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207Y1 -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207Y1
KR200476207Y1 KR2020130003012U KR20130003012U KR200476207Y1 KR 200476207 Y1 KR200476207 Y1 KR 200476207Y1 KR 2020130003012 U KR2020130003012 U KR 2020130003012U KR 20130003012 U KR20130003012 U KR 20130003012U KR 200476207 Y1 KR200476207 Y1 KR 200476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ll
rotating
decelerating
de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557U (ko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김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연 filed Critical 김태연
Priority to KR2020130003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20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5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5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2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7Brakes preventing fast screen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7Brakes preventing fast screen movement
    • E06B2009/808Fluid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에서 오일 유동에 따른 저항력에 기인하는 감속 기능을 갖는 감속부재를 설치함에 있어, 기존 롤 스크린 장치에서 간단한 구조 변경 내지 부가만으로 효과적인 감속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성능 대비 제조비용이 현저히 저감된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롤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는 회전롤; 상기 회전롤 양측에 결착되어 상기 회전롤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 회전롤 하우징 및 제2 회전롤 하우징; 상기 롤 스크린이 출입하도록 상기 회전롤 및 상기 회전롤 하우징을 수용하는 롤 스크린 하우징; 상기 롤 스크린 하우징 양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캡 및 제2 하우징 캡; 상기 제1 하우징 캡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캡에 축설된 고정축과 함께 설치되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토션스프링 양측에 설치되고, 내부 중공에 상기 고정축이 관통되고,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상기 나선홈에 상기 토션스프링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를 포함하는 롤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는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 캡에 회전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롤 하우징은 상기 제1 지지체 외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은 내경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2 하우징 캡의 제1 연결축에 회전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 캡의 제2 연결축에 고정 결합되는 감속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감속부재는 외면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첨예부를 갖는 다수의 감속편이 동일하게 경사진 배향으로 볼록한 만곡면 및 오목한 만곡면을 형성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첨예부의 볼록한 만곡면이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 내면에 접하고, 상기 감속부재 외면 및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 내면 사이에 점성오일이 충진되고, 상기 점성오일의 누유방지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ROLL SCREEN DEVICE HAVING REDUCTION ELEMENT}
본 고안은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롤 스크린 권취 시 급속한 권취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롤 스크린 장치에서 롤 스크린이 회전롤에 권취 시 회전롤 내부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의 강한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급속히 권취되어 사용자를 놀라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중 심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롤 스크린이 회전롤에 권취되는 것은 비틀림 압력을 받고 있는 토션스프링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 급속히 권취되는 것인데, 롤 스크린이 권취될수록 가속도가 붙어 더욱 급속히 권취되면서 사용자가 놀라게 되고, 이러한 가속에 의해 롤 스크린 하단에 설치된 손잡이 바 등이 회전롤을 수용하는 롤 스크린 하우징 등에 충격을 가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감속 기능을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에 관해 다수의 선행기술들이 개시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0909039호는 회전축의 일측 내부에 회전제어용 감속회전체가 삽입되어 회전체의 내경에 물림 결합되도록 하여, 토션스프링의 비틀림 압축에 의한 탄성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감속장치에 관해 개시하고 있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0271호는 드럼관 내부의 기어부재 및 원웨이부재와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감속부재가 서로 분리 구성되면서, 결합부재의 연결부 원형외측면이 감속부재 중앙의 원형내측면을 통해 상호 결합되어 결합부재와 감속부재 두 곳에서 각각의 원웨이 원심력이 발생됨에 의한 감속부재의 원웨이 원심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감속장치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이들 선행기술은 어느 정도의 감속 효과는 있으나 다수의 기어를 정밀하게 구현해야 하는 등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기어 마모 등에 따른 감속 