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437Y1 -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 Google Patents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37Y1
KR200477437Y1 KR2020150001075U KR20150001075U KR200477437Y1 KR 200477437 Y1 KR200477437 Y1 KR 200477437Y1 KR 2020150001075 U KR2020150001075 U KR 2020150001075U KR 20150001075 U KR20150001075 U KR 20150001075U KR 200477437 Y1 KR200477437 Y1 KR 200477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kin
adhered
human body
traffic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민
Original Assignee
오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민 filed Critical 오승민
Priority to KR2020150001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a batt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19/07762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the adhering arrangement making the record carrier wearable, e.g. having the form of a ring, watch, glove or brace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06K19/07777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 G06K19/07779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 G06K19/07783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the coil being plan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의 피부에 접착하여 교통 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의 피부에 접착되는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교통 카드 단말기에 근접시키면 교통 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교통 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Sticker type transportation card apparatus}
본 고안은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피부에 접착하여 교통 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통 카드는 대중 교통수단의 운임이나 유료도로의 통행료를 지불할 때 주로 사용되는 일종의 전자 화폐이다. 자기띠를 탑재한 카드 형식 또는 적외선으로 통신하는 것도 있으나, 내장된 IC칩에 의한 비 접촉식 스마트카드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서울 시내버스에서 공식 도입된 버스카드가 최초의 교통카드이며 이후 부산 시내버스와 도시철도에서 공식 도입된 부산 하나로 카드를 비롯, 여러 지방에서 교통카드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교통 카드는 플라스틱 카드형, 고리형, 장난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자가 반드시 신경을 써서 지갑이나 가방이나 옷 등에 휴대 및 보관하여야 하고 사용시에는 지갑이나 가방이나 옷 등에서 찾아서 꺼내고 손으로 잡아서 교통 카드를 교통 카드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도록 교통 카드를 교통 카드 단말기에 갖다 대어야 하는 등 사용상의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교통 카드는 단순하게 교통 카드 기능에만 갖고 있어서 제품의 고급화하거나 남은 잔액을 확인하거나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의 피부 즉, 손등이나 손목이나 손톱 등에 일회용 또는 다수회 사용용으로 접착시켜서 번거롭게 찾거나 손으로 잡을 필요 없이 인체를 교통 카드 단말기에 갖다 대는 것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서 직관적인 사용으로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사용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접착 상태의 확인이 용이하여 교통 카드 분실의 위험이 적으며, 인체친화적으로 피부 트러블이 적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는, 인체의 피부에 접착되는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교통 카드 단말기에 근접시키면 교통 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교통 카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교통 카드 모듈은, 박막형 안테나; 및 상기 박막형 안테나를 통해서 전원 신호를 수신받아 교통 카드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인체의 손등에 접착되고, 적어도 인체친화적인 접착 패드, 통기구가 형성되어 인체친화적인 통기성 접착 패드, 자외선에 의해서 접착 또는 탈거될 수 있는 자외선 접착 패드, 인체친화적인 다공성 접착 패드, 물에 세척하면 접착력이 복원되는 재생형 접착 패드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접착 부재는, 그 상면이 상기 교통 카드 모듈과 접착되고, 그 하면이 상기 인체의 상기 피부와 접착되어 교체가 가능한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는, 상기 앙면 테이프의 상기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인체의 상기 피부로부터 이탈되는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하면의 접착력을 표시하는 접착력 표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접착력 표시 부재는, 상기 양면 테이프의 상기 하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면 테이프가 상기 피부로부터의 1차 이탈시 상기 피부에 접착되어 상기 양면 테이프로부터 박리되는 부분 투광성 재질의 제 1 잔류 색상층; 및 상기 인체의 상기 피부로부터 이탈되는 횟수를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잔류 색상층의 측방 또는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양면 테이프가 상기 피부로부터의 2차 이탈시 상기 피부에 접착되어 상기 양면 테이프로부터 박리되는 부분 투광성 재질의 제 2 잔류 색상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는, 상기 접착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교통 카드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무선으로 인가받아 충전되는 충전 소자; 및 상기 충전 