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922Y1 - 프레임 구조물 및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 - Google Patents

프레임 구조물 및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922Y1
KR200475922Y1 KR2020140006007U KR20140006007U KR200475922Y1 KR 200475922 Y1 KR200475922 Y1 KR 200475922Y1 KR 2020140006007 U KR2020140006007 U KR 2020140006007U KR 20140006007 U KR20140006007 U KR 20140006007U KR 200475922 Y1 KR200475922 Y1 KR 200475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ucture
fixed
fastened
pallet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 용 양
Original Assignee
성 용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 용 양 filed Critical 성 용 양
Priority to KR2020140006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922Y1/ko
Priority to PCT/KR2015/007750 priority patent/WO2016024738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8Tents or tent-like constructions composed partially of rigi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첩 방식으로 접히는 프레임 구조물을 사용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고, 이동이 편리하도록 부피를 최소화하는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은, 고정축과, 고정축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제1회전체 및 제2 회전체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회전부; 및 회전부의 제1 회전체 또는 제2회전체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양 끝단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연결바;를 포함하고, 일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제1 회전체에 삽입결합되고, 타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제2 회전체에 삽입결합됨에 따라, 다수개의 연결바의 양단에 회전부가 결합되어 연결바를 이용한 다각형의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임 구조물 및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Frame Structure with prefabricated flat bench of Frame Structure}
본 고안은 휴대용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첩 방식으로 접히는 프레임 구조물을 사용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고, 이동이 편리하도록 부피를 최소화하는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답답한 도시의 환경을 벗어나, 여행이나 캠핑, 등산, 낚시 등의 레저활동을 통해 서로간의 친목을 도모함은 물론, 그동안 누적된 정신적 중압감 및 스트레스를 해소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야외활동을 하다 보면, 육체적으로 쉽게 피로해져,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취침을 할 수 있는 텐트 내지 방갈로와 같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어 오던 종래의 텐트는, 마른 평지나 굴곡이 없는 한정된 지형에서 설치하기에 적합하도록 제작되어 있어, 야영지가 습지이거나 자갈밭인 때에는 설치가 어렵고, 또한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자갈 등에 의한 바닥면의 굴곡으로 사용에 불편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이용자들은 통상 형편에 맞추어 텐트바닥에 에어매트리스나 이불 같은 것을 깔아서 바닥을 평평하게 함과 동시에 스며든 물이 직접 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임시방편적인 해결방법일 뿐으로,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되지 못한다.
조립식 평상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실용공개번호 제20-2012-0004012 '평상 겸 텐트'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저면 사방 모서리에 다리지지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리지지 홈과 관통하도록 표면에 지주지지 홈이 형성된 제 1 판 및 저면 사방 모서리에 다리지지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다리지지 홈과 관통하도록 표면에 지주지지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판의 일 측면과 경첩으로 연결된 제 2 판으로 이루어진 마루부재와; 저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면에 수직홈이 형성된 돌기를 갖고 상기 다리지지 홈에 조립되는 복수 개 이상의 제 1 다리부재와; 저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 개 이상 형성된 돌기를 갖고 상기 다리지지 홈에 조립되는 복수 개 이상의 제 2 다리부재와; 상기 지주지지 홈에 조립되어 기립상태를 유지하는 복수 개 이상의 지주와; 상기 지주에 상부에 걸이되며 사방 내벽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천정부재와; 상부는 상기 천정부재의 돌기에 걸이되며 하부는 상기 마루부재 측으로 내려지며 출입문이 형성된 측벽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상 겸 텐트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공지의 선행기술은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분해 시 부피가 커서 차량 등에 적재하여 휴대 및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실용 제20-2012-0004012호 (2012년06월08일 공개) 국내등록실용 제20-0144119호 (1999년01월30일 등록) 국내등록실용 제20-0300996호 (2003년01월02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914768호 (2009년08월24일 등록)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절첩 방식으로 접히는 프레임 구조물을 사용함으로서, 휴대가 용이하고, 이동이 편리하도록 부피를 최소화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면이 고르지못한 지역이나 숲이 우거진 산속 등에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하여 평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천막으로 내부를 밀폐하여 텐트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은, 