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40Y1 - 점프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점프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40Y1
KR200476940Y1 KR2020140002226U KR20140002226U KR200476940Y1 KR 200476940 Y1 KR200476940 Y1 KR 200476940Y1 KR 2020140002226 U KR2020140002226 U KR 2020140002226U KR 20140002226 U KR20140002226 U KR 20140002226U KR 200476940 Y1 KR200476940 Y1 KR 200476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all
coupling
foot plate
assembly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승
Original Assignee
(주)아이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비젼 filed Critical (주)아이비젼
Priority to KR2020140002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6Training devices for jumping; Devices for balloon-jumping; Jumping ai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5/00Stilts or the like
    • A63B25/08Hopping-sticks, e.g. pogo sticks ; Hopping apparatus with a single resilient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볼에 발판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발판을 밟고 반복적으로 점프를 하면서 운동할 수 있는 점프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발판에 탄성볼을 장착하고 탄성볼에는 조종수단이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위하여 탄성볼에 체결부를 일체로 형성하면서 그 체결부와 조종수단의 연결요소 하단을 조립구를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탄성볼과 조종수단이 체결되어 손잡이가 형성된 조종수단을 탄성체의 정중앙에 위치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체결부와 조립구를 서로 축 고정방식으로 조립하도록 하여 탄성볼과 조립구가 간단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조립구와 조종수단의 체결구조는 연결요소의 하단에 돌출되게 체결부를 형성하면서 분할체에 형성된 가압부에는 이탈방지턱을 형성하여 조종수단이 조립구에 끼워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조종수단이 탄성볼의 정중앙에 위치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점프 운동기구{JUMPING ATHLETIC APPARATUS}
본 고안은 탄성볼에 발판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발판을 밟고 반복적으로 점프를 하면서 운동할 수 있는 점프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볼에 장착되는 손잡이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손잡이가 안정적으로 체결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프 운동기구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뛰는 운동을 반복하면서 운동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성장기의 어린이나 유아는 물론 성인의 경우에도 균형감각을 향상시키고 체력운동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또는 단순 유희용 기구로써 다양하게 활용된다.
이와 같은 점프 운동기구는 종래에는 이른바 '스카이콩콩'이라고 명칭된 것으로 스프링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점프를 반복적으로 하도록 하였으나, 현재는 판스프링 구조를 사용하거나 또는 공기가 주입된 탄성볼을 이용하여 점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점프 운동기구가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탄성볼을 이용한 방식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중 부상의 우려가 적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그 예로서 실용신안 등록 제200247153호, 제200275259호, 제200295791호가 있으며, 이는 등록공보에 게재된 바와 같이 모두 상,하로 분할되게 형성되는 탄성볼에 발판을 장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점프운동을 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손잡이가 없기 때문에 초심자의 경우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실용신안 등록 제200395706호 및 제200466087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발판의 양측으로 손잡이를 형성하여 양팔을 벌려서 손잡이를 잡고 발판의 중심을 잡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팔을 벌려서 점프 운동을 할 경우 신체의 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급격히 쏠리게 되면서 중심을 잡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실용신안 등록 제200414325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탄성볼의 중심부 상측으로 하나의 손잡이를 형성한 것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점프 운동기구의 중심에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발판의 중앙에 위치한 탄성볼에 손잡이를 고정해야 하는데, 탄성볼에 손잡이를 고정하기가 마땅치 않으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볼을 감싸는 형태로 별도의 연결끈을 마련하여 발판과 손잡이를 직접 고정한다.
특히, 이렇게 탄성볼이 발판에 끼워지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의 탄성볼을 발판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한 후 공기를 주입하여 탄성볼의 상부볼과 하부볼이 부풀어 오르게 되어 탄성볼이 발판이 고정되어 빠지지 않게 조립되는데, 이러한 탄성볼에 손잡이가 형성된 조종수단를 체결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일체로 마련할 수 없기 때문에 조종수단과 발판을 직접 연결한다.
