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261Y1 -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261Y1
KR200476261Y1 KR2020130007991U KR20130007991U KR200476261Y1 KR 200476261 Y1 KR200476261 Y1 KR 200476261Y1 KR 2020130007991 U KR2020130007991 U KR 2020130007991U KR 20130007991 U KR20130007991 U KR 20130007991U KR 200476261 Y1 KR200476261 Y1 KR 200476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tube
tire
tube portion
contain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석
Original Assignee
이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석 filed Critical 이규석
Priority to KR2020130007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2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2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4Supplying air for tyre inflation
    • B60S5/043Supplying air for tyre inflation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control means or the drive of the air pressur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공기가 저장되어 있고,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밀폐형태의 저장용기와; 관형태의 용기연결관바디부와 상기 용기연결관바디부의 종단 외표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를 가지고 상기 용기연결관바디부가 상기 연락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저장용기에 결합된 용기연결관부와; 관형태의 타이어연결관바디부와 상기 타이어연결관바디부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절곡형성된 걸림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타이어연결관바디부가 상기 용기연결관바디부에 연통하고 상기 걸림절곡부가 상기 걸림돌부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용기연결관부에 설치된 타이어연결관부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관형태의 공기안내관부와 상기 공기안내관부로부터 단면적이 점점 증가하도록 연장 형성된 테이퍼관부와 상기 테이퍼관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확경관부를 가지고, 상기 공기안내관부가 상기 연락공을 향하도록 상기 타이어연결관부의 내부에 설치된 공기안내부와; 축지지관과 상기 축지지관의 일단으로부터 상호 나란하게 상기 배치되도록 연장형성된 한 쌍의 연결다리부와 상기 연결다리부와 협조하여 디귿자 형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다리부를 연결하고 중앙영역에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부를 가지고, 상기 축지지관을 통해 상기 확경관부에 결합되는 축지지부와; 두께방향을 따라 공기안내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확경관부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블럭과; 안내블럭과 상기 안내블럭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일 영역에 스프링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축부와 상기 전방축부에 대하여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안내블럭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후방축부를 가지고, 상기 후방축부가 상기 공기안내관부를 넘어 돌출되고 상기 안내블럭이 상기 공기안내관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전방축부가 상기 축공을 통과하여 상기 타이어연결관바디부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설치되는 작동축부와;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스프링지지턱에 양단이 지지되고 상기 작동축부가 상기 연락공을 향해 가압될 때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설치되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작동축부가 상기 연락공을 향해 가압될 때 상기 용기연결관부와 상기 공기안내관부 사이가 개방되는 개방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작동축부에 대한 가압상태가 해제될 때 상기 용기연결관부와 상기 공기안내관부 사이가 차단되는 차단위치에 도달하도록 상기 후방축부에 결합된 개폐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공기누출이 발생할 염려를 줄일 수 있고 2회 이상 타이어에 공기주입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Portable Device for Pumping Air into Tire}
본 고안은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하고 다니면서 공기타이어에 형성된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자전거 등과 같이 공기타이어를 바퀴로 사용하고 있는 운송수단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공기타이어는 적당한 수준의 공기압을 유지하기 위해 공기가 주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공기타이어에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공기주입구에는 타이어밸브가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타이어에 대한 공기 주입은 타이어공기주입장치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형태의 타이어공기주입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0은 종래의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의 단면도이고, 도11은 종래의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의 요부단면도이다.
종래의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110)와, 저장용기(110)에 결합된 연결관부(120)와, 연결관부(120)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개스킷(171), 기밀판(174), 격침(173) 및 복귀스프링(172)을 갖고 있다.
저장용기(110)는 요형(凹形)의 용기바디부(111)와, 용기바디부(111)의 상단에 형성된 관형태의 목부(112)를 갖고 있다.
저장용기(110)에는 이산화탄소, 산소, 질소를 포함하는 공기가 압축상태로 저장되어 있다.