고정축과, 고정축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제1회전체 및 제2 회전체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회전부; 및 회전부의 제1 회전체 또는 제2회전체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양 끝단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연결바;를 포함하고, 일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제1 회전체에 삽입결합되고, 타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제2 회전체에 삽입결합됨에 따라, 다수개의 연결바의 양단에 회전부가 결합되어 연결바를 이용한 다각형의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은, 연결바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일면 또는 타면 방향으로 서로 번갈아 가면서 편심되도록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은, 지면에 설치 고정되는 다수개의 제1 수평 조절부; 수평 조절부 상단에 체결 고정되고,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제1 프레임 구조물; 제1 프레임 구조물 상에 설치 고정되는 깔판; 깔판 하단에 위치하고, 제1 프레임 구조물의 내측면에 체결 고정되며, 깔판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고정대; 제1 프레임 구조물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제1 수평 조절부에 체결 고정되며, 다각형상의 제1 프레임 구조물이 외부충격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프레임 구조물; 제1 프레임 구조물과 제2 프레임 구조물 사이에 체결 고정되고, 제1 프레임구조물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제1 프레임 구조물 및 제2 프레임 구조물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다각형상의 제1 프레임 구조물 및 제2 프레임 구조물의 내각이 일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조절부 상단에 삽입 고정되는 지주대; 지주대 상단에 체결 고정되는 제3 프레임 구조물; 제3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와, 고정돌기가 회전 가능하도록 축 고정된 연결부재와, 연결부재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는 외피가 구비된 파라솔; 및 제1 프레임 구조물과 제3 프레임 구조물 사이가 밀폐되도록 지주대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일측에 개폐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된 천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구조물, 제2 프레임 구조물 및 제3 프레임 구조물은, 고정축과, 고정축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회전부; 및 회전부의 제1회전체 또는 제2회전체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양 끝단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연결바;를 포함하고, 일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제1회전체에 삽입결합되고, 타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제2회전체에 삽입결합됨에 따라, 다수개의 연결바의 양단에 회전부가 결합되어 연결바를 이용한 다각형의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은, 연결바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일면 및 타면 방향으로 서로 번갈아 가면서 편심되도록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깔판은, 일단 및 타단의 일부가 내측 방향으로 둥근 형상으로 말린 형태의 삽입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판넬; 및 판넬과 근접한 다른 판넬이 연결되도록 하고, 판넬이 삽입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되도록 축 고정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되, 판넬은, 고정편이 수직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편의 축 중심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회전되면서 상면은 상면과 하면은 하면과 서로 포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대는, 깔판의 하중을 지지하고, 연결바가 서로 마주하는 사이에 체결 고정되는 제1 고정대; 제1 고정대와 교차되도록 제1 고정대의 하단에 위치하고, 제1 고정대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연결바 사이에 체결 고정되는 제2 고정대; 및 상단이 제1 고정대와 제2 고정대가 교차되는 중앙 하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며, 깔판의 중앙이 하중에 의해 제1 고정대 및 제2 고정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2 수평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조립식 평상은 절첩 방식으로 접히는 프레임 구조물을 사용함으로서, 휴대가 용이하고, 이동이 편리하도록 부피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은 지면이 고르지못한 지역이나 숲이 우거진 산속 등에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하여 평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천막으로 내부를 밀폐하여 텐트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가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의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제1 프레임 구조물과 제2 프레임 구조물이 결합된 상태에서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도 6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깔판이 접히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도 6의 C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도 6의 D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각도 조절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가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의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은 외부 야영장, 캠핑장, 바닷가 또는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계곡 등에 설치되는 평상에 관한 것으로, 평상은 텐트, 방갈로, 정자(亭子), 마루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에 수납하여 이동이 편리하도록 부품별로 수납이 가능한 보관부에 보관하여 포장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10)은 회전부(20) 및 연결바(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30)는 내부가 관통된 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끝단에 삽입부(33)가 형성되며, 다수개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바(30)는 무게가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강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20)는 다수개의 연결바(30) 사이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연결바(3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20)는 중심축(P)이 연결바(30)의 길이방향으로 일면 또는 타면 방향으로 서로 번갈아 가면서 편심되도록 체결 고정될 수 있다. 