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736Y1 - 학생용 등가방 - Google Patents

학생용 등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736Y1
KR200484736Y1 KR2020170003654U KR20170003654U KR200484736Y1 KR 200484736 Y1 KR200484736 Y1 KR 200484736Y1 KR 2020170003654 U KR2020170003654 U KR 2020170003654U KR 20170003654 U KR20170003654 U KR 20170003654U KR 200484736 Y1 KR200484736 Y1 KR 200484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main body
auxiliary
coupling means
auxiliary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경
Original Assignee
김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경 filed Critical 김민경
Priority to KR2020170003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7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2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specially adapted for school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86Flexible luggage; Hand bag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가방(100)의 정면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보조가방(200)을 구비함으로써, 보조가방(200)을 손가방처럼 들고 다니다가, 필요에 따라 본체가방(100)에 부착하여 함께 매고 다닐 수 있어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학생용 등가방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학생용 등가방은, 등에 매는 가방 형태인 본체가방(100); 손가방 형태인 보조가방(200); 상기 보조가방(200)의 상부를 상기 본체가방(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제1결합수단(300); 상기 보조가방(200)의 하부를 상기 본체가방(100)에 밀착시키기 위한 제2결합수단(40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학생용 등가방{Backpack for student}
본 고안은 학생용 등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등가방에 손가방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필요에 따라 손가방을 분리하여 들고 다닐 수 있는 학생용 등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가방은 학생이 교재 등을 소지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등산 또는 여행 시에 필요물품을 꾸리도록 사용되거나 또는 일반인들의 휴대용품을 수납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은 실내화 등을 소지하기 위해 별도의 손가방을 소지하게 된다.
그러나 학생들은 등가방과 손가방을 함께 소지해야 하기 때문에 한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고, 버스를 탔을 때 한 손으로만 손잡이(210)를 잡고 있다가 급정거시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손가방을 들고가면서 던지거나 친구들에게 장난을 치는 등 위험한 놀이를 할 수도 있고, 분실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99437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가방(100)의 정면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보조가방(200)을 구비함으로써, 보조가방(200)을 손가방처럼 들고 다니다가, 필요에 따라 본체가방(100)에 부착하여 함께 매고 다닐 수 있어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학생용 등가방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학생용 등가방은, 등에 매는 가방 형태인 본체가방(100); 손가방 형태인 보조가방(200); 상기 보조가방(200)의 상부를 상기 본체가방(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제1결합수단(300); 상기 보조가방(200)의 하부를 상기 본체가방(100)에 밀착시키기 위한 제2결합수단(400); 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상기 본체가방(100)의 정면 상부와 상기 보조가방(200)의 후면 상부 중 어느 한 곳에 고정되는 암버클(350); 상기 본체가방(100)의 정면 상부와 상기 보조가방(200)의 후면 상부 중 나머지 한 곳에 고정되는 수버클(360); 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수단(400)은, 상기 본체가방(100)의 정면 하부와 상기 보조가방(200)의 후면 하부 중 어느 한 곳에 고정되는 제1자석(410); 상기 본체가방(100)의 정면 하부와 상기 보조가방(200)의 후면 하부 중 나머지 한 곳에 고정되는 제1자성부재(420); 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가방(100)의 정면 상부에는 상기 보조가방(200)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재(120)의 후면과 상기 보조가방(200)의 정면 상부에는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결합수단(500)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가방에는 양 어깨에 끼우는 2개의 어깨끈(110)이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일단에 상기 어깨끈(110)의 상단에 장착되는 2개의 고리부(311)가 구비되는 연결끈(310); 상기 연결끈(310)의 타단과 상기 보조가방(200)의 후면 상부 중 어느 한 곳에 고정되는 암버클(350); 상기 연결끈(310)의 타단과 상기 보조가방(200)의 후면 상부 나머지 어느 한 곳에 고정되는 수버클(360); 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학생용 등가방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본체가방(100)의 정면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상기 