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872U -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 - Google Patents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872U
KR20100010872U KR2020090005080U KR20090005080U KR20100010872U KR 20100010872 U KR20100010872 U KR 20100010872U KR 2020090005080 U KR2020090005080 U KR 2020090005080U KR 20090005080 U KR20090005080 U KR 20090005080U KR 20100010872 U KR20100010872 U KR 201000108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lding
tent
general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근성
Original Assignee
송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근성 filed Critical 송근성
Priority to KR2020090005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872U/ko
Publication of KR20100010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8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편하게 접어 휴대할 수 있고, 전개하여 평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천막 또는 절첩식 간이 천막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원두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지지대를 X자 형상으로 연결해주는 연결부재 위치 중 중앙부 또는 중앙부 및 이를 중심으로 각 지주방향 중간 위치에서 연결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받침대를 구비하여 전개와 동시에 받침대가 중간중간을 받쳐주도록 함으로써 쳐짐을 방지토록 하며, 지주에 끼워지는 각 절첩부재를 개방시켜 잠금장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잠그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상용 지주, 일반적인 천막의 지주, 절첩식 간이 천막의 지주 등에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판에 지주 관통홀을 형성하여 절첩부재 상부로 인출된 지주의 상단부를 수용함으로써 상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지지대가 더 이상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Collapsible flat bench and lookout on a field}
본 고안은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접어 휴대할 수 있고, 전개하여 평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천막 또는 절첩식 간이 천막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원두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의 여가 선용(예컨대, 야유회등)에 있어서 여러 명의 동행자가 함께 모여 앉아 담소와 식사 및 각종의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도록 자리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돗자리 등등)가 흔히 사용된다.
상기의 매트리스는 우선 가볍고, 연질의 발포성 재질로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으며, 어느 정도는 수분 침투의 방지가 가능한 등의 유용성과 함께 휴대 및 보관 사용에 따른 잇점이 많은 것이나, 단지 야외의 바닥면(지면)에 연질의 매트리스를 펼쳐놓고서 사용한다는 것으로 바닥면의 굴곡(예컨대, 돌출 되어 있는 돌등)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된다는 등 앉기에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었고, 따라서 비교적 평탄한 바닥면을 찾거나, 소정의 정리 작업 등을 필요로 하게 된다.
아울러, 지면과 밀착되어 있는 관계로 지면의 온도 상태 등이 그대로 전달되 는 것이며(즉, 차가운 기운 등), 계곡 등 물가 주변에서는 현실적으로 사용할 수가 없었다.
또한, 지면상의 각종 이물질이나, 혹은 잡벌레 등의 침투가 용이하여 특히 어린아이들에게 매우 위험한 상황이 연출될 수 도 있는 등의 여러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공개특허 제 1999-79923 호에서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에 상/하부가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자바라 형태로써 각 방향으로 전개되거나 모여질 수 있는 연결부재를 마련하되, 상기 결합구는 테두리용과, 모서리용 및 중간부용을 포함하며, 각 결합구는 연결부재의 상/하단이 끼움 처리되어 힌지 고정됨으로 일정한 거리의 위치까지 펼쳐질 수 있도록 사방향으로 형성된 채 각각 격벽으로 구분되어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 홈과, 상기 각 가이드 홈의 어느격벽 외부를 통해 끼움 처리되는 제 1 힌지축과, 상기 제 1 힌지축의 조임 기능이 외부에서 간섭 없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이와 직각으로 위치하는 격벽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요홈 및 각 가이드 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결합구 평면의 모서리부로 돌출된 지지턱을 구비하고, 이러한 상단의 각 결합구 가이드 홈에 연결된 연결부재 하단은 상단의 결합구와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되는 하단의 결합구에 상호 엇갈리는 상태로 연결되며, 이 엇갈리는 부분에 제 2 힌지축을 고정하고, 상단 각 모서리용의 결합구 하단면으로는 수직 상태로 위치되어 그 길이가 신축적으로 조절되는 지지랙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절첩가능한 야외용 평상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개특허 제 1999-79923 호에 따른 평상을 완전히 전개하였 을 경우 4모서리에 배치된 지지랙을 통해 모든 부위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중간부분은 힘을 받을 수 없어 평상으로서 요구되는 편평도를 유지할 수 없는 것이고, 또한 평상의 프레임을 전개한 후 그 위에 다수의 조각으로 된 상판을 단순하게 각각 얹는 것이므로 평상의 상부에 압력이 가해져 연결부재가 벌어질 때 4모서리의 지지랙을 제외하면 연결부재의 벌어짐을 잡아주는 구성이 전무하고, 또 지지랙의 중간부에 연결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 지면과 접촉하는 지지랙의 하단부는 원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나 지지랙과 연결부재의 고정부위는 외측으로 벌어져 평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힘을 받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공개특허 제 1999-79923 호에 따른 평상은 그 명칭 그대로 단순하게 평상으로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햇빛이 비치는 장소, 눈이나 비가 오는 야외 등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4모서리의 지주 이외에도 프레임의 중간중간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부에서 압력이 가해져도 