성능 저하 및 오작동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0549463호는 감속드럼의 공간부에 일측이 점성이 높은 오일과 마찰 접촉하도록 삽입되고 다른 일측은 외부로 노출되며 자유단에 래칫형 결합돌기들을 형성하여서 된 저항형 부시와, 고정축에 끼워져서 탄력적으로 유동되도록 설치되며 자유단에 저항형 부시의 래칫형 결합돌기와 대응하는 래칫형 걸림돌기들을 형성하여서 된 단속구로 구성된 감속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2511호는 롤 스크린이 권취될 때 감속구 내부에 충진된 점성유체 속을 회전날개가 회전하면서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선행기술에서는 점성 유체 또는 오일을 이용한 감속장치를 제시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한 것에 비해 점성 유체 또는 오일에 의한 감속 효과가 크지 않은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2-0003885호는 래칫 등 기계적 구조 없이 축봉의 연장편에 감속부를 장착하되 감속부 내부의 축봉에는 감속부와 간극을 두고 감속드럼을 고정하고 간극에 점착성 그리스를 충전하여 캡으로 마감한 구성의 감속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선행기술은 단순한 구조의 감속장치를 제시하고는 있으나, 점착성 그리스가 충전된 감속부에 의한 감속 효과가 미흡한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98404호는 감속이 감속기케이스 내부 감속사프트의 원심력에 의한 오일의 유동시 발생하는 저항력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감속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선행기술은 어느 정도의 감속 효과를 발휘하여 충격에 따른 소음 문제는 해결할 수는 있으나, 구조적으로 오일 유동에 따른 저항력이 약하여 스크린이 부드럽게 상승하도록 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기존 롤 스크린 구조에 감속기케이스, 연결 하우징, 스프링 등 별도의 구성이나 불필요한 구성들이 추가되는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제조비용 상승이 문제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에서 오일 유동에 따른 저항력에 기인하는 감속 기능을 갖는 감속부재를 설치함에 있어, 기존 롤 스크린 장치에서 간단한 구조 변경 내지 부가만으로 효과적인 감속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성능 대비 제조비용이 현저히 저감된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오일 유동에 따른 저항력을 이용한 감속 기능 구현에 있어, 감속부재의 형상 변경을 통해 감속 성능이 향상된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롤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는 회전롤; 상기 회전롤 양측에 결착되어 상기 회전롤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 회전롤 하우징 및 제2 회전롤 하우징; 상기 롤 스크린이 출입하도록 상기 회전롤 및 상기 회전롤 하우징을 수용하는 롤 스크린 하우징; 상기 롤 스크린 하우징 양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캡 및 제2 하우징 캡; 상기 제1 하우징 캡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캡에 축설된 고정축과 함께 설치되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토션스프링 양측에 설치되고, 내부 중공에 상기 고정축이 관통되고,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상기 나선홈에 상기 토션스프링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를 포함하는 롤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는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 캡에 회전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롤 하우징은 상기 제1 지지체 외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은 내경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2 하우징 캡의 제1 연결축에 회전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 캡의 제2 연결축에 고정 결합되는 감속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감속부재는 외면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첨예부를 갖는 다수의 감속편이 동일하게 경사진 배향으로 볼록한 만곡면 및 오목한 만곡면을 형성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첨예부의 볼록한 만곡면이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 내면에 접하고, 상기 감속부재 외면 및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 내면 사이에 점성오일이 충진되고, 상기 점성오일의 누유방지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누유방지 수단은, 상기 감속부재 외면에서 상기 감속편 일측에 연접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 내면에 접하는 차폐부와,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의 타단이 개구되어, 삽입된 상기 감속부재에 밀착하여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 내면에 끼움 결합되는 관통공을 구비한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 일측에서 상기 감속부재에 밀착된 부위에 형성된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고무링과, 상기 체결편의 관통공 및 상기 감속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삽입 고정되는 체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누유방지 수단은, 상기 감속부재 외면에서 상기 감속편 일측에 연접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 내면에 접하는 차폐부와,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의 타단이 차폐되어 일체로 형성된 차폐면이 상기 감속편 타측에 연접하여 형성된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감속부재는 폴리우레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은 상기 롤 스크린을 권취 시 상기 경사진 배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에 있어, 기존 롤 스크린 장치에서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회전롤 하우징 내부에 감속부재가 삽입된 구조로 되어 있어, 불필요한 부재 없이 제조가 간단하고, 종래 롤 스크린 구조에서 간단한 구조 변경 내지 부가만으로 효과적인 감속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여 