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13Y1 - 텀블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텀블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13Y1
KR200476913Y1 KR20140001839U KR20140001839U KR200476913Y1 KR 200476913 Y1 KR200476913 Y1 KR 200476913Y1 KR 20140001839 U KR20140001839 U KR 20140001839U KR 20140001839 U KR20140001839 U KR 20140001839U KR 200476913 Y1 KR200476913 Y1 KR 200476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mbler
lid
closing
open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1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젠
Priority to KR20140001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튼을 가볍게 누르는 조작에 의해 뚜껑이 열리도록 함으로써 뚜껑의 개폐조작을 매우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버튼에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버튼의 누름 조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휴대시 부주위로 버튼이 누름 조작되어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텀블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텀블러 개폐장치는, 텀블러의 상부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텀블러의 내용물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밀폐부를 구비하여 상기 밀폐부가 텀블러의 내용물 배출구를 밀폐하는 닫음위치와 상기 밀폐부가 텀블러의 내용물 배출구로부터 이격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뚜껑을 구비하고, 텀블러와 뚜껑 사이에는 뚜껑의 닫음위치에서 뚜껑의 닫음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개폐기구가 설치된 구성이다.

Description

텀블러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umbler}
본 고안은 텀블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텀블러의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조작이 힘들지 않고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텀블러의 개방부를 밀폐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휴대시 부주의로 텀블러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이 더욱 편리한 텀블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탄산 음료, 주스, 커피 및 냉온수는 물론, 한약이나 그외 액체 상태의 음료를 컵에 담아 마시는데, 이러한 컵 중 특히 냉온 기능을 가진 컵을 텀블러(Tumbler)라고 한다.
이러한 텀블러는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뚜껑으로 가압 밀폐하는 밀폐형이 주로 사용되는데, 밀폐형 텀플러는 높은 밀폐력을 제공하여 컵에 담긴 내용물 즉 음료수의 누설을 방지하고 사용시에는 음료수를 쉽게 마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텀블러의 개폐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907742호의 '밀폐 및 잠금 기능이 있는 컵과 뚜껑'이 알려져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1)의 오목부(35)를 컵(10)의 잠금용 돌기(18)에 일치시켜 끼운 후 스냅 방식으로 돌리면 뚜껑(11)의 외주면 부분이 컵(10)의 내주면 부분을 가압 고정하면서 높은 밀폐력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뚜껑(11)을 컵(10)에 대하여 돌리는 방식으로 개폐하는 것이므로 양손을 사용해야 함은 물론, 손에 힘이 들어가므로 개폐조작이 불편하고 큰 흔들림으로 내용물이 넘칠 염려가 있으며, 뚜껑(11)이 컵(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므로, 뚜껑(11)의 분실 우려가 크고 뚜껑(11)이 바닥으로 떨어져 쉽게 오염되는 등 사용상 불편함이 많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버튼을 가볍게 누르는 조작에 의해 뚜껑이 열리도록 함으로써 뚜껑의 개폐조작을 매우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버튼에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버튼의 누름 조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휴대시 부주의로 버튼이 누름 조작되어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텀블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뚜껑을 텀블러와 힌지결합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뚜껑의 분실 및 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뚜껑이 개방되는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뚜껑 개방시 자동적으로 회전하여 열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한 텀블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텀블러의 상부에 구비된 내용물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텀블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의 상부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텀블러의 내용물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밀폐부를 구비하여 상기 밀폐부가 텀블러의 내용물 배출구를 밀폐하는 닫음위치와 상기 밀폐부가 텀블러의 내용물 배출구로부터 이격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뚜껑; 및 상기 텀블러와 뚜껑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뚜껑의 닫음위치에서 뚜껑의 닫음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도록 된 