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167Y1 - 유아용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167Y1
KR200438167Y1 KR2020070002371U KR20070002371U KR200438167Y1 KR 200438167 Y1 KR200438167 Y1 KR 200438167Y1 KR 2020070002371 U KR2020070002371 U KR 2020070002371U KR 20070002371 U KR20070002371 U KR 20070002371U KR 200438167 Y1 KR200438167 Y1 KR 200438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sket
play
pedal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현
Original Assignee
김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현 filed Critical 김영현
Priority to KR2020070002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1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1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5/00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muscle energy
    • F03G5/06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muscle energy other than of endless-wal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75Apparatus used for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63B23/1263Rotation about an axis passing through both shoulders, e.g. cross-country skiing-type arm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가 좌석에 앉아서 놀이기구를 이용하여 놀이를 즐기도록 함과 아울러 다리운동에 의한 좌석의 회전으로 다리운동과 허리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방에 놀이기구가 구비되도록 지지대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측 상부에 좌석부가 연결되어 놀이를 즐기도록 하는 유아용 놀이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저부에 일정 길이의 지주봉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지주봉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기어에 치합되는 페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석부에 착석한 유아가 상기 페달부의 페달을 가압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좌석부 및 놀이기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크레인, 바스켓, 폐달, 좌석부, 완충쇼버

Description

유아용 놀이기구 {CHILDREN'S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놀이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완충쇼버를 장착한 상태의 놀이기구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단면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놀이기구 11, 12: 손잡이
13: 제1연결대 14: 제2연결대
15: 연결바 16: 바스켓
17: 지지대 18: 좌석부
19: 지주봉 20: 보호케이스
21: 받침지주 22: 받침판
23: 폐달봉 24: 폐달
31, 32: 힌지핀 40: 완충쇼버
101: 회전기어 102: 기어
110: 베어링 130: 고정봉
본 고안은 유아용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가 좌석에 앉아서 놀이기구를 이용하여 놀이를 즐기도록 함과 아울러 다리운동에 의한 좌석의 회전으로 다리운동과 허리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의 체형에 맞게 제작된 놀이기구에는 시소, 미끄럼틀, 농구대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바퀴 등 이동수단을 부착하여 이동이 용이하게 한 상태로 일정 공간에 비치함으로써 유아에게 보다 편리하게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으나 통상 그 크기만을 축소시켜 유아가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 대부분이다.
한편, 최근들어 유아의 놀이기구로 포크레인을 부착하여 유아로 하여금 포크레인을 조작하게 하는 놀이기구가 선보인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포크레인이 부착된 놀이기구는 유아가 의자 등의 안착공간에 앉은 상태로 포크레인의 바스켓을 단순조작으로 상,하 반복동작을 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놀이에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고, 감수성이 풍부한 유아에게 역효과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으며, 통상 쪼그려 앉은 자세로 놀이를 즐기는 바 장시간 불편한 자세로 인해 피로를 유발하게 됨과 아울러 어린이 체형과 성장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들어 생활이 윤택해지고, 편리함을 추구하는 습관에 의해 어린이 비만 등 운동부족에 따른 부작용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유아때부터 이 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에 의한 놀이기구를 조작함과 동시에 다리에 의한 폐달을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몸의 전체적인 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더욱이 좌석에 편안하게 착석한 상태로 페달을 가압하도록 함에 따라 안전한 자세로 인한 몸의 균형화를 꾀할 수 있으며, 병행운동에 의해 유아로 하여금 놀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되는 유아용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전방에 놀이기구가 구비되도록 지지대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측 상부에 좌석부가 연결되어 놀이를 즐기도록 하는 유아용 놀이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저부에 일정 길이의 지주봉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지주봉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기어에 치합되는 페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석부에 착석한 유아가 상기 페달부의 페달을 가압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좌석부 및 놀이기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놀이기구는 유아용 포크레인으로, 상기 지지대의 타측 단부에 양측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한쌍의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는 바스켓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바스켓부의 바스켓에 연결되는 연결바의 타측 선단에 상 기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대와, 상기 제1연결대의 연결부위와 상기 바스켓의 사이에 상기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대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대에 연결된 손잡이의 작동시 상기 바스켓부는 상,하로 동작되고, 상기 제2연결대에 연결된 손잡이의 작동시 상기 바스켓부는 전,후로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유아용 놀이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놀이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완충쇼버를 장착한 상태의 놀이기구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단면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놀이기구는 전방에 놀이기구(10)가 구비되도록 지지대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측 상부에 좌석부(18)가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17)의 저부에 일정 길이의 지주봉(19)을 매개로 연결되어 형성된 회전기어(101)에 치합되는 폐달부로 구성된다.
