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686Y1 - 박스용 옷걸이 행거 - Google Patents

박스용 옷걸이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686Y1
KR200476686Y1 KR2020130008281U KR20130008281U KR200476686Y1 KR 200476686 Y1 KR200476686 Y1 KR 200476686Y1 KR 2020130008281 U KR2020130008281 U KR 2020130008281U KR 20130008281 U KR20130008281 U KR 20130008281U KR 200476686 Y1 KR200476686 Y1 KR 2004766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base
box
fixing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규
Original Assignee
노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승규 filed Critical 노승규
Priority to KR2020130008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6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6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6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aring apparel, headwear or footwear
    • B65D85/185Containers for shipping garments on 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용 옷걸이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수용 공간이 형성된 박스에 삽입되는 종이 재질의 박스용 옷걸이 행거에 있어서, 옷걸이 홈을 구비하며 상기 박스의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행거부와; 상기 행거부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행거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 고정부는 상기 박스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박스의 측벽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박스에 설치되어 의류를 정렬되어 구겨짐 없이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박스용 옷걸이 행거{Hanger for clothes packing box}
본 고안은 옷걸이 행거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의류를 보관 또는 이동할 때 포장하는 포장용 박스에 삽입되어, 의류를 구김 없이 정렬되어 수납되게 하는 박스용 옷걸이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스는 수납되는 물품의 보관이나 운반을 목적으로 하며 박스에 의류를 수납하는 경우 보관이나 운반 과정에서 의류가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제조 공장에서 완성된 의류를 의류매장으로 운반하거나 포장이사 시에 의류를 박스에 수납하여 운반하는 경우, 의류가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대된다.
종래에는 박스에 의류를 수납하는 경우 특별한 구성없이 박스 내부에 의류를 수납하여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겉옷 같이 부피가 큰 옷들은 접어서 보관해야 하므로 옷에 구김이 많이 생겨 뒷손질이 필요했으며, 심한 경우에는 옷이 손상되어 입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2143호인 '의류 수납용 박스'를 제안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의류 수납용 박스(2)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20), 본체(20)의 상단부 전측에 결합되는 제1 상부 덮개(25), 본체(20)의 상단부 후측에 결합되는 제2 상부 덮개(30), 본체(20)의 우측면 상부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부(45), 본체(20)의 좌측면 상부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고정부(55), 및 제2 상부 덮개(3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걸이부(35)를 포함하며, 걸이부(35)는 걸이부의 양측이 제1 고정부(45) 및 제2 고정부(55)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의류 수납용 박스는 의류 수납을 위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타용도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박스에 설치되어 의류를 정렬되어 구겨짐 없이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는 박스용 옷걸이 행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박스의 내부를 지지하여 박스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박스용 옷걸이 행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골판지 등의 종이 재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프라스틱이나 철체용 행거와는 달리 환경 오염이 적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폐기 처분 및 재활용이 용이한 박스용 옷걸이 행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수용 공간이 형성된 박스에 삽입되는 종이 재질의 박스용 옷걸이 행거에 있어서, 옷걸이 홈을 구비하며, 상기 박스의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행거부와; 상기 행거부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행거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 고정부는 상기 박스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용 옷걸이 행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행거부는 기 설정된 접철선을 기준으로 제1 행거 베이스와 제2 행거 베이스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행거 베이스 및 상기 제2 행거 베이스 각각의 일측에는 일체로 형성된 상기 행거 베이스 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행거 베이스 보강부는 상기 제1 행거 베이스 및 상기 제2 행거 베이스 각각의 일면에 맞닿도록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행거 베이스 보강부는 상기 행거 베이스 보강부의 접철시 상기 옷걸이 홈에 포개지도록 형성된 옷걸이 보강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행거 고정부는 상기 행거부의 양측단이 설치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행거 고정부는 행거 고정 베이스부와; 상기 고정홈을 구비하는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와;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와 상기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 각각은 상기 행거 고정 베이스부를 향하여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용 옷걸이 행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박스에 설치되어 의류를 정렬되어 구겨짐 없이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박스의 사용 용도에 따라 용도 변경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박스용 옷걸이 행거는 사용 전에는 전개하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유통 및 운반이 용이하며, 사용시 어떤 장소에서든 조립이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박스용 옷걸이 행거는 대량 생산 및 보관이 용이하여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어디서든 조립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박스용 옷걸이 행거는 박스의 내부를 지지하여 외부 충격에 대응되는 박스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골판지 등의 종이 재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플라스틱이나 철재용 행거와는 달리 환경오염이 적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폐기 처분 및 재활용이 용이하다.
