흡착기
TWI702023B (zh) 窗簾繩索之垂重件
US20100206879A1 (en) Cup with Elastic Cover
GB2245638A (en) Sucker device
US20110101182A1 (en) Holding Device for Hand-Held Shower Head
KR20190107995A (ko) 자루 걸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