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25Y1 - 비산 방지커버 - Google Patents

비산 방지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25Y1
KR200488925Y1 KR2020170004744U KR20170004744U KR200488925Y1 KR 200488925 Y1 KR200488925 Y1 KR 200488925Y1 KR 2020170004744 U KR2020170004744 U KR 2020170004744U KR 20170004744 U KR20170004744 U KR 20170004744U KR 200488925 Y1 KR200488925 Y1 KR 200488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drill bit
drill
extending
drill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679U (ko
Inventor
노태호
Original Assignee
노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태호 filed Critical 노태호
Priority to KR2020170004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25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3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58Dust covers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드릴의 드릴비트가 드릴비트 끼움구멍에 끼워지도록 전동드릴의 선단부에 커버몸체를 연결할 때 드릴끼움부에 의해 경사면을 갖는 전동드릴 선단부가 견고하게 밀착되어 끼워지기 때문에 전동드릴과 커버몸체를 쉽고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지지부에 의해 전동드릴의 천공작업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천공작업시 발생되는 절삭칩은 물론 먼지가 진공흡입되어 즉시 제거됨에 따라 절삭칩과 먼지의 비산방지와 동시에 제거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어 천공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비산 방지커버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비산 방지커버{Scatter prevention cover for hammer drill}
본 고안은 비산 방지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천공과 같은 작업을 진행할 때 발생되는 먼지의 날림을 방지하도록 하고 발생된 먼지를 빠르게 흡입제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전동드릴과의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비산 방지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드릴(Electrically drill)은, 외부전원 공급에 의한 모터 및 기어구동력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손쉽게 구조물에 홀을 천공(穿孔)하는 드릴링(Drilling) 작업이나 나사체결 작업을 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구조물에 홀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전동드릴의 드릴팁 선단을 원하는 부위에 밀착시킨 상태로 전동드릴을 작동시켜 모터회전력에 의해 드릴팁이 해당 부위를 회전 절삭(切削)하는 것에 의해 홀이 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천공작업을 할 때 천공 부위로부터 절삭칩이 생기게 되는 바,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목재로 된 구조물을 작업자의 눈높이 이상의 위치에서 홀을 천공할 경우, 작업 도중 생겨난 분진(粉塵, Dust)이나 톱밥 가루들이 비산(飛散)되어 작업자 눈에 들어가거나 안면에 생채기를 내는 불상사가 발생되고 잇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작업자들은 분진이나 절식칩 등의 비산물이 안면에 닿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안면보호용 헬멧과 같은 보호구를 착용하고는 있으나, 이와 같은 보호구 착용에 의해 작업능력의 둔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재로 된 가공물을 가공할 경우에는, 홀 천공 부위로부터 나선형으로 꼬이는 절삭칩이 생겨나는 바, 이와 같은 절삭칩으로부터 자신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한 장갑에 상기 절삭칩이 걸린 상태로 드릴팁과 함께 회전하여 전동드릴 측으로 말려들어 손가락 골절 등의 심각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 20-0322876호인 해머드릴용 비산방지 커버가 안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해머드릴 몸체 선단부에 고정되어 해머비트를 감싸는 제1포집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포집부재의 내측으로 전후 출몰되는 제2포집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2포집 부재가 제1포집부재 내측으로 출몰될 수 있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탄성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머드릴 작업시 사이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억제하고, 소음을 줄어 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해머드릴(전동드릴)에 의해 구멍이 천공되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해머비트가 구멍측으로 인입되는 바, 이 때 탄성수단이 꺾여지면서 제1포집부재가 제2포집부재측으로 밀리면서 해머비트가 구멍측으로 인입되어 구멍이 천공되는 작업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고는 있으나, 탄성수단이 단지 제1포집부재와 제2포집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작업도중 탄성수단이 끊어지거나 또는 제1포집부재 또는 제2포집부재로부터 탄성수단이 떨어져 나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포집부재를 해머드릴 몸체 선단부에 고정하는 수단이 조임밴드에 의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해머드릴 몸체 선단부에 제1포집부재를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하는 작업이 어려워 작업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해머비트에 의해 구멍이 천공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절삭칩 또는 먼지가 제1포집부재와 제2포집부재 내부에 그대로 쌓이기 때문에 천공작업 후 일일이 제1포집부재와 제2포집부재 내부에 쌓인 절삭칩 또는 먼지를 수작업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천공작업 도중에 제1포집부재와 제2포집부재의 내부에 절삭칩이나 먼지가 쌓여 더 이상 천공작업을 진행할 수 없을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한 후 절삭칩과 먼지를 제거한 다음 다시 천공작업을 재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22876호(2003.07.31.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157565호(2012.06.12. 등록)