회전부(20)는 고정축(21),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2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축(21)은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회전체(23) 및 제2 회전체(25)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 회전체(23)는 일단이 고정축(21)의 외주면 체결 고정되고, 고정축(21)의 중심축(P)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편심되게 체결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바(30)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부(3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33)에 삽입 고정된 제1 회전체의 타단은 볼트로 체결하거나 핀으로 체결 고정시켜 분해 또는 조립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회전체(25)는 제1 회전체(2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회전체(23)와 대칭되도록 반대측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 회전체의 일단은 고정축(21)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바(30)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부(33)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체(23)와 제2 회전체(25)에 의해 회전되는 연결바(30)는 일정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사각, 6각 또는 8각 등 다각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예로 들어, 프레임 구조물(10)을 6각으로 조립할 경우 먼저, 6개의 연결바(30)를 6각 모양으로 배치한 다음 연결바(30)와 다른 근접한 연결바(30) 사이가 연결되도록 6개의 회전부가 각각 삽입결합된다.
즉, 연결바(30)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부(33)가 제1 회전체(23)에 삽입결합되고, 타단에 형성된 삽입부(33)가 제2 회전체(25)에 삽입결합됨에 따라, 다수개의 연결바(30)의 양단에 회전부(20)가 결합되어 연결바(30)를 이용한 다각형의 프레임 구조물(10)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6각 모양으로 배치된 프레임 구조물(10)을 보관하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위해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부피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연결바(30)가 회전되는 방향의 이해를 돕기 위해 6각형으로 배치된 연결바(30)에서 6각형 모양의 안쪽을 내측 방향으로 정의하고, 6각형 모양의 바깥쪽을 외측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6각 형태로 배치된 6개의 연결바(30)가 순차적으로 접히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1번 내지 6번 연결바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먼저, 다수개의 연결바(30)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일단에 형성된 삽입부(33)에 삽입 고정된 제1 회전체(23)가 분리되도록 볼트 또는 핀으로 연결된 부분을 제거한다.
다음, 제1 회전체(23)와 분리된 1번 연결바(30)를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되는 연결바(30)와 근접한 2번 연결바(30)의 외측면 회전되면서 밀착된다. 1번과 2번 연결바(30)가 포개진 상태에서 1번 및 2번 연결바(30)를 동시에 3번 연결바(3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3번 연결바(30)의 내측면에 2번 연결바(30)의 내측면이 서로 밀착되게 회전하여 1번 내지 3번 연결바(30)가 포개지도록 한다.
그 다음, 1번 내지 3번 연결바(30)가 포개진 상태에서 3번 연결바(30)의 외측면이 4번 연결바(30)의 외면측에 회전되면서 밀착되고, 4번 연결바(30)의 내측면이 다시 5번 연결바(30)의 내측면에 회전되면서 밀착된다.
이어서, 1번 내지 5번 연결바(30)가 포개진 상태에서 5번 연결바(30)의 외측면이 6번 연결바(30)의 외측면에 회전되면서 밀착되어 6각 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바(30)가 절첩방식으로 접혀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제1 프레임 구조물과 제2 프레임 구조물이 결합된 상태에서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도 6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깔판이 접히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도 6의 C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도 6의 D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의 각도 조절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1)은 제1 수평 조절부(100), 제1 프레임 구조물(11), 깔판(200), 제2 프레임 구조물, 지주대(600), 제3 프레임 구조물(13) 및 파라솔(7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 조절부(100)는 지면에 다수개로 설치 고정되는데 이때, 제1 프레임 구조물(11)이 4각형 형태로 배치되면 4개가 지면에 설치되고, 6각 형태로 배치되면 6개가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평 조절부(100)는 제1 프레임 구조물(11)과 체결 고정되어 제1 프레임 구조물(11)을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게 설치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평 조절부(100)는 수직봉(110)과, 수직봉(110) 하단에 설치되어 수직봉(11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지면이 고르지 못한 지역에서 이동부(1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프레임 구조물(11)이 수평이 되도록 한다.
