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129Y1 - 제수밸브 핸들 - Google Patents

제수밸브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129Y1
KR200477129Y1 KR2020140002926U KR20140002926U KR200477129Y1 KR 200477129 Y1 KR200477129 Y1 KR 200477129Y1 KR 2020140002926 U KR2020140002926 U KR 2020140002926U KR 20140002926 U KR20140002926 U KR 20140002926U KR 200477129 Y1 KR200477129 Y1 KR 200477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od
valve
wiping
rotary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Priority to KR2020140002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1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1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25G1/102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the shape being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or improve gr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맨홀의 내부에 설치된 제수밸브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제수밸브를 조작하는 제수밸브 핸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에 구비된 제수밸브 캡을 회전시켜 제수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수밸브 핸들에 있어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제수밸브 캡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막대부, 상기 막대부의 하단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수밸브 캡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수밸브 캡에 가이드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막대부의 상단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막대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수밸브 핸들을 용이하게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수밸브 핸들{a handle for sluice-valve}
본 고안은 맨홀의 내부에 설치된 제수밸브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제수밸브를 조작하는 제수밸브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수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밸브로서, 배관계통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수밸브가 설치되는 일례로는 지하의 매설된 상수도관을 지나는 물을 제어하기 위한 상수도용 제수밸브가 있다.
상수도용 제수밸브는 지하의 매설된 배수관의 군데 군데에 맨홀을 설치하고, 맨홀의 내부를 지나는 배수관에 제수밸브를 설치하여 배수관의 파손이나 정비를 수행할 때, 제수밸브를 작동하여 배수관을 지나는 물을 차단한다.
한편, 상수도용 제수밸브를 작동하여 배수관의 물을 폐쇄하면 이 배수관을 이용하여 물을 공급받는 사용자들이 물을 공급받지 못하기 때문에, 상수도용 제수밸브를 조작할 수 있는 핸들은 비상 시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종래의 제수밸브 핸들은 예컨대, 차량의 핸들과 유사하게 원형 고리형상의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와, 손잡이와 결합부를 연결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수밸브 핸들은 제수밸브를 조작하도록 제수밸브에 구비된 제수밸브 캡에 결합공을 끼운 상태에서 핸들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제수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조작한다.
하지만 종래의 제수밸브 핸들은 제수밸브가 지하에 매설된 맨홀의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수밸브 핸들을 제수밸브 캡에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고, 특히 야간 또는 맨홀에 물이 차있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수밸브 캡에 제수밸브 핸들의 결합공을 결합하기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4352호(2007.2.26. 공고)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동륵공보 제10-0786581호(2007.12.21. 공고)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수밸브를 조작하도록 제수밸브 캡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길이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은 힘으로도 제수밸브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한 제수밸브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에 구비된 제수밸브 캡을 회전시켜 제수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수밸브 핸들에 있어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제수밸브 캡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막대부, 상기 막대부의 하단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수밸브 캡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수밸브 캡에 가이드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막대부의 상단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막대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막대부의 상단에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손잡이는 상기 회전손잡이의 끝단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손잡이의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하는 연장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회전손잡이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밸브 핸들.
상기 막대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하단에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지지된 지지편이 상부의 외면으로 출몰하도록 구비된 제1 막대부재, 및 상기 제1 막대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지지편이 걸쳐지는 복수의 걸침홈이 형성된 제2 막대부재를 포함하여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막대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탄성편, 및 상기 회전손잡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손잡이가 상기 막대부에서 직교된 상대로 위치될 때, 상기 탄성편이 걸쳐지는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에는 복수 개의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수밸브 핸들의 가이드부에 제수밸브 캡이 가이드되어 결합됨으로써, 제수밸브 핸들을 제수밸브 캡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막대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깊이에 위치되는 제수밸브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부의 길이 또한 조절이 가능하여 제수밸브를 작은 힘으로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제수밸브 핸들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접을 수 있고, 몸체부 및 손잡이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수밸브 핸들을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핸들을 제수밸브에 결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핸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핸들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핸들을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제수밸브 핸들의 길이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핸들을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제수밸브 핸들의 접힌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수밸브(2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제수밸브(200)는 상수도관 또는 유체이송관에 설치되어 유체의 이동을 개방 및 폐쇄하는 것으로서,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유로를 개방 및 폐쇄하는 폐쇄부재(230)와, 상기 폐쇄부재(230)를 작동하는 회전봉(220)과, 회전봉(2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수밸브 핸들(100)이 결합되는 제수밸브 캡(21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제수밸브(200)는 케이싱의 유입구와 유출구의 사이를 밀폐하도록 케이싱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연통되는 부분에 폐쇄부재(230)가 케이싱의 상,하 또는 회전하여 유로를 개방 및 폐쇄하는 형태로 조작한다.