개폐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텀블러에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지지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하부에 접촉돌기를 형성한 버튼; 상기 버튼에 대향하는 위치의 뚜껑에 형성되어 뚜껑의 닫음위치에서 상기 버튼의 걸림턱에 걸림유지되는 후크돌기; 상기 텀블러와 버튼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버튼의 걸림턱이 뚜껑의 후크돌기와 걸림유지되는 방향으로 버튼이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상기 텀블러와 버튼 사이에 위치되어 하단에 형성한 접촉부가 버튼의 접촉돌기와 접촉하는 잠금위치와 접촉돌기로부터 벗어나는 잠금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된 잠금조작판; 상기 텀블러에 형성되어 잠금조작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레일; 및 상기 잠금조작판에 일단이 고정되어 외부에서 상기 잠금조작판을 이동시키기 용이하게 설치된 조작노브로 이루어진 텀블러 개폐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개폐기구의 잠금조작판에 위치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레일에는 잠금조작판의 잠금위치에서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제1 위치고정홈과, 잠금조작판의 잠금해제위치에서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제2 위치고정홈을 형성한 텀블러 개폐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일측이 텀블러쪽에 걸림유지되고 타측은 뚜껑쪽에 걸림유지되어 뚜껑을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로 회전시킴에 따라 점점 인장되어 상기 뚜껑을 열림위치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설치된 탄성고무밴드를 더 포함하는 텀블러 개폐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뚜껑이 텀블러와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뚜껑 회전식 개폐 방식이므로, 뚜껑의 개폐조작이 매우 편리함과 동시에, 뚜껑을 분실하거나 뚜껑을 바닥에 떨어뜨려 오염시킬 염려가 없으며,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는 개폐기구에 의해 뚜껑의 닫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뚜껑을 열 때에는 개폐기구의 버튼을 가볍게 누르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쉽고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뚜껑의 닫음위치에서 개폐기구의 잠금조작판을 조작하게 되면, 버튼이 누름 조작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잠글 수 있기 때문에, 텀블러의 휴대시 부주의로 버튼이 가압되어 뚜껑이 열림으로써 내용물이 누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텀블러와 뚜껑 사이에 탄력설치된 탄성고무밴드에 의해서는 뚜껑을 닫을 때 인장되어 뚜껑의 열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이 증가함에 따라, 뚜껑의 개방시에는 버튼의 누름 조작만으로도 상기 탄성고무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뚜껑이 자동적으로 열림위치로 회전할 수 있어 뚜껑을 여는 조작이 더욱 쉽고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텀블러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텀블러 개폐장치에서 개폐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텀블러 개폐장치에서 개폐기구의 잠금조작판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텀블러 개폐장치에서 개폐기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텀블러 개폐장치에서 탄성고무밴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도 6b 본 고안의 텀블러 개폐장치에서 탄성고무밴드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텀블러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텀블러 개폐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텀블러 개폐장치는, 텀블러(100)의 상부에 구비된 내용물 배출구(110)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200)과, 상기 텀블러(100)와 뚜껑(200) 사이에 설치되어 뚜껑(200)의 닫음위치에서 뚜껑(200)의 닫음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도록 된 개폐기구(300)를 구비한다.
뚜껑(200)은, 텀블러(100)의 상부 일측에 힌지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힌지결합된 것으로, 텀블러(100)측 힌지결합부(130)와 뚜껑(200)측 힌지결합부(220)를 힌지축(120)으로 연결하여 뚜껑(200)이 힌지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뚜껑(200)에는 텀블러(100)의 내용물 배출구(110)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부(210)가 구비되어, 뚜껑(200)은 밀폐부(210)가 텀블러(100)의 내용물 배출구(110)를 밀폐하는 닫음위치와 상기 밀폐부(210)가 텀블러(100)의 내용물 배출구(110)로부터 이격되는 열림위치(도 1 참조)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개폐기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텀블러(100)에 회전지지축(3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버튼(320)을 구비하고, 버튼(320)과 텀블러(100) 사이에는 탄성부재(340)가 탄력설치되어 있다.
버튼(320)은, 상기 회전지지축(310)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에 걸림턱(321)이 형성되고 하부에 접촉돌기(322)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턱(321)은 뚜껑(200)에 형성된 후크돌기(330)와 걸림유지 및 걸림해제 되는 것으로, 후크돌기(330)는 상기 걸림턱(321)에 대향하는 위치의 뚜껑(200)에 형성되어 뚜껑(200)의 닫음위치에서 상기 버튼(320)의 걸림턱(321)과 걸림 유지되도록 한 구성이다.
