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305Y1 - 착탈식 기능성 파우치 모듈 - Google Patents

착탈식 기능성 파우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305Y1
KR200477305Y1 KR2020120011702U KR20120011702U KR200477305Y1 KR 200477305 Y1 KR200477305 Y1 KR 200477305Y1 KR 2020120011702 U KR2020120011702 U KR 2020120011702U KR 20120011702 U KR20120011702 U KR 20120011702U KR 200477305 Y1 KR200477305 Y1 KR 200477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storage space
pocket
cylindrical
de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868U (ko
Inventor
남욱
손정혜
Original Assignee
남욱
손정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욱, 손정혜 filed Critical 남욱
Priority to KR2020120011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305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8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8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3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9Flexible luggage; Hand bags with interchangeable elements forming the storage space, e.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86Flexible luggage; Hand bag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탈식 기능성 파우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 담당하는 용도와 특성이 다른 복수의 독립된 파우치를 상황이나 필요에 맞게 착탈하면서 다양한 물품들을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방향보다 좌우방향으로 긴 수납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는 칸막이 없는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파우치와; 상기 제1파우치의 후면에 착탈되며, 상기 제1파우치와 쌍을 이루면서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방향보다 좌우방향으로 긴 수납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 중간에는 벨크로에 의해 착탈 가능한 칸막이가 설치되는 제2파우치와; 상기 제1파우치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일측면에 착탈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원통형의 물품을 수납하기 편리하도록 원통형의 수납공간을 갖는 제3파우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착탈식 기능성 파우치 모듈{removal functionality pouch module}
본 고안은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담당하는 용도와 특성이 다른 복수의 독립된 파우치를 상황이나 필요에 맞게 착탈하면서 다양한 물품들을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착탈식 기능성 파우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파우치 혹은 가방은 주로 유아들을 위한 물품 혹은 소품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나 수납용 포켓을 구비하고 있는 물품을 일컫는다.
통상 유아용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는 기저귀, 우유병, 각종 약품, 장난감, 포대기 및 이불 등 그 양이 많고 종류도 무척이나 다양하다. 이들 유아물품들은 필요시 유아에게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유아와 함께 상시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엄마 혹은 보호자가 유아와 함께 외출할 때에는 각종 유아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을 준비하는 것이 거의 필수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위와 같은 필요에 따라 공개실용신안공보 2010-0003467에 개시된 유아용 가방 중 하나를 예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유아용 가방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는 가방(1)이며, 가방(1)의 전면에 전방덮개(11)를 포함하는 이불 수납공간부(10)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덮개(11)의 내측에는 탈부착수단(20)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게 수납되는 이불(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구성되었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전면에 이불을 수납할 수 있는 이불 수납공간부(10)가 구비되어 이불(30)을 용이하게 보관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가방에 수납되는 다른 물품들과 이불 간의 간섭 없이 양쪽 모두를 용이하게 수납 및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다양한 유아물품을 그 특성에 맞게 종류별로 구분하여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였고, 최초 설계된 획일적인 형태를 사용자가 직접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유아의 보호자가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 및 필요에 맞게 적절하게 응용하여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담당하는 용도와 특성이 다른 복수의 독립된 파우치를 상황이나 필요에 맞게 착탈하면서 다양한 물품들을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착탈식 기능성 파우치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착탈식 기능성 파우치 모듈은,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방향보다 좌우방향으로 긴 수납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는 칸막이 없는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파우치와; 상기 제1파우치의 후면에 착탈되며, 상기 제1파우치와 쌍을 이루면서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방향보다 좌우방향으로 긴 수납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 중간에는 벨크로에 의해 착탈 가능한 칸막이가 설치되는 제2파우치와; 상기 제1파우치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일측면에 착탈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원통형의 물품을 수납하기 편리하도록 원통형의 수납공간을 갖는 제3파우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파우치와 상기 제2파우치를 상측에서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제1파우치의 전면 상부에 접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파우치의 후면 상부에 스냅버튼에 의해 착탈되도록 한 걸이 겸용 손잡이가 더 구비되며, 상기 걸이 겸용 손잡이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복수의 스냅버튼이 더 설치되어 상기 제2파우치의 후면 상부에 착탈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파우치의 수납공간 내부는 보온, 보냉 및 방수용의 은박으로 