연결관부(120)는 관형태의 용기연결관부(121)와, 용기연결관부(121)의 종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타이어연결관부(12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연결관부(120)는 용기연결관부(121)가 목부(112)에 직선상으로 배치되고 용기연결관부(121)가 목부(112)에 연통하도록 저장용기(110)에 나사 결합된다.
각 개스킷(171)은 중앙영역에 개스킷안내공(171a)이 형성되어 있다.
기밀판(174)은 한 쌍의 개스킷(17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격침(173)은 하단이 첨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통과유로(17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격침(173)은 외표면에 지지턱(173b)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격침(173)은 지지턱(173b)이 타이어연결관부(122)의 내표면에 형성된 걸림턱과 걸림작용을 하도록 설치된다.
복귀스프링(172)은 지지턱(173b)과 개스킷(171)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전거에 설치된 타이어주입장치는 주입구유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타이어주입구(201)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타이어주입구(201)와 타이어연결관부(122)를 나사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종래의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를 타이어주입장치에 결합한다.
타이어주입구(201)와 타이어연결관부(122)의 나사결합이 진행되는 동안 타이어주입구(201)는 격침(173)을 가압하게 된다.
타이어주입구(201)가 격침(173)을 가압하는 동안 복귀스프링(172)은 수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고, 격침(173)의 전단은 기밀판(174)을 통과한다.
격침(173)의 전단이 기밀판(174)을 통과함에 따라 타이어주입구(201)와 용기바디부(111)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용기바디부(111)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타이어의 내부로 주입된다.
타이어연결관부(122)를 타이어주입구(201)로부터 분리하면 타이어주입구(201)에 의한 격침(173)의 가압상태는 해제된다.
타이어주입구(201)에 의한 격침(173)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복귀스프링(172)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격침(173)은 원위치로 복귀한다.
격침(173)이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용기바디부(111)의 내부공간과 타이어주입구(201)를 연결하는 유로가 차단된다.
용기바디부(111)의 내부공간과 타이어주입구(201)를 연결하는 유로가 차단됨에 따라 타이어에 대한 압축공기의 주입은 중단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는 2000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6502호(고안의 명칭 : 휴대용 타이어 공기주입기)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에 따르면, 격침(173)에 의해 구멍이 형성된 기밀판(174)은 구멍이 없는 상태로 복구할 수 없기 때문에 공기누출이 발생할 염려가 있고 2회 이상 타이어에 공기주입을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기누출이 발생할 염려를 줄일 수 있고 2회 이상 타이어에 공기주입을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압축공기가 저장되어 있고,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밀폐형태의 저장용기와; 관형태의 용기연결관바디부와 상기 용기연결관바디부의 종단 외표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를 가지고 상기 용기연결관바디부가 상기 연락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저장용기에 결합된 용기연결관부와; 관형태의 타이어연결관바디부와 상기 타이어연결관바디부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절곡형성된 걸림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타이어연결관바디부가 상기 용기연결관바디부에 연통하고 상기 걸림절곡부가 상기 걸림돌부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용기연결관부에 설치된 타이어연결관부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관형태의 공기안내관부와 상기 공기안내관부로부터 단면적이 점점 증가하도록 연장 형성된 테이퍼관부와 상기 테이퍼관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확경관부를 가지고, 상기 공기안내관부가 상기 연락공을 향하도록 상기 타이어연결관부의 내부에 설치된 공기안내부와; 축지지관과 상기 축지지관의 일단으로부터 상호 나란하게 상기 배치되도록 연장형성된 한 쌍의 연결다리부와 상기 연결다리부와 협조하여 디귿자 형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다리부를 연결하고 중앙영역에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부를 가지고, 상기 축지지관을 통해 상기 확경관부에 결합되는 축지지부와; 두께방향을 따라 공기안내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확경관부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블럭과; 안내블럭과 상기 안내블럭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일 영역에 스프링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축부와 상기 전방축부에 