탄성부재(340)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회전지지축(3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양단이 버튼(320)과 텀블러(100) 사이에 밀착된 구성이다. 따라서, 뚜껑(200)의 후크돌기(330)가 걸림턱(321)에 걸림유지되는 방향, 즉 도 4a에서와 같이 회전지지축(310)을 중심으로 하는 시계회전방향으로 버튼(320)이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게 되고, 이로써 뚜껑(200)의 닫음위치에서 후크돌기(330)가 걸림턱(321)에 걸림 유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뚜껑(200)의 닫음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개폐기구(300)는, 뚜껑(200)의 닫음위치에서 상기 버튼(320)의 누름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잠금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잠금수단은 도 3a 및 도 3b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텀블러(100)와 버튼(320) 사이에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는 접촉부(352)가 형성된 잠금조작판(350)과, 상기 버튼(320)의 하단부에 형성한 접촉돌기(322)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잠금조작판(350)은 버튼(320) 하부의 누름 조작시 상기 접촉부(352)가 버튼(320)의 접촉돌기(322)와 접촉하는 잠금위치와 접촉돌기(322)로부터 벗어나는 잠금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텀블러(100)에는 안내레일(360)이 형성되어 잠금조작판(35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고, 잠금조작판(350)은 버튼(320)의 외부에 설치된 조작노브(370)의 일단이 고정되어 버튼(320)의 외부에서 잠금조작판(350)의 이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잠금조작판(350)의 일측면에 위치고정돌기(351)를 형성하고, 상기 위치고정돌기(351)에 대향하는 위치의 안내레일(360)에는 상기 위치고정돌기(351)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 위치고정홈(361,362)이 형성된 것으로, 제1 위치고정홈(361)은 잠금조작판(350)의 잠금위치에서 상기 위치고정돌기(351)가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하고, 제2 위치고정홈(362)은 잠금조작판(350)의 잠금해제위치에서 상기 위치고정돌기(351)가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위치고정돌기(351)와 제1 및 제2 위치고정홈(361,362)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잠금조작판(350)의 상,하 이동시 위치고정돌기(351)가 제1 또는 제2 위치고정홈(361,362)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이로써 잠금조작판(350)이 잠금위치 또는 잠금해제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이동 위치를 고정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텀블러(100)와 뚜껑(200) 사이에는 뚜껑(200)의 개방시 뚜껑(200)이 닫음위치에서 열림위치로 회전하는 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고무밴드(380)가 설치된다.
탄성고무밴드(38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텀블러(100)측에 걸림유지시키고, 타측은 뚜껑(200)쪽에 걸림유지시킨 구성으로, 뚜껑(200)을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로 회전시킴에 따라 점점 인장되어 상기 뚜껑(200)을 열림위치로 회전시키는 탄성력(탄성복원력)이 증가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즉,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고무밴드(380)의 일측은 텀블러(100)측 힌지결합부(130)를 이용하여 걸림유지시키고, 타측은 힌지축(120) 아래부분을 통과시켜 뚜껑(200)에 형성한 걸림구멍(230)을 이용하여 걸림 유지시킴으로써 뚜껑(200)을 열림위치(도 6a 참조)에서 닫음위치(도 6b 참조)로 회전시킬 때, 탄성고무밴드(380)가 힌지축(120)에 감기면서 인장되어 탄성력(탄성복원력)이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200)이 닫음위치에서 열림위치로 회전할 때에는 탄성고무밴드(38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열림 회전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텀블러 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뚜껑(200)이 열린 상태에서 뚜껑(200)을 닫게 되면, 뚜껑(200)이 힌지축(120)을 중심으로 하여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로 회전되고, 도 4a에서와 같이 뚜껑(200)의 닫힘위치에서 뚜껑(200)의 후크돌기(330)가 버튼(320)의 걸림턱(321)을 밀게 되므로, 버튼(320)이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밀린 후 원위치하는 사이에 후크돌기(330)가 버튼(320)의 걸림턱(321)에 걸림유지되어 뚜껑(20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뚜껑(200)의 밀폐부(210)가 텀블러(100)의 내용물 배출구(110)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뚜껑(200)이 닫힌 상태에서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 뚜껑(200)을 열고자 하는 경우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320)의 하부를 가볍게 누르게 되면, 버튼(320)이 회전지지축(31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전함과 동시에, 뚜껑(200)의 후크돌기(330)는 버튼(320)의 걸림턱(321)으로부터 걸림해제 되므로, 뚜껑(200)을 열림위치로 회전시켜 열 수 있음과 동시에, 텀블러(100)의 내용물 배출구(110)가 개방되어 내용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이때, 