단열 처리되고, 상기 제1파우치의 수납공간 내부에서 좌편과 우편 중 어느 한 곳에는 상하로 길어서 잘 쓰러지기 쉬운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고무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파우치의 수납공간 내부는 보온 및 보냉용의 은박으로 단열 처리되고, 그 상단부에는 개방된 부위를 오므릴 수 있도록 조임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파우치에는 열선이 내장되고, 케이블에 의해 자동차의 시거잭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미니 USB 포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파우치의 전면에는 사각의 형태를 갖는 사각형 포켓이 더 설치되되, 상기 사각형 포켓은 하단부가 상기 제1파우치 전면의 하단부에 접합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고, 상단부는 상기 제1파우치 전면의 상단부에 스냅버튼에 의해 착탈되며, 상단부에는 개폐용 지퍼가 설치되며, 전면은 불투명 재질이지만 후면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파우치의 전면에는 상기 사각형 포켓이 상부로 회동하였을 때 가려지는 영역에 상부가 개방된 망사형 포켓이 구비되어, 상기 사각형 포켓이 하부로 회동하여 펼쳐졌을 때 후면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사각형 포켓과 망사형 포켓에 수납된 내용물이 모두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파우치 전면과 상기 제2파우치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각각 망사형 포켓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파우치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제3파우치가 착탈되지 않는 나머지 타측면에 접합되되, 상부가 개방되고 원통형의 물품을 수납하기 편리하도록 원통형의 수납공간을 갖고 그 상단부에는 개방된 부위를 오므릴 수 있도록 조임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착탈식 기능형 파우치 모듈은, 담당하는 용도와 특성이 다른 복수의 독립된 파우치를 상황이나 필요에 맞게 착탈하면서 다양한 물품들을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3파우치의 경우 자동차의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자동차에서는 따로 분리하여 음료나 이유식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1파우치 전면에 설치된 사각형 포켓이 상부로 회동하였을 때는 상기 제1파우치 전면에 설치된 망사형 포켓과 사각형 포켓에 수납된 물품이 모두 은폐되지만, 사각형 포켓이 하부로 회동하여 펼쳐졌을 때에는 상기 제1파우치 전면에 설치된 망사형 포켓과 사각형 포켓에 수납된 물품이 모두 단번에 외부로 노출되어 무엇이 수납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유야용 가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파우치 모듈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파우치 모듈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파우치 모듈의 후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파우치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상측에서 바라본 참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파우치 모듈의 각 구성품을 분리한 분리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원통형 포켓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파우치 모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파우치 모듈은 담당하는 용도와 특성이 다른 복수의 독립된 파우치를 상황이나 필요에 맞게 착탈하면서 다양한 물품들을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파우치 모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파우치 모듈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파우치 모듈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파우치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상측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파우치 모듈의 각 구성품을 분리한 분리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원통형 포켓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파우치 모듈은 서로 착탈(부착 및 탈거) 가능한 제1파우치(110), 제2파우치(120), 제3파우치(130)를 비롯하여 상기 제1파우치(110) 또는 제2파우치(120)에 선택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보조 파우치(140)와, 그들 파우치들에 속한 다양한 형태의 포켓들로 이루어진다.
아래에서는 상기 각 파우치들을 중심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파우치(110)는 상대적으로 큰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커다란 하나의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은 전후방향보다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파우치(110)는 상기 제2파우치(120)와 외형적으로는 유사하며 후면에 구비된 스냅버튼에 의해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냅버튼(120a)을 구비한 제2파우치(120)와 배향하는 형태로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파우치(110)의 수납공간 내부는 보온, 보냉 및 방수용의 은박(110a)으로 단열 처리되고, 상기 제1파우치(110)의 수납공간 내부에서 좌편과 우편 중 어느 한 곳에는 상하로 길어서 잘 쓰러지기 쉬운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적합한 링 형태의 고무밴드(11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파우치(110)의 전면 상부에는 걸이 겸용 손잡이(111)의 일단부가 접합되는데, 상기 걸이 겸용 손잡이(111)는 제1파우치(110)와 상기 제2파우치(120)를 상측에서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타단부가 상기 제2파우치(120)의 후면 상부에 스냅버튼(111a)에 의해 착탈된다. 여기서, 상기 걸이 겸용 손잡이(111)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복수의 스냅버튼(111a)이 더 설치되어 상기 제2파우치(120)의 후면 상부에 착탈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파우치(110)의 전면에는 사각의 형태로 이루어진 사각형 포켓(112)이 하단부에만 회동 가능하게 접합된 형태로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사각형 포켓(112)은 불투명 재질의 전면과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의 후면(112a)이 그 테두리부가 접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포켓으로서 하단부가 상기 제1파우치(110) 전면의 하단부에 접합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고, 상단부는 상기 제1파우치(110) 전면의 상단부에 스냅버튼(112c)에 의해 착탈된다. 그리고 그 상단부에는 개폐용 지퍼(112b)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파우치(110)의 전면에는 상기 사각형 포켓(112)이 상부로 회동하였을 때 가려지는 영역에 상부가 개방된 망사형 포켓(113)이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제1파우치(110)의 전면에 망사형 포켓(113)이 구비되면 상기 사각형 포켓(112)이 하부로 회동하여 펼쳐졌을 때 상기 사각형 포켓(112)과 망사형 포켓(113)에 수납된 내용물이 모두 외부로 드러난다.