소자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교통 카드 모듈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는,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형성되고, 정전식 또는 압전식으로 명령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피부의 일종인 손톱에 접착되도록 손톱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교통 카드 모듈은 상기 손톱의 상방 또는 상기 손톱으로부터 손가락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인체의 상기 피부에 1차 프린팅되는 접착성 패이스트이고, 상기 교통 카드 모듈은 상기 접착 부재 상에 2차 프린팅되는 전도성 패이스트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체를 교통 카드 단말기에 갖다 대는 것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서 직관적인 사용으로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사용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서 승하차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 대상자의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고, 교통 카드 분실의 위험이 적으며, 인체친화적으로 피부 트러블이 적고, 접착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거나,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패드 등을 이용하여 잔액을 표시하거나, 정보를 기록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패이스트 프린팅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의 인체 접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도 1의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의 접착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고안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100)의 인체 접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100)는, 크게 접착 부재(10) 및 교통 카드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 부재(10)는, 인체(1)의 피부(2)에 접착되는 부재로서, 상기 교통 카드 모듈(20)을 상기 인체(1)의 상기 피부(2)에 임시적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일종의 접착물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접착 부재(10)는 박리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투명점착필름층일 수 있고, 그 재질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접착 부재(10)는 상기 인체(1)의 상기 피부(2)에 부착될 때, 너무 부드러워 피부에 부착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상기 투명필름 층위에 약간의 경직성이 있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무연신필름층을 합지하여 적층할 수 있고, 피부에 함께 부착한 후 무연신필름층만 따로 떼어 낼 수 있다. 이런 경우, 매우 부드러운 상기 접착 부재(10)를 피부에 쉽게 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 부재(10)는, 상기 인체(1)의 손등(3)에 접착될 수 있고, 오일이나 크림 등 각종 피부보호약재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인체친화적인 접착 패드(11)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접착 부재(10)는 상술된 재질이나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상기 손등(3)은 물론 손목이나 팔뚝 등 각종 상기 인체(1)의 상기 피부(2)에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통 카드 모듈(20)은, 상기 접착 부재(10)에 접착되어 상기 인체(1)의 상기 피부(2)에 임시 고정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교통 카드 단말기에 근접시키면 교통 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박막형 전자 모듈의 일종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통 카드 모듈(20)은, 소용돌이 형태로 말린 형태인 얇은 구리 배선층을 갖는 박막형 안테나(21)와, 상기 박막형 안테나(21)를 통해서 전원 신호를 수신받아 교통 카드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22)와, 송수신된 상기 교통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저장 장치(23) 및 상기 접착 부재(10)에 대응되고, 상기 박막형 안테나(21)와, 상기 송수신부(22) 및 상기 기록 저장 장치(23)를 지지하는 필름 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손등(3)에 상기 접착 부재(10)가 부착된 상기 교통 카드 모듈(20)을 교통 카드 단말기에 갖다 대면 상기 박막형 안테나(21)를 통해서 상기 송수신부(22)가 전원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상기 기록 저장 장치(23)가 송수신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다음번 사용시, 상기 교통 카드 단말기는 상기 송수신부(22)를 통해서 상기 기록 저장 장치(23)에 기록된 교통 카드 관련 정보를 읽거나 재기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인체(1) 중 사용하기 편리한 손등(3)과 같은 피부에 상기 접착 부재(10)를 이용하여 상기 교통 카드 모듈(20)이 접착된 상기 손등(3)을 교통 카드 단말기에 갖다 대는 간편한 동작만으로도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가방이나 지갑이나 의류 등에서 교통 카드를 찾아서 손으로 잡을 필요 없이 매우 직관적인 사용으로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교통 카드 사용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서 대중 교통 시설의 승하차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 대상자의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항상 인체(1)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교통 카드 분실의 위험이 적으며, 인체친화적으로 피부 트러블을 줄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도 1의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100)의 접착 부재(10)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100)의 접착 부재(10)는, 반드시 도 