즉, 손잡이를 포함한 조종수단의 하단부에 체결부를 형성하면서 발판에도 대응되게 체결부를 형성하고, 두 개의 체결부를 연결끈으로 연결하여 조종수단과 발판을 조립함으로써 조종수단이 점프 운동기구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조립구조가 너무 복잡하고, 조립성이 매우 떨어지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연결끈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은 조종수단이 탄성볼의 정중앙에 위치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중심을 잡기가 더욱 어렵고, 조종수단이 탄성볼의 정중앙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연결끈을 방사형으로 연결하면서도 각각의 장력을 동일하게 유지하여야 하므로 제작에 더욱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렇게 제작하는 경우에도 조종수단과 발판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끈 중의 일부가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경우에 조종수단이 탄성볼의 중심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계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고, 또한 이렇게 중심이 벗어난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균형이 일시에 흐트러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KR 200247153 Y1 KR 200275259 Y1 KR 200295791 Y1 KR 200395706 Y1 KR 200466087 Y1 KR 200414325 Y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가 형성된 조종수단을 탄성체의 정중앙에 위치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이 용이하도록 한 점프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점프 운동기구를 반복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조종수단이 탄성볼의 정중앙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별도의 유지보수가 필요 없이 조종수단이 탄성볼에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조종수단이 중앙에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발판에 발을 올려 놓을 때 쉽게 기울여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발판에 탄성볼을 장착하고 탄성볼에는 조종수단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탄성볼에 체결부를 일체로 형성하면서 그 체결부와 조종수단의 연결요소를 조립구를 이용하여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탄성볼과 조종수단이 체결되도록 함은 물론, 발판의 정중앙에 조종수단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립구가 분할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체결부와 조립구를 서로 축 고정방식으로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체결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요소의 하단에 돌출되게 체결부를 형성하면서 분할체에 형성된 가압부에는 이탈방지턱을 형성하여 조종수단이 임의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발판의 일측 또는 양측에 안착돌부를 형성하여 발을 발판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점프 운동을 개시할 때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점프 운동기구에 의하면, 손잡이가 형성된 조종수단이 탄성체의 정중앙에 위치되므로 균형을 쉽게 잡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아나 어린이가 사용하기가 매우 적합하며 초심자의 경우에도 쉽게 배울 수 있다.
또한, 조종수단의 체결을 위한 부속의 수가 적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탄성볼 자체에 조종수단을 간단하게 조립하여 체결할 수 있으므로 제작과정에서 조립성이 현저히 좋아지고 생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점프 운동기구를 반복 사용할 경우에도 조종수단이 분리되거나 정중앙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유지보수가 필요없이 장기간 사용 가능하고, 조종장치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조종장치를 탄성볼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탄성볼의 상부에서 조립구에 의하여 가려지게 되므로 점프 운동기구의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중앙에 배치된 조종수단을 잡고 발판에 올라설 때 발판에 올려놓은 발이 미끄러지지 않게 되므로 더 쉽게 점프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점프 운동기구의 조종수단 체결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점프 운동기구의 외관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점프 운동기구의 조종수단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점프 운동기구의 조종수단 체결구조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발판(100)과 발판(100)에 장착되는 탄성볼(200)과 탄성볼(200)의 상부로 연결되는 조종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판(100)은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기 위한 것으로, 발받침부(120)가 양측에 형성되며, 그 발받침부(120)의 사이에는 상,하로 관통된 구멍(140)이 형성되어 탄성볼(200)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탄성볼(200)은 발판(100)이 지면으로부터 뜬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점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반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발판(100)의 중앙에 장착된다.
탄성볼(200)은 재질자체를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하거나 또는 공기를 충진하여 반발력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발판(100)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탄성볼(200)의 형태를 대략적인 구(球)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탄성볼(200)의 내부가 중공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반발력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볼(200)의 전체 형태는 상부볼(202)과 하부볼(204)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그 경계부에 결합면(206)을 형성하여 탄성볼(200)의 전체형태가 대략적인 '8'자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면 발판(100)에 형성된 구멍(140)에 탄성볼(200)이 공기주입에 의하여 간단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의 탄성볼(200)을 발판(100)의 구멍(140)에 삽입한 후, 공기주입구(208)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탄성볼(200)이 부풀어 오르게 되면서 탄성볼(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면(206)이 구멍(14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도 공기주입만으로 간단하게 발판(100)과 탄성볼(200)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탄성볼(200)은 상부볼(202)과 하부볼(204)의 중공된 공간이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체적이 늘어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점프 운동을 할 때 반발력이 더 세게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조종수단(300)은 사용자가 점프 운동을 할 때 중심을 더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조는 탄성볼(200)의 상부에 장착되는 연결요소(320)와 연결요소(3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손잡이(340)로 구성된다.