제1 프레임 구조물(11)은 제1 수평 조절부(100) 상단에 설치 고정되고, 깔판(20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구조물(11)은 회전부(20) 및 연결바(30)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상기 프레임 구조물(10)에서 설명된 회전부(20)와 연결바(30)의 구성과 작동 효과가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프레임 구조물(11)은 고정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300)는 깔판(200) 하부에 위치하고, 깔판(2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고정대(300)는 제1 고정대(310), 제2 고정대(320) 및 제2 수평 조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대(310)는 서로 마주하는 연결바(30) 사이에 체결 고정되고, 다각형으로 형성된 연결바(30)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다수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고정대(310)는 연결바(30)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양측면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연결바(30) 내측면에 형성된 구멍(31)에 삽입 고정되는 돌기(31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바(30)에 형성된 구멍(31)은 일측에 큰 구멍이 형성되고 타측은 작은 구멍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며, 돌기(311)는 큰 구멍과 동일한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작은 구멍의 직경과 동일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대(310)에 형성된 돌기(311)는 구멍(31)에 삽입한 상태에서 작은 구멍이 형성된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돌기(311) 외주면에 형성된 홈이 작은 구멍에 끼움 고정되어 연결바(3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대(310)의 양측에 구비된 돌기(311)는 사각 판 형상의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바(30) 내측면에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구멍(31)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대(320)는 제1 고정대(310)와 교차되도록 제1 고정대 하단에 위치하여 제1 고정대(310)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대(320)는 서로 마주하는 연결바(30) 사이에 체결 고정되도록 양측에 각각 고리부(3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수평 조절부(330)는 상단이 제1 고정대(310)와 제2 고정대(320)가 교차되는 중앙 하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며, 깔판(200)의 중앙이 하중에 의해 제1 고정대(310) 및 제2 고정대(32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 수평 조절부(330)는 깔판(200)의 중앙부가 테두리와 수평을 이루도록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길이가 긴 연결바(30)가 자체 하중에 의해 중앙부분이 휘어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결바(30)의 중앙부분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깔판(200)은 제1 프레임 구조물 상에 설치 고정되고, 이용자가 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깔판(200)은 판넬(210) 및 고정편(220)을 포함할 수 있다.
판넬(210)은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밀착되게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일단 및 타단에 삽입공(211)이 형성되도록 양단의 일부가 각각 내측 방향으로 둥근 형상으로 말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편(220)은 판넬(210)과 근접한 다른 판넬(210)의 삽입공(211)에 각각 삽입되도록 축(22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편(220)은 다수개의 판넬(210)이 서로 연결되게 포개지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편(220)이 수직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편(220)의 축(221) 중심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회전되면서 상면은 상면과 하면은 하면과 서로 포개지도록 하여 휴대 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제2 프레임 구조물(12)은 제1 프레임 구조물(11)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제1 수평 조절부(100)에 체결 고정되며, 다각형상의 제1 프레임 구조물(11)이 외부충격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구조물(12)은 제1 프레임 구조물(11)과 동일한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프레임 구조물(11) 및 제2 프레임 구조물(12) 사이에는 지지대(400)가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 구조물(11)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대(400)를 통해 제2 프레임 구조물(12)로 분산되도록 한다.
또한, 제1 프레임 구조물(11) 및 제2 프레임 구조물(12)은 다각형상을 유지하도록 각도 조절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각도 조절부(500)는 일측이 연결바(30)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은 다른 연결바(30)에 체결 고정되어 연결바(30)와 다른 연결바(30)의 각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 구조물(11) 및 제2 프레임 구조물(12)의 다수개의 연결바(30)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프레임 구조물(11) 및 제2 프레임 구조물(12)의 내각이 일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각도 조절부(500)가 체결 고정된다.