지지대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해주어 평상으로서 활용하기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일반적인 천막이나, 절첩식 간이 천막에 유기적으로 설치하여 원두막과 같은 형태로 활용토록 함으로써 사용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지대를 X자 형상으로 연결해주는 연결부재 위치 중 중앙부 또는 중앙부 및 이를 중심으로 각 지주방향 중간 위치에서 연결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받침대를 구비하여 전개와 동시에 받침대가 중간중간을 받쳐주도록 함으로써 쳐짐을 방지토록 하며, 지주에 끼워지는 각 절첩부재를 개방시켜 잠금장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잠그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상용 지주, 일반적인 천막의 지주, 절첩식 간이 천막의 지주 등에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판에 지주 관통홀을 형성하여 절첩부재 상부로 인출된 지주의 상단부를 수용함으로써 상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지지대가 더 이상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골조를 완전히 전개하였을 때 4군데 모서리에는 각각 지주가 배치되고 중간중간에는 받침대가 받쳐져 있으므로 쳐짐을 방지할 수 있어 사람이 올라가거나 물건을 올려놓더라도 편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상판의 각 모서리에 지주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골조를 전개한 상태에서 상판의 지주관통홀에 지주를 끼워주면 지주의 하단부가 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지주의 상단부는 상판에 지지되어 상부에서 어떠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지지대가 더 이상 벌어지지 않게 되어 사용상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며, 지주에 끼워지는 절첩부재에 지주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로 개방되면서 그 외측에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평상으로 사용할 때에는 평상용 지주에 끼워준 상태로 적정 위치에서 잠가주 어 고정해주면 되고, 일반적인 천막이나 절첩식 간이 천막의 지주에 끼워 적정 위치에서 고정해주면 원두막과 같은 형태가 되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그늘이 진 곳에서는 평상을 활용하고, 차양이나 지붕이 필요한 장소에서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향락객들이 많은 유원지 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을 활용하게 되면 설치가 용이하고, 운반이 편리하며, 한철동안 펼쳐놓았다가 철거할 때에도 그 작업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평상으로 사용할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접이식 간이 천막이 결합되는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일반 천막이 결합되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2중관식으로 된 4개의 지주(10)와, 각 지주(10)에 끼워지는 절첩부재(20)와, 절첩부재(20)의 사이와 절첩부재(20)의 대각방향으로 구비된 각 연결부재(30)와, 각 절첩부재(20)와 연결부재(30)의 사이 및 각 연결부재(30)의 사이에 "X"자 형태로 절첩가능하게 각각 연결된 지지대(40)로 골조를 이루고, 그 위쪽으로 상판(60)이 얹혀지도록 구성된다.
절첩부재(20)는, 4개의 지주(10), 또는 절첩식 간이 천막(1)이나 일반적인 천막(2)의 4개의 지주(3)(4) 상하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선택된 높이에서 잠금되도록 내측에 지주수용홈(21)을 형성한 상태로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지주수용홈(21)을 중심으로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고, 그 개방된 부위의 외부 일측에는 고리걸림턱(22)이 형성되며, 고리끼움턱(22)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고리(23)를 갖는 잠금쇠(24)가 구비되어 이 잠금쇠(24)의 고리 연결부위와 다른 부위가 지주수용홈(21)의 개방된 부위 외부 타측에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높이 조절 가능한 2중관식의 받침대(50)가 구비되어 각 연결부재(30) 위치 중 적어도 중앙부 위치에서, 또는 중앙부 및 이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하부측 연결부재(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관통하여 그 상단부가 상부측 연결부재(30)에 각각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도면상에는 중앙부에만 받침대(50)가 구비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각 지지대(40)를 전개한 상태의 각 지주(10) 위치에 지주 관통홀(61)이 각각 형성된 상판(60)이 각 절첩부재(20) 상부로 인출된 지주(10)에 끼워져 지지대(40)가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판(60)은 도시한 것과 같이 4개로 분할하여 1/4의 면적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분할되는 단위를 더 작게 하여 더 작은 면적으로 접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여러 조각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각 단위 상판이 인접한 다른 상판과 끼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때, 지주(10), 절첩부재(20), 연결부재(30), 지지대(40), 받침대(50), 상판(60) 등은 내구성 및 내부식성을 가지면서 압출성형에 유리하고,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그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2중관식으로 구성된 각 지주(10)와 받침대(50)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내관과 외관이 서로 통하도록 다수의 길이조절공(미도시)을 형성하고 여기에 길이조절봉(11)(51)이 끼워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다수의 걸림턱을 형성한 상태에서 버튼식 록킹장치를 구성하여 버튼이 조작을 통해 그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외에도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든 모두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을 접어 보관하거나, 차량의 트렁크와 같은 장소에 싣고 야외로 나가게 되는 것이므로 보관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보관성이 용이하고,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원하는 장소를 고른 후 접혀진 상태의 골조와 상판을 꺼내어 먼저 골조를 펼치고, 슬라이딩 가능한 각각의 지주(10)를 펼치고자 하는 장소에 경사도에 맞게 길이조정을 한 후 각 지주(10)를 각 절첩부재(20)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각 절첩부재(20)에 구비된 잠금쇠(24)를 열어 지주수용홈(21)에 각 지주(10)를 수용한 상태에서 다시 고리(23)를 고리걸림턱(22)에 걸어주고 잠금쇠(24)를 잠가 절첩부재(20)의 위치를 각각 고정해주게 된다.
