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152Y1 - 포장용 봉지 - Google Patents

포장용 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152Y1
KR200476152Y1 KR2020140004840U KR20140004840U KR200476152Y1 KR 200476152 Y1 KR200476152 Y1 KR 200476152Y1 KR 2020140004840 U KR2020140004840 U KR 2020140004840U KR 20140004840 U KR20140004840 U KR 20140004840U KR 200476152 Y1 KR200476152 Y1 KR 2004761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ag
present
front cover
packaging
re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일
Original Assignee
고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명일 filed Critical 고명일
Priority to KR2020140004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1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delicate optical, measuring, calculating or control apparatus
    • B65D85/4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delicate optical, measuring, calculating or control apparatus for watches or clocks; for compon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 봉지를 개시한다. 개시된 포장용 봉지는 후면지지부와, 제과용 제품이 투입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지지부와 접합되며 지지부와 다른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전면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 봉지{PACKING BAG}
본 고안은 포장용 봉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지의 변형을 줄이면서 음식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개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 봉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빵이나 과자 등의 스낵류는 밀폐된 상태의 포장봉지 내에 저장되어 유통 및 판매된다. 이러한, 포장봉지는 소정 합성수지재 필름 등을 포함하는 포장재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제품이 저장된 상태에서 주입부가 가열 접착되어 봉합됨에 따라 그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비자는 포장봉지에 포장된 특정 상품을 구매한 후, 포장봉지를 개봉하여 그 내용물을 꺼내어 섭취하게 된다.
한편, 제과점에서는 제과 제품 예를 들어 과자류나 빵류를 직접 만들어서 판매하게 되므로, 제품의 유통기한이 짧아 제품이 판매될 때 마다 별도의 포장용 봉지를 사용하여 포장하게 된다.
통상 제과점에 사용되는 포장용 봉지는 종이 또는 비닐에 의해 제작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용 봉지는 종이에 의해 제작된 경우 포장되는 음식물이 오염될 수 있고, 비닐에 의해 제작된 경우 음식물을 포장하게 되면 그 형태가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14792호(공개일:1999년05월06일, 명칭:위생용 포장봉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포장지의 변형을 줄이면서 음식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개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포장용 봉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포장용 봉지는, 후면지지부; 및 제과용 제품이 투입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부와 접합되며, 상기 지지부와 다른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전면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지지부는, 상기 전면커버부보다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지지부는, 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부는, 비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지지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품의 오염을 방지하는 오염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지지부는, 상기 오염방지부가 라미네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봉지는 종래 기술과 달리 포장지의 변형을 줄이면서 음식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를 도시한 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의 다른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포장용 봉지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를 도시한 전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의 다른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100)는 내부에 수용되는 제과 제품을 지지하는 후면지지부(110)와, 이 후면지지부(110)와 쌍을 이루어 제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01)을 형성하는 전면커버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포장용 봉지(100)는 수용공간(101)을 밀봉할 수 있도록 후면지지부(110) 또는 전면커버부(120)에 형성되는 밀봉부(13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100)는 밀봉부(130)가 전면커버부(12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후면지지부(110)의 후면에 접합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전면커버부(120)는 밀봉부(130)를 형성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후면지지부(1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100)는 수용공간(101)에 삽입되는 제과 제품 예를 들어 빵이나 과자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최소될 수 있도록 후면지지부(110)와 전면커버부(120)가 다른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후면지지부(110)는 수용공간(101)로 삽입되는 제과 제품이 보다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전면커버부(120)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후면지지부(110)는 제지에 의해 형성되며, 수용공간(101)에 수용되는 제과 제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염방지부(11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후면지지부(110)는 오염방지부(111)가 라미네이트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후면지지부(110)는 포장용 봉지(100)에 포장되는 제과 제품을 보다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특정한 문양이나 문자 등이 인쇄될 수도 있다.
전면커버부(120)는 수용공간(101)로 삽입되는 제과 제품에 의해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도록 후면지지부(110)보다 부드러운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포장용 봉지(100)에 제과 제품을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여 포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120)는 제지보다 부드러운 비닐에 의해 형성되며, 제과 제품의 포장에 의해 수용공간(101)가 뚫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양 측면 및 하측면이 후면지지부(110)와 접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100)는 전면커버부(120) 및 후면지지부(110)의 양측면 및 하측면이 접착제 또는 열융착을 통해 상호 접합된다. 이때, 전면커버부(120) 및 후면지지부(110)의 접합에 의해 형성되는 접합부(140)는 그 폭이 3mm 이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포장용 봉지(100)에 제과 제품을 포장할 때 접합부(140)가 파손되거나 뚫리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밀봉부(130)는 후면지지부(110)측으로 접히면서 후면지지부(110)의 배면에 접합된다. 이를 위하여, 밀봉부(130)에는 안정된 접합을 위한 접착제가 도포되고, 접착제가 이형지에 의해 커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01)를 밀폐시킨 밀봉부(130)를 후면지지부(1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파지부(131)를 더 포함한다. 파지부(131)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도록 밀봉부(130)의 양측에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을 포장한 후, 세워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세움지지부(150)가 각각 형성된다. 세움지지부(150)는 포장용 봉지(100)의 양 접합부(140)가 포장용 봉지(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접어서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봉지(100)는 제지에 의해 형성되는 후면지지부(110)와, 비닐에 의해 형성되는 전면커버부(120)를 접합하여 제작하므로, 내부에 제과 제품을 삽입하여도 그 형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또한, 제지에 의해 제작되는 후면지지부(110)의 전면에 라미네이트를 통해 오염방지부(111)를 형성하므로, 제과 제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포장용 봉지 110 : 후면지지부
111 : 오염방지부 120 : 전면커버부
130 : 밀봉부 140 : 접합부
150 : 세움지지부

