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029B1 -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029B1
KR102124029B1 KR1020180129938A KR20180129938A KR102124029B1 KR 102124029 B1 KR102124029 B1 KR 102124029B1 KR 1020180129938 A KR1020180129938 A KR 1020180129938A KR 20180129938 A KR20180129938 A KR 20180129938A KR 102124029 B1 KR102124029 B1 KR 102124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olding bar
bar cap
protrus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173A (ko
Inventor
박준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80129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0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 사이에 배치되는 스크린 권취관; 상기 스크린 권취관의 양단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스크린 권취관의 양단에 걸리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홀딩바 캡; 상기 홀딩바 캡이 상기 스크린 권취관의 회전축 방향으로 유동 억제되게 조립되는 유동억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에 의해 홀딩바 캡의 유동이 억제되어 사용시 소음이 개선되는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the winding pipe for the cargo screen and the holding bar cap}
본 발명은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홀딩바 캡의 유동이 억제되어 작동소음이 개선되는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유틸리티 비클(Sports Utility Vehicle, SUV)등의 헤치 백형 차량은 뒷자석의 후방에 적재할 수 있도록 러기지 룸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러기지 룸에 적재시 짐이 외부에 노출되어 차량의 외관이 좋지 못하게 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러기지 룸의 양측 러기지 사이드 트림 사이에 카고스크린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카고스크린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ST)에 각각 연결된 커버(12), 스크린(18)이 감기며 양측의 커버(12) 사이에 배치되는 스크린 권취관(10), 양측의 커버(12)와 결합되며 내부에 스크린 권취관(10)이 수용되고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스크린(18)의 인입출구가 형성된 하우징(11), 스크린 권취관(10) 내부에 수용되되 양측은 커버(12)에 삽입 지지되며 토션 스프링(14)의 일측이 걸리는 스틸바(13), 스틸바(13)의 타측이 관통 삽입되는 홀딩바 캡(30)으로 이루어진다.
홀딩바 캡(30)은 스크린 권취관(10)의 내부에 삽입되며 토션 스프링(14)의 타측이 끼워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스크린 권취관(10)과 커버(12) 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일측면이 스크린 권취관(10)의 타측면과 접촉되고, 타측면이 커버(12)와 접촉된다. 따라서 스크린 권취관(10)과 스크린(18)은 커버(12)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이와 유사한 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6363호(이하, '특허문헌 1')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카고스크린은, 스크린(18)을 당겨서 펼친 후 러기지 사이드 트림(ST)에 걸면 러기지 룸(미도시)이 가려지며, 토션 스프링(14)이 복원되려는 탄성력에 의해 풀린 스크린(18)이 스크린 권취관(10)에 감겨진다.
상기 토션 스프링(18) 탄성력 구현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토션 스프링(18) 타측을 홀딩바 캡(30)의 삽입홈(도면부호 미도시)에 삽입하여 지지시키고, 홀딩바 캡(30)을 스크린 권취관(10)과 함께 회전되도록 스크린 권취관(10)의 단부에 삽입하여 지지시킨다. 이때 토션 스프링(14)의 일측은 스틸바(13)의 일측에 끼워져 있다.
이후, 스틸바(13)를 도 3,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션 스프링(14)을 감는다.
토션 스프링(14)과 함께 회전된 스틸바(13)를 커버(12)에 고정시키면 토션 스프링(14)에 모멘트가 발생한다. 이는 토션 스프링(14)의 타측이 홀딩바 캡(30)에 지지되어 있고 일측은 스틸바(13)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스틸바(13)가 회전되면 토션 스프링(14)이 감기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스크린(18)을 펼치기 위해 스크린(18)을 당겨 스크린 권취관(10)을 회전시키면, 스크린 권취관(10) 및 홀딩바 캡(30)이 회전되므로 토션 스프링(14)도 함께 회전되어 토션 스프링(14)의 회전축 방향 길이가 변화되며, 상기 길이 변화로 인해 토션 스프링(14)에 탄성력이 구현되어 카고스크린이 작동된다.