성능 대비 제조비용이 현저히 저감된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일 유동에 따른 저항력을 이용한 감속부재로서 임펠라 원리를 이용한 특정 구조의 감속편이 형성된 감속부재를 채용함에 따라 감속 성능이 극적으로 향상된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감속부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분해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A" 방향 및 "B" 방향으로 바라본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C" 방향으로 바라본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와 일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 감속부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분해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봉인 장치의 세부구성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고안자는 종래 구조가 복잡하고 잦은 오작동을 일으키는 기계적 구조 없이 오일 유동에 따른 저항력을 이용한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에 있어, 불필요한 부재 없이 제조가 간단하면서도 종래 롤 스크린 구조에서 간단한 구조 변경 내지 부가만으로도 효과적인 감속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기존 롤 스크린 장치에서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회전롤 하우징 내부에 감속부재를 삽입하되, 오일 유동에 따른 저항력을 이용한 감속부재로서 임펠라 원리를 이용한 특정 구조의 감속편이 형성된 감속부재를 채용할 경우 감속 성능이 월등히 향상됨을 발견하고 본 고안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롤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는 회전롤; 상기 회전롤 양측에 결착되어 상기 회전롤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 회전롤 하우징 및 제2 회전롤 하우징; 상기 롤 스크린이 출입하도록 상기 회전롤 및 상기 회전롤 하우징을 수용하는 롤 스크린 하우징; 상기 롤 스크린 하우징 양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캡 및 제2 하우징 캡; 상기 제1 하우징 캡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캡에 축설된 고정축과 함께 설치되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토션스프링 양측에 설치되고, 내부 중공에 상기 고정축이 관통되고,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상기 나선홈에 상기 토션스프링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를 포함하는 롤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는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 캡에 회전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롤 하우징은 상기 제1 지지체 외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은 내경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2 하우징 캡의 제1 연결축에 회전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 캡의 제2 연결축에 고정 결합되는 감속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감속부재는 외면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첨예부를 갖는 다수의 감속편이 동일하게 경사진 배향으로 볼록한 만곡면 및 오목한 만곡면을 형성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첨예부의 볼록한 만곡면이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 내면에 접하고, 상기 감속부재 외면 및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 내면 사이에 점성오일이 충진되고, 상기 점성오일의 누유방지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에 따른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감속부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분해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100)는 먼저, 종래 롤 스크린 장치에 채용되는 구조, 즉,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롤 스크린(S)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는 회전롤(110); 상기 회전롤(110) 양측에 결착되어 상기 회전롤(110)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 회전롤 하우징(121) 및 제2 회전롤 하우징(122); 상기 롤 스크린(S)이 출입하도록 상기 회전롤(110) 및 상기 회전롤 하우징(121, 122)을 수용하는 롤 스크린 하우징(130); 상기 롤 스크린 하우징(130) 양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캡(141) 및 제2 하우징 캡(142); 상기 제1 하우징 캡(141)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캡(142)에 축설된 고정축(150)과 함께 설치되는 토션스프링(160); 및 상기 토션스프링(160) 양측에 설치되고, 내부 중공에 상기 고정축(150)이 관통되고,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상기 나선홈(미도시)에 상기 토션스프링(160)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지지체(171) 및 제2 지지체(17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롤(110)은 길게 연장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일 수 있고, 롤 스크린(S) 끝단에 설치된 손잡이 바(미도시) 등 권출 수단의 인출 고정 또는 탈착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롤 스크린(S)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때, 롤 스크린(S)은 일반적인 방충망 등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라면 그 적용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회전롤(110)에 감길 수 있는 롤 방식의 스크린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예컨대, 롤 스크린(S)은 롤 커텐 등을 의미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회전롤 하우징(121) 및 제2 회전롤 하우징(122)은 회전롤(110)에 결착되어 회전롤(110)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고정된 하우징 캡(141, 142)에 직접 연결 또는 매개 연결될 수 있다. 