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778Y1 - 거품식 세라믹 위생도기 - Google Patents

거품식 세라믹 위생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778Y1
KR200476778Y1 KR20117000010U KR20117000010U KR200476778Y1 KR 200476778 Y1 KR200476778 Y1 KR 200476778Y1 KR 20117000010 U KR20117000010 U KR 20117000010U KR 20117000010 U KR20117000010 U KR 20117000010U KR 200476778 Y1 KR200476778 Y1 KR 200476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ipe
outlet
sanitary war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7000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986U (ko
Inventor
웨이동 시
Original Assignee
웨이동 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이동 시 filed Critical 웨이동 시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0/00048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0115353A1/zh
Publication of KR201200079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9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7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5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for making foa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8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liquid sub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친환경 위생 도기 분야에 속하며 일종의 친환경 위생 도기를 출시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은 부분을 포함한다: 위생 도기 본체, 위생 도기 본체 기저부에 변기를 설치하고, 변기 기저부에 배출구를 설치하였으며 위생 도기 본체 내부에 액체파이프, 거품파이프를 내장하였고, 액체파이프와 거품파이프는 서로 연결되지 않았으며 액체파이프와 거품파이프는 모두 위생 도기 본체 내 도자기구조로 성형되었고 위생 도기 본체는 입수구, 입포구가 있고 입수구는 액체파이프와 연결되었고 입포구는 거품파이프와 연결되었으며, 액체파이프 위에는 출액구가 설치되었고 거품파이프 위에는 출포구가 설치되었으며 출액구, 출포구는 각각 변기 상단 내벽에 위치하였으며 배출구의 기저부에는 냄새격리장치가 있으며 냄새격리장치는 배출구에서 열고 닫는다. 본 친환경 위생 도기는 출포, 출액 속도가 빠르고 보수유지가 편리하다.

Description

거품식 세라믹 위생도기{FOAMING CERAMIC SANITARY}
본 고안은 친환경 욕실도자기 분야에 속하는 일종 친환경 위생 도기이다.
우리나라는 수자원이 부족한 나라로서, 상당 수의 도시와 지역에서 물이 심각하게 부족하며 기존의 수조식 변기는 용수량이 크고 대소변을 볼 때 모두 물을 내려야 하며, 고빈도로 사용할 때 용수량이 막대하여 수자원의 심각한 낭비를 조성하였으며 특히 공공화장실의 용수량은 더욱 엄청나다. 그리고 기존 변기의 하수 시스템은 배출한 오물의 악취를 풍겨서 화장실의 환경을 오염한다. 그리고 물내릴 때 튕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표면에 쉽게 오물이 부착되어 시각적 오염을 발생한다.
상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 일종의 거품차단식 위생 도기를 제안하였고 이는 거품을 생성하여 위생 도기에 주입함으로서 대소변 오물이 변기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며, 물내릴 때 신속하게 하수도로 내려가게 한다. 그리고 거품은 오물의 튕김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오물의 냄새를 효과적으로 격리한다. 그러나 역시 일부 문제점의 개선이 필요하다. 예컨대, 거품파이프는 대부분 위생 도기에 부설된 금속파이프로서 거품의 장기 부식하에 쉽게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며 거품파이프가 거품을 주입하는 속도가 느리거나 주입이 균일하지 못한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첫번째 목적은 자동적이고 신속하게 출포 및 출액하는 기능을 가진, 보수에 편리한 위생 도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두번째 목적은 자동적이고 신속하게 출포 및 출액하는 기능을 가진, 보수에 편리한 소변 위생 도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위생 도기는 위생 도기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위생 도기 본체의 기저부에는 변기가 설치되었고, 상기 변기 기저부에는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생 도기 본체 내부에는 액체파이프 및 거품파이프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액체파이프 및 거품파이프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액체파이프와 거품파이프는 상기 위생 도기 본체에서 도자기구조로 내장 성형되어 있다.
상기 위생 도기 본체에는 또한 입수구 및 입포구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수구는 액체파이프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입포구는 상기 거품파이프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액체파이프 위에는 출액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거품파이프 위에는 출포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출액구 및 출포구는 각각 상기 변기의 상단 내벽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배출구 기저부에는 냄새격리장치가 설치되었으며, 상기 냄새격리장치는 상기 배출구에서 열고 닫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소변 위생 도기는 위생 도기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위생 도기 본체에는 변기 및 발포박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중 상기 변기는 상기 위생 도기 본체의 전단부 하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포박스는 상기 변기 내 상단부 후단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변기 내에는 거품파이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거품파이프는 상기 발포박스의 출포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거품파이프는 상기 변기 양측을 따라 기저조까지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거품파이프는 상기 기저조에 출포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출포구는 상기 기저조의 내벽에 위치한다.
상기 변기의 상단에는 횡방향 액체파이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파이프 위에는 출수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출수홀은 상기 변기의 내벽 표면에 있다.
상기 서술로 부터 알 수 있는 바, 본 고안 중에서 위생 도기 본체내의 액체파이프, 거품파이프는 서로 연결되지 않았으며, 사용할 때 출액, 출포는 각각 다른 파이프를 통해 진행되어 한 파이프에서 물과 거품이 공동으로 공급되어 거품량이 부족하거나 청결효과가 이상적이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였는바, 본 고안은 출포, 출액 속도가 빠른 특성이 있으며, 파이프 막힘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이외, 본 실시예에서 거품과 액체를 공급하는 파이프는 모두 위생 도기 본체와 일체화 도자기성형을 한 액체파이프, 거품파이프로서 기존 기술에서 독립 급속 혹은 플라스틱 파이프를 이용하는 위생 도기에 비하여 본 고안은 부식으로 조성된 사용성 저하, 파이프 막힘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사용수명이 더욱 길고 보수가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이다.