본 고안은 드릴비트가 위치되는 전동드릴 선단부에 쉽고 용이하게 체결하도록 하여 체결에 따른 작업성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흡음재질에 의해 천공작업시 발생되는 소음은 물론 진동을 최소화하고 발생되는 절삭칩 및 먼지의 비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절삭칩 및 먼지가 즉시 제거되어 계속적인 천공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비산 방지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비산 방지커버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접힘부와 상기 접힘부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연결면과 상기 연결면의 내측을 따라 단턱밀착면이 구비되며 상기 단턱밀착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안착지지면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지지면 중앙에 구비된 가이드구멍을 갖는 내부가 중공된 커버몸체와; 드릴비트에 의해 천공작업이 진행될 때 발생되는 먼지와 절삭칩을 흡입제거하도록 상기 내부가 중공된 커버몸체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커버몸체의 연장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흡입관연결부와; 드릴비트에 의해 천공작업이 진행될 때 전동드릴의 흔들림과 진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몸체의 연결면의 상부측으로 일측이 연장되되 상기 연결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모아지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탄성지지부와; 경사면을 갖는 드릴비트가 구비된 전동드릴 선단부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복수개의 탄성지지부 타측이 각각 연결되되 상기 탄성지지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벌어져 내측에 드릴비트의 경사면과 대응되게 밀착되는 경사밀착면이 구비되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드릴끼움부와; 상기 내부가 중공된 커버몸체 내부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커버몸체의 안착지지면과 밀착되고 중앙에 드릴비트 끼움구멍을 갖는 보강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밀착부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접힘부는, 상기 밀착부의 상부측으로 순차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접힘홈부 및 접힘돌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드릴비트에 의해 천공작업이 진행될 때 발생되는 먼지와 절삭칩이 진공흡입되어 제거되도록 상기 흡입관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90도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되어 집공흡입기 흡입관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 를 갖는 연결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전동드릴의 드릴비트가 드릴비트 끼움구멍에 끼워지도록 전동드릴의 선단부에 커버몸체를 연결할 때 드릴끼움부에 의해 경사면을 갖는 전동드릴 선단부가 견고하게 밀착되어 끼워지기 때문에 전동드릴과 커버몸체를 쉽고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지지부에 의해 전동드릴의 천공작업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천공작업시 발생되는 절삭칩은 물론 먼지가 진공흡입되어 즉시 제거됨에 따라 절삭칩과 먼지의 비산방지와 동시에 제거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어 천공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비산 방지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비산 방지커버에 전동드릴이 연결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비산 방지커버에 전동드릴이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비산 방지커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비산 방지커버의 접힘부 작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비산 방지커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비산 방지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커버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커버몸체(10)와 흡입관연결부(20), 탄성지지부(30), 드릴끼움부(40) 및 보강부(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몸체(10)와 흡입관연결부(20), 탄성지지부(30) 및 드릴끼움부(40)는 고무재질로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커버몸체(10)와 흡입관연결부(20), 탄성지지부(30) 및 드릴끼움부(40)가 고무재질로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전동드릴(D)의 드릴비트(D1)에 의해 구멍을 천공작업할 때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흡수되어 최소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릴비트(D1)에 의해 구멍이 천공될 때 천공되는 구멍측으로 전동드릴이 밀어질 때 상기 커버몸체(10)와 흡입관연결부(20), 탄성지지부(30) 및 드릴끼움부(40)의 밀림동작에 동시에 진행되어 전동드릴(D)을 천공되는 구멍측으로 밀어주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커버몸체(10)는, 밀착부(11)와 상기 밀착부(1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접힘부(12)와 상기 접힘부(12)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와 상기 연장부(13)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연결면(14)과 상기 연결면(14)의 내측을 따라 단턱밀착면(15)이 구비되며 상기 단턱밀착면(15)으로부터 연장되는 안착지지면(16)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지지면(16) 중앙에 구비된 가이드구멍(17)이 구비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부(11)는, 벽면과 같은 구조물에 구멍을 천공할 때 상기 커버몸체(10)를 밀착시키는 것으로,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밀착성 향상은 물론 비산되는 절삭칩이나 먼지가 밀착부(11)에 의해 커버몸체(10)로부터 빠져나감이 방지된다.