골조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받침대(50)가 구비된 상하 연결부재(30)는 서로 좁아지게 되므로 받침대(50)가 상대적인 작용으로 하방향으로 인출되며, 골조의 4모서리는 지주(10)에 지지된 상태가 되는데, 각 절첩부재(20)를 통해 지주(10)를 수용할 때에는 상판(60)과의 결합을 위해 상부측 절첩부재(20)의 상부로 지주(10)가 약간 더 올라오게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판(60)을 펴서 그 지주관통홀(61)이 절첩부재(20) 상부로 인출된 지주(10)에 각각 끼워지게 하면 평상의 설치가 완료된다.
즉, 본 발명을 평상으로 사용할 때에는 각 절첩부재(20)에 구비된 고리걸림턱(22), 고리(23), 잠금쇠(24)로 이루어진 잠금장치에 의해 평상의 높이를 지주(10)의 길이 범위에서 얼마든지 조정가능하고, 또 평탄도가 약간 떨어지는 지형에서도 지주(10)의 길이 또는 지주(10)와 절첩부재(20)의 고정위치를 조정하면 편평한 상태의 평상을 제공해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주(10)의 하단부는 지면과 접촉하고 있고, 지주(10)의 상단부는 상판(60)의 지주관통홀(61)에 끼워져 있으므로 평상 설치 후 그 위에 사람이 앉거나 물건을 올려놓는 등 압력이 가해져 지지대(40)가 벌어지려는 성질을 갖더라도 지주(10)의 위치가 상하에서 모두 고정되어 있음은 물론 고정되어 있는 지주(10)에 각 절첩부재(20)가 지지대(40)의 벌어지려는 성질을 전달받아 측방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골조가 각 지주(10)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고, 평상의 중간중간이 받침대(50)에 의해 받쳐져 있어 평탄하고 안정적인 평상을 제공해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지주(10)의 상단부는 상판(60)의 위쪽으로는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이로 인한 상해를 방지토록 함이 바람직하며, 만일 돌출되더라도 그 위에 안전캡을 씌워 사용상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주(10)에 절첩부재(20)를 잠금쇠(24)에 의해 잠그더라도 상부로부터 큰 압력이 가해지면 슬라이딩될 수도 있으므로 지주(10)에 절첩부재(20)를 잠금쇠(24)를 통해 잠가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핀(미도시)을 끼워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햇빛이 비치는 장소, 지붕이 필요한 장소 등에 절첩식 간이 천막(1)이나 일반적인 천막(2)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절첩식 간이 천막(1)이나 일반적인 천막(2)에도 4 모서리에 공히 지주(3)(4)가 구비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골조를 전개한 상태에서 절첩부재(20)를 개방시키고, 지주(10)를 절첩부재(20)의 지주수용홈(21)에 수용한 후 잠금쇠(24)를 통해 잠가주면 골조가 4지주(3)(4)에 고정된 상태가 되며, 골조의 위에 상판(60)을 얹으면 원두막과 같은 형태가 되어 햇빛을 차단하고 비나 눈을 막아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형태로 일반적인 농가나 유원지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원두막이나 간이 방갈로 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상판(60)은 4모서리에 지주관통홀(61)이 형성되어 있어 평상에 적용할 때에는 상부로부터 지주(10)의 상단부에 끼워주면 되나, 천막에 적용할 때에는 각 지주(3)(4) 사이의 폭이 상판(60)의 폭보다 넓은 경우에만 골조의 위에 얹을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골조를 설치하기 전에 상판(60)의 지주관통홀(61)을 통해 각 지주(3)(4)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골조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절첩부재(20)의 지주수용홈(21)과 마찬가지로 도시하지는 않았지 만 상판(60)의 지주관통홀(61)의 일측을 개방하고, 그 외부 일측에는 고리걸림턱을 형성하면서 타측에는 고리를 갖는 잠금쇠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하게 되면 평상으로 사용할 때와 원두막으로 사용할 때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판(60)은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 또는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며, 그 재질 역시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평상으로 사용할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접이식 간이 천막이 결합되는 경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일반 천막이 결합되는 경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절첩식 간이 천막 2 : 일반적인 천막
3,4,10 : 지주 11,51 : 길이조절봉
20 : 절첩부재 21 : 지주수용홈
22 : 고리걸림턱 23 : 고리
24 : 잠금쇠 30 : 연결부재
40 : 지지대 50 : 받침대
60 : 상판 61 : 지주관통홀

Claims (1)