하기 설명하는 첨부도면은 본 고안에 대한 진일보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의 일부분을 구성하나 본 고안에 대한 부적절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첨부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 2에서 제공한 더블파이프식 거품물내림 스탠변기의 위생 도기 본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 2에서 제공한 더블파이프식 거품물내림 스탠변기의 전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 2에서 제공한 더블파이프식 거품물내림 스탠변기의 발포시스템 내부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1, 2에서 제공한 더블파이프식 거품물내림 스탠변기의 자동물내림장치, 및 응급 물내림 장치 내부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1, 2에서 제공한 더블파이프식 거품물내림 위생 도기 냄새격리장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1, 2에서 제공한 더블파이프식 거품물내림 위생 도기의 냄새격리장치와 배출구 연결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 1,3에서 제공한 더블파이프식 거품물내림 좌변기의 위생 도기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 1,3에서 제공한 더블파이프식 거품물내림 좌변기의 위생 도기 발포모듈 작동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 4에서 제공한 더블파이프식 거품물내림 소변 위생 도기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 4에서 제공한 더블파이프식 거품물내림 소변 위생 도기 발포모듈 구조도이다.
다음으로, 첨부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다만, 본 고안의 도식적인 실시예 및 그 설명으로써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더블파이프식 거품물내림 위생 도기는 주요하게 다음과 같은 부분을 포함한다: 위생 도기 본체(101), 수조(203), 거품파이프(201), 및 급수파이프(202). 위생 도기 본체(101)의 기저부에는 변기(107)를 설치하였고, 변기(107)의 기저부에는 배출구(102)를 설치하였다. 위생 도기 본체(101)의 내부에는 위생 도기 본체(101)와 일체화 성형한 액체파이프(104), 거품파이프(105)를 설치하였으며, 액체파이프(104), 거품파이프(105)는 서로 독립되며 연결되지 않았다. 위생 도기 본체(101)상에는 입수구(1042), 입포구(1052)이 설치되었으며 입수구(1042)는 액체파이프(104)와 연결되었고 입포구(1052)는 거품파이프(105)와 연결되었다. 액체파이프(104)상에는 출액구(1041)가 설치되었고 거품파이프(105)상에는 출포구(1051)가 설치되었다. 출액구(1041), 출포구(1051)은 각각 상기 변기(107)의 상단 내벽에 설치되었다. 본 실시예 중, 액체파이프(104)와 거품파이프(105)는 위생 도기 본체(101)를 한 바퀴 에워싸고 감돌고 있다.
위생 도기 본체(101)의 배출구(102)의 기저부에는 냄새격리장치(106)가 설치되었고, 냄새격리장치(106)는 상기 배출구에서 열고 닫히며, 일상 상황에서는 배출구(102)의 기저부를 막아서 배출구(102)를 밀봉하여 악취의 누설을 방지한다. 물체(예컨대 대변 등)가 떨어질 때, 냄새격리장치(106)는 힘을 받아 열려서 배출구 (102)를 개방하고, 낙하하는 물체는 배출구(102)를 통과한다.
상기 위생 도기를 이용하여 입수구(1042)에 외부 급수시스템을 연결하고 입포구(1052)에 외부 발포시스템을 연결한다. 사용할 때, 급수시스템의 물은 위생 도기 본체(101) 내의 액체파이프(104)를 통과하며 액체파이프(104)에서 변기(107)에 흘러들어 물내림을 실현한다. 발포시스템에서 생성한 거품은 거품파이프(105)를 통과하며 거품파이프(1051)에서 변기(107)에 흘러들어 거품내림을 실현한다.
본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생 도기 본체(101) 내의 액체파이프(104), 거품파이프(105)는 서로 연결되지 않았으며, 사용할 때, 출액, 출포는 서로 상이한 파이프를 통해 진행되어서, 종래 기술에서 하나의 파이프를 통하여 물과 거품이 공동으로 공급되어서 거품량이 부족하거나 청결효과가 이상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는바, 본 고안은 출포, 출액 속도가 빠른 특성이 있으며, 파이프가 막히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이외, 본 실시예에서 거품과 액체를 공급하는 파이프는 모두 위생 도기 본체와 일체화 도자기성형을 한 액체파이프(104), 거품파이프(105)로서 기존 기술 중 독립 금속 혹은 플라스틱 파이프를 이용하는 위생 도기에 비하여 본 고안은 부식으로 조성되는 사용성 저하, 파이프 막힘 등 문제를 방지하여 사용수명이 더욱 길고 보수가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 중의 위생 도기의 물내림 효과를 더욱 향상하기 위하여 액체파이프(104)를 환형으로 설계하여 변기(107)을 한 바퀴 감돌게 할 수 있으며, 출액구(1041)를 액체파이프(104)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하게 하고(인접한 출액구 (1041)사이 간격이 균일함) 그리고 각 출액구의 직경을 균일하게 하여, 유동성이 더 좋은 물이 변기(107)의 상단 테두리에서 변기(107) 주변으로 균일하게 흘러내려 청결효과를 실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 본 고안자는 본 고안의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 다음과 같은 현상을 발견하였다. 거품의 풍부함이 일정 수준에 이르면 거품의 유동성이 일정하게 저하되며, 입포구(1052)와 멀수록 거품의 유동성이 더 저하된다. 그리하여 본 고안자는 거품파이프(105)를 "U"자형으로 설계하였고, "U"자형의 입구를 위생 도기 본체(101)상의 입포구(1052)의 맞은편에 설치하여 거품이 입포구(1052)에 진입한 후, 입포구(1052) 양측의 "U"자형 파이프에서 흘러 맞은편 밀봉벽에 부딪혀 회류충격력을 형성하게 하였는데, 이는 출포구에서 거품이 더욱 힘있게 분사되는데 이로우며 청결효과가 환형밀폐 거품파이프의 설계에 비하여 더욱 효과적이다.