이때, 폐쇄부재(230)가 케이싱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유체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성된 경우, 회전봉(220)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폐쇄부재(230)의 상부에 구비되고, 회전봉(220)은 케이싱과 나사체결되어 회전봉(22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폐쇄부재(23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수밸브 캡(210)은 회전봉(220)을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제수밸브 핸들(100)을 결합하기 위해 회전봉(220)의 상단에 결합되며, 그 형상은 하단이 넓고 상단이 좁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수밸브(200)는 제수밸브 캡(210)에 제수밸브 핸들(100)을 결합하여 회전봉(22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형태로 제수밸브(200)를 개방 및 폐쇄한다.
본 고안에서의 제수밸브(200)는 제수밸브(200)의 회전봉(220)을 회전시켜 유체의 이동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제수밸브(200)는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용 제수밸브인 것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핸들(100)은 제수밸브(200) 더 구체적으로는 제수밸브 캡(21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맨홀(250)의 구멍을 통해 제수밸브 캡(210)을 조작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핸들(100)은 막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막대부(110)는 그 길이가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막대부(110)의 길이는 지상에서 맨홀(250)의 구멍을 통해 지하에 매설된 제수밸브 캡(210)이 위치되는 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막대부(110)의 하단에는 제수밸브 캡(210)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19)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결합홈(119)은 제수밸브 캡(2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수밸브 캡(2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막대부(110)는 길이가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막대부(110)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막대부재(117) 및 제2 막대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막대부재(117)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결합홈(119)이 형성되며, 하단의 둘레로는 하기에 설명될 가이드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막대부재(117)의 상부에는 지지편(114)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지지편(114)은 제1 막대부재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탄성력에 의해 출몰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편(114)은 판 스프링의 중간부분이 원호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이 돌출된 부분에 압력을 가하면 압착되고 압력을 해제하면 초기상태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막대부재(117)의 상부에 지지편(114)이 안착되는 지지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막대부재(111)는 내부가 빈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막대부재(111)의 상단 부분에는 하기에 설명될 손잡이부(150)가 결합되도록 막대부재(111)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1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결합부(115)에는 힌지핀(H)이 관통 설치되는 핀삽입공(115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막대부재(111)의 하단으로는 제1 막대부재(117)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으며, 제2 막대부재(111)의 길이 방향으로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 막대부재(117)에 구비된 지지편(114)이 걸쳐지는 걸침홈(113)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막대부(110)는 제2 막대부재(111)의 내부에 삽입된 제1 막대부재(117)를 제2 막대부재(111)의 외부 또는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형태로 길이를 조절한다.
이때, 제1 막대부재(117)에 구비된 지지편(114)은 탄성적으로 압착된 상태로 제2 막대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2 막대부재(111)의 걸침홈(113)에 지지편(114)이 위치된 경우, 지지편(114)이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걸침홈(113)에 걸쳐짐으로써, 제1 막대부재(117)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핸들(100)은 가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이드부(130)는 제수밸브 캡(210)을 가이드하여 막대부(110)에 형성된 결합홈(119)에 제수밸브 캡(210)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30)는 막대부(110)의 하단 둘레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주면이 점점 넓어지는 형상 예컨대, 깔때기를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부(130)에는 복수의 배수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배수공(131)은 예컨대, 제수밸브(200)가 물에 잠겨있는 경우, 제수밸브 핸들(100)을 맨홀(250)의 구멍을 통해 제수밸브 캡(210)에 결합시킬 때, 깔때기를 뒤집어 놓은 형상의 가이드부(130)에 공기가 채워져 부력에 의해 제수밸브 핸들(100)을 결합시키기가 난해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배수공(131)을 통해 가이드부(130)의 공기를 배출시켜 제수밸브 핸들(1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수공(131)은 제수밸브 핸들(100)을 제수밸브 캡(210)에 결합시킬 때, 가이드부(130)에 가려진 제수밸브 캡(210)의 위치를 배수공(131)을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창(窓)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공(131)은 제수밸브 캡(210)의 둘레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제수밸브 핸들(100)의 결합 시 배수공(131)에 제수밸브 캡(210)이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30)의 내주면의 하단은 제수밸브 캡(210)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130)의 내주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수밸브 캡(210)이 가이드부(130)의 내주면에 용이하게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가이드부(130)는 가이드부(130)의 반경 내에 제수밸브 캡(210)이 위치된 상태에서 제수밸브 핸들(100)을 하향시키면, 제수밸브 캡(210)이 가이드부(130)에 가이드되어 결합공(190)에 결합되기 때문에 제수밸브 핸들(100)을 제수밸브 캡(21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핸들(100)은 손잡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50)는 제수밸브 캡(210)을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여 막대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150)는 막대부(110)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50)의 끝단 더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부(150)와 막대부(110)가 결합되는 반대방향의 끝단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손잡이부(150)에서 상향 돌출된 파지핸들(158)이 구비될 수 있다.