상기 놀이기구(10)는 유아용 포크레인으로서 상기 지지대(17)의 타측 단부에 양측으로 회전되게 결합되는 한쌍의 손잡이(11,12)와, 상기 손잡이(11,12)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힌지핀(31,32)을 매개로 연결되는 바스켓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바스켓부의 바스켓(16)에 연결되는 연결바(15)의 타측 선단에 상기 힌지핀(31)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대(13)와, 상기 제1연결 대(13)의 연결부위와 상기 바스켓(16)의 사이에 상기 힌지핀(32)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대(14)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대(13)에 연결된 손잡이(11)의 작동시 상기 바스켓부는 상,하로 동작되고, 상기 제2연결대(14)에 연결된 손잡이(12)의 작동시 상기 바스켓부는 전,후로 동작된다.
즉, 상기 손잡이(11)를 전방측으로 가압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바스켓부는 하강하게 되고, 상기 손잡이(11)를 후방측으로 당겨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바스켓부는 상승하게 되며, 상기 손잡이(12)를 전방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바스켓부는 상기 제1연결대(13)에 연결바(15)의 결합부위인 힌지핀(31)을 기준으로 전방측으로 회전동작되고, 상기 손잡이(12)를 후방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바스켓부는 상기 힌지핀(31)을 기준으로 후방측으로 회전동작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 좌석부(18)는 상기 놀이기구(10)가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대(17)의 일측 상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놀이기구(10)를 구동시키기에 편리한 위치에 적당하게 연결시켜 놓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17)의 저부에는 상기 지주봉(19)에 페달부가 연결되고, 상기 지주봉(19)은 상기 놀이기구(10)와 좌석부(18)의 중량을 감안하여 상기 지지대(17)의 적당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주봉(19)의 단부에는 일체로 일정 피치의 나사산을 갖는 회전기어(101)가 고정봉(130)에 회전되게 구비되고, 상기 페달부의 페달봉(23) 상에는 기어(10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기어(101)와 기어(102)가 서로 치합되어 웜기어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폐달(25)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기어(102)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기어(101)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지지대(17)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기어(101)와 기어(102)의 기어비는 유아의 나이 등을 고려하여 적당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1의 비율을 갖도록 구성하도록 하며, 제작된 상태에서 기어비를 변경시키는 경우 용이하도록 별도의 감속기를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주봉(19)과 상기 페달부의 연결부위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보호케이스(20)에 의해 감싸여 지도록 하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보호케이스(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연결대(13)와 연결되도록 완충쇼버(40)를 더 구비되게 하여 상기 바스켓부의 유동을 제어하여 안전성을 높이도록 함으로써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케이스(20)를 관통하는 상기 지주봉(19)과 상기 페달봉(23)은 베어링(110)에 의해 상기 보호케이스(2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상기 좌석부(18)에 착석한 상태에서 유아가 상기 페달부의 폐달(25)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페달봉(23)에 기어결합된 지주봉(19)이 회전되면서 지지대(17)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유아 자신을 좌,우로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의 상태에서 손잡이(11,12)를 조작하여 제1연결대(13)와 제2연결대(14)에 힌지핀(31,32)으로 연결된 바스켓부를 상,하,전,후로 이동되게 하면서 놀이를 즐기게 된다.
