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743Y1 -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 Google Patents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743Y1
KR200476743Y1 KR2020130000545U KR20130000545U KR200476743Y1 KR 200476743 Y1 KR200476743 Y1 KR 200476743Y1 KR 2020130000545 U KR2020130000545 U KR 2020130000545U KR 20130000545 U KR20130000545 U KR 20130000545U KR 200476743 Y1 KR200476743 Y1 KR 200476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lectric drill
drilling operation
workpiece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497U (ko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이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호 filed Critical 이재호
Priority to KR2020130000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74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4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4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7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34Arrangements for removing chips out of the holes made; Chip- breaking arrangements attached to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드릴을 이용한 드릴링 작업시 구조물과 드릴팁(D-1) 상호 간의 수직상태 유지와 더불어 홀 천공시 생겨난 분진이나 절삭칩이 사방으로 흩어져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동드릴 몸체의 내재수용이 가능토록 내부가 빈 원통형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테두리부 마감을 통한 가공물 표면과의 상호 밀착과 더불어 드릴링 작업시 발생한 진동 흡수를 위한 완충테; 상기 본체의 타 선단 상부에 부착 구비됨에 따라, 전동드릴과 함께 상기 본체의 동시 파지를 용이케 하는 그립패드; 및,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하부에 착탈식으로 조립된 상태로, 드릴링 작업으로 생겨난 비산물의 낙하 수집을 위한 수집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SCATTERING PREVENTION COVER FOR ELECTRIC DRILL}
본 고안은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드릴을 이용한 드릴링 작업시 구조물과 드릴팁 상호 간의 수직상태 유지와 더불어 홀 천공시 생겨난 분진이나 절삭칩이 사방으로 흩어져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에 관한 것이다.
전동공구(電動工具, Electrically-drive tool)라 함은, 동력원인 모터를 사용하여 각종 구조물을 제조·가공하는데 사용하는 공구를 일컫는 것으로, 일반 가정에서부터 제철(製鐵)·기계(機械)·조선(造船)·차량(車輛) 등 중공업을 포함한 여러 산업분야에서 폭넓고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그 종류에 따라 전기드릴(이하 "전동드릴"이라 함), 전기그라인더(Electric grinder), 전기톱(Electric saw), 전기샌더(Electric sander)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누구냐에 따라 산업용과 가정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동드릴(Electrically drill)은, 외부전원 공급에 의한 모터 및 기어구동력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손쉽게 구조물(이하 "가공물"이라 함)에 홀(Hole)을 천공(穿孔)하는 드릴링(Drilling) 작업이나 나사체결 작업을 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한 가공물에 홀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전동드릴의 드릴팁 선단을 원하는 부위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전동드릴을 작동시켜 모터회전력에 의해 상기한 드릴팁이 해당 부위를 회전 절삭(切削)하는 것에 의해 홀이 천공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 중, 기어 구동계에 존재하는 백래시(Backlash)와 전달오차(Transmission error) 및 가공물과 드릴팁 상호 간 마찰에 따른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고, 천공 부위로부터 절삭칩(Cutting Chip, 깎아낸 부스러기)이 생겨나게 된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목재로 된 가공물 등을 눈높이 그 이상의 위치에서 홀을 천공할 경우, 작업 도중 생겨난 분진(粉塵, Dust)이나 톱밥 가루들이 비산(飛散)되어 작업자 눈에 들어가거나 안면에 생채기를 내는 불상사가 빈번하였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작업자들은 분진이나 절식칩 등의 비산물(飛散物, Missile)이 안면에 닿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안면보호용 헬멧과 같은 보호구(保護具, Protective equipment)를 착용해 왔으나, 이로 인한 작업능력의 둔화(鈍化)는 감수해야만 했다.