이외, 본 실시예 중에서, 출포구(1051) 사이 간격을 균일하지 않게 설계, 즉 입포구(1052)의 연장방향에서 입포구와 멀수록 인접한 출포구(1051) 사이의 간격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출포구(1051)의 홀 직경은 입포구(1052)와 가까울수록 출포구(1051)의 홀 직경이 더욱 작으며, 입포구(1052)와 멀수록 출포구(1051)의 홀 직경이 더욱 크게 설계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거품파이프(105)의 밀폐단의 유동성이 비교적 저하된 거품의 거품내림에 더욱 이로우며, 전반적으로 거품내림이 더욱 균일하다.
본 실시예 중에서 위생 도기의 청결효과를 진일보 향상하기 위하여, 변기(107)의 내벽에, 출포구(1051) 및 출액구(1041) 보다 낮은 위치에 적외선 광반사판(108)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위생 도기 본체(101) 이외의 기타 부설 부품, 예컨대 설비박스, 급수파이프(202), 또는 거품파이프(201)의 표면에 적외선 광반사판(108)에 대응되는 적절한 적외선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작동 시,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 광반사판(108)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적외선 센서가 변기(107) 내의 적외선 광반사판(108)에서 반사한 적외선을 흡수하였는지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위생 도기 설비박스 내에 설치한 컨트롤러(303)에 전송하며, 컨트롤러(303)는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거품내림 상황을 확정하고 설비박스내 발포시스템을 제어하여 거품을 생성한다.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적외선 광반사판(108)은 변기(107) 내에 설치되었으며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한 후 컨트롤러(303)는 설비박스 내의 수조(203)를 작동하여 물내림을 진행하여, 적외선 광반사판(108) 표면의 오물을 제거하고, 컨트롤러(303)는 발포시스템을 제어하여 거품을 생성하고, 거품파이프(201)를 통하여 위생 도기 본체(101)의 거품파이프(105)에 거품을 공급하며, 공급된 거품은 출포구(1051)를 통하여 변기(107)에 주입되며, 거품이 일정한 농도, 높이에 도달하면, 적외선 센서가 조사한 적외선은 적외선 광반사판(108) 표면 거품의 영향으로 적외선 센서에 반사되지 못하므로, 적외선 센서가 반사된 적외선을 접수하지 못한 경우, 이러한 감지상황을 컨트롤러(303)에 전송하면, 컨트롤러(303)는 현재 거품 높이가 예정 높이에 도달했다고 확인하고 발포시스템의 작동을 중지하며, 컨트롤러(303)가 감지 상황에 근거하여 현재 거품 높이가 부족하다고 확인하면 발포시스템을 제어하여 더욱 많은 거품을 생성하여 거품의 청결효과를 개선하는 바, 자동적으로 거품 청결효과를 제어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해당 위생 도기의 발포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부분을 주요 구성으로서 액체저장병(301), 에어펌프(306), 및 발포박스(30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액체저장병(301)은 1번 에어공급파이프로 에어펌프와 연결되고, 액체저장병의 출액구는 급액파이프를 통하여 발포박스(302)와 연결되었으며 급액파이프 상에는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 및 급액 체크밸브(급액 단향밸브)가 설치되었고, 상기 급액 체크밸브(급액 단향밸브)는 거품액이 단일한 방향으로 발포박스(302)에 흘러들고 회류하여 액체저장병(301)에 돌아가지 못하게 하며 사용할 때 조절밸브로 이용하여 액체저장병(301)에서 발포박스(302)로 흐르는 거품액을 조절할 수 있다. 발포박스(302) 내에는 에어헤드가 설치되었고, 발포박스(302)상에는 입수구가 설치되었다.
에어헤드(1020)(도 3의 도면부호 '38')상에는 에어공급파이프가 설치되었고, 에어공급파이프는 발포박스(302)상의 급기구(308)와 연결되었으며, 급기구(308)는 에어공급파이프를 통하여 에어펌프의 출기구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위생 도기 본체(101)의 입수구(1042)는 급수파이프(202)를 통하여 수조(203)와 연결되며, 급수파이프(202)상에 상기 컨트롤러(3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기밸브를 설치하였고, 발포박스(302)의 출포구는 거품파이프(201)를 통하여 위생 도기 본체(101)상의 입포구(1052)와 연결되었다.
사용할 때, 액체저장병(301)은 급액파이프를 통하여 발포박스(302)에 거품액을 수송하고, 수조(203)는 급수파이프(202)의 입수구(3052)를 통하여 발포박스에 물을 공급하며, 에어펌프는 에어공급파이프를 통하여 에어헤드(1020)(도 3의 도면부호 '38')에 기체를 공급하고, 에어헤드(1020)(도 3의 도면부호 '38')의 기체 충격은 거품액과 물의 혼합액이 풍부한 거품을 생성하도록 하며, 거품은 거품파이프(201)를 통하여 위생 도기 본체(101)의 입포구(1052)로 거품을 공급하며, 거품은 위생 도기 본체(101) 내의 거품파이프(105)를 따라 유동하여, 출포구(1051)를 통하여 흘러나온다.
이외, 본 실시예 중에서 위생 도기의 자동화 청결 효과를 향상하기 위하여, 위생 도기의 설비박스, 급수파이프로 또는 거품파이프 외부에 적외선 센서를 설치하고, 적외선 센서(320)는 컨트롤러(303)와 연결되며, 적외선 센서(320)는 사람이 상기 위생 도기를 사용했는지를 감지하며 그 감지신호를 컨트롤러(303)로 전송하여 컨트롤러(303)가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자동물내림, 거품내림을 진행하게 할 수 있다: 컨트롤러(303)가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사용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면 컨트롤러(303)는 수조(203)를 제어하여 물내림을 실현하고 다음 발포시스템을 제어하여 거품내림, 거품밀봉을 실현한다.