Claims (5)

  1. 제지에 의해 형성되며, 제품의 오염을 방지하는 오염방지부를 구비하는 후면지지부;
    제과용 제품이 투입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후면지지부와 접합되며, 상기 후면지지부와 다른 재질인 비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후면지지부보다 길게 형성되는 전면커버부;
    상기 전면커버부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면지지부의 후면에 접합되는 밀봉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와 상기 전면커버부의 접합에 의해 형성되는 접합부가 접혀서 형성되는 세움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봉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지지부는, 상기 오염방지부가 라미네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봉지.
KR2020140004840U 2014-06-27 2014-06-27 포장용 봉지 KR2004761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40U KR200476152Y1 (ko) 2014-06-27 2014-06-27 포장용 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40U KR200476152Y1 (ko) 2014-06-27 2014-06-27 포장용 봉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152Y1 true KR200476152Y1 (ko) 2015-02-03

Family

ID=5259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840U KR200476152Y1 (ko) 2014-06-27 2014-06-27 포장용 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15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792U (ko) * 1997-10-09 1999-05-06 박상율 위생용 포장봉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792U (ko) * 1997-10-09 1999-05-06 박상율 위생용 포장봉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543739T1 (de) Reissverschlussbeutel mit ausgiesser
JP2010222050A (ja) 包装スリーブ及びこれを含む複合包装材
MXPA01012465A (es) Empaque con utensilio integrado.
CA2985333A1 (en) Square bowl with cracker compartment
US20140120207A1 (en) Package with enclosed utensil
JP6497730B2 (ja) 包装袋
JP6111237B2 (ja) 容器
WO2014142886A1 (en) Recloseable flexible packages
JP2007099327A (ja) 食品包装体
JP6473907B2 (ja) ガセット包装袋
KR20170017715A (ko) 샌드위치 포장용 봉지
KR200476152Y1 (ko) 포장용 봉지
JP3195674U (ja) 包装体
JP2014031176A (ja) ブレンド機能を有する包装用袋
JP6103488B2 (ja) 板状物品用の包装構造
JP2004256170A (ja) スリーブ型カートンとこれを用いた包装体
JP3135179U (ja) スティック状の分包用包装袋
JP7419705B2 (ja) 包装容器の製造方法
JP7206659B2 (ja) 複合容器
JP3177454U (ja) 食品用包装袋
JP6964320B2 (ja) 食品包装体
JP3133406U (ja) 下部開口の立体物収納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袋
JP2016172579A (ja) スイカ袋
BE1023747B1 (nl) Verpakking voor een confiserieproduct en werkwijze voor het verpakken van een confiserieproduct
JP2015129000A (ja) 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