보조가방(20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조가방(200)을 손가방처럼 들고 다니다가,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가방(100)에 부착하여 함께 매고 다닐 수 있어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체가방(100)의 정면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상기 보조가방(20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조가방(200)을 손가방처럼 들고 다니다가,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가방(100)에 부착하여 함께 매고 다닐 수 있어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보조가방(200)의 상부를 덮는 상기 덮개부재(12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보조가방(200)의 입구 부분과 후술할 상기 제1결합수단(300)을 가리게 되며, 이로 인해 외관을 깔끔하고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고, 상기 보조가방(200)에 수용된 물품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암버클(350)을 상기 보조가방(200)의 상단에서 상기 수버클(360)의 길이 만큼 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보조가방(200)이 상기 본체가방(100)에 결합될 때 상기 수버클(360)이 상기 보조가방(200)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외관을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보조가방(200)의 하부가 상기 제2결합수단(400)에 의해 상기 본체가방(100)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보조가방(200)의 흔들림을 저지하여 안정적으로 메고 다닐 수 있으며, 상기 본체가방(100)과 부딪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연결끈(310)의 일단에 상기 어깨끈(110)의 상단을 감싸 고정되는 상기 고리부(311)가 구비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는 등가방에 상기 연결끈(310)을 장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의 등가방에도 상기 보조가방(200)을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연결끈(310)과 상기 보조가방(200)만을 구매하여 저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등가방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등가방의 일방향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등가방의 보조가방(200)의 타방향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등가방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등가방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등가방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등가방의 일방향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등가방의 보조가방(200)의 타방향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등가방은, 본체가방(100), 보조가방(200), 제1결합수단(300), 제2결합수단(400) 및 제3결합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가방(100)은 등에 메는 배낭, 즉 등가방이며, 상단이 아치 형상인 육면체 형태이고, 후면에는 어깨에 메기 위한 2개의 어깨끈(11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가방(100)의 상부의 테두리를 따라 지퍼가 구비되어 내부를 개폐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책 등을 넣을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가방(100)의 정면에는 덮개부재(120)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부재(120)는 상기 본체가방(100)의 고정된 상기 제1결합수단(3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가방(100)의 폭 방향으로 넓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덮개부재(120)는 상기 보조가방(200)의 정면 상부를 덮어 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가방(200)의 상부를 덮는 상기 덮개부재(12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보조가방(200)의 입구 부분과 후술할 상기 제1결합수단(300)을 가리게 되며, 이로 인해 외관을 깔끔하고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고, 상기 보조가방(200)에 수용된 물품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보조가방(200)은 납작한 육면체 형태이며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실내화 등을 넣을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가방(200)의 상부에는 손잡이(210)가 구비되어 손으로 들 때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상기 보조가방(200)의 상부를 상기 본체가방(10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버클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암버클(350)과 수버클(36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암버클(350)은 상기 보조가방(200)의 후면 상부 가운데에 인접하게 고정되고, 수버클(360)은 상기 본체가방(100)의 정면 상부 가운데에 인접하게 고정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암버클(350)과 상기 수버클(360)의 위치는 상호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가방(200)을 상기 본체가방(100)에 결합할 때 상기 제1결합수단(300)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암버클(350)을 상기 