본 실시예 중에서 위생 도기의 냄새격리장치는 자기력 보조밀봉장치이거나 단독 기계밀봉장치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 중에서, 우선 자기력 보조가 없는 회전식 밀봉장치를 사용하여 위생 도기 배출구 하단 배출파이프중의 유해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였고, 이로서 금속물품이 자기력 밀봉에 대한 간섭도 방지하였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냄새격리장치(506)는 이하 설계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냄새격리장치(506)은 회전판(5061)을 포함하며, 회전판(5061)은 핀 롤(5062)을 통하여 배출구(102)의 기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판(5061)은 상기 핀 롤(5062)을 따라 회전하여 배출구(102)에서 열고 닫는다. 회전판(5061)의 한측에 중량물(도면에 없음, 전송대(5063) 상에 설치함)을 설치하고, 중량물은 상기 배출구(102)와 멀리 떨어진 쪽에 있어야 한다. 일반 상황에서 핀 롤(5062) 측 중량물의 중력 작용으로 하여 상기 회전판(5061)은 수평으로 배출구(102)의 기저부를 막고 있어 물리적 밀봉을 실현하여, 거품 밀봉의 기초하에 배출구(102)기저부의 배출파이프 기체를 진일보 밀폐하여 기체 누설 방지 효과를 향상한다. 변기(107) 내에 오물이 떨어질 때, 회전판(5061)의 상단 오물의 중력작용으로 하여 회전판(5061)은 핀 롤(5062)의 회전에 따라 번져지며, 오물은 배출구(102)에서 배출파이프로 떨어진다. 오물이 떨어진 후 회전판(5061)은 배출구(102) 다른 한 쪽 중량물의 중력작용으로 하여 수평으로 배출구(102)를 밀봉하는 상태를 회복한다.
상기 서술로부터 알 수 있는바, 상기 구조를 적용한 냄새격리장치(506)는 간단한 구조로 효과적으로 배출구(102)를 밀봉하는 효과를 실현하였고 거품 밀봉의 기초하에 물리적으로 배출구(102)를 진일보 밀봉하여, 배출구(102)의 밀봉효과를 향상하였고 본 위생 도기의 위생기능을 진일보 제고하였다.
진일보된 것으로 설명해야 할 점은 상기 구조는 좌변기 뿐만아니라 재래식 스탠변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시예2
도 1 내지 도 4에서 상기 구조를 적용한 스탠변기의 위생 도기 구조도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더블파이프식 거품물내림 스탠변기(재래식 변기)는 위생 도기 본체(101), 수조(203), 거품파이프(201)와 급수파이프(202)를 포함한다. 위생 도기 본체(101)의 기저부에는 변기(107)를 설치하고, 변기(107)의 기저부 한측에는 배출구(102)를 설치하고, 배출구(102)와 마주한 다른 한측은 두부(103)이다. 위생 도기 본체(101) 내에 독립된 액체파이프(104)와 거품파이프(105)를 설치하고 액체파이프(104)상에는 출액구(1041)를 설치하여, 거품파이프(105)상에는 출포구(1051)를 설치한다.
본 실시예 중에서, 액체파이프(104)와 거품파이프(105)는 위생 도기 본체(101)를 한 바퀴 에워싸고 감돌며, 위생 도기 본체(101)의 배출구(102)를 설치한 측에는 입수구(1042), 입포구(1052)가 설치되어 있으며 입수구(1042), 입포구(1052)는 각각 물내림파이프(4)와 거품파이프(201)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위생 도기 본체(101)의 배출구(102)에는 냄새격리장치(106)가 설치되어 있으며 냄새격리장치(106)는 자기력보조밀폐링, 기계밀폐링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 중에서 우선 회전식 밀폐링을 적용하여 파이프중 유해기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출포구(1051)는 거품파이프(105)상에, 배출구(102)부터 위생 도기 본체(101)의 두부(103)까지 점차적으로 희소하게 분포되었으며, 출액구(1041)은 액체파이프(104)상에 균일하게 분포되거나 배출구(101)의 두부(103)과 배출구(102) 부근에만 분포될 수 있다. 액체파이프(104)는 위생 도기 본체(101)의 입구를 에워싸고 환형으로 분포되었고 거품파이프(105)는 "U"자형으로서, 배출구(102)에서 두부(103)를 따라 분포되었고, U형의 입구는 위생 도기 본체(101)의 두부에 있으며 위생 도기 본체(101)의 기저부에는 적외선 광반사판(108)이 설치되어, 거품파이프(105)가 위생 도기 본체(101) 내에 주입하는 거품 높이를 감지하고, 거품높이가 부족할 경우, 거품을 보충하며, 거품 높이가 요구를 만족할 때, 보충을 정지한다.
수조('설비박스'라고도 함)(203) 내에는 발포시스템, 거품출구(22), 입수구(23), 출수구(24), 전자기 입수구(42), 응급물내림밸브 입수구(43), 응급물내림밸브(40)와 자동 TRD 스포츠(41)를 포함한다. 거품출구(22)는 발포장치(2031)에 연결되고, 입수구(23)는 수원에 연결되며, 거품파이프(201)는 거품파이프(105)와 거품출구(22)를 연결하고, 급수파이프(202)는 출수구(24)와 액체파이프(104)를 연결하며, 전자기밸브(44)의 출수구와 응급물내림밸브(40)의 출수구는 자동 TRD 스포츠(41)에 연결된다.