따라서, 유아에게 놀이에 대한 즐거움을 제공하여 줌과 아울러 다리운동 및 허리운동으로 운동에 대한 관심을 높여주도록 하여 비만 등의 질병으로부터 탈출하도록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손에 의한 놀이기구를 조작함과 동시에 다리에 의한 폐달을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몸의 전체적인 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더욱이 좌석에 편안하게 착석한 상태로 페달을 가압하도록 함에 따라 안전한 자세로 인한 몸의 균형화를 꾀할 수 있으며, 병행운동에 의해 유아로 하여금 놀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방에 놀이기구가 구비되도록 지지대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측 상부에 좌석부가 연결되어 놀이를 즐기도록 하는 유아용 놀이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7)의 저부에 일정 길이의 지주봉(19)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지주봉(19)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기어(101)에 치합되는 페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석부(18)에 착석한 유아가 상기 페달부의 페달(25)을 가압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좌석부(18) 및 놀이기구(1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놀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기구(10)는, 유아용 포크레인으로, 상기 지지대(17)의 타측 단부에 양측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한쌍의 손잡이(11,12)와, 상기 손잡이(11,12)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힌지핀(31,32)을 매개로 연결되는 바스켓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바스켓부의 바스켓(16)에 연결되는 연결바(15)의 타측 선단에 상기 힌지핀(31)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대(13)와, 상기 제1연결대(13)의 연결부위와 상기 바스켓(16)의 사이에 상기 힌지핀(32)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대(14) 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대(13)에 연결된 손잡이(11)의 작동시 상기 바스켓부는 상,하로 동작되고, 상기 제2연결대(14)에 연결된 손잡이(12)의 작동시 상기 바스켓부는 전,후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놀이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19)과 상기 페달부의 연결부위를 외부와 차단시키도록 보호케이스(20)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케이스(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연결대(13)와 연결되도록 완충쇼버(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놀이기구.
KR2020070002371U 2007-02-08 2007-02-08 유아용 놀이기구 KR200438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371U KR200438167Y1 (ko) 2007-02-08 2007-02-08 유아용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371U KR200438167Y1 (ko) 2007-02-08 2007-02-08 유아용 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167Y1 true KR200438167Y1 (ko) 2008-01-24

Family

ID=4133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371U KR200438167Y1 (ko) 2007-02-08 2007-02-08 유아용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16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74515A1 (de) * 2010-04-06 2011-10-12 Sieper GmbH Spielzeug-Frontlader für ein Spielfahrzeug
KR101221630B1 (ko) 2011-07-04 2013-01-14 추영철 놀이기구
CN114534269A (zh) * 2022-03-02 2022-05-27 漳州市华达威合金塑胶玩具有限公司 一种合金塑胶玩具汽车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74515A1 (de) * 2010-04-06 2011-10-12 Sieper GmbH Spielzeug-Frontlader für ein Spielfahrzeug
KR101221630B1 (ko) 2011-07-04 2013-01-14 추영철 놀이기구
CN114534269A (zh) * 2022-03-02 2022-05-27 漳州市华达威合金塑胶玩具有限公司 一种合金塑胶玩具汽车
CN114534269B (zh) * 2022-03-02 2024-03-26 漳州市华达威合金塑胶玩具有限公司 一种合金塑胶玩具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12230A1 (en) Glider
JP6133933B2 (ja) 乗馬用運動器具
US9820578B2 (en) Power leisure reclining chair
KR200438167Y1 (ko) 유아용 놀이기구
TWM473847U (zh) 腰部健身器材
CN201668614U (zh) 多功能介护轮椅
US20080100014A1 (en) Combination jogging apparatus and stroller
CN109476332B (zh) 坐垫或卧垫
JP2010158284A (ja) 座面移動椅子
TWM583321U (zh) 迷你搖椅
KR100928729B1 (ko) 어린이 지능개발용 시소
CN110588462A (zh) 儿童座椅的无开关自动高度调节装置
CN211001015U (zh) 儿童座椅的无开关自动高度调节装置
KR20140052148A (ko) 링크를 이용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CN201006231Y (zh) 骑马机
JP3144405U (ja) バランス訓練椅子
CN211885106U (zh) 具有蹦蹦床、摇摇马、扭扭车、跷跷板多功能变化的玩具
WO2014006768A1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20160097597A (ko) 영아용 슬라이딩 놀이기구
KR101220201B1 (ko) 그네
CN114983692B (zh) 一种医疗儿科用多功能辅助治疗座椅
CN112641594B (zh) 一种婴儿行走训练机器人
CN103961842B (zh) 运动用自行车支撑台
KR102555146B1 (ko) 탑승형 운동기
KR20110101953A (ko) 트리서클 킥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