또한, 상기 제1파우치(110)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제3파우치(130)가 착탈되지 않는 나머지 타측면(도면상으로는 우측면)에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포켓(114)이 접합된다. 상기 원통형 포켓(114)은 원통형의 물품을 수납하기 편리하도록 원통형의 수납공간을 가지며 그 상단부에는 개방된 부위를 오므릴 수 있도록 조임끈(114a)이 설치된다.
제2파우치(120)는 상기 제1파우치(110)와 대응되는 형태로 쌍을 이루어 스냅버튼(120a)에 의해 상기 제1파우치(110)의 후면에 착탈되도록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방향보다 좌우방향으로 긴 수납공간을 갖는다. 그리고 그 수납공간 내부 중간에는 벨크로(121a)에 의해 착탈 가능한 칸막이(121)가 설치된다(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상기 제2파우치(12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망사형 포켓(122)이 설치된다(단, 도면에서는 우측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됨). 또한, 상기 제2파우치(122)의 후면 하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불투명 재질의 포켓(122)이 구비된다.
상기 제3파우치(130)는 상기 제1파우치(110)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일측면에 스냅버튼에 의해 착탈되며(도면에는 좌측면에 착탈되는 것으로 도시됨), 상부가 개방되고 원통형의 물품을 수납하기 편리하도록 원통형의 수납공간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3파우치(130)의 수납공간 내부는 보온 및 보냉용의 은박(132)으로 단열 처리되고, 그 상단부에는 개방된 부위를 오므릴 수 있도록 조임끈(131)이 설치된다. 나아가 상기 제3파우치(130)에는 열선(133)이 내장되고, 케이블(135)에 의해 자동차의 시거잭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미니 USB 포트(1340도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제3파우치(130)에 열선(1330과 USB 포트(134)가 설치되는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동차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제3파우치(130)를 상기 제1파우치(110)로부터 분리하거나 부탁된 상태로 케이블(135)로 시거잭과 간단히 연결하는 것만으로 음료나 이유식을 따듯하게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 파우치(14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데 화장품이나 작고 다양한 물품들을 수납하여 상기 제1파우치(110) 또는 제2파우치(120)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 파우치(140)는 수납되는 물품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상부만 지퍼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 사각의 얇은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크기는 상기 제1파우치(110)나 제2파우치(120)에 삽입하기 용이한 정도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보조 파우치(140)가 구비되면 작은 물품들이 수납공간이 넓은 제1파우치(110)나 제2파우치(120)에서 혼란스럽게 방치되지 않도록 한 곳으로 모아 수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기능성 파우치 모듈은 주요한 4개의 파우치가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한 구성과 상기 파우치들에 속한 다양한 형태의 포켓을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에 맞게 응용하여 조립하면서 다양한 물품들을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제1파우치 111 : 걸이 겸용 손잡이
112 : 사각형 포켓 120 : 제2파우치
121 : 칸막이 130 : 제3파우치
133 : 열선 134 : USB 포트
135 : 케이블 140 : 보조 파우치

Claims (9)

  1.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방향보다 좌우방향으로 긴 수납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는 칸막이 없는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파우치와;
    상기 제1파우치의 후면에 착탈되며, 상기 제1파우치와 쌍을 이루면서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방향보다 좌우방향으로 긴 수납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 중간에는 벨크로에 의해 착탈 가능한 칸막이가 설치되는 제2파우치와;
    상기 제1파우치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일측면에 착탈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원통형의 물품을 수납하기 편리하도록 원통형의 수납공간을 갖는 제3파우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파우치와 상기 제2파우치를 상측에서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제1파우치의 전면 상부에 접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파우치의 후면 상부에 스냅버튼에 의해 착탈되도록 한 걸이 겸용 손잡이가 더 구비되며, 상기 걸이 겸용 손잡이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복수의 스냅버튼이 더 설치되어 상기 제2파우치의 후면 상부에 착탈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우치의 수납공간 내부는 보온, 보냉 및 방수용의 은박으로 단열 처리되고, 상기 제1파우치의 수납공간 내부에서 좌편과 우편 중 어느 한 곳에는 상하로 길어서 잘 쓰러지기 쉬운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고무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파우치의 수납공간 내부는 보온 및 보냉용의 은박으로 단열 처리되고, 그 상단부에는 개방된 부위를 오므릴 수 있도록 조임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파우치에는 열선이 내장되고, 케이블에 의해 자동차의 시거잭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미니 USB 포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우치의 전면에는 사각의 형태를 갖는 사각형 포켓이 더 설치되되, 상기 사각형 포켓은 하단부가 상기 제1파우치 전면의 하단부에 접합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고, 상단부는 상기 제1파우치 전면의 상단부에 스냅버튼에 의해 착탈되며, 상단부에는 개폐용 지퍼가 설치되며, 전면은 불투명 재질이지만 후면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우치의 전면에는 상기 사각형 포켓이 상부로 회동하였을 때 가려지는 영역에 상부가 개방된 망사형 포켓이 구비되어, 상기 사각형 포켓이 하부로 회동하여 펼쳐졌을 때 후면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사각형 포켓과 망사형 포켓에 수납된 내용물이 단번에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우치 전면과 상기 제2파우치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각각 망사형 포켓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우치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제3파우치가 착탈되지 않는 나머지 타측면에 접합되되, 상부가 개방되고 원통형의 물품을 수납하기 편리하도록 원통형의 수납공간을 갖고 그 상단부에는 개방된 부위를 오므릴 수 있도록 조임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포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모듈.