도 3과 같이, 발포시스템은 적외선 센서(320), 컨트롤러(303), 에어펌프(306), 액체저장병(301), 발포박스(302), 1번 연결파이프(304)와 2번 연결파이프(305)를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320)는 수조(도면에 없음)와 수조 밑부분 중심에 위치하여 있으며 위생 도기 내 거품높이신호, 수조 내 수위신호를 감지하며 감지신호 S1을 발송한다. 컨트롤러(303)는 상기 감지신호 S1을 접수하고 제어신호 S2를 발송한다. 에어펌프(306)는 상기 제어신호 S2를 접수하여 기류를 발생한다. 액체저장병(301)은 거품원액을 저장하며, 입기구(308)와 거품출구(309)가 있으며, 입기구(308)는 상기 에어펌프(306)와 연결된다.
발포박스(302)는 액체주입구(310), 입수구(3052)와 출포구(353)가 있으며 입수구(3052)와 수조(203)는 연결되었고, 출포구(352)는 위생 도기 거품파이프(201)에 연결되었다. 1번 연결파이프(304)는 상기 거품출구(309)와 액체주입구(310)를 연결하며, 1번 연결파이프(304)는 상기 액체주입구(310)를 통과하여 동시에 발포박스(302)기저부에 간격을 형성한다. 2번 연결파이프(305)의 한쪽(3051)은 에어펌프(306)를 연결하고 다른 한쪽(3052)은 발포박스를 연결하며 발포박스(302)를 연결한 한쪽(37b)은 발포박스(302)의 기저부까지 연결되어 에어헤드(38)를 설치한다.
도 4와 같이, 자동물내림장치는 적외선 센서(320), 컨트롤러(303), 전자기밸브(44)와 자동 TRD 스포츠(41)를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3203)는 수조 본체 중간에 위치하여 있으며 변기 사용신호를 감지하고 컨트롤러(303)는 상기 감지신호를 접수하고 제어신호를 발송하며, 전자기밸브(44)는 신호 작동을 집행하고, 자동 TRD 스포츠(41)의 사이펀은 전자기밸브(44)의 출수구는 서로 연결되었다
응급물내림장치는 응급물내림밸브(40)와 자동 TRD 스포츠(41)를 포함하며, 응급물내림밸브(40)의 출수구와 자동 TRD 스포츠(41)의 사이펀은 서로 연결되었다
본 실시예 중에서, 입수구(3052)상에는 단향밸브(20)가 설치되었고, 1번 연결파이프상에는 조절밸브(39)와 회류방지밸브(45)가 있으며, 자동 TRD 스포츠(41)의 사이펀과 전자기밸브(44)의 출수구, 응급물내림밸브(40)의 출수구는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러(303)는 AT89S52시리즈 단일칩 시스템을 적용하였고, 그 작동원리는 본 분야에 대한 일반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 대하여 일반적인 상식이기에 다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 중에서, 발포박스(302)의 높이는 320mm이고, 1번 연결파이프(304)와 발포박스(302)사이의 간격은 20mm이며, 입수구와 발포박스(302) 기저부사이의 간격은 30mm이다.
구체적으로 사용할 때, 적외선 센서(320)가 변기 사용신호를 감지하면 제어시스템이 신호를 접수하여 신호를 발송하면, 전자기밸브(44)가 신호 작동을 집행하여, 자동 TRD의 사이펀내에 물을 주입한다. 제어 시스템이 매번 물을 내린 후, 입수구(23)에서 물이 흘러들어오며, 물내림 완료된 후, 발포시스템이 작동되어 위생 도기내에 거품을 주입한다. 예를 들면 수조(203) 내에 물이 차고, 위생 도기 본체(101) 내에 거품이 없으면, 감지신호 S1을 컨트롤러(303)로 전송한다. 컨트롤러(303)는 접수한 감지신호 S1에 근거하여 제어신호 S2를 발송하여, 에어펌프(306)를 작동하게 한다.
본 실시예 중에서, 에어펌프(306)는 출기파이프에 전환인터페이스를 연결하여, 하나의 기류출구가 8개로 변하게 하였고, 다시 기류파이프를 통하여 기류를 액체저장병(301)과 발포박스(302)로 주입하였다. 한 개 기류홀은 감압홀이다. 액체저장병(301) 내의 거품원액은 기류의 압력하에 1번 연결파이프(304)를 통하여 발포박스(302) 내에 주입된다. 수조내에 물이 차있으므로, 발포박스(302)는 단향밸브(20)를 통하여 수조(203)와 연결하며, 이를 통하여 발포박스(302) 내에 물이 주입되게 된다.
그리하여, 에어헤드(1020)(도 3의 도면부호 '38')의 작용하에 발포박스(302)중의 거품원액과 물의 혼합액은 발포박스(302) 내에 대량의 거품을 생성하며, 기체압력으로 하여 거품은 발포박스(302)의 출포구(353)을 통하여 거품파이프(201)로 흘러든다. 물내린 후, 수조(203)의 수위가 하강하면 컨트롤러(303)는 적외선 센서(320)에서 접수한 신호에 근거하여 에어펌프(13)의 작동을 중지한다. 즉 액체주입, 발포 등 절차를 중지한다.
1번 연결파이프(304)상에는 조절밸브(39)와 회류방지밸브(45)가 설치되어 있고 조절밸브(39)는 거품원액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단향밸브(20)를 통하여 발포박스(302)에 흘러드는 수량은 일정하므로 이로서 거품원액과 물의 혼합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거품의 부드러운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생성된 거품이 거품파이프(201)를 통하여 위생 도기 본체(101) 내의 거품파이프(105)로 흘러들고, 출포구(1051)를 따라 흘러나와 위생 도기 본체(101)를 덮어서, 냄새격리, 튕김방지 등 기능을 실현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 중에서, 위생 도기 본체(101), 액체파이프(104)와 거품파이프(105)는 일체 성형된 도자기구조로서 파이프가 막히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출포, 출액 속도가 빠르다.