또한, 금속재로 된 가공물을 가공할 경우에는, 홀 천공 부위로부터 나선형으로 꼬이는 절삭칩이 생겨나는데, 그렇게 생겨난 절삭칩으로부터 자신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한 장갑에 상기 절삭칩이 걸린 상태로 드릴팁과 함께 회전하여 전동드릴 측으로 말려들어 손가락 골절 등의 심각한 안전사고가 빈번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전동드릴과 가공물 상호 간의 수직상태를 사람이 정확히 맞추기가 쉽지 않을뿐더러, 설사 수직상태를 맞추었다 하더라도 드릴링 작업시의 마찰진동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는 등 작업정밀도가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1026호를 통해, 콘크리트슬리브 구조물 등에 구멍을 뚫어 줄 때 발생되는 콘크리트의 가루와 분진을 받아 주도록 하는 드릴용 이물질받이컵이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물질받이장치의 구조 및 전동드릴과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드릴용 이물질받이컵(900)은, 외주면 일단에 환상돌기(921-1)가 형성된 고정관(921)에 지지판(92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922)의 외측에는 중간에 주름부(923-1)가 형성된 받이컵(923)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고정관(921)에 고정밴드(930)를 삽입 결합시킨 구성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기드릴의 슬리브에 장착하여 드릴링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그때 생겨난 가공물의 가루와 분진 등의 이물질을 받아둘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시야를 흐리게 하거나 이물질이 작업자의 얼굴에 낙하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주변으로 낙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주름부(923-1)의 절첩을 통해 부피를 축소시켜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절삭칩의 비산 방지와 부피 축소를 통한 휴대 및 보관만을 목적으로 한 것일 뿐, 가공물에 홀을 천공하는 그 작업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불가능하다. 이는, 상기한 주름부(923-1)의 절곡 패턴에 의한 투과(透過) 효율 저하에 기인한다.
때문에, 드릴링 작업을 잠시 중단한 상태로 전동드릴을 가공물로부터 이격시켜주어야만 원하는 홀 천공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른 작업시간 지연의 문제점은 물론이거니와 이로 인한 작업능률 저하의 문제점을 유발해 왔다.
또한, 상기한 주름부(923-1)의 자유변형에 의해, 드릴링 또는 나사체결 작업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전동드릴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의지시킬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마련되어 있지 않아, 천공작업의 정밀도가 여전히 뒤떨어지는 문제점이 지속되어 왔다.
더하여, 단순히 분진 및 절삭팁의 비산을 방지할 뿐 그렇게 생성된 비산물을 담아두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작업의 종료 후에는 비산물을 다른 곳에 옮겨 담아야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의 일측 선단부를 마감하기 위한 완충테의 구비 및 내부공간의 확인을 위한 투시부를 형성하여, 드릴링 작업시 발생하는 진동의 흡수와 더불어 작업의 진행상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체 일측에 파지력 향상을 위한 그립패드의 구비 및 드릴링 작업시 생겨난 분진 또는 절삭칩 등과 같은 비산물을 한데 모아 담을 수 있는 수집함을 더 구비시켜, 작업의 편의성 향상과 더불어 비산물의 후처리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동드릴 몸체의 내재수용이 가능토록 내부가 빈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테두리부 마감을 통한 가공물 표면과의 상호 밀착에 의해 수직 드릴링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되, 드릴링 작업시 발생한 진동 흡수를 위한 완충테; 및 상기 본체의 타 선단 상부에 부착 구비됨에 따라, 전동드릴과 함께 상기 본체의 동시 파지를 용이케 하는 그립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하부에 착탈식으로 조립된 상태로, 드릴링 작업으로 생겨난 비산물의 낙하 수집을 위한 수집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이 관통되어 전동드릴의 몸체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수용공간이 내측에 마련된 원통체이되, 전동드릴의 형태적 특징을 감안하여 관통형상이 타원형을 이루고, 상기 전동드릴의 손잡이부를 간섭하지 않도록, 일측 선단 테두리 상측은 돌출된 반면 하측은 상대적으로 내향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완충테에는, 가공물 표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이격시킬 경우의 비산물 유출 방지를 위한 차단판이 하부 일정범위를 가로질러 밀폐하도록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들여다볼 수 있게 한 투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는, 원통형 본체가 전동드릴의 외부를 둘러 감싸게 됨에 따라, 분진 또는 절삭칩의 비산을 방지하는 한편 최소한의 안전구 착용만으로도 작업이 가능토록 됨에 따른 작업의 편의성 극대화의 