또한, 의류 수납을 위하여 별도로 제작되는 종래의 일체형 의류 수납 박스와 달리 일반 박스에 삽입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일반 박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류 수납용 박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용 옷걸이 행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용 옷걸이 행거의 행거부를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용 옷걸이 행거의 행거 고정부를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용 옷걸이 행거의 의류 수납을 나타내는 실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에 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고안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번호(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용 옷걸이 행거(1)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박스용 옷걸이 행거(1)는 의류를 구김 없이 정렬되게 수납할 수 있도록 박스(100)에 삽입되며, 환경을 위하여 종이 재질, 예컨데 재활용 용지를 이용한 골판지(Corrugated Cardboard)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박스(100)는 의류가 수납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11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박스는(100),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의류의 삽입 후 수용 공간(110)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덮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용 옷걸이 행거(1)는 행거부(200)와 행거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행거 고정부(300)는 수용 공간(110)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행거부(200)의 길이 방향의 양측단은 행거 고정부(3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행거 고정부(300)에 형성된 고정홈(310)에 행거부(200)의 양측단은 삽입되어 고정된다.
행거부(200)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옷걸이 홈(210)을 구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를 걸어두기 위한 옷걸이가 설치된다.
또한, 행거부(200)의 양측 끝단은 박스(100)의 수용 공간(11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행거부(200)는 박스(100)의 내측을 지지하여 박스(100)의 일 영역 및 그 주위 부분의 강도가 보강시키기 때문에, 박스(100)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행거부(200)는 행거 베이스부(220)와 행거 베이스부(220)의 양측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행거 베이스 보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 베이스부(220)는 제1 행거 베이스(221), 제2 행거 베이스(222) 및 기설정된 접철선(223)을 기준으로 제1 행거 베이스(221)와 제2 행거 베이스(222)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옷걸이 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행거 베이스(221)와 제2 행거 베이스(222) 각각은 접철선(223)을 기준으로, 도 4의 ③과 같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옷걸이 홈(210)을 형성케 한다.
행거 베이스 보강부(230)는 제1 행거 베이스(221) 및 제2 행거 베이스(222) 각각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행거 베이스 보강부(230)는 제1 행거 베이스(221) 및 제2 행거 베이스(222) 각각의 일면에 맞닿도록 접철되어 행거 베이스부(220)의 강도를 보강한다.
행거 베이스 보강부(230)는 제1 행거 베이스 보강부(231), 제2 행거 베이스 보강부(232) 및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보강홈(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행거 베이스 보강부(231)와 제2 행거 베이스 보강부(232) 각각은 접철선(234)을 기준으로, 도 4의 ①과 같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보강홈(233)을 형성케 한다.
그리고, 보강홈(233)은 행거 베이스 보강부(230)의 접철시 옷걸이 홈(210)에 포개지기 때문에, 옷걸이 및 의류에 의하여 옷걸이 홈(210)에 걸리는 하중에 대응하여 옷걸이 홈(210)의 강도를 증대시켜 내구성을 증진시킨다.
한편, 행거부(200)는 절곡면(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곡면(2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행거 베이스 보강부(230)와 행거 베이스부(220)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절곡면(240)은 행거 베이스 보강부(230)가 행거 베이스부(220)를 향하여 절곡시 접철을 용이하게 한다.