이 파지핸들(158)은 손잡이부(150)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핀(15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손잡이부(15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150)는 제수밸브 핸들(100)을 용이하게 휴대하도록 막대부(110)에서 접철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50)는 회전손잡이(151)와 스토퍼(16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손잡이(151)는 막대부(110)에 구비된 결합부(115)와 회전손잡이(151)이 함께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고, 회전손잡이(151)는 힌지핀(H)을 중심으로 막대부(1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막대부(110)에서 회전손잡이(151)가 접철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160)는 힌지핀(H)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손잡이(151)가 막대부(110)와 직교된 상태로 위치될 때, 회전손잡이(15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60)는 안착홈(163)과 탄성편(161)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163)은 회전손잡이(151)의 일측 더 구체적으로는 막대부(110)와 회전손잡이(151)가 서로 인접하는 일측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편(161)은 막대부(110)와 회전손잡이(151)의 사이에 위치되어 막대부(110)에서 회전손잡이(15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탄성편(161)은 중앙부분이 원호형상으로 돌출된 판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스토퍼(160)는 막대부(110)에서 힌지핀(H)을 중심으로 회전손잡이(151)가 회전하여 서로 직교된 상태가 되면 탄성편(161)의 원호형상이 돌출된 부분이 탄성력에 의해 안착홈(163)에 걸쳐지는 형태로 회전손잡이(15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탄성편(161)의 변형예로는 막대부(110)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볼이 설치되어 회전손잡이(151)가 막대부(110)와 직교된 상태로 위치되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볼이 안착홈(163)에 걸쳐져 회전손잡이(151)의 위치를 고정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회전손잡이(151)는 길이가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손잡이(151)는 연장대(15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연장대(153)은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손잡이(151)의 길이방향으로 회전손잡이(151)의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도록 회전손잡이(151)의 끝단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연장대(153)이 끼워지는 회전손잡이(151)의 끝단은 회전손잡이(151)이 힌지핀(H)에 의해 막대부(110)의 반대방향 끝단이다.
그리고, 연장대(153) 또는 회전손잡이(151) 중 어느 하나는 내부가 빈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장대(153)의 내부에 회전손잡이(151)가 끼워지거나, 회전손잡이(151)의 내부에 연장대(153)이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는 나사산에 의해 나사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손잡이(151)의 내부에 연장대(153)이 끼워지도록 구성된 경우, 회전손잡이(151)의 내주면 및 연장대(153)에 외주면에는 서로 나사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손잡이(151)에서 연장대(153)을 회전시킬 경우, 나세체결에 의해 연장대(153)이 회전손잡이(151)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형태로 회전손잡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회전손잡이(151)의 막대부(110)에 결합되는 끝단에는 결합부(115)의 핀삽입공(115a)을 관통하는 힌지핀(H)이 끼워져 결합되는 관통공(15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파지핸들(158)은 손잡이부(150)를 구성하는 연장대(153)의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손잡이부(150)는 힌지핀(H)에 의해 막대부(110)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손잡이(151)와 연장대(153)가 서로 나사체결하는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연장대(15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연장대(153)이 회전손잡이(151)의 내부로 삽입 또는 돌출되는 형태로 손잡이부(1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막대부(110)의 상단 양측에 한 쌍의 손잡이부(150)이 구성될 경우,양측에 설치된 손잡이부(150) 중 어느 하나만 연장대(153)와 파지핸들(15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핸들(100)은 하단에 막대부(110)의 하단에 가이드부(130)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막대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150)가 구비된다.