대하여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안내블럭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후방축부를 가지고, 상기 후방축부가 상기 공기안내관부를 넘어 돌출되고 상기 안내블럭이 상기 공기안내관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전방축부가 상기 축공을 통과하여 상기 타이어연결관바디부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설치되는 작동축부와;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스프링지지턱에 양단이 지지되고 상기 작동축부가 상기 연락공을 향해 가압될 때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설치되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작동축부가 상기 연락공을 향해 가압될 때 상기 용기연결관부와 상기 공기안내관부 사이가 개방되는 개방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작동축부에 대한 가압상태가 해제될 때 상기 용기연결관부와 상기 공기안내관부 사이가 차단되는 차단위치에 도달하도록 상기 후방축부에 결합된 개폐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공기주입구가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타이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용기는 요형의 용기바디부와, 상기 용기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된 관형태의 목부와, 상기 목부의 상단에 결합된 용기마개부를 가지고; 상기 연락공은 상기 용기마개부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연결관부는 상기 용기연결관바디부가 상기 목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마개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타이어주입구와 타이어연결관부의 결합동작에 연동하여 개폐플랜지가 공기안내관부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공기누출이 발생할 염려를 줄일 수 있고 2회 이상 타이어에 공기주입을 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작동축부와 개폐플랜지의 사시도,
도4는 도2에 도시된 공기안내부의 사시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축지지부의 사시도,
도6은 도2에 도시된 지지블럭의 사시도,
도7은 도2에 도시된 용기연결관부의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의 요부단면도,
도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를 사용하여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종래의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의 단면도,
도11은 종래의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의 요부단면도,
도12는 종래의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를 사용하여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작동축부와 개폐플랜지의 사시도이고, 도4는 도2에 도시된 공기안내부의 사시도이고, 도5는 도2에 도시된 축지지부의 사시도이고, 도6은 도2에 도시된 지지블럭의 사시도, 도7은 도2에 도시된 용기연결관부의 사시도이고, 도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의 요부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10)와, 저장용기(10)에 결합된 용기연결관부(20)와, 용기연결관부(20)에 설치된 타이어연결관부(30)와, 타이어연결관부(30)의 내부에 설치된 공기안내부(40)와, 공기안내부(40)에 결합된 축지지부(50)와, 공기안내부(40)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블럭(71)과, 공기안내부(40)와 타이어연결관부(30)의 내부에 설치된 작동축부(60)와, 지지블럭(71)에 일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복귀스프링(72)과, 작동축부(60)에 결합된 개폐플랜지(73)를 갖고 있다.
저장용기(10)는 요형(凹形)의 용기바디부(11)와, 용기바디부(11)의 상단에 형성된 관형태의 목부(12)와, 목부(12)의 상단에 나사 결합된 용기마개부(13)를 갖고 있다.
용기마개부(13)는 측면(목부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표면)에 연락공(13a)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목부(12)와 연락공(13a)을 연결하는 마개부유로(13b)가 형성되어 있다.
저장용기(10)에는 이산화탄소, 산소, 질소를 포함하는 공기가 압축상태로 저장되어 있다.
용기연결관부(20)는 관형태의 용기연결관바디부(21)와, 용기연결관바디부(21)의 종단외표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2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연결관부(20)는 용기연결관바디부(21)가 목부(12)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용기연결관바디부(21)가 연락공(13a)에 연통하도록 용기마개부(13)에 나사 결합된다.
타이어연결관부(30)는 관형태의 타이어연결관바디부(31)와, 타이어연결관바디부(31)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절곡형성된 걸림절곡부(3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타이어연결관부(30)는 타이어연결관바디부(31)가 용기연결관바디부(21)에 연통하고 걸림절곡부(32)가 걸림돌부(22)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용기연결관부(20)에 설치된다.
공기안내부(40)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관형태의 공기안내관부(41)와, 공기안내관부(41)로부터 단면적이 점점 증가하도록 연장 형성된 테이퍼관부(42)와, 테이퍼관부(42)로부터 연장 형성된 확경관부(43)를 갖고 있다.