종합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장의 골판지를 절단하고 접음으로써 행거부(20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를 재단하고 화살표의 순서 및 방향에 따라 제1 행거 베이스 보강부(231)와 제2 행거 베이스 보강부(232)를 접철하고(①), 행거 베이스 보강부(230)를 행거 베이스부(220)를 향하여 접철한 후(②), 행거 베이스부(220)를 ③에 따라 접철하여 행거부(20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서 골판지를 절단하는 부위는 실선으로 접는 부위는 점선으로 표시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행거 고정부(300)는 행거 고정 베이스부(320), 고정홈(310)을 구비하는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0) 및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고정 베이스부(320)의 상단측에는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0)가 일체로 형성되며, 행거 고정 베이스부(320)의 양측단에는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340)가 형성된다. 그에 따라,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0) 및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340)는 행거 고정 베이스부(320)를 향하여 접철되어 행거 고정부(300)의 강도를 보강한다.
즉,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0) 및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340) 각각은 행거 고정 베이스부(320)에 접철되어 행거 고정부(300)의 강도를 보강한다.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1), 제2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2) 및 제3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1)와 제2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2) 및 제2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2)와 제3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3) 각각의 사이에는 절곡면(334)를 구비하여 접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절곡면(334)은 제1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1), 제2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2) 및 제3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3)의 접철시 포개짐에 따른 두께를 고려하여 따라 폭이 증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1)는 제1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1 보강부재(331a)와 제1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2 보강부재(33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2)는 제2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1 보강부재(332a)와 제2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2 보강부재(33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333)는 제3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1 보강부재(333a)와 제3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2 보강부재(3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1 보강부재(331a)와 제1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2 보강부재(331b), 제2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1 보강부재(332a)와 제2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2 보강부재(331b) 및 제3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1 보강부재(333a)와 제3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2 보강부재(333b) 각각의 사이에는 고정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1 보강부재(331a), 제1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2 보강부재(331b), 제2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1 보강부재(332a), 제2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2 보강부재(331b), 제3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1 보강부재(333a) 및 제3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제2 보강부재(333b) 각각이 접철선을 기준으로 화살표의 순서(①, ②, ③, ④, ⑤) 및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접철됨에 따라 고정홈(310)은 포개지기 때문에 강도가 증대된다. 또한, 접철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완벽하게 상호 포개지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재(341, 342, 343, 344) 및 절곡면(34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골판지를 절단하는 부위는 실선으로 접는 부위는 점선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340)는 골판지를 재단하고 화살표의 순서(①, ②, ③, ④, ⑤) 및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재(341, 342, 343, 344, 345)를 순차적으로 접철하여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34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면(34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재(342, 343, 344, 345)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절곡시 접철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절곡면(347)은 복수 개의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재(341, 342, 343, 344)의 접철시 포개짐에 따른 두께를 고려하여 따라 폭이 증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재(341, 342)의 접철시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재(341, 342)의 두께를 고려하여 절곡선(346)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대해 실시 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고안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박스용 옷걸이 행거 100 : 박스
110 : 수납 공간 120 : 덮개
200 : 행거부 210 : 옷걸이 홈
220 : 행거 베이스부 221 : 제1 행거 베이스
222 : 제2 행거 베이스 223 : 접철선
230 : 행거 베이스 보강부 231 : 제1 행거 베이스 보강부
232 : 제2 행거 베이스 보강부 233 : 보강홈
240, 334, 345 : 절곡면 300 : 행거 고정부
310 : 고정홈 320 : 행거 고정 베이스부
330 :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
340 :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

Claims (6)

  1. 수용 공간이 형성된 박스에 삽입되는 종이 재질의 박스용 옷걸이 행거에 있어서,
    옷걸이 홈을 구비하여 상기 박스의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며, 제1 행거 베이스 및 제2 행거 베이스를 포함하는 행거부와;
    상기 행거부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행거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 고정부는 상기 박스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 행거 베이스 및 상기 제2 행거 베이스 각각의 일측에는 일체로 형성된 상기 행거 베이스 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행거 베이스 보강부는 상기 제1 행거 베이스 및 상기 제2 행거 베이스 각각의 일명에 맞닿도록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용 옷걸이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기 설정된 접철선을 기준으로 제1 행거 베이스와 제2 행거 베이스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용 옷걸이 행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베이스 보강부는
    상기 행거 베이스 보강부의 접철시 상기 옷걸이 홈에 포개지도록 형성된 옷걸이 보강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용 옷걸이 행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고정부는 상기 행거부의 양측단이 설치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용 옷걸이 행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고정부는
    행거 고정 베이스부와;
    상기 고정홈을 구비하는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와;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 고정 베이스 상단 보강부와 상기 행거 고정 베이스 측단 보강부 각각은 상기 행거 고정 베이스부를 향하여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용 옷걸이 행거.