그리고, 막대부(11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 막대부재(117)가 제2 막대부재(111)의 내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고, 제1 막대부재(117)에 구비된 지지편(114)이 제2 막대부재(111)에 형성된 걸침홈(113)에 걸쳐지는 형태로 제1 막대부재(117)의 위치를 조절한다(도 4 참조).
또한, 막대부(110)의 상단에 결합된 손잡이부(150)는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막대부(110)에서 상부 및 하부로 회전되어 막대부(110)에서 접철되도록 구성되고, 손잡이부(150)는 회전손잡이(151)과 연장대(153)이 서로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연장대(153)을 회전손잡이(151)에서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손잡이부(1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150)를 펼치기 위해 회전 시킬 때, 더 구체적으로는 회전손잡이(151)를 막대부(110)에서 회전시킬 때, 막대부(110)에서 회전손잡이(151)가 직교된 상태로 위치되면 스토퍼(160)를 구성하는 탄성편(161)이 회전손잡이(151)에 형성된 안착홈(163)에 안착되는 형태로 손잡이부(150)이 막대부(110)에 직교된 상태로 펼쳐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제수밸브 핸들(100)은 지하의 매설된 제수밸브(200)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제수밸브(200)가 매설된 맨홀(250)의 뚜껑을 개방한다.
그리고, 제수밸브 캡(210)이 위치되는 길이를 대략적으로 파악하여 제1 막대부재(117)를 제2 막대부재(111)에서 삽입하거나 빼는 형태로 막대부(110)의 길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막대부(110)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개방된 맨홀(250)의 내부로 가이드부(130)가 하단에 위치된 상태로 제수밸브 핸들(100)을 삽입한다. 제수밸브 핸들(100)을 맨홀 내부로 삽입되어 제수밸브 캡(210)이 가이드부(130)의 반경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수밸브 핸들(100)을 맨홀(250)의 내부로 더 삽입하면 제수밸브 캡(210)이 가이드부(130)의 내주면에 가이드되어 막대부(110)에 형성된 결합홈(119)에 결합된다.
그리고, 막대부(110)에 접철된 손잡이부(150)를 회전손잡이(151)와 막대부(110)가 직교되도록 회전시켜 펼친다. 이때, 회전손잡이(151)가 막대부(110)와 직교된 상태로 위치되면 스토퍼(160)에 의해 회전손잡이(151)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후, 손잡이부(150)가 막대부(110)와 직교된 상태로 고정되면 작업자는 손잡이부(150)에 구비된 파지핸들(158)을 파지한 상태로 막대부(110)를 중심으로 제수밸브 핸들(100)을 회전시켜 제수밸브(200)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아울러, 제수밸브 핸들(100)은 제수밸브 캡(210)을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손잡이부(15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즉, 손잡이부(150)를 구성하는 회전손잡이(151)에 나사체결된 연장대(15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봉(153)이 회전손잡이(151)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제수밸브 캡(21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도 4 참조).
이때, 막대부(110)의 상단 양측에 한 쌍의 손잡이부(150)가 설치될 경우, 더욱 강한 힘으로 용이하게 제수밸브 캡을 회전시킬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수밸브 핸들(100)을 보관 및 휴대할 때에는 막대부(11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제1 막대부재(117)를 제2 막대부재(111)의 내부로 최대한 삽입하고, 나사봉(157)을 회전손잡이(151)의 내부로 최대한 삽입되도록 회전시켜 손잡이부(150)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한 상태에서 회전손잡이(151)를 막대부(110)에 밀착되도록 접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수밸브 핸들(100)은 제수밸브 캡(210)이 결합홈(119)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부(130)가 제수밸브 캡(210)을 가이드함으로써, 제수밸브 핸들(100)을 제수밸브(20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수밸브 핸들(100)의 막대부(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깊이에 위치하는 제수밸브(20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50)가 회전되어 접힐 뿐만 아니라 손잡이부(1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적은 힘으로도 제수밸브(20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제수밸브 핸들 110: 막대부
111: 제2 막대부재 113: 걸침홈
114: 지지편 115: 결합부
115a: 핀삽입공 117: 제1 막대부재
119: 결합홈 130: 가이드부
131: 배수공 150: 손잡이부
151: 회전손잡이 153: 연장대
153a: 관통공 153b: 나사산
158: 파지핸들 159: 고정핀
160: 스토퍼 161: 탄성편
163: 안착홈 H: 힌지핀
200: 제수밸브 210: 제수밸브 캡
220: 회전봉 230: 폐쇄부재
250: 맨홀

Claims (7)

  1. 제수밸브에 구비된 제수밸브 캡을 회전시켜 제수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수밸브 핸들에 있어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제수밸브 캡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막대부,
    상기 막대부의 하단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수밸브 캡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수밸브 캡에 가이드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막대부의 상단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막대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밸브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막대부의 상단에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밸브 핸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회전손잡이의 끝단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손잡이의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하는 연장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밸브 핸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회전손잡이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밸브 핸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하단에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지지된 지지편이 상부의 외면으로 출몰하도록 구비된 제1 막대부재, 및
    상기 제1 막대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지지편이 걸쳐지는 복수의 걸침홈이 형성된 제2 막대부재를 포함하여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밸브 핸들.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복수 개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밸브 핸들.