상기 서술을 종합하면, 본 고안은 출포, 출액 속도가 신속하고 거품 분포가 균일한 특성이 있으며 파이프 막힘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수조 수위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거품을 생성하며, 자동적으로 발포박스 내에 거품원액을 주입하여 인력원가를 절감하고 경제성을 향상하였다.
실시예3
본 실시예는 실시예1 위생 도기 구조의 지능형 거품물내림 좌변기 구조도를 적용하였으며 도 7 및 도 8을 참조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한 지능형 거품물내림 좌변기는 수조(710), 수조에 연결한 좌변기 본체(101), 수위 센서(712)와 수조(도면에 없음) 내에 위치한 발포모듈(713) 및 컨트롤러(714)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 컨트롤러(714)는 좌변기 뒤쪽 기저부에 위치한다.
도 8과 같이, 발포모듈(813)은 에어펌프(8130), 액체저장병(8131) 및 발포박스(8132)를 포함하며, 그중 에어펌프(8130)의 수출단은 전환인터베이스를 연결하여 한개 기류출구를 3개로 전환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액체저장병(8131)에는 600ml 거품액이 들어있으며 그 주입구는 1번 에어공급파이프(8133)를 통하여 에어펌프(130)와 연결되었고 출구는 급액파이프(8134)를 연결하였으며, 차례대로 회류방지밸브(8138)와 조절밸브(8137)를 통하여 거품박스(8132)와 연결되고, 단향밸브(8136)를 통하여 액체저장병(8131)의 거품액이 거품박스(8132))에 들어가도록 보증하였고, 조절밸브(8137)를 통하여 매분간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거품박스(8132))의 정상부는 입구와 출구가 있으며 입구는 2번 에어공급파이프(8135)를 통하여 에어펌프(8130)에 연결되었고 출구는 거품 출포파이프(8136)을 통하여 좌변기 본체(101)(도 7을 참조)에 연결되었다. 도 7과 같이, 좌변기 본체(101)상에는 출포구(도면에 없음, 도 1의 설계를 참조하나 그에 제한되지 않음)가 있으며 거품 출포파이프(8136)와 연결되었다.
거품박스(8132))의 기저부는 입수구(8139)가 있으며 단향밸브(8140)를 통하여 수조(710)와 연결되었고 밑부분이 연결된 두 용기의 수위평형 원리로 하여 수조(710)중의 물이 거품박스(132)중에 들어갈 수 있도록 보증하였으며 거품박스(132)중의 물은 수조(710)에 흘러들지 않는다. 본 실시예 중에서, 2번 에어공급파이프(8135)의 출구는 역시 단향밸브를 통하여 거품박스(132)와 연결된다.
발포시스템(813)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에어펌프(8130)가 작동하여 생성된 기류는 전환인터베이스를 통과한후 한갈래는 1번 에어공급파이프(8133)를 통하여 액체저장병(8131)에 들어가고 다른 한 갈래는 2번 에어공급파이프(8135)를 통하여 거품박스(8132))에 들어간다. 기체압력으로 액체저장병(8131) 내의 거품액은 출액파이프(8134)를 통하여 거품박스(8132)) 내에 흘러든다. 거품액은 거품박스(8132)) 내에서 물과 혼합하고 기체압력의 작용하에 거품을 생성하며, 거품은 거품 출포파이프(8136)을 통하여 좌변기 본체(101)로 주입된다.
실시예4 :
본 실시예는 실시예1과 유사한 원리 구조를 가진 지능형 거품물내림 소변 위생 도기 구조도를 적용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한 지능형 발포박스 물내림 소변 위생 도기는 위생 도기 본체(101), 위생 도기 본체상에 설치된 변기(901), 발포박스(910)를 포함한다. 그중 변기(901)는 위생 도기 본체(101)의 전단부 하단에 위치하였고, 발포박스(910)는 변기(901) 내의 후단에 위치하였다.
변기(901) 내에 거품파이프(9112)를 설치하였고, 거품파이프(9112)는 발포박스(910)의 출포구와 연결되었고 거품파이프(9112)는 변기(901)의 양측을 따라 기저조(915)까지 연장되었으며, 거품파이프(9112)이 기저조(915)에 위치한 부분에는 출포구(9111)가 설치되었고 출포구(9111)은 기저조(915)의 내벽에 위치하였다.
변기(901)의 상단에는 횡향 액체파이프(909)가 설치되었고, 액체파이프(909)상에는 출수홀(9110)이 설치되었으며, 출수홀(9110)은 변기(901)의 내벽 표면에 위치하였다.
발포박스(910)상에는 발포시스템(912), 적외선 센서(913) 및 컨트롤러(914)가 연결되었고, 그중 감지시스템(912), 컨트롤러(914)와 거품파이프(9112)는 모두 소변 위생 도기 내부에 위치하였다.