KR2020130008281U 2013-10-08 2013-10-08 박스용 옷걸이 행거 KR2004766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281U KR200476686Y1 (ko) 2013-10-08 2013-10-08 박스용 옷걸이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281U KR200476686Y1 (ko) 2013-10-08 2013-10-08 박스용 옷걸이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686Y1 true KR200476686Y1 (ko) 2015-03-20

Family

ID=5305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281U KR200476686Y1 (ko) 2013-10-08 2013-10-08 박스용 옷걸이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6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17626A1 (it) * 2020-07-21 2022-01-21 Allpack Srl Appendiabiti per scatole in cartone e simili.
IT202100015146A1 (it) * 2021-06-10 2022-12-10 Allpack Srl Appendiabiti per scatole in cartone e simili e relativa scatol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416Y1 (ko) * 1989-11-30 1992-02-24 성도어패럴 주식회사 행 거
JPH078217U (ja) * 1993-07-14 1995-02-03 小倉美術印刷株式会社 瓶類の包装用箱
JPH10250719A (ja) * 1997-03-10 1998-09-22 Nakatsugawa Hoso Kogyo Kk 衣類運搬用包装箱
KR20090012143U (ko) * 2008-05-26 2009-12-01 노영환 의류 수납용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416Y1 (ko) * 1989-11-30 1992-02-24 성도어패럴 주식회사 행 거
JPH078217U (ja) * 1993-07-14 1995-02-03 小倉美術印刷株式会社 瓶類の包装用箱
JPH10250719A (ja) * 1997-03-10 1998-09-22 Nakatsugawa Hoso Kogyo Kk 衣類運搬用包装箱
KR20090012143U (ko) * 2008-05-26 2009-12-01 노영환 의류 수납용 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17626A1 (it) * 2020-07-21 2022-01-21 Allpack Srl Appendiabiti per scatole in cartone e simili.
IT202100015146A1 (it) * 2021-06-10 2022-12-10 Allpack Srl Appendiabiti per scatole in cartone e simili e relativa scatol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686Y1 (ko) 박스용 옷걸이 행거
WO2014178528A1 (ko) 접이식 포장박스
KR20140091370A (ko) 조립식 컨테이너박스의 접힘장치
KR102254438B1 (ko) 종이로 이루어진 배송용 포장 상자
US20120234711A1 (en) Insert ring for a pallet box and pallet box
KR100687922B1 (ko) 포장상자
KR102096712B1 (ko) 포장용 상자
JP3726983B2 (ja) 折畳み式収納箱
KR20170101380A (ko) 접이식 포장박스
KR102467934B1 (ko) 다층 수납이 가능한 포장재
KR20090012143U (ko) 의류 수납용 박스
JP2009292485A (ja) 荷役用パレット
KR102558799B1 (ko) 박스 내측 코너에 설치되는 각대 구조대
CN102897381B (zh) 包装结构及用以制作包装结构的纸板
CN103786995B (zh) 太阳能模块的包装结构
JP2000191024A (ja) 底部用包装材
JP2012062097A (ja) 長尺部材の梱包方法および梱包体
JPH04121272U (ja) コーナー保護材
JPH0118514Y2 (ko)
KR101018252B1 (ko) 종이팔레트
KR200376367Y1 (ko) 포장박스
KR200178624Y1 (ko) 다용도 소품수납함
KR200251057Y1 (ko) 포장용 박스
JP2004352316A (ja) 梱包用緩衝部材
JPH08207929A (ja) 包装用の固定・緩衝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