3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컨대, 상기 접착 부재(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부(2)가 숨을 쉴 수 있도록 통기구(H)가 형성되어 인체친화적인 통기성 접착 패드(12)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 부재(10)를 상기 피부(2)에 장시간 접착시켜도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쾌적함과 상쾌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 부재(10)는, 자외선(UV)에 의해서 접착 또는 탈거될 수 있는 자외선 접착 패드(13)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UV)에 의해 접착된 상기 자외선 접착 패드(13)는 상기 피부(2)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상기 자외선(UV)을 재조사해야만 상기 피부(2)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을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 부재(10)는, 쿠션이 형성되도록 공극(V)이 형성되어 인체친화적인 다공성 접착 패드(14)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종의 에어 쿠션을 이용하여 푹신푹신한 느낌으로 사용시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 부재(10)는, 물에 세척하면 이물질(E)들이 제거되어 접착력이 복원되는 재생형 접착 패드(15)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해도 접착력을 늘 일정하게 유지하여 장시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 부재(10)는, 그 상면이 상기 교통 카드 모듈(20)과 접착되는 제 1 접착층(F1)이 형성되고, 그 하면이 상기 인체(1)의 상기 피부(2)와 접착되는 제 2 접착층(F2)이 형성되어 교체가 가능한 양면 테이프(16)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교통 카드 모듈(20)은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접착력이 상실된 상기 양면 테이프(16)를 교체하면서 장기간 새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 부재(10)는, 상기 앙면 테이프(17)의 상기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인체(1)의 상기 피부(2)로부터 이탈되는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하면의 접착력을 표시하는 접착력 표시 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력 표시 부재(30)는, 상기 양면 테이프(17)의 상기 하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면 테이프(17)가 상기 피부로부터의 1차 이탈시 상기 피부에 접착되어 상기 양면 테이프(17)로부터 박리되는 부분 투광성 재질의 제 1 잔류 색상층(31) 및 상기 인체(1)의 상기 피부(2)로부터 이탈되는 횟수를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잔류 색상층(31)의 측방 또는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양면 테이프(17)가 상기 피부(2)로부터의 2차 이탈시 상기 피부에 접착되어 상기 양면 테이프(17)로부터 박리되는 부분 투광성 재질의 제 2 잔류 색상층(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3 잔류 색상층이나 제 4 잔류 색상층 등 다양한 개수의 색상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잔류 색상층(31) 또는 상기 제 2 잔류 색상층(32)이 잔류하게 되면 그 색상을 통해서 육안으로 접착된 횟수 등을 확인하여 접착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2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200)는, 상기 접착 부재(10)에 형성되고, 상기 교통 카드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무선으로 인가받아 충전되는 충전 소자(40)와, 상기 충전 소자(4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교통 카드 모듈(20)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50) 및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50)의 표면에 형성되고, 정전식 또는 압전식으로 명령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패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2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소자(40)를 이용하여 상기 교통 카드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무선으로 인가받아 충전하고, 상기 충전 소자(40)로부터 충전된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서 각종 정보, 예컨대, 잔액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이외에도 상기 터치 패드(60)를 이용하여 각종 명령 신호, 예컨대, 각종 계산이나 기록 등을 입력하여 저장했다가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50)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된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50)와 상기 터치 패드(60) 등을 이용하여 잔액을 표시하거나, 정보를 기록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300)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300)의 접착 부재(10)는 상기 피부의 일종인 손톱(4)에 접착되도록 상기 손톱(4)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교통 카드 모듈(20)은 상기 손톱(4)의 상방 또는 상기 손톱(4)으로부터 손가락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경질의 성질을 갖는 상기 손톱(4)에 상기 교통 카드 모듈(20)을 접착시켜서 상기 손톱(4)을 교통 카드 단말기에 갖다 대는 동작만으로도 매우 편리하게 교통 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400)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400)의 접착 부재(10)는 상기 인체(1)의 상기 피부(2)에 1차 프린팅되는 접착성 패이스트(P1)이고, 상기 교통 카드 모듈(20)은 상기 접착 부재(10) 상에 2차 프린팅되는 전도성 패이스트(P2)일 수 있다. 따라서, 패이스트 프린팅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인체(1)의 상기 피부(2)에 간단하게 접착시켜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접착 부재
11: 접착 패드
12: 통기성 접착 패드
13: 자외선 접착 패드
14: 다공성 접착 패드
15: 재생형 접착 패드
16, 17: 양면 테이프
20: 교통 카드 모듈