회전롤(110)과의 결착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롤 하우징(121) 및 제2 회전롤 하우징(122) 외면에 형성된 결착홈(121a, 122a)에 회전롤 내면에 대응 형성된 연결테(미도시)가 슬라이딩 결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착홈(121a) 및 연결테가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나사 결합, 리벳 결합 등 다양한 결합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롤 스크린 하우징(130)은 회전롤(110)에 권취 또는 권출되는 롤 스크린(S)이 출입하도록 하고, 회전롤 하우징(121, 122)을 수용하는 수단으로서, 길게 연장된 중공형의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등 통상의 롤 스크린 장치에 적용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캡(141) 및 제2 하우징 캡(142)은 롤 스크린 하우징(130) 양측에 고정 결합되어 롤 스크린 하우징(130) 측면을 마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회전롤 하우징(121) 또는 제2 회전롤 하우징(122)과 직접 회전 결합되거나, 지지체(171, 172)를 매개로 하여 회전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토션스프링(160)은 제1 하우징 캡(141) 또는 제2 하우징 캡(142)에 축설된 고정축(150)을 감싸는 형태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비틀림 압축에 의한 탄성력이 회전롤(110)에 전달되어 권취 시 회전롤(110)이 역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회전롤(110)에 탄성력 전달은 제1 지지체(171) 또는 제2 지지체(172)에 의해 매개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체(171) 및 제2 지지체(172)는 토션스프링(160) 양측에 설치되고, 내부 중공에 고정축(150)이 관통되어,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홈에 토션스프링(160)이 체결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지지체(171)는 일측이 제1 하우징 캡(141)에 회전 결합되면서, 중간부에 형성된 연결테(171a)에 제1 회전롤 하우징(121) 내경에 형성된 결착홈(미도시)이 슬라이딩 결착되어 고정됨으로써, 회전롤(110)에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롤 하우징(121)은 전체적으로 관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122) 역시 관통형으로 형성되나, 제1 회전롤 하우징(121)과 달리 일단이 제2 하우징 캡(142)에 직접 회전 결합된다. 즉, 제1 회전롤 하우징(121)이 제1 지지체(171)를 매개로 제1 하우징 캡(141)에 회전 결합되는 것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체(172)는 제2 회전롤 하우징(122)과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2 회전롤 하우징(122)은 감속부재(180) 삽입을 위한 삽입부(122b)가 형성되며, 감속부재(180)는 일측 외경(D1)이 작게 형성되어 대응되는 제2 회전롤 하우징(122) 내경에 형성된 단턱부(122c)에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22b)에 삽입된 감속부재(180)와 함께 제2 회전롤 하우징(122)은 제2 하우징 캡(142)에 외경을 달리하여 형성된 연결축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제2 하우징 캡(142)의 연결축은 외경이 보다 큰 제1 연결축(142a)과 외경이 보다 작은 제2 연결축(142b)으로 구성되어, 제1 연결축(142a)에 제2 회전롤 하우징(122)이 회전 결합되고, 제2 연결축(142b)에 감속부재(180)가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롤(11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 감속부재(180)는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게 된다.
도 3은 도 2에서 "A" 방향(a) 및 "B" 방향(b)으로 바라본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부재(180) 및 제2 연결축(142b)의 고정 결합은 감속부재(180) 일측 내경에 복수의 결합홈(181)이 형성되고, 대응하여 제2 연결축(142b)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142c)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감속부재(180)와 제2 연결축(142b)의 결합으로 감속부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라면, 결합홈(181) 및 돌출부(142c)의 형상이나 갯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서 "C" 방향으로 바라본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와 일부 확대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감속부재(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82)이 형성되고, 이른바 임펠라 구조와 유사하게 외면(183)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첨예부(184a)를 갖는 다수의 감속편(184)이 동일하게 경사진 배향(도면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배향됨)으로 볼록한 만곡면(184b) 및 오목한 만곡면(184c)을 형성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첨예부(184a)가 제2 회전롤 하우징(122) 내면에 접하되, 볼록한 만곡면(184b) 측에서 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감속부재(180)의 외면(183) 및 제2 회전롤 하우징(122) 내면 사이, 즉, 감속편(184) 사이(E)에는 점성오일(미도시)이 충진되며, 점성오일의 누유방지 수단이 별도 구비된다. 상기 누유방지 수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사용되는 점성오일은 롤 스크린 장치(100)의 감속 기능 부여를 위해 통상 사용되는 공지의 점성오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오일 유동에 따라 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회전롤(11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 감속편(184)은 고정되고, 제2 회전롤 하우징(122)만이 감속편(184)에 접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제2 회전롤 하우징(122)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원심력과, 감속편(184) 및 제2 회전롤 하우징(122) 내면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내부 점성오일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점성오일의 저항력으로 롤 스크린(S) 권취 시 감속 기능이 구현된다.