  1. 높이조절이 가능한 4개의 지주(10) 상하에 절첩부재(20)가 각각 끼워지고, 상기 각 절첩부재(20)의 사이와 상기 절첩부재(20)의 대각방향에는 연결부재(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절첩부재(20)와 연결부재(30)의 사이 및 상기 각 연결부재(30)의 사이에 지지대(40)가 "X"자 형태로 절첩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골조를 이루고, 이러한 골조의 위에 상판(60)이 얹혀지는 접이식 평상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재(20)는, 상기 4개의 지주(10), 또는 절첩식 간이 천막(1)이나 일반적인 천막(2)의 4개의 지주(3)(4) 상하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선택된 높이에서 잠금되도록 내측에 지주수용홈(21)을 형성한 상태로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지주수용홈(21)을 통해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고, 그 개방된 부위의 외부 일측에는 고리걸림턱(22)이 형성되며, 상기 고리끼움턱(22)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고리(23)를 갖는 잠금쇠(24)가 구비되어 상기 잠금쇠(24)의 고리 연결부위와 다른 부위가 상기 지주수용홈(21)의 개방된 부위 외부 타측에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이루어지고;
    높이 조절 가능한 2중관식의 받침대(50)가 구비되어 상기 각 연결부재(30) 위치 중 적어도 중앙부 위치에서, 또는 이 중앙부 및 이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하부측 연결부재(3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관통하여 그 상단부가 상부측 연결부재(30)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각 지지대(40)를 전개한 상태의 각 지주(10)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지 주관통홀(61)이 각각 형성된 상판(60)이 상기 각 절첩부재(20) 상부로 인출된 지주(10)에 끼워져 상기 지지대(40)가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
KR2020090005080U 2009-04-28 2009-04-28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 KR201000108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080U KR20100010872U (ko) 2009-04-28 2009-04-28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080U KR20100010872U (ko) 2009-04-28 2009-04-28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872U true KR20100010872U (ko) 2010-11-05

Family

ID=4420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080U KR20100010872U (ko) 2009-04-28 2009-04-28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87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493Y1 (ko) * 2013-10-28 2014-02-27 방석호 접이식 평상
WO2015199315A1 (ko) * 2014-06-27 2015-12-30 조상웅 휴대형 데크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493Y1 (ko) * 2013-10-28 2014-02-27 방석호 접이식 평상
WO2015199315A1 (ko) * 2014-06-27 2015-12-30 조상웅 휴대형 데크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0030B2 (en) Foldable tent
US6209557B1 (en) Collapsible structures
US8056573B2 (en) Freestanding collapsible shelter
US6516823B1 (en) Playyard canopy
US8590554B2 (en) Foldable tent with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EP0473720A1 (en) Collapsible canopy with auto erect roof support structure
US6478038B1 (en) Collapsible shade for a towel mat
US6698441B1 (en) Collapsible structures
KR102172333B1 (ko) 차량용 루프탑 텐트
KR20120037505A (ko) 텐트 또는 쉘터를 위한 환기구
US20160053508A1 (en) Tent structure or sun protection structure
KR101137801B1 (ko) 조립식 마루형 좌대
US20060283103A1 (en) Gazebo
KR101535604B1 (ko) 매트 일체형 접이식 텐트
KR20100010872U (ko) 접이식 평상 겸용 원두막
US20040065361A1 (en) Foldable bed tent
KR20200000596U (ko) 차량용 텐트
KR100555135B1 (ko) 차량용 절첩 텐트
KR102122390B1 (ko) 이동식 간이 하우스
KR200475922Y1 (ko) 프레임 구조물 및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평상
KR20200001322U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US20170247905A1 (en) Self-locking and inverting canopy
KR200488280Y1 (ko) 차양 방갈로 프레임
KR200489408Y1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KR101239317B1 (ko) 텐트로 전환되는 돗자리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