21: 박막형 안테나
22: 송수신부
23: 기록 저장 장치
24: 필름 부재
30: 접착력 표시 부재
31: 제 1 잔류 색상층
32: 제 2 잔류 색상층
40: 충전 소자
50: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
60: 터치 패드
100, 200, 300, 400: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Claims (10)

  1. 인체의 피부에 접착되는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교통 카드 단말기에 근접시키면 교통 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교통 카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그 상면이 상기 교통 카드 모듈과 접착되고, 그 하면이 상기 인체의 상기 피부와 접착되어 교체가 가능한 양면 테이프이고,
    상기 앙면 테이프의 상기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인체의 상기 피부로부터 이탈되는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하면의 접착력을 표시하는 접착력 표시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카드 모듈은,
    박막형 안테나; 및
    상기 박막형 안테나를 통해서 전원 신호를 수신받아 교통 카드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인체의 손등에 접착되고, 적어도 인체친화적인 접착 패드, 통기구가 형성되어 인체친화적인 통기성 접착 패드, 자외선에 의해서 접착 또는 탈거될 수 있는 자외선 접착 패드, 인체친화적인 다공성 접착 패드, 물에 세척하면 접착력이 복원되는 재생형 접착 패드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력 표시 부재는,
    상기 양면 테이프의 상기 하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면 테이프가 상기 피부로부터의 1차 이탈시 상기 피부에 접착되어 상기 양면 테이프로부터 박리되는 부분 투광성 재질의 제 1 잔류 색상층; 및
    상기 인체의 상기 피부로부터 이탈되는 횟수를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잔류 색상층의 측방 또는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양면 테이프가 상기 피부로부터의 2차 이탈시 상기 피부에 접착되어 상기 양면 테이프로부터 박리되는 부분 투광성 재질의 제 2 잔류 색상층;
    을 포함하는,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교통 카드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무선으로 인가받아 충전되는 충전 소자; 및
    상기 충전 소자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교통 카드 모듈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형성되고, 정전식 또는 압전식으로 명령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패드;
    를 더 포함하는,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피부의 일종인 손톱에 접착되도록 손톱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교통 카드 모듈은 상기 손톱의 상방 또는 상기 손톱으로부터 손가락으로 연장되는 것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인체의 상기 피부에 1차 프린팅되는 접착성 패이스트이고,
    상기 교통 카드 모듈은 상기 접착 부재 상에 2차 프린팅되는 전도성 패이스트인,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KR2020150001075U 2015-02-16 2015-02-16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KR200477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075U KR200477437Y1 (ko) 2015-02-16 2015-02-16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075U KR200477437Y1 (ko) 2015-02-16 2015-02-16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437Y1 true KR200477437Y1 (ko) 2015-06-11

Family

ID=5351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075U KR200477437Y1 (ko) 2015-02-16 2015-02-16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43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6710A1 (en) * 2006-11-01 2010-03-18 Michio Koibuchi Nail chip mounted with image display device and dedicated charger
KR20140143469A (ko) * 2013-04-30 2014-12-17 이승준 잔액 표시가 가능한 현금 결제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6710A1 (en) * 2006-11-01 2010-03-18 Michio Koibuchi Nail chip mounted with image display device and dedicated charger
KR20140143469A (ko) * 2013-04-30 2014-12-17 이승준 잔액 표시가 가능한 현금 결제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8537B2 (en) Smart device programmable electronic luggage tag and bag mountings therefore
US20120105459A1 (en) Attachable informational appliance
CN204595903U (zh) 电子行李标签
US20130043669A1 (en) Adhesive casualty and triage card
CN210040338U (zh) 电池固定结构以及移动终端
JP5888594B2 (ja) 情報収集装置
KR200477437Y1 (ko) 인체 접착형 교통 카드 장치
JP4802395B2 (ja) Rfidタグ交信用の手袋
US20070144366A1 (en) Stamp, stamp base, and stamp set
TWM362470U (en) Separated wireless identification device for handheld device
JP2002352200A (ja) Rfidタグ交信用の手袋
JP2006202169A (ja) Rfidタックラベル
JP5139225B2 (ja) Rfidチップ用ラベル
US20220365556A1 (en) Sports retronic wearable terminal
JP4334880B2 (ja) 非接触icタグ付き無線綴じ本の製造方法
JP3110437U (ja) Rfid粘着ラベル
JP5139226B2 (ja) Rfidチップ用ラベル
JP2007181599A (ja) 鑑識用粘着シート
CN102610160A (zh) 医用身份识别腕带
JP2002002157A5 (ko)
CN203350901U (zh) 一种智能不干胶标签
US20080074957A1 (en) Strip For Securing A Device
CN205318422U (zh) 应用于血袋的新型柔性环保超高频电子标签
CN213582414U (zh) 一种校园用移动式pos机
CN218317537U (zh) 手表贴膜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