지주대(600)는 제1 수평 조절부(100) 상단에 체결 고정되고, 제3 프레임 구조물(13)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지주대(600)는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는 천막(800)이 구비될 수 있다.
천막(800)은 제1 프레임 구조물(11)과 제3 프레임 구조물(13) 사이가 밀폐되도록 지주대(600) 외주면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천막(800)은 외부 환경에 따라 비 또는 바람 등으로부터 평상 내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천막(800)은 텐트로 사용 가능하도록 일측에 개폐가능한 출입구(810)가 형성될 수 있다. 천막(800)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탈착 가능하고, 가볍고 보온 또는 보냉 효과가 있는 방수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프레임 구조물(13)은 지주대(600) 상단에 체결 고정되고, 파라솔(70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3 프레임 구조물(13)은 제1 프레임 구조물(11)과 동일한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파라솔(700)은 제3 프레임 구조물(13) 상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 고정되고, 장마철에 내리는 비와 여름철 뜨거운 햇빛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파라솔(700)은 회전부(20)에 구비된 고정축(21)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311)와, 고정돌기(311)가 회전 가능하도록 축 고정된 연결부재(720)와, 연결부재(720)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는 외피(730)가 구비될 수 있다. 파라솔(700)은 필요 시에는 펼쳐 사용되고, 보관 시 연결부재(720)를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조립식 평상 10; 프레임 구조물
11; 제1 프레임 구조물 12; 제2 프레임 구조물
13; 제3 프레임 구조물 20; 회전부
21; 고정축 23; 제1 회전체
25; 제2 회전체 30; 연결바
31; 구멍 33; 삽입부
100; 제1 수평 조절부 110; 수직봉
120; 이동부 200; 깔판
210; 판넬 211; 삽입공
220; 고정편 221; 축
300; 고정대 310; 제1 고정대
311; 돌기 320; 제2 고정대
321; 고리부 330; 제2 수평 조절부
400; 지지대 500; 각도 조절부
600; 지주대 700; 파라솔
710; 고정돌기 720; 연결부재
730; 외피 800; 천막
810; 출입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지면에 설치 고정되는 다수개의 제1 수평 조절부;
    수평 조절부 상단에 체결 고정되고,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제1 프레임 구조물;
    제1 프레임 구조물 상에 설치 고정되는 깔판;
    깔판 하단에 위치하고, 제1 프레임 구조물의 내측면에 체결 고정되며, 깔판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고정대;
    제1 프레임 구조물과 이격되게 위치하고, 제1 수평 조절부에 체결 고정되며, 다각형상의 제1 프레임 구조물이 외부충격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프레임 구조물;
    제1 프레임 구조물과 제2 프레임 구조물 사이에 체결 고정되고, 제1 프레임구조물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제1 프레임 구조물 및 제2 프레임 구조물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다각형상의 제1 프레임 구조물 및 제2 프레임 구조물의 내각이 일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
  4. 제 3항에 있어서,
    수평 조절부 상단에 삽입 고정되는 지주대;
    지주대 상단에 체결 고정되는 제3 프레임 구조물;
    제3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와, 고정돌기가 회전 가능하도록 축 고정된 연결부재와, 연결부재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는 외피가 구비된 파라솔; 및
    제1 프레임 구조물과 제3 프레임 구조물 사이가 밀폐되도록 지주대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고, 일측에 개폐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된 천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
  5. 제 3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제1 프레임 구조물, 제2 프레임 구조물 및 제3 프레임 구조물은,
    고정축과, 고정축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회전부; 및
    회전부의 제1회전체 또는 제2회전체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양 끝단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연결바;를 포함하고,
    일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제1회전체에 삽입결합되고, 타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제2회전체에 삽입결합됨에 따라, 다수개의 연결바의 양단에 회전부가 결합되어 연결바를 이용한 다각형의 프레임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
  6. 제 5항에 있어서,
    회전축은,
    연결바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일면 및 타면 방향으로 서로 번갈아 가면서 편심되도록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7. 제 3항에 있어서,
    깔판은,
    일단 및 타단의 일부가 내측 방향으로 둥근 형상으로 말린 형태의 삽입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판넬; 및
    판넬과 근접한 다른 판넬이 연결되도록 하고, 판넬이 삽입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되도록 축 고정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되,