본 고안에서는 롤 스크린(S)의 권출 또는 권취에 따라 제2 회전롤 하우징(122)의 회전 방향을 특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즉, 롤 스크린(S) 권출 시에는 제2 회전롤 하우징(122)이 경사진 배향과 동일한 방향(도 4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롤 스크린(S) 권취 시에는 제2 회전롤 하우징(122)이 경사진 배향과 반대 방향(도 4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감속편(184)이 첨예한 형상을 가지고 경사진 배향으로 인해 제2 회전롤 하우징(122)이 경사진 배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토션스프링(160)에 의한 강한 회전력으로 제2 회전롤 하우징(122) 내면과의 과도한 마찰로 인해 첨예부(184a)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일체로 형성되는 감속부재(180)를 약간의 유연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회전롤 하우징(122)이 경사진 배향과 반대 방향(도 4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내부 점성오일의 유동이 극대화된다. 이는 제2 회전롤 하우징(122)의 회전 시 발생하는 자체 원심력에 의한 점성오일의 유동 뿐 아니라, 감속편(184)에 형성된 볼록한 만곡면(184b) 및 오목한 만곡면(184c)을 따라 점성오일이 보다 빠르게 순환 유동될 수 있고, 특히, 첨예부(184a)의 배향 구조 및 재질을 고려할 때 제2 회전롤 하우징(122) 내면과의 마찰력 증가 및 진동 효과로 인해 점성오일의 유동을 배가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점성오일 유동에 따른 저항력이 종래에 비해 월등히 향상되어 롤 스크린(S)이 완전 권취 시까지 부드럽게 감기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누유방지 수단은 감속부재(180) 양측에서 고려된다. 먼저, 제2 하우징 캡(142) 방향으로는, 감속부재(180)의 외면(183)에서 감속편(184) 일측에 연접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제2 회전롤 하우징(122) 내면에 접하는 차폐부(185)에 의해 점성오일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차폐부(185)는 외경이 제2 회전롤 하우징(122) 내경에 대응됨은 물론이고, 보다 효과적인 누유방지를 위해 제2 회전롤 하우징(122) 내경에 형성된 단턱부(122c)에 고무링(미도시)을 개재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 하우징 캡(142) 반대 방향으로는, 개구된 제2 회전롤 하우징(122)의 타단을 차폐하는 수단이 필요하며, 이는 제2 회전롤 하우징(122)에 삽입되는 감속부재(180)에 밀착하여 제2 회전롤 하우징(122) 내면에 끼움 결합되는 관통공(191a)을 구비한 체결편(191)과, 체결편(191) 일측에서 감속부재(180)에 밀착된 부위에 형성된 안착홈(191b) 및 안착홈(191b)에 안착된 고무링(192)과, 체결편(191)의 관통공(191a) 및 감속부재(180)에 형성된 관통공(182)으로 삽입 고정되는 체결구(193)로 구성된 구조를 통해 점성오일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에서 감속부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분해단면도이다.