보조가방(200)의 상단에서 상기 수버클(360)의 길이 만큼 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가방(200)이 상기 본체가방(100)에 결합될 때 상기 수버클(360)이 상기 보조가방(200)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외관을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제2결합수단(400)은 상기 보조가방(200)의 하부를 상기 본체가방(100)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1자석(410)과 제1자성부재(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자석(410)은 본체가방(100)의 정면 하부에 인접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자성부재(420)는 상기 보조가방(200)의 후면 하부에 인접하게 고정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자석(410)과 상기 제1자성부재(420)의 위치는 반대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자성부재(420)는 납작한 원판 형상의 철편으로 이루어지는데, 경우에 따라 자석에 잘 붙는 다른 금속으로 대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제2결합수단(400)은, 상기 제1결합수단(300)이 상호 결합되며 상기 보조가방(200)의 후면이 상기 본체가방(100)의 정면에 접하게 되었을 때, 상호 접하여 인력에 의해 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가방(200)의 하부가 상기 제2결합수단(400)에 의해 상기 본체가방(100)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보조가방(200)의 흔들림을 저지하여 안정적으로 메고 다닐 수 있으며, 상기 본체가방(100)과 부딪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제3결합수단(500)은 상기 덮개부재(120)를 상기 보조가방(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2자석(510)과 제2자성부재(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자석(510)은 2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재(120)의 후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2자성부재(520)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보조가방(200)의 정면 상부 좌우측에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제3결합수단(500)은 상기 덮개부재(120)가 상기 보조가방(200)의 정면을 덮을 때에 상호 인력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덮개부재(120)가 상기 보조가방(200)에 밀착되게 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3결합수단(500)은 암,수의 밸크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등가방은, 상기 본체가방를 메고 다닐 때에는 상기 보조가방(200)을 상기 본체가방(100)에 장착하여 함께 메고 다니고, 상기 보조가방(200)만을 들고 다닐 때에는 상기 본체가방(100)에서 분리하여 독립적인 손가방처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등가방은 본체가방(100)의 정면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상기 보조가방(20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조가방(200)을 손가방처럼 들고 다니다가,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가방(100)에 부착하여 함께 매고 다닐 수 있어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등가방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등가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등가방은 본체가방(100), 보조가방(200), 제1결합수단(300), 제2결합수단(400) 및 제3결합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등가방은 상기 본체가방(100) 및 상기 제1결합수단(300)을 제외하고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가방(100)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가방(100)과 마찬가지로 덮개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덮개부재(120)에 개구부(121)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제1실시예의 본체가방(100)과 동일하다.
상기 개구부(121)는 후술할 상기 제1결합수단(300)이 통과하는 구멍으로, 상기 덮개부재(120)의 가운데에 관통 형성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연결끈(310), 암버클(350) 및 수버클(3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끈(310)은 일단에 2개의 고리부(311)가 구비되며, 타단은 2개의 상기 고리부(311)를 연결하여 하나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고리부(311)는 상기 어깨끈(110)의 상단을 감싸며, 끝단에는 벨크로가 구비되어 고리 형태로 접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고리부(311)는 상기 어깨끈(110)의 상단에 각각 하나씩 장착된다.
상기 암버클(350)은 상기 보조가방(200)의 후면 상부 가운데에 고정되며, 상기 수버클(360)은 상기 고리부(311)의 타단 끝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암버클(350)과 상기 수버클(360)의 위치는 서로 반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암버클(350)과 상기 수버클(360)이 상호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보조가방(200)은 상기 본체가방의 정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끈(310)의 일단에 상기 어깨끈(110)의 상단을 감싸 고정되는 상기 고리부(311)가 구비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는 등가방에 상기 연결끈(310)을 장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의 등가방에도 상기 보조가방(200)을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본체가방와 같이 상기 제1결합수단(300)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기존의 본체가방에 상기 연결끈(310)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연결끈(310)과 상기 보조가방(200)만을 구매하여 저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가방 110 : 어깨끈
