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400Y1 -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 - Google Patents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400Y1
KR200403400Y1 KR20-2005-0026054U KR20050026054U KR200403400Y1 KR 200403400 Y1 KR200403400 Y1 KR 200403400Y1 KR 20050026054 U KR20050026054 U KR 20050026054U KR 200403400 Y1 KR200403400 Y1 KR 200403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backpack
water bottle
storage spac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선동
Original Assignee
(주)메이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이데이 filed Critical (주)메이데이
Priority to KR20-2005-0026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4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2003/166Hydration systems attached to the body by straps, e.g. incorporated in a backpack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낭의 양측에 구비되는 수통 포켓을 별도의 수납 공간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낭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걸어메기 위한 한 쌍의 어깨끈 및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각종 벨트로 이루어지는 배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 하부에서 벨크로 테이프 혹은 파스너로 구성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수납공간과, 수통을 수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수통 포켓과,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수통 포켓과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끈 및 상기 포켓에 수통이 수납되는 경우 수통과 포켓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배낭의 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포켓을 사용할 경우에만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납공간에 간단히 수납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포켓이 주위의 나뭇가지에 걸려 쉽게 훼손되거나, 사용자의 이동에 지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A knapsack having Bottle Pocket}
본 고안은 배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낭의 양측에 구비되는 수통 포켓을 별도의 수납 공간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낭은 여행이나 등산시 각종 소지품이나 등산 장비와 같은 물품들을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등에 매어 운반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며, 용도나 형상에 따라 학생이나 직장인들의 가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주 5일제 근무에 따라 많은 여가 시간이 생기고, 또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자신의 건강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어, 주말이나 휴일에는 많은 사람들이 가까운 산을 찾아 여가를 즐기면서 건강을 관리하고 있다. 산행에 있어서, 등산용 배낭은 등산 장비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장비 중의 하나이며, 산행의 종류나 기간 등에 따라 배낭에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수납되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적합한 형태의 배낭을 준비하여야 한다. 특히 등산 배낭에 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배낭의 용도나 기능에 따라서 그 디자인이나 소재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착용의 편리성과 물품의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실용적인 제품의 배낭들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배낭에 대한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과 좌우측 일부가 개폐부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몸체(1), 몸체(1)의 후면 좌우측에서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몸체(1)를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멜 수 있도록 하는 어깨끈(2), 몸체(1)의 하측 후면에서 좌측과 우측을 연결하여 배낭의 몸체(1)가 유동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시키는 허리벨트(3), 좌우측의 어깨끈(2)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가슴에 고정시키는 가슴벨트(4)로 구성된다. 또한 몸체(1)의 좌우측에서 수통이나 음용수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통 포켓(5)이 더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수통을 수납하기 위한 포켓(5)은 몸체(1)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바닥면과 측면이 몸체(1)와 재봉되어 일체로 부착되고 상측이 개구부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포켓은 메쉬 형태의 섬유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배낭의 외부에 노출된 물건이나 장비들은 좁고 험한 산길을 이동하는 경우, 바위나 나뭇가지에 걸려 사용자의 이동에 지장을 주게 되며, 심지어 이로 인하여 사용자를 위험에 처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등산용 배낭의 외부에는 가능하면 물건을 매달지 않아야 하며, 또한 배낭의 불필요한 구성부분들이 노출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배낭은 포켓(5) 내부에 수통이나 음용수 등의 수납물을 수납하지 않는 경우에도 포켓(5)이 항상 몸체(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좁은 등산로를 이동하는 경우 나뭇가지 등에 걸리게 되어, 포켓(5)이 훼손되거나 사용자의 이동에 어려움을 주게 된다. 특히 메쉬 형태로 구성되는 포켓(5)일 경우 나뭇가지에 더욱 걸리기 쉬우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통 포켓(5)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의 수납공간에 수납하거나 몸체로부터 분리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배낭의 몸체 측면에 구비되는 수통 포켓은, 수통 포켓을 사용할 경우에만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몸체의 측면에 구비되는 별도의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수통 포켓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통 포켓이 주위의 나뭇가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통 포켓이 쉽게 훼손되지 않고 사용자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통 포켓은 배낭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포켓의 상측에는 걸림고리를 구비하여, 포켓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사용자의 허리띠에 걸어 사용할 수 있는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걸어메기 위한 한 쌍의 어깨끈 및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각종 벨트로 이루어지는 배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 하부에서 벨크로 테이프 혹은 파스너로 구성되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수납공간과, 수통을 수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수통 포켓과,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수통 포켓과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끈 및 상기 포켓에 수통이 수납되는 경우 수통과 포켓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배낭의 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켓은 몸체가 메쉬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측에는 허리에 걸수 있는 두 개의 걸림고리가 구비되며, 상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통이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조임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끈은 똑딱이 단추나 벨크로 테이프, 버클을 구비하여 상기 포켓이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을 도시 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100)은 수납부의 몸체(10)와 몸체를 걸어메기 위한 어깨끈(20), 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허리벨트(30) 및 가슴벨트(40), 수통을 수납하기 위한 포켓(50), 포켓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60), 몸체와 포켓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끈(70), 포켓을 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벨트(80)로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10)는 상측과 좌우측 일부가 개폐부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으며, 어깨끈(20)은 몸체(10)의 후면 좌우측에서 상측과 하측을 연결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몸체(10)를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멜 수 있도록 좌우측의 한 쌍으로 구성되며, 허리벨트(30)는 몸체(10)의 하측 후면에서 좌측과 우측을 버클(buckle)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되어 배낭의 몸체(10)가 유동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시키며, 가슴벨트(40)는 배낭의 몸체(10)가 유동하지 않도록 버클(buckle)을 이용하여 좌우측의 어깨끈(20)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가슴에 고정시킨다.