도 5와 상기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롤 스크린(S)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는 회전롤(110); 상기 회전롤(110) 양측에 결착되어 상기 회전롤(110)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 회전롤 하우징(121) 및 제2 회전롤 하우징(122); 상기 롤 스크린(S)이 출입하도록 상기 회전롤(110) 및 상기 회전롤 하우징(121, 122)을 수용하는 롤 스크린 하우징(130); 상기 롤 스크린 하우징(130) 양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캡(141) 및 제2 하우징 캡(142); 상기 제1 하우징 캡(141)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캡(142)에 축설된 고정축(150)과 함께 설치되는 토션스프링(160); 및 상기 토션스프링(160) 양측에 설치되고, 내부 중공에 상기 고정축(150)이 관통되고,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상기 나선홈(미도시)에 상기 토션스프링(160)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지지체(171) 및 제2 지지체(17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체(171)는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 캡(141)에 회전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롤 하우징(121)은 상기 제1 지지체(171) 외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체(171)에 고정되고,(이상, 도 1 참조)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222)은 내경을 갖는 삽입부(222b)가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2 하우징 캡(242)의 제1 연결축(242a)에 회전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222b)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 캡(242)의 제2 연결축(242b)에 고정 결합되는 감속부재(280)를 구비하되, 상기 감속부재(280)는 외면(283)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첨예부(284a)를 갖는 다수의 감속편(284)이 동일하게 경사진 배향으로 볼록한 만곡면(284b) 및 오목한 만곡면(284c)을 형성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첨예부(284a)의 볼록한 만곡면(284b)이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222) 내면에 접하고, 상기 감속부재(280)의 외면(283) 및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222) 내면 사이에 점성오일이 충진되고, 상기 점성오일의 누유방지 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누유방지 수단은 상기 감속부재(280)의 외면(283)에서 상기 감속편(284) 일측에 연접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222) 내면에 접하는 차폐부(285)와,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222)의 타단이 차폐되어 일체로 형성된 차폐면(222d)이 상기 감속편(284) 타측에 연접하여 형성된 구조로 구성된다. 이하, 제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 장치는 점성오일의 누유방지 수단이 제1 실시예에 비해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제2 회전롤 하우징(222)의 타단이 차폐되어 차폐면(222d)을 형성한 제2 회전롤 하우징(222) 구조로 되어, 제1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 캡(142) 반대 방향에서 누유방지를 위해 구성되는 체결편(191), 안착홈(191b), 고무링(192) 및 체결구(193) 없이도 누유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때, 감속부재(284)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관통공(182)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롤 하우징(222)의 차폐면(222d) 방향으로 막힌 구조로 형성하여 차폐면(222d) 및 감속편(284) 타측의 간극으로 누유될 수 있는 점성오일의 양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감속부재(284)와 제2 하우징 캡(242)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착되도록 하기 위해, 제2 하우징 캡(242)의 제2 연결축(242b)이 1단(242b-1), 2단(242b-2) 및 3단(242b-3)으로 길게 연장되어 대응하는 형상의 감속부재(280) 내경에 결착되는 구조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1단(242b-1)을 생략하고 2단(242b-2) 및 3단(242b-3)만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범위에서 결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롤 스크린 장치 110: 회전롤
121: 제1 회전롤 하우징 122, 222: 제2 회전롤 하우징
130: 롤 스크린 하우징 141: 제1 하우징 캡
142, 242: 제2 하우징 캡 142a, 242a: 제1 연결축
142b, 242b: 제2 연결축 150: 고정축
160: 토션스프링 171: 제1 지지체
172: 제2 지지체 180, 280: 감속부재
181: 감속부재 결합홈 182: 감속부재 관통공
183, 283: 감속부재 외면 184, 284: 감속편
184a, 284a: 첨예부 184b, 284b: 볼록한 만곡면
184c, 284c: 오목한 만곡면 185, 285: 차폐부
191: 체결편 192: 고무링
193: 체결구 222c: 차폐면
S: 롤 스크린

Claims (5)

  1.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롤 스크린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는 회전롤; 상기 회전롤 양측에 결착되어 상기 회전롤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 회전롤 하우징 및 제2 회전롤 하우징; 상기 롤 스크린이 출입하도록 상기 회전롤 및 상기 회전롤 하우징을 수용하는 롤 스크린 하우징; 상기 롤 스크린 하우징 양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캡 및 제2 하우징 캡; 상기 제1 하우징 캡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캡에 축설된 고정축과 함께 설치되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토션스프링 양측에 설치되고, 내부 중공에 상기 고정축이 관통되고,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상기 나선홈에 상기 토션스프링이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를 포함하는 롤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는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 캡에 회전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롤 하우징은 상기 제1 지지체 외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은 내경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2 하우징 캡의 제1 연결축에 회전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 캡의 제2 연결축에 고정 결합되는 감속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감속부재는 외면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첨예부를 갖는 다수의 감속편이 동일하게 경사진 배향으로 볼록한 만곡면 및 오목한 만곡면을 형성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첨예부의 볼록한 만곡면이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 내면에 접하고, 상기 감속부재 외면 및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 내면 사이에 점성오일이 충진되고, 상기 점성오일의 누유방지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누유방지 수단은 상기 감속부재 외면에서 상기 감속편 일측에 연접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 내면에 접하는 차폐부와,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의 타단이 개구되어, 삽입된 상기 감속부재에 밀착하여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 내면에 끼움 결합되는 관통공을 구비한 체결편과, 상기 체결편 일측에서 상기 감속부재에 밀착된 부위에 형성된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고무링과, 상기 체결편의 관통공 및 상기 감속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삽입 고정되는 체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재는 폴리우레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롤 하우징은 상기 롤 스크린을 권취 시 상기 경사진 배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장치.