뚜껑(200)이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로 회전할 때에는 탄성고무밴드(380)의 탄성력(탄성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뚜껑(200)을 열림위치에서 닫음위치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텀블러(100)와 뚜껑(200) 사이에 탄력설치된 탄성고무밴드(380)가 인장되어 자체 탄성력(탄성복원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 증가된 탄성복원력은 뚜껑(200)이 열릴 때 뚜껑(200)의 열림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버튼(320)의 가벼운 누름 조작만으로 뚜껑(200)이 자동적으로 열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텀블러(100)의 뚜껑(200)을 여는 조작이 매우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도 3a 및 도 3b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기구(300)의 잠금조작판(350)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게 되면, 버튼(320)의 누름 조작이 가능하여 뚜껑(200)을 열 수도 있고, 버튼(320)의 누름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뚜껑(200)이 열리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노브(370)를 이용하여 잠금조작판(350)을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도 4a에서와 같이 잠금조작판(350)의 하단이 버튼(320)의 접촉돌기(322)로부터 이격된 잠금해제위치에 있게 되고, 이 잠금해제위치에서는 버튼(320)의 누름 조작시 버튼(320)의 접촉돌기(322)가 잠금조작판(350)의 하단에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와 같이 버튼(320)의 누름 조작이 가능하여 뚜껑(200)을 열 수 있게 된다.
또한, 뚜껑(200)을 닫은 상태에서 텀블러(100)를 휴대하고 다닐 때에는, 도 3b에서와 같이 조작노브(370)를 이용하여 잠금조작판(35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두면, 도 4b에서와 같이 잠금조작판(350)의 접촉돌기(322)가 버튼(320)의 접촉돌기(322)에 접촉하는 잠금위치에 있게 되고, 이 잠금위치에서는 버튼(320)의 누름 조작시 버튼(320)의 접촉돌기(322)가 잠금조작판(350)의 하단에 접촉되어 눌리지 않게 되므로, 버튼(320)의 누름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뚜껑(200)을 열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텀블러(100)를 휴대하면서 다니다가 부주의로 버튼(320)을 잘못 누름 조작하여 뚜껑(200)이 열리는 것에 의해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텀블러 120 : 힌지축
200 : 뚜껑 300 : 개폐기구
310 : 회전지지축 320 : 버튼
321 : 걸림턱 322 : 접촉돌기
330 : 후크돌기 340 : 탄성부재
350 : 잠금조작판 351 : 위치고정돌기
360 : 안내레일 361,362 : 제1 및 제2 위치고정홈
370 : 조작노브 380 : 탄성고무밴드

Claims (3)

  1. 텀블러의 상부에 구비된 내용물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텀블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의 상부 일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텀블러의 내용물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밀폐부를 구비하여 상기 밀폐부가 텀블러의 내용물 배출구를 밀폐하는 닫음위치와 상기 밀폐부가 텀블러의 내용물 배출구로부터 이격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뚜껑; 및 상기 텀블러와 뚜껑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뚜껑의 닫음위치에서 뚜껑의 닫음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도록 된 개폐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텀블러에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지지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하부에 접촉돌기를 형성한 버튼; 상기 버튼에 대향하는 위치의 뚜껑에 형성되어 뚜껑의 닫음위치에서 상기 버튼의 걸림턱에 걸림유지되는 후크돌기; 상기 텀블러와 버튼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버튼의 걸림턱이 뚜껑의 후크돌기와 걸림유지되는 방향으로 버튼이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상기 텀블러와 버튼 사이에 위치되어 하단에 형성한 접촉부가 버튼의 접촉돌기와 접촉하는 잠금위치와 접촉돌기로부터 벗어나는 잠금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된 잠금조작판; 상기 텀블러에 형성되어 잠금조작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레일; 및 상기 잠금조작판에 일단이 고정되어 외부에서 상기 잠금조작판을 이동시키기 용이하게 설치된 조작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의 잠금조작판에 위치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레일에는 잠금조작판의 잠금위치에서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제1 위치고정홈과, 잠금조작판의 잠금해제위치에서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제2 위치고정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개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텀블러쪽에 걸림유지되고 타측은 뚜껑쪽에 걸림유지되어 뚜껑을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로 회전시킴에 따라 점점 인장되어 상기 뚜껑을 열림위치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설치된 탄성고무밴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개폐장치.