연결요소(320)는 봉이나 파이프 형태의 기둥으로 제작할 수 있지만, 더 바람직하게는 밴드나 플렉시블 호스 등의 연질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형태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볼(200)과 조종수단(300)은 체결수단(1)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으로, 체결수단(1)은 탄성볼(20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부(220)와, 그 체결부(220)와 연결요소(32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조립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립구(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분할체(420)로 구성되도록 하여 분할체(420)를 서로 조립하여 체결부(220)와 연결요소(32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분할체(420)에는 끼움축(425)을 형성하고, 탄성볼(200)의 체결부(220)에는 끼움축(425)과 대응되게 조립공(225)을 형성하여 끼움축(425)을 조립공(225)에 끼워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조립구(400)의 상측에는 연결요소(320)의 하단을 끼워 고정하면서 연결요소(320)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부(440)가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볼(200)과 조종수단(300)이 조립구(400)를 조립함으로써 간단하게 연결되도록 하면서도 연결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조종수단(300)의 연결요소(320)는 하측에 돌출되게 체결부(325)를 형성하고, 조립구(400)의 가압부(440)에는 이탈방지턱(445)을 형성하여 체결부(325)가 이탈방지턱(445)에 의하여 지지되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턱(445)은 가압부(440)의 상측에 형성하여 연결요소(320)가 상부로 빠지지 않게 조립함이 바람직하지만, 가압부(440)의 상측과 하측 모두에 이탈방지턱(445)을 형성하여 연결요소(320)의 체결부(325)가 가압부(44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혀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요소(320)에 형성되는 체결부(325)는 연결요소(320)를 밴드로 형성할 경우 돌출부(미도시)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는 연결요소(320)를 관체(320a)로 형성하면서 그 관체(320a)의 내부에 관체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삽입부재(325a)를 삽입하여 체결부(325)가 돌출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고무나 실리콘 등의 가요성 탄성재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삽입부재(325a)를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음은 물론, 체결부(325)가 조립구(400)에 형성된 이탈방지턱(445)에 걸림될 때 탄성력에 의하여 더 밀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분할체(420)의 내측에는 탄성볼(200)의 체결부(220)와 긴밀히 밀착되도록 밀착부(450)를 형성하면 조립구(400)가 조립된 상태에서 탄성볼(200)과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긴밀히 조립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점프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탄성볼(200)과 조립구(400)와의 유동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판(100)은 발받침부(1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안착돌부(160)를 형성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점프 운동을 수행하고자 발받침부(120)에 발을 올려놓을 때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점프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1: 체결수단
100: 발판 120: 발받침부
140: 구멍 160: 안착돌부
200: 탄성볼 202: 상부볼
204: 하부볼 206: 결합면
208: 공기주입구
220: 체결부 225: 조립공
300: 조종수단
320: 연결요소 320a: 관체
325: 체결부 325a: 삽입부재
340: 손잡이
400: 조립구
420: 분할체 425: 끼움축
440: 가압부 445: 이탈방지턱
450: 밀착부

Claims (5)

  1. 발판(100);
    상기 발판(100)이 지면으로부터 반발력을 갖도록 발판 중앙에 장착되는 탄성볼(200);
    상기 탄성볼(200)의 상단에 연결요소(320)에 의하여 손잡이(340)가 연결되는 조종수단(300);
    상기 탄성볼(200)과 조종수단(300)의 연결요소를 체결하기 위한 조립구(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볼(200)은 상부에 조립공(225)이 형성된 체결부(220)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립구(400)는 두 개의 분할체(420)로 구성되고 분할체(420)에는 상기 조립공(225)에 대응하여 끼워 고정하기 위한 끼움축(425)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구(400)의 상측에는 연결요소(320)의 하단을 끼워 고정하면서 연결요소(320)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부(440)가 형성되어 탄성볼(200)과 조종수단(300)이 간단한 구조로 체결되고 조종수단(300)이 탄성볼(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조립되는 점프 운동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수단(300)의 연결요소(320)는 하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체결부(325)가 형성되고, 조립구(400)의 가압부(440)에는 이탈방지턱(445)이 형성되어 체결부(325)가 이탈방지턱(445)에 의하여 상측으로 빠지지 않게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 운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320)에 형성되는 체결부(325)는 연결요소(320)가 관체(320a)로 형성되고, 그 관체(320a)의 내부에 관체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삽입부재(325a)가 삽입되어 체결부(325)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관체(320a)는 가요성 탄성재로 이루어져 삽입부재(325a)의 삽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조립구(400)에 형성된 이탈방지턱(445)에 밀착 고정되어 임의 분리를 더 방지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00)은 발받침부(1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안착돌부(1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 운동기구.