상기 접힘부(12)는, 드릴비트(D1)에 의해 천공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전동드릴(D)이 천공된 구멍측으로 밀어질 때 접혀지면서 전동드릴(D)이 구멍측으로 밀어짐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밀착부(11)의 상부측으로 순차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접힘홈부(12a) 및 접힘돌부(12b)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접힘홈부(12a) 및 접힘돌부(12b)가 순차적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진 접힘부(12)에 의해 전동드릴(D)이 천공된 구멍측으로 밀어질 때 접힘부(12)가 접혀지기 때문에 전동드릴(D)을 천공되는 구멍측으로 밀어주면서 계속적인 천공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단턱밀착면(15)은 드릴비트(D1)에 의해 천공작업이 진행될 때 전동드릴(D)을 천공되는 구멍측으로 밀어주는 과정에서 상기 보강부(50)를 용이하게 밀어주어 보강부(50)의 밀어주는 힘이 상기 접힘부(12)에 전달되어 커버몸체(10)가 접어짐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보강부(50)는 상기 탄턱밀착면(15)으로부터 연장되는 안착지지면(16)에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단턱밀착면(15)이 커버몸체(10)의 상단에 단턱지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몸체(10)의 상단에 대한 내구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 단턱밀착면(15)과 연결되는 연결면(14)에 연결된 상기 탄성지지부(30)가 전동드릴을 천공되는 구멍측으로 밀어주는 과정에서 눌러질 때 탄성지지부(3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흡입관연결부(20)는, 드릴비트에 의해 천공작업이 진행될 때 발생되는 먼지와 절삭칩을 흡입제거하도록 상기 내부가 중공된 커버몸체(10)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커버몸체(10)의 연장부(13)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흡입관연결부(20)가 커버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관연결부(20)에 진공흡입기를 연결하여 드릴비트에 의해 구멍이 천공됨에 따라 발생되는 절삭칩 및 먼지를 빠르게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30)는, 드릴비트에 의해 천공작업이 진행될 때 전동드릴의 흔들림과 진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몸체(10)의 연결면(14)의 상부측으로 일측이 연장되되 상기 연결면(14)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모아지게 구비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이 때, 탄성지지부(30)의 개수는 도시한 바에 의하면 3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드릴끼움부(40)는, 경사면을 갖는 드릴비트가 구비된 전동드릴 선단부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복수개의 탄성지지부(30) 타측이 각각 연결되되 상기 탄성지지부(3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벌어져 내측에 드릴비트의 경사면과 대응되게 밀착되는 경사밀착면(41)이 구비되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밀착면(41)은 상기 드릴끼움부(40)측으로 끼워지는 전동드릴 선단부의 경사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전동드릴 선단부 경사면에 상기 경사밀착면(41)이 밀착되어 연결됨에 따라 전동드릴을 천공되는 구멍측으로 밀어줄 때 경사밀착면(41)과 전동드릴 선단부 경사면이 더욱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어 전동드릴과 커버몸체(10)가 서로 흔들거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전동드릴을 천공되는 구멍측으로 밀어주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개의 탄성지지부(30)가 눌러지면서 탄성지지하여 줌에 따라 커버몸체(10)의 밀착부(11)가 더욱 견고하게 벽면과 같은 구조물에 밀착될 수 있음은 물론 전동드릴의 진동을 최소화하여 줄 수 있다.