이러한 종래의 카고스크린은 스프링(14)의 회전축 방향 길이 변화에 따라 홀딩바 캡(30)이 회전축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커버(12)와 부딪혀 카고스크린 작동시 소음이 발생되었다.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홀딩바 캡(30)의 외주면에 결합돌기(31)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기(31)와 스크린 권취관(10)이 서로 밀착되도록 하는 방법과, 홀딩바 캡(30)의 플랜지에 반구형상의 지지돌기(32)를 형성하여 커버(12)와 점접촉되게 하는 방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전술된 구조의 카고스크린이 실제 제품에 적용되면 홀딩바 캡(30)이 스크린 권취관(10)과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홀딩바 캡(30)이 회전축 방향으로 밀려 홀딩바 캡(30)의 타측면 또는 지지돌기(32)가 커버(12)와 마찰됨에 따라 카고스크린 작동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었다.
또한, 출원인이 기출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5361호(이하, 특허문헌 2)에 게재된 카고스크린에 관한 기술 또한 홀딩바 캡이 유동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6363호(2009.04.14)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5361호(2005.09.0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고스크린 작동시 홀딩바 캡의 유동이 억제되어 소음이 개선되는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홀딩바 캡과 스크린 권취관의 결합이 용이한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홀딩바 캡과 스크린 권취관의 분리가 용이한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는, 차량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 사이에 배치되는 스크린 권취관; 상기 스크린 권취관의 양단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스크린 권취관의 양단에 걸리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홀딩바 캡; 상기 홀딩바 캡이 상기 스크린 권취관의 회전축 방향으로 유동 억제되게 조립되는 유동억제부재;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는, 상기 유동억제부재는 상기 홀딩바 캡의 몸체에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스크린 권취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피걸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는,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스크린 권취관에 형성된 관통공이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다.
또한, 본 발명의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는, 상기 돌기의 일측면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는, 상기 돌기의 타측면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상기 스크린 권취관의 양단이 걸려 상기 홀딩바 캡의 회전축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는, 상기 홀딩바 캡이 상기 스크린 권취관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의 걸림 위치를 결정하는 걸림위치결정부가 더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는, 상기 걸림위치결정부는 상기 스크린 권취관의 양단에서 회전축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는 걸림위치결정홈과, 상기 홀딩바 캡의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위치결정홈에 끼워지는 걸림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캡의 돌기가 관에 걸려 캡의 회전축 방향의 유동 및 회전 방향 유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캡이 주변의 부품과 마찰되지 않아 카고스크린 사용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위치결정부가 있고, 돌기 일측면의 경사를 이용하여 캡을 관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나 생산자가 외부에 노출된 돌기를 누르고 캡을 타측으로 당기기만 하면 되므로 관과 캡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카고스크린이 설치된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예
도 2는 종래 카고스크린의 봉과 봉에 감긴 스크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봉에 결합된 캡과 토션 스프링과 스틸바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토션 스프링의 타측이 결합된 스틸바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틸바와 결합된 커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스크린의 관과 캡이 서로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에 토션 스프링 설치된 상태의 예
도 9는 도 7, 도 8에 도시된 관의 사시도
도 10은 도 7, 도 8에 도시된 캡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캡의 측면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스크린의 스크린 권취관(100)과 홀딩바 캡(200)이 서로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에 토션 스프링(14)이 결합된 상태의 예이며, 도 9는 도 7, 도 8에 도시된 스크린 권취관(10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 도 8에 도시된 홀딩바 캡(200)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홀딩바 캡(200)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회전축 방향은 도 7에 B를 기재한 화살표 방향이고, 회전 방향은 도 7에 C를 기재한 화살표가 달린 선의 방향이다. 상기 C를 기재한 화살표가 달린 선의 방향은 스크린 권취관(100) 및 홀딩바 캡(200)의 원주 방향과 같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차량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ST) 사이에 배치되는 스크린 권취관(100); 상기 스크린 권취관(100)의 양단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스크린 권취관(100)의 양단에 걸리는 플랜지(290)를 포함하는 홀딩바 캡(200); 상기 홀딩바 캡(200)이 상기 스크린 권취관(100)의 회전축 방향으로 유동 억제되게 조립되는 유동억제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는, 양측의 커버(12)에 지지되며 일측에 토션 스프링(14)의 일측이 걸리는 스틸바(13), 상기 토션 스프링(14)을 더 포함한다. 스틸바(13)의 타측과 토션 스프링(14)의 타측은 홀딩바 캡(200)과 연결된다.