확경관부(43)는 상단에 고정플랜지(43a)가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는 지지돌부(4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공기안내부(40)는 공기안내관부(41)가 연락공(13a)을 향하도록 타이어연결관부(30)의 내부에 설치된다. 공기안내부(40)의 설치는 고정플랜지(43a)가 후술하는 축지지관(51)에 고정되고 지지돌부(43b)를 통해 용기연결관바디부(21)의 내표면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축지지부(50)는 축지지관(51)과, 축지지관(51)의 일단으로부터 상호 나란하게 상기 배치되도록 연장형성된 한 쌍의 연결다리부(52)와, 연결다리부(52)와 협조하여 디귿자 형태를 형성하도록 연결다리부(52)를 연결하는 지지판부(53)를 갖고 있다.
지지판부(53)는 중앙영역에 축공(5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축지지부(50)는 축지지관(51)을 통해 확경관부(43)에 나사 결합된다.
지지블럭(71)은 두께방향을 따라 공기안내공(71b)과 축공(7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지지블럭(71)은 테이퍼관부(42)에 지지되도록 확경관부(43)의 내부에 설치된다.
작동축부(60)는 안내블럭(61)과, 안내블럭(61)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일 영역에 스프링지지턱(62a)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축부(62)와, 전방축부(62)에 대하여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안내블럭(6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후방축부(63)를 갖고 있다.
전방축부(62)는 종단에 이탈방지돌부(6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작동축부(60)는 후방축부(63)가 공기안내관부(41)를 넘어 돌출되고, 안내블럭(61)이 공기안내관부(41)를 따라 이동하고, 전방축부(62)가 축공(53a)을 통과하여 타이어연결관바디부(31)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설치된다.
스프링지지턱(62a)과 이탈방지돌부(62b)는 작동축부(60)를 설치하고 난 다음에 형성된다.
복귀스프링(72)은 타단이 스프링지지턱(62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복귀스프링(72)은 작동축부(60)가 연락공(13a)을 향해 가압될 때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개폐플랜지(73)는 후방축부(63)에 결합된다. 여기서 후방축부(63)에 대한 결합은 작동축부(60)가 연락공(13a)을 향해 가압될 때 용기연결관부(20)와 공기안내관부(41) 사이가 개방되는 개방위치에 도달하고, 작동축부(60)에 대한 가압상태가 해제될 때 용기연결관부(20)와 공기안내관부(41) 사이가 차단되는 차단위치에 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전거에 설치된 타이어주입장치는 주입구유로(201a)를 형성하는 관형태의 타이어주입구(201)와, 타이어주입구(201)의 내부에 설치된 주입장치지지부(204)와, 주입장치지지부(204)를 통과하도록 설치된 주입장치작동축(202)과, 주입장치지지부(204)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부턱과 주입장치작동축(202)에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주입장치스프링(203)을 갖고 있다. 여기서 주입장치지지부(204)는 본 고안의 축지지부(50)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
먼저 타이어주입구(201)와 타이어연결관부(30)를 나사결합시키는 방법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를 타이어주입장치에 결합한다.
타이어주입구(201)와 타이어연결관부(30)의 나사결합이 진행되는 동안 전방축부(62)는 주입장치작동축(202)을 가압하게 된다.
전방축부(62)가 주입장치작동축(202)을 가압하는 동안 주입장치스프링(203)은 신장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고, 주입장치작동축(202)의 일단에 형성된 개폐판은 주입장치지지부(204)로부터 분리된다.
주입장치작동축(202)의 일단에 형성된 개폐판이 주입장치지지부(204)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타이어주입구(201)와 타이어 내부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한편 전방축부(62)가 주입장치작동축(202)을 가압하는 동안 안내블럭(61)과 개폐플랜지(73)는 각각 공기안내관부(41)로부터 분리되고, 복귀스프링(72)은 수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된다.