도 10과 같이, 발포시스템(912)은 에어펌프(1024)(총 3개), 액체저장병(1026) 및 발포박스(910)를 포함한다. 그중 2개 에어펌프(1024)의 출구는 발포박스(910)상의 4구 헤드(10292)의 2개 플라스틱 에어헤드에 연결되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액체저장병(1026)에는 600ml 정도의 거품원액이 들어있고, 그 주입구(10261)는 1번 에어공급파이프(1025A)를 통하여 에어펌프(1024)와 연결되었으며, 출구(10262)는 1번 급액파이프(1027)가 연결되었고, 조절밸브를 통하여 발포박스(910)상의 4구 헤드(10292)의 한개 에어헤드에 연결되었으며, 조절밸브(1028)를 통하여 매분간의 유량을 조절하여, 거품원액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발포박스(910)상에는 4구 헤드(10292)가 설치되어 있고, 동시에 발포박스(910)의 상부에는 발포박스 홀(10291)이 설치되어 있으며 발포박스는 발포박스 출구홀(10291)과 거품파이프(9112)를 통하여 거품을 소변 위생 도기 기저조(915)(도 9를 참조)로 수송한다. 그중 4구 헤드(10292)상의 두개 에어헤드는 2번 에어공급파이프(2개)(25B)를 통하여 에어펌프(1024)로 연결된다.
4구 헤드(10292)는 자동 물주입구가 있으며 2번 급액파이프(10231)를 통하여 전자기밸브(1023)과 연결되어 발포박스(910) 내의 적절한 수량을 보증한다.
발포시스템(912)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에어펌프(1024)에서 생성한 기류의 한갈래는 1번 에어공급파이프(1025A)를 통하여 액체저장병(10261)에 흘러들고, 다른 두갈래는 2번 에어공급파이프(2개)(25B)를 통하여 발포박스(910)상의 4구 헤드에 연결되어, 발포박스 기저부와 2개 에어헤드(1020)(도 3의 도면부호 '38')에 연결된다. 기체압력으로 하여 액체저장병중(1026)중의 거품원액은 급액파이프(1027)를 통하여 발포박스(910)에 주입된다. 거품원액은 발포박스(910) 내에서 물과 혼합되고 에어헤드(1020)의 작용하에 거품을 생성하며, 생성된 거품은 거품박스 정상의 출구홀(10291)를 따라 위생 도기 본체(101)의 기저조(915)중에 주입된다(도 9를 참조)
구체적으로 사용할 때, 적외선 센서(1021)는 매번 사용을 감지한 후, 감지신호 S1을 컨트롤러(1022)에 전송하며, 컨트롤러(1022)는 신호 S2를 발송하여 전자기밸브(1023)를 작동시켜 소변 위생 도기 물내림을 실현하고 동시에 2번 급액파이프(10231)을 통하여 발포박스(910)에 자동으로 물을 보충한다.
물내림과 동시에 컨트롤러(1022)는 신호 S3을 발포시스템(912)에 전송하여 시간지연 완료된 후, 에어펌프(1024)는 기류를 생성하여 발포시스템(912)이 작동하도록 하며, 발포박스내 생성된 거품은 소변 위생 도기내 거품파이프(9112)를 통하여 소변 위생 도기 기저조(915)에 주입되어 냄새격리, 청결 기능을 실현한다.
이상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술방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서 본문에서 응용한 구체사례는 본 고안의 실시예 원리 및 실시방법에 대한 설명이며, 상기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실시예 원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범위에만 제한된다. 동시에 본 분야 일반 기술인원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 실시방법 및 응용범위에서 모두 변경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설명을 총괄하여, 본 설명서 내용은 본 고안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위생 도기로서 위생 도기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위생 도기 본체의 기저부에는 변기가 설치되고, 상기 변기의 기저부에는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위생 도기 본체 내부에는 액체파이프 및 거품파이프가 내장되고, 상기 액체파이프 및 거품파이프는 서로 연결되지 않았으며, 상기 액체파이프 및 거품파이프는 상기 위생 도기 본체에 도자기구조로 내장 성형되며;
    상기 위생 도기 본체에는 입수구 및 입포구가 설치되고, 상기 입수구는 액체파이프와 연결되며, 상기 입포구는 상기 거품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액체파이프 위에는 출액구가 설치되고, 상기 거품파이프 위에는 출포구가 설치되며, 상기 출액구 및 출포구는 각각 상기 변기의 상단 내벽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구의 기저부에는 냄새격리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냄새격리장치는 상기 배출구에서 열고 닫도록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변기 내벽에는 적외선 광반사판이 설치되며, 상기 적외선 광반사판의 위치는 상기 출포구 및 출액구보다 낮도록 위치하며;
    위생 도기는 내부에 컨트롤러, 거품 생성에 이용되는 발포시스템, 및 수조가 설치되는 설비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발포시스템은 거품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위생 도기 본체의 입포구와 연결되며, 상기 수조와 상기 입수구 사이에는 급수파이프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위생 도기에는 적외선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적외선 광반사판에 적외선을 조사하고 반사한 적외선을 접수하였는지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적외선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적외선 센서가 반사된 적외선을 접수하면 상기 발포시스템을 가동하여 거품을 보충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식 위생 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시스템은 액체저장병, 에어펌프, 발포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액체저장병의 1번 에어공급파이프는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액체저장병의 출액구는 급액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발포박스와 연결되고, 상기 급액파이프 위에는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 및 회류방지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포박스 내에는 에어헤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헤드 위에는 에어공급파이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공급파이프는 상기 발포박스상의 급기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급기구는 에어공급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에어펌프의 출기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발포박스의 입수구는 급수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수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발포박스의 거품 출포구는 상기 거품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위생 도기 본체의 입포구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식 위생 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 도기의 외부에 있는 설비박스, 급수파이프로 또는 거품파이프 표면에 적외선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며,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위생 도기가 사용되었는지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식 위생 도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파이프는 상기 변기를 환형으로 한 바퀴 감싸고 있으며, 상기 액체파이프에는 균일하게 출액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식 위생 