120 : 덮개부재 121 : 개구부
200 : 보조가방 210 : 손잡이
300 : 제1결합수단 310 : 연결끈
311 : 고리부 350 : 암버클
360 : 수버클 400 : 제2결합수단
410 : 제1자석 420 : 제1자성부재
500 : 제3결합수단 510 : 제2자석
520 : 제2자성부재

Claims (4)

  1. 등에 매는 가방 형태인 본체가방(100); 손가방 형태인 보조가방(200); 상기 보조가방(200)의 상부를 상기 본체가방(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제1결합수단(300); 상기 보조가방(200)의 하부를 상기 본체가방(100)에 밀착시키기 위한 제2결합수단(400); 을 포함하는 학생용 등가방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방에는 양 어깨에 끼우는 2개의 어깨끈(110)이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일단에 상기 어깨끈(110)의 상단에 장착되는 2개의 고리부(311)가 구비되는 연결끈(310);
    상기 연결끈(310)의 타단과 상기 보조가방(200)의 후면 상부 중 어느 한 곳에 고정되는 암버클(350);
    상기 연결끈(310)의 타단과 상기 보조가방(200)의 후면 상부 나머지 어느 한 곳에 고정되는 수버클(3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등가방.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3654U 2017-07-14 2017-07-14 학생용 등가방 KR200484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654U KR200484736Y1 (ko) 2017-07-14 2017-07-14 학생용 등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654U KR200484736Y1 (ko) 2017-07-14 2017-07-14 학생용 등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736Y1 true KR200484736Y1 (ko) 2017-10-18

Family

ID=6040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654U KR200484736Y1 (ko) 2017-07-14 2017-07-14 학생용 등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7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332A1 (ko) * 2018-11-30 2020-06-04 313디자인랩 인크. 지퍼와 자석을 이용한 이중 잠금구조를 갖는 가방
KR102600936B1 (ko) 2023-07-24 2023-11-09 윤지영 학생용 가방
WO2024042255A1 (es) * 2022-08-23 2024-02-29 Velites Fitness, S.L. Bolsa para la practica de actividades deportivas y equipaje que comprende dicha bols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437Y1 (ko) 2002-07-19 2003-01-06 노재현 배낭에 부착되는 다기능 백
KR200373801Y1 (ko) * 2004-10-28 2005-01-21 김한수 부속물의 탈부착이 가능한 가방
KR20140003868U (ko) * 2012-12-12 2014-06-24 남욱 착탈식 기능성 파우치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437Y1 (ko) 2002-07-19 2003-01-06 노재현 배낭에 부착되는 다기능 백
KR200373801Y1 (ko) * 2004-10-28 2005-01-21 김한수 부속물의 탈부착이 가능한 가방
KR20140003868U (ko) * 2012-12-12 2014-06-24 남욱 착탈식 기능성 파우치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332A1 (ko) * 2018-11-30 2020-06-04 313디자인랩 인크. 지퍼와 자석을 이용한 이중 잠금구조를 갖는 가방
WO2024042255A1 (es) * 2022-08-23 2024-02-29 Velites Fitness, S.L. Bolsa para la practica de actividades deportivas y equipaje que comprende dicha bolsa
KR102600936B1 (ko) 2023-07-24 2023-11-09 윤지영 학생용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736Y1 (ko) 학생용 등가방
US9532639B2 (en) Customizable carri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801441B2 (en) Bag
US10973309B2 (en) Jacket and combination backpack
US20130174320A1 (en) Wristband with concealed key pocket
US20130168428A1 (en) Sling bag with strap fastening arrangement
US20110226831A1 (en) Hip bag
US9089199B1 (en) Backpack with formfitting skateboard compartment
KR101760809B1 (ko) 다양한 휴대성을 갖는 가방
TWM586983U (zh) 組合式背包
US11737532B2 (en) Handbag with drop style opening and custom hardware
KR101950413B1 (ko) 가방
KR200403400Y1 (ko)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
JP2021040870A (ja) 肩掛け鞄兼用リュックサック
JP3222882U (ja) バッグ
CN220987719U (zh) 一种多功能手套
KR20150011212A (ko) 여행용 가방
US20110049204A1 (en) Toy Saddle Backpack
JP3193541U (ja) ランドセル装着型収納具
KR101450000B1 (ko) 배낭의 허리 밴드 체결구조
US20170231298A1 (en) Reversible Pak O Jack
KR200472541Y1 (ko) 가방
KR102068405B1 (ko) 목걸이용 수납주머니
KR101543776B1 (ko) 심재가 일체로 재봉되는 배낭
TWI738033B (zh) 組合式背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