KR2020130003012U 2013-04-18 2013-04-18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 KR200476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012U KR200476207Y1 (ko) 2013-04-18 2013-04-18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012U KR200476207Y1 (ko) 2013-04-18 2013-04-18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557U KR20140005557U (ko) 2014-10-28
KR200476207Y1 true KR200476207Y1 (ko) 2015-02-12

Family

ID=5245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012U KR200476207Y1 (ko) 2013-04-18 2013-04-18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20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257A (ja) * 1997-12-12 1999-10-05 Hunter Douglas Internatl Nv 建築物遮蔽体用ワインディング機構
KR101098404B1 (ko) * 2011-02-11 2011-12-26 금중식 롤 스크린의 감속장치
KR101206545B1 (ko) * 2011-05-11 2012-11-30 유한회사 두루산업 롤러식 스크린의 감속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257A (ja) * 1997-12-12 1999-10-05 Hunter Douglas Internatl Nv 建築物遮蔽体用ワインディング機構
KR101098404B1 (ko) * 2011-02-11 2011-12-26 금중식 롤 스크린의 감속장치
KR101206545B1 (ko) * 2011-05-11 2012-11-30 유한회사 두루산업 롤러식 스크린의 감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557U (ko)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0791Y1 (ko) 댐퍼 장치
US8038555B2 (en) One-way clutched damper for automatic belt tensioner
US9644423B2 (en) Roll control device of a vehicle curtain
KR200472441Y1 (ko) 롤러블라인드용 드럼 구동장치의 개량 구조체
KR101098404B1 (ko) 롤 스크린의 감속장치
KR102477591B1 (ko) 비대칭 마찰 토크를 생성하는 방법 및 피봇 디바이스
US20170363151A1 (en) Clutch Disk With Torsional Angular-Dependent Friction Damping Device
KR102124029B1 (ko)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
KR200476207Y1 (ko) 감속부재를 구비한 롤 스크린 장치
WO2019244310A1 (ja) 樹脂製歯車及び樹脂製歯車の製造方法
DE102016100889A1 (de) Torsionsschwingungsdämpfer
KR200466831Y1 (ko) 롤 스크린의 감속장치
KR200478992Y1 (ko) 롤 스크린 감속장치
DE202013008515U1 (de) Sonnenblendenanordnung
US20080216970A1 (en) Sunshade assembly suitable for an arcuate window
JP6404394B1 (ja) 直線運動用の可変トルク式回転ダンパー
US7257862B2 (en) Decelerating device for insertion between two relatively rotating members, in particular a drum and an oscillating door for loading the drum in a top-loaded washing machine
DE102014100934B4 (de) Getriebe
TWI522074B (zh) Curtain curtain structure
KR101784430B1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KR100773570B1 (ko) 롤스크린용 제어장치
TWM496432U (zh) 窗簾簾面減速結構
JP6470609B2 (ja) 複合装置
DE466788C (de) Stossdaempf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DE2904543A1 (de) Andrehvorrichtung fuer brennkraftmaschi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