전술된 본 발명은 스크린(18)이 풀리고 되감길 때, 토션 스프링(14)이 회전되어 길이가 변화된다. 이로 인해 토션 스프링(14)이 연결된 홀딩바 캡(200)은 타측으로 밀리게 되나, 상기 돌기(231)의 타측면이 상기 스크린 권취관(100)에 걸리므로, 상기 토션 스프링(14)이 회전되어 길이가 변형되어도 상기 홀딩바 캡(200)이 회전축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홀딩바 캡(200)과 스크린 권취관(100)이 분리되지 않아 홀딩바 캡(200)의 회전축 방향 및 회전 방향 유동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홀딩바 캡(200)이 주변의 부품, 예를 들어 상기 커버(12)와 마찰되지 않아 카고스크린 사용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유동억제부재는 상기 홀딩바 캡(200)의 몸체에 형성되는 걸림부(231)와, 상기 스크린 권취관(100)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231)가 걸리는 피걸림부(110)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걸림부(110) 는 상기 스크린 권취관(100)에 형성된 관통공이고, 상기 걸림부(231)는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231)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나 생산자가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된 돌기(231)를 누르고 홀딩바 캡(200)을 타측으로 당기기만 하면 되므로 스크린 권취관(100)과 홀딩바 캡(200)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린 권취관(100)에 관통공(110)을 형성하고, 캡에 돌기(231)만 형성하면 되므로, 축방향 유동억제부재의 구성이 간단하므로 카고스크린 생산이 용이하다.
상기 돌기(231)의 일측면(231a)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홀딩바 캡(200)은 스크린 권취관(100)의 타측에 일측 방향으로 삽입되므로, 돌기(231)의 일측면(231a)의 경사를 이용하여 홀딩바 캡(200)을 스크린 권취관(100)에 용이하게 삽입 및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기(231)의 타측면과 상기 플랜지(290) 사이에 상기 스크린 권취관(100)의 양단이 걸려 상기 홀딩바 캡(200)의 회전축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즉, 홀딩바 캡(200)이 스크린 권취관(100)의 양측에 결합되므로, 스크린 권취관(100)의 양단이 홀딩바 캡(200)의 돌기(231)와 플랜지(290) 사이에 걸리는 것이다. 이때 홀딩바 캡(200)의 유동이 잘 억제되도록 스크린 권취관(100)의 양단은 플랜지(290)와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바 캡(200)을 상측에서 똑바로 볼 때 돌기(231)는 대략 사각형상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바 캡(200)을 전측 또는 후측에서 똑바로 볼 때 돌기(231)는 일측면(23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다.
스크린 권취관(100)에 형성된 관통공(110)은 4 개의 서로 수직으로 연결된 전측면, 후측면, 일측면, 타측면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홀딩바 캡(200)을 상측에서 똑바로 볼 때 관통공(110)은 대략 사각형의 단면 형상이다.
본 실시 예에서 돌기(231)는 홀딩바 캡(200)의 상측과 하측에 1 개씩 총 2 개가 형성되고, 관통공(110)도 스크린 권취관(100)의 상측과 하측에 1 개씩 총 2 개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바 캡(200)의 몸체(210)는 토션 스프링(14)의 타측이 끼워지는 스프링 결합부(220)와,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스크린 권취관(100)과 접촉되는 관 결합부(230)와, 상기 관 결합부(230)에 형성되는 상기 플랜지(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프링 결합부(220)의 외경은 관 결합부(230)의 외경보다 작다.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90)의 일측면부터 돌기(231)의 타측면까지의 일타측 길이(D)는 관통공(110)을 형성하는 4 개의 면 중 상기 타측면부터 스크린 권취관(100)의 타단까지의 일타측 길이(D)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스크린 권취관(100)과 홀딩바 캡(200)이 서로 결합되면, 돌기(231)의 타측면과 플랜지(290)의 일측면이 스크린 권취관(100)과 접촉되어 스크린 권취관(100)과 홀딩바 캡(200) 모두의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홀딩바 캡(200)에는 상기 지지돌기(291)와 결합돌기(241)가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돌기(241)는 배경기술에 설명된 결합돌기(231)와 동일하다.
복수 개의 결합돌기(241) 중 홀딩바 캡(2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서로 이웃한 2 개의 결합돌기(241) 사이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돌기(231)가 배치된다.