본 고안의 보강부(50)는, 금속재질의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내부가 중공된 커버몸체(10) 내부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커버몸체(10)의 안착지지면(16)과 밀착되고 중앙에 드릴비트 끼움구멍(51)으로 구비된다.
상기 드릴비트 끼움구멍(51)에 드릴비트를 끼울 때 상기 안착지지면(16)에 구비된 가이드구멍(17)에 끼워진 보강부(50)의 드릴비트 끼움구멍(51)에 드릴비트가 가이드되어 끼워질 수 있어 드릴비트 끼움구멍(51)에 드릴비트를 끼워 전동드릴을 커버몸체(10)에 연결함이 용이하다.
본 고안은, 드릴비트에 의해 천공작업이 진행될 때 발생되는 먼지와 절삭칩이 진공흡입되어 제거되도록, 상기 흡입관연결부(20)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61)와, 상기 제1연결부(61)로부터 90도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62)와, 상기 절곡부(62)로 부터 연장되어 집공흡입관(101)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63)를 갖는 연결구(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연결구(6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60)의 제2연결부(63)가 상기 제1연결부(61)에 대해 90도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62)에 연결되어 상기 제2연결부(63)가 상기 흡입관연결부(20)에 대해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위치될 수 있어 진공흡입관(101)을 상기 흡입관연결부(20)에 대해 90도 각도로 절곡된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공간 및 작업현장의 여건에 맞도록 별도의 진공흡입관(101)을 흡입관연결부(20)에 직접 연결하여 흡입관연결부(20)에 대해 진공흡입관(101)을 수평상태로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연결구(60)를 이용하여 진공흡입관(101)을 흡입관연결부(20)에 대해 수직상태로 연결할 수 있어 작업성 및 편의성이 더욱 크게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62)는 주름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절곡부(62)가 주름관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도를 자유롭게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 커버몸체 11 : 밀착부
12 : 접힘부 12a : 접힘홈부
12b : 접힘돌부 13 : 연장부
14 : 연결면 15 : 단턱밀착면
16 : 안착지지면 17 : 가이드구멍
20 : 흡입관연결부 30 : 탄성지지부
40 : 드릴끼움부 50 : 보강부
60 : 흡입관연결부 61 : 제1연결부
62 : 절곡부 63 : 제2연결부

Claims (3)

  1. 밀착부(11)와 상기 밀착부(1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접힘부(12)와 상기 접힘부(12)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와 상기 연장부(13)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연결면(14)과 상기 연결면(14)의 내측을 따라 단턱밀착면(15)이 구비되며 상기 단턱밀착면(15)으로부터 연장되는 안착지지면(16)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지지면(16) 중앙에 구비된 가이드구멍(17)을 갖는 내부가 중공되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몸체(10)와, 드릴비트에 의해 천공작업이 진행될 때 발생되는 먼지와 절삭칩을 흡입제거하도록 상기 내부가 중공된 커버몸체(10)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커버몸체(10)의 연장부(13)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흡입관연결부(20)와, 내측에 드릴비트의 경사면과 대응되게 밀착되는 경사밀착면(41)이 구비되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드릴끼움부(40)를 갖는 비산 방지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몸체(10)의 연결면(14)의 상부측으로 일측이 각각 연장되고 상기 드릴끼움부(40)와 타측이 각각 연결되며 드릴비트에 의해 천공작업이 진행될 때 전동드릴의 흔들림과 진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면(14)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모아지게 구비되고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탄성지지부(30)가 구비되고,
    상기 드릴끼움부(40)의 경사밀착면(41)은 상기 탄성지지부(3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벌어져 드릴비트의 경사면과 대응되게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내부가 중공된 커버몸체(10) 내부 상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몸체(10)의 안착지지면(16)에 구비되되 상기 안착지지면(16)에 구비된 가이드구멍(17)에 끼워지고 중앙에 드릴비트 끼움구멍(51)을 갖는 보강부(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방지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1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접힘부(12)는,
    드릴비트에 의해 천공작업이 진행될 때 전동드릴을 눌러주어 상기 접힘부(12)의 접혀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밀착부(11)의 상부측으로 순차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접힘홈부(12a) 및 접힘돌부(12b)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방지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드릴비트에 의해 천공작업이 진행될 때 발생되는 먼지와 절삭칩이 진공흡입되어 제거되도록,
    상기 흡입관연결부(20)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61)와;
    상기 제1연결부(61)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62)와;
    상기 절곡부(62)로부터 연장되어 진공흡입관(101)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63);
    를 갖는 연결구(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 방지커버.