특히 본 고안의 배낭(100)은 수통 포켓(50)이 몸체(10)와 별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몸체(10)에는 포켓(50)이 수납될 수 있는 별도의 수납공간(6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납공간(60) 내부로부터는 일단이 수납공간(60) 내에서 몸체(10)에 재봉되어 부착된 연결끈(70)이 인출되며, 연결끈(70)의 타단은 원기둥형의 수통 포켓(50) 밑면과 측면의 일면을 따라 재봉되어, 포켓(50)과 몸체(10)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포켓(50)은 원기둥형으로 밑면은 막혀 있고, 상측은 열려 있으며 상측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수납된 수통이 이탈되지 않도록 조임끈(52)과 포켓을 허리띠 등에 걸 수 있는 걸림고리(53)가 구비된다. 또한 포켓(50)은 수납공간(60)에 수납되는 경우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메쉬 형태(5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을 도시한 것으로, 수통 포켓과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끈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포켓(50)과 몸체(10)를 연결하는 연결끈(70)은 도 2와 같이 하나의 끈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탈부착 수단(71)을 구비하여 포켓(50)을 몸체(10)로부터 분리하거나 다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탈부착 수단(71)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과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끈(70)의 가운데에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똑딱이 단추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버클(buckle), 벨크로(velcro) 테이프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과 같이 포켓(50)을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등산용 배낭은 좁은 등산로에서 주로 사용됨에 따라 측면에 위치하는 포켓(50) 부분이 훼손되기 쉬우므로, 이 경우 훼손된 포켓(50) 부분만 교체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리된 포켓(50)을 상측에 구비된 걸림고리(53)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리띠에 걸어 배낭을 메지 않고도 단독으로 수통 수납을 위한 포켓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배낭의 수통 포켓이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통 포켓(5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포켓(50)을 말거나 포개어 접어 몸체(10)에 구비된 수납공간(60)에 수납함으로써, 포켓(5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포켓(50)이 외부의 나뭇가지에 걸릴 염려가 없도록 한다.
여기서 수납공간(60)은 하측에 개폐구가 형성되고, 개폐구는 하측 부분(61)이 내측을 이루고, 상측 부분(62)이 외측 덮개가 되도록 구성하여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또한 수납공간(60)의 개폐구는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는 벨크로(velcro) 테이프나 파스너(fastener), 똑딱이 단추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수통 포켓이 고정수단에 의해 배낭의 몸체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10)에는 포켓(50)에 수통이 수납되는 경우 수통과 포켓(50)이 배낭의 몸체(10)로부터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벨트(80)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벨트(80)는 몸체(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부착되어 버클(buckle)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하측에 2 개의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켓(50)에는 수납공간(60)으로부터 인출되는 연결끈(70)의 일단이 포켓(50)의 일측면에 재봉에 의해 부착되며, 이 경우 연결끈(70)과 포켓(50)의 일측면 사이에는 고정벨트(80)가 삽입되어 통과할 수 있는 걸림공간(72)이 형성되어 있다.