상기 상측에 배치된 결합돌기(241)의 형상은 회전 방향 길이가 일정한 다른 결합돌기(241)들의 형상과 다르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상측 결합돌기(241)는 돌기(231)보다 일측에 배치되며 돌기(231)의 일측 모서리를 가리는 제1-1결합돌기와, 돌기(231)의 전측 또는 후측에 배치되는 제1-2결합돌기를 포함한다.
상측 결합돌기(241)들의 상기 제1-1결합돌기간에 회전 방향 길이는 돌기(231)의 회전 방향 길이보다 짧다. 반면 상측 결합돌기(241)들의 상기 제1-2결합돌기간에 회전 방향 길이는 대략 돌기(231)의 회전 방향 길이와 같다. 따라서 돌기(231)는 일측과 전후측이 상기 상측 결합돌기(241)에 둘러싸여 있어 파손 위험이 적다.
본 발명은 상기 홀딩바 캡(200)이 상기 스크린 권취관(100)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부(231)가 상기 피걸림부(110)의 걸림 위치를 결정하는 걸림위치결정부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린 권취관(100)과 홀딩바 캡(200)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위치결정부는 상기 스크린 권취관(100)의 양단에서 회전축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는 걸림위치결정홈(120)과, 상기 홀딩바 캡(200)의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위치결정홈(120)에 끼워지는 걸림위치결정돌기(242)를 포함한다.
걸림위치결정돌기(242)의 일타측 길이는 관 결합부(230)의 일타측 길이와 같고, 결합돌기(241)의 일타측 길이보다 길다.
걸림위치결정돌기(242)의 두께는 스크린 권취관(100)의 두께, 결합돌기(241)의 두께보다 두껍다.
걸림위치결정홈(120)은 걸림위치결정돌기(242)가 전부 삽입 수용된다.
걸림위치결정홈(120)은 스크린 권취관(100)이 직경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걸림위치결정홈(120)은 스크린 권취관(100)의 타단의 일지점에서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위치결정돌기(242)가 걸림위치결정홈(120)에 일부라도 수용되어 있다면 돌기(231)가 관통공(11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더라도, 스크린 권취관(100)과 홀딩바 캡(200)의 분리가 방지된다.
걸림위치결정홈(120)은 스크린 권취관(100)의 타측 중 전측에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걸림위치결정홈(120)의 중심은 스크린 권취관(10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의 관통공(110)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 본 발명의 스크린 권취관(100)과 홀딩바 캡(200)의 조립 예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바 캡(200)을 스크린 권취관(100)과 결합시킬 때, 우선 홀딩바 캡(200)을 스크린 권취관(100)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삽입시킨다.
몸체(210)가 스크린 권취관(100)에 삽입되다가 돌기(231)가 스크린 권취관(100)의 타단과 접촉된 후 돌기(231)의 일측면(231a)을 타고 홀딩바 캡(200)이 스크린 권취관(100)에 더 삽입되면, 스크린 권취관(100)의 직경이 커지거나 홀딩바 캡(200)의 직경이 작아져 돌기(231)가 스크린 권취관(1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후, 홀딩바 캡(200)이 계속해서 스크린 권취관(100)의 일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돌기(231)가 관통공(110)과 상하로 배치되면 돌기(231)가 관통공(110)에 삽입 수용된다. 이때 돌기(231)와 플랜지(290) 사이 공간에 스크린 권취관(100)의 일부가 배치되며, 스크린 권취관(100)과 홀딩바 캡(200)이 서로 걸린 채 결합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는 양측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ST)과 스크린 권취관(100)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12)를 더 포함한다. 커버(12)는 종래의 커버(12)와 같다.