KR2020120011702U 2012-12-12 2012-12-12 착탈식 기능성 파우치 모듈 KR200477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702U KR200477305Y1 (ko) 2012-12-12 2012-12-12 착탈식 기능성 파우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702U KR200477305Y1 (ko) 2012-12-12 2012-12-12 착탈식 기능성 파우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868U KR20140003868U (ko) 2014-06-24
KR200477305Y1 true KR200477305Y1 (ko) 2015-06-01

Family

ID=5244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702U KR200477305Y1 (ko) 2012-12-12 2012-12-12 착탈식 기능성 파우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3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79B1 (ko) * 2007-06-13 2008-09-09 쿠쿠전자주식회사 내솥 뚜껑의 분리가 가능한 전기 압력 조리기
KR100857577B1 (ko) * 2007-06-13 2008-09-09 쿠쿠전자주식회사 내솥 뚜껑의 분리가 가능한 전기 압력 조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736Y1 (ko) * 2017-07-14 2017-10-18 김민경 학생용 등가방
KR200489595Y1 (ko) * 2018-06-20 2019-07-11 주식회사 실로무역 가방용 오거나이저
KR102145843B1 (ko) * 2020-03-18 2020-08-19 유부스 주식회사 수제 핸드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808Y1 (ko) * 1982-08-27 1983-12-10 김정식 칸막이 착탈식 가방
JP2002159319A (ja) * 2000-09-18 2002-06-04 Tomohiro Ueda バッ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808Y1 (ko) * 1982-08-27 1983-12-10 김정식 칸막이 착탈식 가방
JP2002159319A (ja) * 2000-09-18 2002-06-04 Tomohiro Ueda バッ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579B1 (ko) * 2007-06-13 2008-09-09 쿠쿠전자주식회사 내솥 뚜껑의 분리가 가능한 전기 압력 조리기
KR100857577B1 (ko) * 2007-06-13 2008-09-09 쿠쿠전자주식회사 내솥 뚜껑의 분리가 가능한 전기 압력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868U (ko)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305Y1 (ko) 착탈식 기능성 파우치 모듈
US20090180715A1 (en) Convertible bag
US10210742B2 (en) Carrying bag having a built-in checklist
KR101558055B1 (ko) 아기 침대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가방
US20150028639A1 (en) Liner with blanket for strollers, car seats, and infant carriers
WO2011112655A1 (en) Luggage for storage and transport of baby items
US20210076794A1 (en) Stroller caddy
US20160347220A1 (en) Child Protection Liner
US8267260B2 (en) Storage device
CN207055043U (zh) 多功能妈妈包
US20190133277A1 (en) Multifunction baby travel bag
WO2008117287A2 (en) Diaper bag
CA2949288C (en) Transport pack with expandable lower portion
US20090014267A1 (en) Hanging Luggage With Removable Inserts
US20060088231A1 (en) Enclosed, hangable, folding pouch with closure
KR101526205B1 (ko) 유아용 폴더형 파우치
JP2015080527A (ja) バッグカバー
CN205022659U (zh) 婴儿车储物装置及具有该装置的婴儿车
JP3131995U (ja) 背負い袋兼用手提げ袋
JP3161073U (ja) 多用途バッグ
CN205072333U (zh) 一种多功能的折叠包
CN206217766U (zh) 用于车辆的储物装置和具有其的车辆
JP3110717U (ja) スーツケース
CN105077969A (zh) 一种多功能的折叠包
KR101853205B1 (ko) 휴대용 유아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