안내블럭(61)과 개폐플랜지(73)가 공기안내관부(41)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용기바디부(11)의 내부공간과 타이어주입구(201)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타이어주입구(201)와 타이어 내부를 연결하는 유로와 용기바디부(11)의 내부공간과 타이어주입구(201)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됨에 따라 용기바디부(11)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타이어의 내부로 주입된다.
타이어연결관부(30)를 타이어주입구(201)로부터 분리하면 전방축부(62)에 의한 주입장치작동축(202)의 가압상태는 해제된다.
전방축부(62)에 의한 주입장치작동축(202)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주입장치스프링(203)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주입장치작동축(202)의 일단에 형성된 개폐판은 주입장치지지부(204)에 밀착된다.
주입장치작동축(202)의 일단에 형성된 개폐판이 주입장치지지부(204)에 밀착됨에 따라 타이어주입구(201)와 타이어 내부를 연결하는 유로가 차단된다.
한편 전방축부(62)에 의한 주입장치작동축(202)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복귀스프링(72)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안내블럭(61)과 개폐플랜지(73)는 각각 원위치로 복귀한다.
안내블럭(61)과 개폐플랜지(73)가 각각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용기바디부(11)의 내부공간과 타이어주입구(201)를 연결하는 유로가 차단된다.
타이어주입구(201)와 타이어 내부를 연결하는 유로와 용기바디부(11)의 내부공간과 타이어주입구(201)를 연결하는 유로가 차단됨에 따라 타이어에 대한 압축공기의 주입은 중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주입구(201)와 타이어연결관부(30)의 결합동작에 연동하여 개폐플랜지(73)가 공기안내관부(41)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공기누출이 발생할 염려를 줄일 수 있고 2회 이상 타이어에 공기주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용기마개부(13)에 연락공(13a)을 형성하고, 용기연결관바디부(21)가 목부(12)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용기마개부(13)에 용기연결관부(20)를 결합함으로써, 공기주입구(201)가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타이어 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10, 110 : 저장용기 11, 111 : 용기바디부
12, 112 : 목부 20, 121 : 용기연결관부
30, 122 : 타이어연결관부 40 : 공기안내부
41 : 공기안내관부 42 : 테이퍼관부
43 : 확경관부 50 : 축지지부
51 : 축지지관 52 : 연결다리부
53 : 지지판부 60 : 작동축부
61 : 안내블럭 62 : 전방축부
63 : 후방축부 71 : 지지블럭
72, 174 : 복귀스프링 73 : 개폐플랜지
173 : 격침

Claims (2)

  1. 압축공기가 저장되어 있고, 요형(凹形)의 용기바디부와 상기 용기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된 관형태의 목부와 상기 목부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고 측면에는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목부와 상기 연락공을 연결하는 마개부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마개부를 구비한 밀폐형태의 저장용기와;
    관형태의 용기연결관바디부와 상기 용기연결관바디부의 종단 외표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를 가지고, 상기 용기연결관바디부가 상기 연락공에 연통하고 상기 목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마개부에 결합된 용기연결관부와;
    관형태의 타이어연결관바디부와 상기 타이어연결관바디부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절곡형성된 걸림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타이어연결관바디부가 상기 용기연결관바디부에 연통하고 상기 걸림절곡부가 상기 걸림돌부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용기연결관부에 설치된 타이어연결관부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관형태의 공기안내관부와 상기 공기안내관부로부터 단면적이 점점 증가하도록 연장 형성된 테이퍼관부와 상기 테이퍼관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확경관부를 가지고, 상기 공기안내관부가 상기 연락공을 향하도록 상기 타이어연결관부의 내부에 설치된 공기안내부와;
    축지지관과 상기 축지지관의 일단으로부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연장형성된 한 쌍의 연결다리부와 상기 연결다리부와 협조하여 디귿자 형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다리부를 연결하고 중앙영역에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부를 가지고, 상기 축지지관을 통해 상기 확경관부에 결합되는 축지지부와;
    두께방향을 따라 공기안내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확경관부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블럭과;