포켓(50)에 수통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고정벨트(80)의 일측 버클(81)을 연결끈과 포켓 사이에 형성된 걸림공간(72)으로 통과시켜 버클(81)을 결합하고 벨트(80)를 조임으로써, 수통이 수납된 포켓(50)을 배낭의 몸체(10)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통 포켓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켓(50)은 연결끈(70)에 구비된 똑딱이 단추(도3의 71)를 해제하여 몸체(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분리된 포켓(50)은 상측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걸림고리(53)에 사용자의 허리띠를 끼워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함으로써, 배낭을 사용하지 않고도 단독으로 수통을 수납하기 위한 포켓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은 수통 포켓을 몸체와 별도로 구비되고 몸체에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포켓을 사용할 경우에만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납공간에 간단히 수납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하여 사용하지 않는 포켓이 주위의 나뭇가지에 걸려 쉽게 훼손되거나, 사용자의 이동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켓은 배낭의 몸체로부터 분리하고 포켓의 걸림고리를 사용자의 허리띠에 걸어 착용함으로써, 배낭을 사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수통을 수납하기 위한 포켓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등산용 배낭에 대한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을 나타내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배낭의 수통 포켓이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수통 포켓이 고정수단에 의해 배낭의 몸체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통 포켓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20 : 어깨끈
30 : 허리벨트 40 : 가슴벨트
50 : 수통포켓 60 : 수납공간
70 : 연결끈 80 : 고정벨트

Claims (5)

  1.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걸어메기 위한 한 쌍의 어깨끈 및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각종 벨트로 이루어지는 배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 하부에서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수납공간;
    수통을 수납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포켓;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포켓과 상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끈; 및
    상기 포켓에 수통이 수납되는 경우 수통과 포켓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배낭의 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개폐수단은 벨크로 테이프 혹은 파스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몸체가 메쉬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측 가장자리에는 허리띠를 끼워 걸수 있는 걸림고리와 상기 수통이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조임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은 상기 고정벨트가 상기 연결끈과 포켓 사이를 관통할 수 있는 걸림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포켓의 측면을 따라 재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은 상기 포켓이 상기 몸체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똑딱이 단추 혹은 벨크로 테이프, 버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
KR20-2005-0026054U 2005-09-09 2005-09-09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 KR200403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054U KR200403400Y1 (ko) 2005-09-09 2005-09-09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054U KR200403400Y1 (ko) 2005-09-09 2005-09-09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400Y1 true KR200403400Y1 (ko) 2005-12-09

Family

ID=4370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054U KR200403400Y1 (ko) 2005-09-09 2005-09-09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40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382B1 (ko) * 2016-08-08 2017-04-10 배영진 다목적 커버를 구비한 조끼
KR101790473B1 (ko) * 2017-02-21 2017-11-20 배영진 낚시용 신체 보온커버
WO2021162425A1 (ko) * 2020-02-13 2021-08-19 박연하 전개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382B1 (ko) * 2016-08-08 2017-04-10 배영진 다목적 커버를 구비한 조끼
KR101790473B1 (ko) * 2017-02-21 2017-11-20 배영진 낚시용 신체 보온커버
WO2021162425A1 (ko) * 2020-02-13 2021-08-19 박연하 전개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US11871837B2 (en) 2020-02-13 2024-01-16 Yeonha Park Bag equipped with deployable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4921B1 (en) Modular personal carrying system
US6422439B1 (en) Combination backpack and hydration pack
US4502154A (en) Outerwear and bag in one
US5887770A (en) Convertible waist pack, day backpack and shoulder bag
US5860164A (en) Four-in-one jacket
US6923352B2 (en) Luggage container with concealed carrying means
US6435392B1 (en) Waterproof swimming pouch
US9861078B1 (en) Leash pack
US10231493B1 (en) Modular vest system
US9737122B1 (en) Convertible backpack handbag
US20150366332A1 (en) Convertible backpack
US20070295774A1 (en) Flip pack
KR200403400Y1 (ko)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
US20210368951A1 (en) Pouch
US20150000806A1 (en) Carry bag with attachment accessory
US20220346532A1 (en) Backpack with a horizontal hydration reservoir
EP2399480A1 (en) Configurable purse to be worn around a leg, sustained at a waist belt or hanging from a shoulder strap
US20170143104A1 (en) Inline skate sling convertible shoe backpack
JP2018175384A (ja) バッグ
KR200404894Y1 (ko) 우의가 부착된 배낭
JPH09206117A (ja) 収納ケース付きバッグ類
KR200334381Y1 (ko) 다목적 벨트
KR100733618B1 (ko) 멜빵 부착용 보조가방
KR20150011212A (ko) 여행용 가방
KR200487827Y1 (ko) 공간분할형 백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