KR2020140002226U 2014-03-20 2014-03-20 점프 운동기구 KR200476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26U KR200476940Y1 (ko) 2014-03-20 2014-03-20 점프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26U KR200476940Y1 (ko) 2014-03-20 2014-03-20 점프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940Y1 true KR200476940Y1 (ko) 2015-04-16

Family

ID=5343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226U KR200476940Y1 (ko) 2014-03-20 2014-03-20 점프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9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9307A (zh) * 2017-08-31 2017-12-15 吴新程 一种防爆跳跳球
CN107551493A (zh) * 2017-08-31 2018-01-09 吴新程 一种拉力跳跳球
CN107596645A (zh) * 2017-08-31 2018-01-19 吴新程 一种音乐跳跳球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134U (ko) * 1992-08-31 1994-03-16 신백희 뜀 뛰기 놀이구
KR200395706Y1 (ko) * 2005-04-01 2005-09-13 장남훈 점핑유희구
KR200414325Y1 (ko) * 2006-02-03 2006-04-18 (주) 비엔포인트 점프 운동기구
KR20090004805U (ko) * 2007-11-16 2009-05-20 정해승 발판이 휘어지거나 부러짐을 방지한 점핑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134U (ko) * 1992-08-31 1994-03-16 신백희 뜀 뛰기 놀이구
KR200395706Y1 (ko) * 2005-04-01 2005-09-13 장남훈 점핑유희구
KR200414325Y1 (ko) * 2006-02-03 2006-04-18 (주) 비엔포인트 점프 운동기구
KR20090004805U (ko) * 2007-11-16 2009-05-20 정해승 발판이 휘어지거나 부러짐을 방지한 점핑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9307A (zh) * 2017-08-31 2017-12-15 吴新程 一种防爆跳跳球
CN107551493A (zh) * 2017-08-31 2018-01-09 吴新程 一种拉力跳跳球
CN107596645A (zh) * 2017-08-31 2018-01-19 吴新程 一种音乐跳跳球
CN107551493B (zh) * 2017-08-31 2021-10-26 郑妙才 一种拉力跳跳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3512B1 (en) Pogo ball
KR200476940Y1 (ko) 점프 운동기구
KR200466087Y1 (ko) 발판이 휘어지거나 부러짐을 방지한 점핑볼
US9610211B2 (en) Walk assisting apparatus integrating walker and walk assistant
TWM503920U (zh) 健身球椅
US20160067623A1 (en) Toy bar
KR200414325Y1 (ko) 점프 운동기구
KR101758902B1 (ko) 미끄럼방지와 선택적으로 무게조절이 가능하며 안전성을 향상시킨 밸런스보드
CN204050837U (zh) 双人蹦蹦器
KR101791558B1 (ko) 점핑용 놀이기구
KR200390007Y1 (ko) 걷기 놀이 기구
KR200438167Y1 (ko) 유아용 놀이기구
KR100923317B1 (ko) 실내 운동기구
KR101245074B1 (ko) 헬스자전거용 안장의 높낮이 조절기구
KR200419840Y1 (ko) 점핑운동구
KR20160000784U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0479190Y1 (ko) 치아발육기를 매달아 사용하는 체육관 완구
CN207821530U (zh) 一种学步车弹跳机构
KR200275259Y1 (ko) 점핑 놀이구
KR102142950B1 (ko) 유아용 시트 이동장치
KR200288479Y1 (ko) 점프 겸용 승용완구의 점핑장치
KR20130009335A (ko) 유아용 유희구
KR200437759Y1 (ko) 지압용 뜀뛰기 운동기구
JP2006095132A (ja) エアロクッション
KR20080114467A (ko) 유아용 보행 보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