도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파이프는 상기 변기를 "U"자형으로 감싸고 있으며, 상기 "U"자형의 출구는 상기 입포구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식 위생 도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입포구에서 가까울수록 출포구의 홀 직경은 더욱 작으며, 상기 입포구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출포구의 홀 직경은 더욱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식 위생 도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출포구는 상기 거품파이프를 따라 분포되었으며, 상기 입포구의 연장방향을 따라 멀리 떨어질수록 인접한 두 출포구 사이의 간격이 더욱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식 위생 도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출액구는 상기 액체파이프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식 위생 도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출액구의 홀 직경은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식 위생 도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격리장치는 한 개의 회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은 핀 롤을 통하여 상기 배출구의 기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은 상기 핀 롤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에서 열고 닫히도록 제공되며,
    상기 회전판의 한쪽에 중량물이 설치되며, 상기 중량물은 상기 배출구에서 멀리 떨어진 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식 위생 도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 도기는 스탠변기 또는 좌변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식 위생 도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20117000010U 2010-04-13 2010-04-13 거품식 세라믹 위생도기 KR20047677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0/000487 WO2010115353A1 (zh) 2009-04-10 2010-04-13 一种发泡陶瓷洁具
CN2010105903105A CN102220782A (zh) 2010-04-13 2010-12-09 智能型发泡箱水冲小便洁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986U KR20120007986U (ko) 2012-11-22
KR200476778Y1 true KR200476778Y1 (ko) 2015-04-08

Family

ID=4477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00010U KR200476778Y1 (ko) 2010-04-13 2010-04-13 거품식 세라믹 위생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6778Y1 (ko)
CN (1) CN1022207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1345A (zh) * 2012-06-14 2012-09-26 郭东箭 一种发泡式冲水马桶
CN103850309B (zh) * 2012-11-29 2015-12-09 郭东箭 一种公厕
CN103088895A (zh) * 2013-02-05 2013-05-08 深圳绿恒环保科技有限公司 节水小便器
CN105507392A (zh) * 2016-01-14 2016-04-20 北京蓝洁士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泡沫水冲厕所及其智能控制方法
CN109457778A (zh) * 2018-12-24 2019-03-12 成都方大远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冲水泡沫结合型环保厕所
CN109440887A (zh) * 2018-12-27 2019-03-08 四川旅发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泡沫封堵电子节水二次双冲设备及方法
CN112056970A (zh) * 2019-06-11 2020-12-11 北京摩室科技有限公司 一种泡沫免冲洗式厕具及其操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8B2 (ja) * 1990-03-16 1996-01-17 ネポン株式会社 泡洗式トイレ装置における泡の供給制御方法
JPH094026A (ja) * 1995-06-20 1997-01-07 Inax Corp 泡便器
JPH10159152A (ja) * 1996-11-29 1998-06-16 Teruo Ohashi 悪臭源遮蔽用発泡装置および泡沫式悪臭源遮蔽方法
KR20030091488A (ko) * 2002-05-28 2003-12-03 이성호 포세식 변기의 거품 공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100A (ja) * 1993-12-21 1996-05-21 Japanic:Kk 便器の洗浄機構
JPH1054068A (ja) * 1996-08-09 1998-02-24 Kazuo Soma 洋式水洗トイレの便器内溜水の、排便時におけるはね上げを防止する方法
CN200946317Y (zh) * 2005-06-17 2007-09-12 北京清华紫光泰和通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泡沫封臭式少水冲厕所
CN201045209Y (zh) * 2007-05-22 2008-04-09 熊颖 一种防溅除臭坐厕
CN201078023Y (zh) * 2007-08-06 2008-06-25 陈维刚 厕所洗手水自动冲厕装置
CN201424692Y (zh) * 2009-04-10 2010-03-17 施卫东 一种发泡洁具
CN202117154U (zh) * 2010-12-09 2012-01-18 施卫东 智能型发泡箱水冲小便洁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8B2 (ja) * 1990-03-16 1996-01-17 ネポン株式会社 泡洗式トイレ装置における泡の供給制御方法
JPH094026A (ja) * 1995-06-20 1997-01-07 Inax Corp 泡便器
JPH10159152A (ja) * 1996-11-29 1998-06-16 Teruo Ohashi 悪臭源遮蔽用発泡装置および泡沫式悪臭源遮蔽方法
KR20030091488A (ko) * 2002-05-28 2003-12-03 이성호 포세식 변기의 거품 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986U (ko) 2012-11-22
CN102220782A (zh)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778Y1 (ko) 거품식 세라믹 위생도기
US20120284910A1 (en) Flush toilet
CN102802481A (zh) 盥洗装置
US8656525B2 (en) Sanitary war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ype
CA1239757A (en) Automatic dispenser for disinfectant and bowl cleaning fluid
CN107859128A (zh) 一种可实现马桶自洁的装置
CN201099906Y (zh) 厕所便槽润滑泡沫自动发生装置
EP3114286B1 (en) Sanitary ware product comprising dispenser
CN201574466U (zh) 液态清洁剂投放器
CN202117154U (zh) 智能型发泡箱水冲小便洁具
CN207348161U (zh) 一种马桶清洁剂自动定量添加装置
CN107419784A (zh) 一种防倒流节约型厕所清洁剂添加器
CN108505600B (zh) 一种防溅水马桶
KR200351198Y1 (ko) 공급수로를 갖는 거품 발생기가 장착된 비데
CN217379133U (zh) 一种带发泡功能的低压冲洗系统及马桶
CN212104378U (zh) 一种坐便器
US20110167551A1 (en) Anti-sedimentation tank for water closet
CN103912049A (zh) 节水型全自动智能座便器
CN106368276A (zh) 连续发泡装置
CN201217838Y (zh) 一种带底座的节水便器
CN101525894A (zh) 节能减排循环系统及其装置
CA2411235A1 (en) Detergent dispenser
KR200267749Y1 (ko) 수세식 변기용 청정제 투입장치
CN202969516U (zh) 座便器水箱排水阀
KR20120034869A (ko) 친환경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