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가공물과 전동드릴 상호 간의 수직상태 유지를 간단할 수 있도록 가이드함에 따라, 비정상적인 드릴팁의 마찰각 형성으로 인한 상기 드릴팁 과열과 구부러짐을 방지하여 공구의 사용수명을 극대화하는 반면 소음은 억제하는 동시에 홀 천공 또는 나사체결 등의 드릴링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정밀하게 이룰 수 있는 작업효율 향상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투시창을 이용하여 드릴링 당시의 작업과정을 육안으로 수시 확인함이 가능함에 의한 작업의 신속성 향상은 물론이거니와, 수집함을 이용한 비산물 수집에 따른 후처리작업 생략 등 작업환경 개선의 효과를 발휘하는 아주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물질받이장치의 구조 및 전동드릴과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A)는, 전동드릴 몸체의 내재수용이 가능토록 내부가 빈 본체(1), 구체적으로 원통형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일측 선단 테두리부 마감을 통한 가공물 표면과의 상호 밀착에 의해 수직 드릴링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되, 드릴링 작업시 발생한 진동 흡수를 위한 완충테(2)와, 상기 본체(1)의 타 선단 상부에 부착 구비됨에 따라, 전동드릴과 함께 상기 본체(1)의 동시 파지가 용이토록 한 그립패드(3)를 포함하되, 선택적으로 상기 완충테(2)와 근접한 상기 본체(1)의 일측 선단 하부에 착탈식으로 조립된 상태로, 드릴링 작업으로 생겨난 비산물의 낙하 수집을 위한 수집함(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는, 전동드릴의 몸통부를 둘러 감싸 드릴링 작업시 발생한 분진이나 절삭칩 등의 비산 방지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한편 가공물 표면과 전동드릴 상호 간의 수직가이드를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이 관통됨에 따라 전동드릴의 몸체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수용공간(1a)이 내측에 마련된 원통체이되, 주로 권총형 구조로 된 전동드릴의 형태적 특징을 감안하여 관통형상이 타원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전동드릴의 손잡이부를 간섭하지 않도록, 일측 선단 테두리 상측은 돌출된 반면 대응 하측은 상대적으로 내향된 자유 굴곡형 경사각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전동드릴의 드릴팁이 위치하는 일측 선단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a)을 들여다볼 수 있게 한 투시부(11)가 형성된다. 이는, 홀을 천공하거나 나사를 체결하는 드릴링 작업상태 확인을 통한 편의성 증대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완충테(2)는, 가공물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드릴링 작업시 발생한 진동을 흡수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동드릴의 드릴팁이 위치하는 상기 본체(1)의 일측 선단 테두리 전체를 마감하도록 구비결합되되, 진동 흡수를 위한 완충력 발휘에 적합한 고무 혹은 실리콘을 주요 소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동드릴 몸체의 외부노출 최소화와 더불어 드릴링 작업 종료 후 가공물 표면으로부터 상기 본체(1)를 이격시킬 경우의 비산물(분진, 절삭칩 등)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는 차단판(21)이 상기한 완충테(2)의 하부를 일정범위 가로질러 밀폐하도록 형성된다.
그립패드(3)는, 드릴링 작업시 상기 본체(1)와 전동드릴을 동시에 파지하여 상기한 전동드릴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 자신의 손바닥을 밀착시킬 경우의 파지력 향상을 위한 웨이브 굴곡이 형성되는 한편 신축성을 발휘하는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수집함(4)은, 드릴링 작업시 생겨난 분진이나 절삭칩 등의 비산물을 한데 모아 담기 위한 것으로, 수직한 가공물의 그 표면에 본 고안의 비산 방지커버(A)를 수평하게 밀착시켰을 때 상기 본체(1) 하부 측에 착탈식으로 조립결합되고, 이에 따라 드릴링 작업으로 생겨난 비산물의 낙하 수집이 가능토록 상부 개구형 보관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홀 천공 또는 나사체결 등의 드릴링 작업을 위한 가공물의 그 표면에 본 고안의 비산 방지커버(A)를 우선하여 위치시키되, 상기 완충테(2)가 가공물의 그 표면과 밀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본체(1)가 가공물의 그 표면과 상호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후, 상기 본체(1)의 수용공간(1a) 안으로 전동드릴을 삽입시키되, 상기한 전동드릴의 드릴팁(D-1) 선단이 상기 완충테(2)의 개구부를 지나 가공물 표면에 맞닿도록 한다.
이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드릴(D)을 작동시켜 드릴팁(D-1)이 빠른 속도로 회전도록 하여 가공물의 일 부위에 홀을 천공하거나 나사를 체결하는 등의 드릴링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생겨난 분진이나 절삭칩 등의 비산물이 사방으로 흩날림을 미리 차단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동시에 소음까지 상쇄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가공물의 그 표면과 전동드릴(D) 상호 간의 직교(直交)를 보다 수월하고 정확히 하여, 드릴팁(D-1)의 비정상 마찰로 인한 과열과 구부러짐을 억제하면서도 드릴링 작업이 더욱 정밀하게 이룰 수 있음이 가능케 된다.