KR20140001839U 2014-03-07 2014-03-07 텀블러 개폐장치 KR200476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1839U KR200476913Y1 (ko) 2014-03-07 2014-03-07 텀블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1839U KR200476913Y1 (ko) 2014-03-07 2014-03-07 텀블러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913Y1 true KR200476913Y1 (ko) 2015-04-14

Family

ID=5303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1839U KR200476913Y1 (ko) 2014-03-07 2014-03-07 텀블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91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819A1 (ko) * 2016-09-02 2018-03-08 김일봉 휴대가 편리한 수소수 제조장치
CN108792249A (zh) * 2018-07-24 2018-11-13 核工业理化工程研究院 用于封闭装置中的物料转运盒及转运方法
CN110092076A (zh) * 2019-06-17 2019-08-06 核工业理化工程研究院 适用于机械手操作的抽拉结构转运料盒
KR20200127021A (ko) * 2018-03-26 2020-11-09 지앙수 이엘에스 플라스틱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간편 휴대형 애완동물 급수기
KR20240032601A (ko) 2022-09-02 2024-03-12 주식회사 올테크코리아 텀블러 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418U (ja) * 2012-08-21 2012-11-01 オルゴ株式会社 携帯用飲料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418U (ja) * 2012-08-21 2012-11-01 オルゴ株式会社 携帯用飲料容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819A1 (ko) * 2016-09-02 2018-03-08 김일봉 휴대가 편리한 수소수 제조장치
KR20200127021A (ko) * 2018-03-26 2020-11-09 지앙수 이엘에스 플라스틱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간편 휴대형 애완동물 급수기
KR102566460B1 (ko) 2018-03-26 2023-08-16 지앙수 이엘에스 플라스틱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간편 휴대형 애완동물 급수기
CN108792249A (zh) * 2018-07-24 2018-11-13 核工业理化工程研究院 用于封闭装置中的物料转运盒及转运方法
CN110092076A (zh) * 2019-06-17 2019-08-06 核工业理化工程研究院 适用于机械手操作的抽拉结构转运料盒
KR20240032601A (ko) 2022-09-02 2024-03-12 주식회사 올테크코리아 텀블러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913Y1 (ko) 텀블러 개폐장치
CN107284836B (zh)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EP3009053B1 (en)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KR102191472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101472713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힌지 구조
TWI492734B (zh) Drinks for containers
JP5955890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10023854A (ja) 飲料容器
JP6509783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TW200533568A (en) Sealing temper-proof cap
US6755213B1 (en) Timing switch for gas stove
JP7090489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101373638B1 (ko) 원터치 방식의 기능성 컵 마개
JP4143383B2 (ja) 飲料用容器
KR200464717Y1 (ko) 화장품 용기
KR200432805Y1 (ko) 개폐장치가 구비된 용기
KR20030020579A (ko) 밀폐용기용 잠금장치
CN115005651B (zh) 一种掀盖式杯盖及应用该杯盖的容器
KR200479030Y1 (ko) 원터치형 물통
KR101412702B1 (ko) 용기마개용 개폐장치
JP2017061344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KR200343400Y1 (ko) 보온병의 뚜껑결합구조
KR200300468Y1 (ko) 캔마개
JP2017114513A (ja) 飲料容器の蓋体ロック構造
KR200295696Y1 (ko) 용기용 원터치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