전술된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는 토션 스프링(14)이 회전되면서 발생된 일타측 길이의 변화가 홀딩바 캡(200)에 전해지더라도, 돌기(231)가 스크린 권취관(100)에 걸려 있어 홀딩바 캡(200)의 유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홀딩바 캡(200)이 커버(12)와의 접촉, 비접촉을 반복하지 않아 카고스크린 작동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홀딩바 캡(200)이 도 8에는 커버(12)의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도 6처럼 커버(12)의 일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된 구성 중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스크린권취관 110 : 관통공
120 : 걸림위치결정홈 200 : 홀딩바 캡
210 : 몸체 231 : 돌기
231a : 일측면 241 : 결합돌기
242 : 걸림위치결정돌기 290 : 플랜지
291 : 지지돌기 12 : 커버

Claims (7)

  1. 차량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 사이에 배치되는 스크린 권취관; 
    상기 스크린 권취관의 양단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스크린 권취관의 양단에 걸리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홀딩바 캡; 
    상기 홀딩바 캡이 상기 스크린 권취관의 회전축 방향으로 유동 억제되게 조립되는 유동억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억제부재는 상기 홀딩바 캡의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돌기(231)와, 상기 스크린 권취관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231)가 걸리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231)의 일측면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딩바 캡은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 결합돌기(241)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결합돌기(241) 중 서로 이웃하는 상측의 결합돌기(241) 사이에는 상기 돌기(231)가 배치되되,
    상기 돌기(231)는 일측과 전후측이 상기 상측의 결합돌기(241)에 둘러싸여 있는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231)의 타측면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상기 스크린 권취관의 양단이 걸려 상기 홀딩바 캡의 회전축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억제되는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딩바 캡이 상기 스크린 권취관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231)가 상기 관통공의 걸림 위치를 결정하는 걸림위치결정부가 더 형성되는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림위치결정부는 상기 스크린 권취관의 양단에서 회전축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는 걸림위치결정홈과, 상기 홀딩바 캡의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위치결정홈에 끼워지는 걸림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는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




KR1020180129938A 2018-10-29 2018-10-29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 KR102124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38A KR102124029B1 (ko) 2018-10-29 2018-10-29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38A KR102124029B1 (ko) 2018-10-29 2018-10-29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73A KR20200048173A (ko) 2020-05-08
KR102124029B1 true KR102124029B1 (ko) 2020-06-17

Family

ID=7067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938A KR102124029B1 (ko) 2018-10-29 2018-10-29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428B1 (ko) 2021-08-12 2022-06-28 광성기업 주식회사 카고 스크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231B1 (ko) * 2020-10-21 2022-03-24 주식회사 서연이화 스프링과 바캡의 작동성이 개선된 카고 스크린
KR102561891B1 (ko) * 2021-09-07 2023-08-01 주식회사 서연이화 스프링과 바캡의 작동성이 개선된 카고 스크린
KR102596279B1 (ko) * 2021-10-29 2023-10-3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카고 스크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946B1 (ko) * 2001-05-31 2003-11-1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수화물 커버장치
KR100427494B1 (ko) * 2001-05-31 2004-04-2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수화물 커버장치
KR200395361Y1 (ko) 2005-06-27 2005-09-0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스크린
KR20090036363A (ko) 2007-10-09 2009-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
KR20130107957A (ko) * 2012-03-23 2013-10-02 광동하이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428B1 (ko) 2021-08-12 2022-06-28 광성기업 주식회사 카고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73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029B1 (ko) 카고스크린용 권취관과 홀딩바 캡의 조립구조
US8307879B2 (en) Window covering having a winding function
US8302655B2 (en) Spring drive device for a sunshade assembly
US8419102B2 (en) Cargo net device
JP5284018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US4482137A (en) Compartment shade
JP5783033B2 (ja) ガーニッシュ取付装置およびテザークリップ
EP2397369A1 (en) Cargo net device
US20180143565A1 (en) Toner cartridge
JP2006503241A (ja) ボーデンケーブルのシース用アンカー手段
US10138677B2 (en) Torsion assembly for a curtain
KR20160119091A (ko) 유지장치
US7937808B1 (en) Curtain carrier having a simplified construction
US7089631B2 (en) Mounting hook and wire array apparatus and method
JP2018035858A (ja) 電磁ブレーキ
US20070204659A1 (en) Damper Pin I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100147470A1 (en) Blind cord winder fixing structure
JP5793201B2 (ja) シート巻取装置
RU2415761C2 (ru) Оболочка для пружины подвески
KR102083829B1 (ko) 차량용 카고 스크린
JP2003312258A (ja) 車両用サンバイザにおけるシャフトの支承構造
JP2007020385A (ja) ワイヤハーネス保持構造
JP2020084636A (ja) 巻上げ式ブラインド
JP6844767B2 (ja) ラゲッジボード
JP6594012B2 (ja) 樹脂製燃料タンクのバッフル設置方法及びバッフルが内部に設けられた樹脂製燃料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