    판넬은,
    고정편이 수직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편의 축 중심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회전되면서 상면은 상면과 하면은 하면과 서로 포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
  8. 제 3항에 있어서,
    고정대는,
    깔판의 하중을 지지하고, 연결바가 서로 마주하는 사이에 체결 고정되는 제1 고정대;
    제1 고정대와 교차되도록 제1 고정대의 하단에 위치하고, 제1 고정대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연결바 사이에 체결 고정되는 제2 고정대; 및
    상단이 제1 고정대와 제2 고정대가 교차되는 중앙 하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지면에 고정되며, 깔판의 중앙이 하중에 의해 제1 고정대 및 제2 고정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2 수평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
KR2020140006007U 2014-08-11 2014-08-11 프레임 구조물 및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 KR200475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07U KR200475922Y1 (ko) 2014-08-11 2014-08-11 프레임 구조물 및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
PCT/KR2015/007750 WO2016024738A2 (ko) 2014-08-11 2015-07-24 프레임 구조물 및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07U KR200475922Y1 (ko) 2014-08-11 2014-08-11 프레임 구조물 및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922Y1 true KR200475922Y1 (ko) 2015-01-13

Family

ID=5258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007U KR200475922Y1 (ko) 2014-08-11 2014-08-11 프레임 구조물 및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5922Y1 (ko)
WO (1) WO201602473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724U (ko) 2019-09-23 2021-03-31 고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평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284B1 (ko) * 1997-08-02 1999-07-15 윤이용 가변식 테이블 프레임 연결구
KR101137801B1 (ko) 2009-05-18 2012-04-18 송석진 조립식 마루형 좌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286A (ko) * 1994-10-21 1996-05-22 김천용 다용도 절첩식 평상
KR200419806Y1 (ko) * 2006-04-11 2006-06-26 이상식 평상마루
KR101042290B1 (ko) * 2008-09-09 2011-06-17 박도형 테이블 상판 보강프레임의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284B1 (ko) * 1997-08-02 1999-07-15 윤이용 가변식 테이블 프레임 연결구
KR101137801B1 (ko) 2009-05-18 2012-04-18 송석진 조립식 마루형 좌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724U (ko) 2019-09-23 2021-03-31 고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평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4738A3 (ko) 2016-04-07
WO2016024738A2 (ko)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4264B2 (en) Frame and roof system for a portable shelter
US9243422B2 (en) Frame and roof system for a portable shelter
US9057206B2 (en) Portable combination umbrella and tent
US11346123B2 (en) Rooftop tent for vehicle
US20070215192A1 (en) Center hub slide-way portable enclosure system
US20190338553A1 (en) Collapsible Tent with Improved Crown Hub Assembly
KR101137801B1 (ko) 조립식 마루형 좌대
US9702151B2 (en) Mobile shade systems
US20060283103A1 (en) Gazebo
US10352063B2 (en) Portable demountable canopy system
KR101462789B1 (ko)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US20160222644A1 (en) Rapid deployment shelters and shelter systems
KR200475922Y1 (ko) 프레임 구조물 및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
KR20160018085A (ko) 텐트 설치가 용이한 절첩식 침대
US20220356727A1 (en) Combination-type large tent frame assembly
KR101495568B1 (ko) 승용차 상부에 설치가능한 확장형 텐트
KR101860751B1 (ko) 에어 주입식 캠핑텐트
US6520195B1 (en) Portable shelte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0402728Y1 (ko) 공기 주입식 텐트
JP3142529U (ja) 折りたたみコテージ
KR20100010872U (ko)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
KR102664965B1 (ko) 이동이 용이한 조립식 하우스
CN215520289U (zh) 可收纳的车载房
US20170198491A1 (en) Calculus structure
CN102691353A (zh) 折叠杆互承式支撑的简易活动房支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