KR2020170004744U 2017-09-07 2017-09-07 비산 방지커버 KR200488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44U KR200488925Y1 (ko) 2017-09-07 2017-09-07 비산 방지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44U KR200488925Y1 (ko) 2017-09-07 2017-09-07 비산 방지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79U KR20190000679U (ko) 2019-03-15
KR200488925Y1 true KR200488925Y1 (ko) 2019-04-04

Family

ID=6572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744U KR200488925Y1 (ko) 2017-09-07 2017-09-07 비산 방지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2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222B2 (ja) * 1992-12-08 2001-06-25 帝人株式会社 易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36971A (ja) * 2007-12-07 2009-06-25 Hitachi Koki Co Ltd 集塵装置付き穿孔工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876Y1 (ko) 2003-05-21 2003-08-14 박주현 해머드릴용 비산방지 커버
KR20090095968A (ko) * 2008-03-07 2009-09-10 박재철 분진확산 방지 천공기
KR101157565B1 (ko) 2010-04-13 2012-06-18 대우버스(주) 핸드드릴용 칩 커버
JP3179222U (ja) * 2012-08-09 2012-10-18 ▲きん▼餘貿易有限公司 電動工具の集塵カバ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222B2 (ja) * 1992-12-08 2001-06-25 帝人株式会社 易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36971A (ja) * 2007-12-07 2009-06-25 Hitachi Koki Co Ltd 集塵装置付き穿孔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79U (ko)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627B1 (ko) 흡진 드릴 및 흡진 유닛
US20090181606A1 (en) Vacuum shroud for use with drilling tools
JP3179222U (ja) 電動工具の集塵カバー
JP2007301717A (ja) 掘削工具装置用吸引装置
WO2006072504A3 (de) Handwerkzeugmaschine mit einem führungskanal
US201300873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dust from power tool operation
JP5142870B2 (ja) 穿孔刃物用の水処理パッド
KR200488925Y1 (ko) 비산 방지커버
JP5056145B2 (ja) 集塵装置およびその集塵装置が設けられる電動工具
KR20090095968A (ko) 분진확산 방지 천공기
US2020018905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Loose Debris Chip Shielding
JP2011051333A (ja) 携帯用切削工具及び集塵構造体
KR101826480B1 (ko) 분진 흡입기능이 부여된 함마드릴을 이용한 천정 및 벽 드로핀 앙카볼트 체결 작업 안전성을 높인 드로핀 앙카펀치
JP2008012686A (ja) 防塵カバー
DE102017201567A1 (de) Zubehörvorricht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KR101626946B1 (ko) 드릴머신
CN206083993U (zh) 电动锯
JP7130860B2 (ja) コア穿孔デバイス用の吸引デバイス
JP7160499B2 (ja) コア穿孔デバイス用の吸引デバイス
JP2009000755A (ja) 携帯用工具
CN210231633U (zh) 一种手持电钻
KR101692912B1 (ko) 전동드릴용 비산 방지커버
DE102017201563A1 (de) Zubehörvorricht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KR101157565B1 (ko) 핸드드릴용 칩 커버
KR100490471B1 (ko) 휴대형 천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