    안내블럭과 상기 안내블럭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일 영역에 스프링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축부와 상기 전방축부에 대하여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안내블럭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후방축부를 가지고, 상기 후방축부가 상기 공기안내관부를 넘어 돌출되고 상기 안내블럭이 상기 공기안내관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전방축부가 상기 축공을 통과하여 상기 타이어연결관바디부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설치되는 작동축부와;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스프링지지턱에 양단이 지지되고 상기 작동축부가 상기 연락공을 향해 가압될 때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설치되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작동축부가 상기 연락공을 향해 가압될 때 상기 용기연결관부와 상기 공기안내관부 사이가 개방되는 개방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작동축부에 대한 가압상태가 해제될 때 상기 용기연결관부와 상기 공기안내관부 사이가 차단되는 차단위치에 도달하도록 상기 후방축부에 결합된 개폐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

  2. 삭제
KR2020130007991U 2013-09-27 2013-09-27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 KR200476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991U KR200476261Y1 (ko) 2013-09-27 2013-09-27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991U KR200476261Y1 (ko) 2013-09-27 2013-09-27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261Y1 true KR200476261Y1 (ko) 2015-02-12

Family

ID=5259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991U KR200476261Y1 (ko) 2013-09-27 2013-09-27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26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345U (ko) * 1999-05-04 2000-12-05 오세진 비상용 타이어 공기 주입기
KR200283384Y1 (ko) 2002-05-03 2002-07-26 김영엽 충전식 공기주입기
JP2004068954A (ja) 2002-08-07 2004-03-04 Pacific Ind Co Ltd バルブコア
JP2009029036A (ja) 2007-07-27 2009-02-12 Bridgestone Corp バルブアダプタ、及びこれを備えた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345U (ko) * 1999-05-04 2000-12-05 오세진 비상용 타이어 공기 주입기
KR200283384Y1 (ko) 2002-05-03 2002-07-26 김영엽 충전식 공기주입기
JP2004068954A (ja) 2002-08-07 2004-03-04 Pacific Ind Co Ltd バルブコア
JP2009029036A (ja) 2007-07-27 2009-02-12 Bridgestone Corp バルブアダプタ、及びこれを備えた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716B2 (en) Vehicle-carried air compression device
WO2007011888A3 (en) Auto-injection syringe having vent device
US9193229B2 (en) Tire repair device
US7562671B2 (en) Auto-switching valve connector for air pump
JP6060247B2 (ja) シール・ポンプアップ装置構造
US20110123262A1 (en) Inflation nozzle capable of connecting with two types of tire valves
KR20130031766A (ko) 타이어 세멘트를 포함하는 타이어 수리 장치
ES2727434T3 (es) Válvula de retención piloto
WO2018166041A1 (zh) 可泄压式单向阀装置
US20160166079A1 (en) Inflation device for an inflatable mattress
US20170009922A1 (en) Quick Connector Structure for a Pneumatic Valve
US20110280756A1 (en) Valve device for a pump
US8893741B2 (en) Pressure relief valve
JP2018200044A (ja) プッシュ型ノズルアセンブリ
CN202641279U (zh) 气门转接器和具有该气门转接器的自行车
KR200476261Y1 (ko) 휴대용 타이어공기주입장치
EP2390502A1 (en) Inflation nozzle capable of connecting with two types of tire valves
JP6559360B2 (ja) ボトル・キャップ及びボトル・キャップの使用方法
US20130186979A1 (en) Nozzle Head for Air Pump
CN107212469B (zh) 储油注油瓶
JP5714860B2 (ja) 復水トラップ用弁要素および復水トラップ
US9610838B2 (en) Fluid receiver
JP2001004054A (ja) タイヤ用エアバルブ
JP3189236U (ja) タイヤ修理装置
US20120085958A1 (en) Plastic formed inflation mouth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