더욱이, 드릴링 작업시의 진동 발생에 의한 전동드릴(D)의 유동은, 상기한 완충테(2)에 의한 진동 흡수와 함께 상기 그립패드(3)를 이용해서 본체(1)와 전동드릴(D) 몸체를 동시 파지함을 통해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공물의 홀 천공 진행상태는, 드릴링 작업 진행 도중에도 상기 본체(1)의 투시부(11)를 통해 수용공간(1a)을 수시로 들여다보는 것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드릴링 작업시 생겨난 비산물이 상기 수집함(4)에 자동으로 최종 낙하 수집됨에 따라 드릴링 작업 이후 주변을 청소해야만 하는 등 별도의 후처리작업을 추가로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되는 작업환경 개선의 효과를 더불어 거둘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비산 방지커버, 1 : 본체, 1a : 수용공간
2 : 완충테, 3 : 그립패드, 4 : 수집함
11 : 투시부, 21 : 차단판

Claims (5)

  1. 전동드릴 몸체의 내재수용이 가능토록 내부가 빈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테두리부 마감을 통한 가공물 표면과의 상호 밀착에 의해 수직 드릴링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되, 드릴링 작업시 발생한 진동 흡수를 위한 완충테; 및
    상기 본체의 타 선단 상부에 부착 구비됨에 따라, 전동드릴과 함께 상기 본체의 동시 파지를 용이케 하는 그립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드릴의 손잡이부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의 타 선단 테두리 상측은 돌출된 반면 하측은 상대적으로 내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하부에 착탈식으로 조립된 상태로, 드릴링 작업으로 생겨난 비산물의 낙하 수집을 위한 수집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이 관통되어 전동드릴의 몸체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수용공간이 내측에 마련된 원통체이되,
    전동드릴의 형태적 특징을 감안하여 관통형상이 타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테에는, 가공물 표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이격시킬 경우의 비산물 유출 방지를 위한 차단판이 하부 일정범위를 가로질러 밀폐하도록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 선단 상부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을 들여다볼 수 있게 한 투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KR2020130000545U 2013-01-22 2013-01-22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KR200476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545U KR200476743Y1 (ko) 2013-01-22 2013-01-22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545U KR200476743Y1 (ko) 2013-01-22 2013-01-22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497U KR20140004497U (ko) 2014-07-30
KR200476743Y1 true KR200476743Y1 (ko) 2015-03-27

Family

ID=5244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545U KR200476743Y1 (ko) 2013-01-22 2013-01-22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7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912B1 (ko) 2014-09-24 2017-01-04 이재호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KR200490215Y1 (ko) * 2018-09-03 2019-10-14 현종석 전동공구용 엔드밀 어댑터 안전장치
CN110695413A (zh) * 2019-10-12 2020-01-17 广州市欧伊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钛合金板材加工的安全系数高的钻孔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108A (ja) * 1992-12-14 1994-06-28 Fuji Heavy Ind Ltd 穿孔機の冷却集塵装置
KR200408268Y1 (ko) * 2005-11-30 2006-02-07 오명환 드릴가이드가 구비된 드릴용 분진포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108A (ja) * 1992-12-14 1994-06-28 Fuji Heavy Ind Ltd 穿孔機の冷却集塵装置
KR200408268Y1 (ko) * 2005-11-30 2006-02-07 오명환 드릴가이드가 구비된 드릴용 분진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497U (ko)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8912A (en) Dust collecting shield for power tools
CN205325873U (zh) 无尘降噪锯床
KR200476743Y1 (ko)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KR101692912B1 (ko)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DE102014226089A1 (de) Werkzeugmaschinensystem
KR101324158B1 (ko) 친환경 분진방지 그라인더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표면처리 방법
JP2008012686A (ja) 防塵カバー
US7513048B2 (en) Chain saw attachment for a hand drill
KR20190114624A (ko) 가변형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라우터
CN208375427U (zh) 一种切纸机
KR20150004662U (ko) 공작기계의 칩 비산 방지용 구조체
US20120186843A1 (en) Motorized working tool
CN210945360U (zh) 一种钢化玻璃加工用防护装置
CN211729544U (zh) 一种木工多功能电动工具
CN103056738A (zh) 用于角磨机的把手
CN213382296U (zh) 一种环保的用于建筑领域的打孔吸尘设备
CN217831900U (zh) 一种大孔径内圆粗车车刀切削屑柔性止挡装置
KR200488925Y1 (ko) 비산 방지커버
CN214602241U (zh) 一种具有防飞溅功能的水管切管机
CN217493789U (zh) 一种机械加工用具备防尘效果好的打磨装置
CN210677980U (zh) 一种金属切削机床用防碎屑飞溅组件
CN211219869U (zh) 一种金属切割用环保装置
CN215201282U (zh) 一种钣金加工用角磨机
CN213380604U (zh) 具有减震防抖功能的刀具用工装夹具
CN220881456U (zh) 一种h型钢厚方板钻孔机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