KR2020140002926U 2014-04-11 2014-04-11 제수밸브 핸들 KR200477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926U KR200477129Y1 (ko) 2014-04-11 2014-04-11 제수밸브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926U KR200477129Y1 (ko) 2014-04-11 2014-04-11 제수밸브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129Y1 true KR200477129Y1 (ko) 2015-05-08

Family

ID=5343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926U KR200477129Y1 (ko) 2014-04-11 2014-04-11 제수밸브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1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2840A (zh) * 2019-11-21 2020-02-14 宁波华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根据空间调节把手长度的阀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615Y1 (ko) * 2001-11-23 2002-02-28 (주)서용아쿠아솔루션 다용도 밸브조작키
KR100454220B1 (ko) * 2003-12-30 2004-10-27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수도관로용 제수밸브의 무단수 그랜드패킹 교체장치
KR100684352B1 (ko) * 2006-08-31 2007-02-26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상수도용 제수밸브 개폐장치
KR100966645B1 (ko) * 2009-04-06 2010-06-29 (주)창원기술개발 제수변용 투명 보호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615Y1 (ko) * 2001-11-23 2002-02-28 (주)서용아쿠아솔루션 다용도 밸브조작키
KR100454220B1 (ko) * 2003-12-30 2004-10-27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수도관로용 제수밸브의 무단수 그랜드패킹 교체장치
KR100684352B1 (ko) * 2006-08-31 2007-02-26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상수도용 제수밸브 개폐장치
KR100966645B1 (ko) * 2009-04-06 2010-06-29 (주)창원기술개발 제수변용 투명 보호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2840A (zh) * 2019-11-21 2020-02-14 宁波华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根据空间调节把手长度的阀门
CN110792840B (zh) * 2019-11-21 2021-08-10 宁波华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根据空间调节把手长度的阀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453B2 (en) Non-freeze wall hydrant
KR101335453B1 (ko) 매립 밸브 개폐장치
KR101520275B1 (ko) 화장용 브러시 케이스
CN105089119A (zh) 排水塞连动装置
KR200477129Y1 (ko) 제수밸브 핸들
US7410146B2 (en) Drain valve with flow control
KR101891635B1 (ko) 록 장치 및 밸브 장치
KR101876258B1 (ko) 회전 핸들용 캡
US6775859B1 (en) Dual flush toilet
KR20110115396A (ko) 유량 조절용 볼 밸브
KR102469307B1 (ko) 누설 방지 성능이 향상된 플러그 밸브
CN106759703B (zh) 排水栓装置
EP3575649A1 (en) Straight-through switching valve
KR101702569B1 (ko) 소방용 소화전 키
JP6615563B2 (ja) 二つの管を接続するための構造
KR101791851B1 (ko) 세면기용 팝업 밸브
JP6703355B2 (ja) 排水栓装置
JP5988633B2 (ja) ガス栓
KR101051279B1 (ko) 누름 개폐식 밸브
JP7064725B2 (ja) 弁部材
KR102048484B1 (ko) 퓨즈콕
KR20110109323A (ko) 세탁기용 힌지장치
KR200446242Y1 (ko) 지하 매몰형 볼밸브 개폐핸들
KR200469258Y1 (ko) 갑판 배수구 캡
JP2017031701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