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616Y1 -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616Y1
KR200475616Y1 KR2020130006487U KR20130006487U KR200475616Y1 KR 200475616 Y1 KR200475616 Y1 KR 200475616Y1 KR 2020130006487 U KR2020130006487 U KR 2020130006487U KR 20130006487 U KR20130006487 U KR 20130006487U KR 200475616 Y1 KR200475616 Y1 KR 200475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haft
bent
flip
ar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상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to KR2020130006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6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65G47/25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8Construction of the conveyor rollers ; Materials, coatings or covering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slot)이 형성되는 샤프트 및 흡입력을 전달하는 에어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슬롯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아암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자동차 유리의 이송 과정에서 이를 뒤집어 줄 필요가 없는 경우 플립 오버 장치를 제거하지 않고 연속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생산 효율이 최대화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FLIP OVER APPARATUS FOR AUTOMOTIVE GLASS MANUFACTURING}
본 고안은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유리의 제조 과정에서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자동차 유리를 뒤집어 주는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유리의 제조 과정에서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유리에 대한 소정의 처리 작업을 수행하고, 이때 해당 공정에 따라 유리를 뒤집어주는 플립 오버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플립 오버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종래에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4분할 타입으로 이루어진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의 플립 오버 장치는 4개의 아암(1)이 회전축(2)을 중심으로 연속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며, 각 아암(1)에는 자동차용 곡면 유리(G)를 흡착시키기 위한 진공컵(3) 및 진공컵(3)에서의 진공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진공 조절 수단이 구비된 아암 커버(4)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미도시) 등의 동작에 의해 4개의 아암(1)이 각각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에 일측에서 공급되는 곡면 유리(G)를 진공컵(3)으로 흡착시킨 후, 180° 회전시켜 타측에서 진공을 해제함으로써 곡면 유리(G)가 뒤집힌 상태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플립 오버 장치에 의하면 플립 오버 장치가 설치된 컨베이어 라인의 생산 속도가 빠르므로 자동차 유리가 이송 또는 회전 과정에서 파손되어 고장 및 수리비용 발생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 유리의 이송 과정에서 뒤집어 줄 필요가 없을 경우 플립 오버 장치를 제거한 후 제조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이로 인한 작업 시간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4분할 타입으로 구성된 플립 오버 장치를 6분할 타입으로 구성하고, 자동차 유리의 이송 과정에서 이를 뒤집어 줄 필요가 없는 경우 이를 제거하지 않고 연속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한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slot)이 형성되는 샤프트; 및 흡입력을 전달하는 에어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슬롯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아암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 라인은 상기 샤프트의 내부에 매립되어 상기 아암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암 어셈블리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제1아암부, 제2아암부 및 제3아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아암부 및 제2아암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3아암부는 상기 제2아암부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아암부, 제2아암부 및 제3아암부에는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 제2절곡부 및 제3절곡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절곡부 및 상기 제2절곡부는 각각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둔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절곡부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절곡부, 제2절곡부 및 제3절곡부에는 각각 보강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아암부, 제2아암부 및 제3아암부는, 각각 흡착 아암과, 상기 흡착 아암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스토퍼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아암 및 한 쌍의 스토퍼 아암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 아암은, 제1체결 슬롯이 형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체결 슬롯에 마련되는 흡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흡착 부재는, 상기 제1체결 슬롯에 체결되어 상기 에어 라인과 연통되는 중공의 제1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일면에 마련되는 흡착 러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 아암은, 제2체결 슬롯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체결 슬롯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2체결 슬롯에 체결되는 제2스크류와, 상기 제2스크류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 유리를 흡착하는 아암이 6분할 타입으로 구성됨으로써 자동차 유리의 생산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이송 과정에서의 파손을 감소시켜 제품의 생산 손실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 중심축이 되는 샤프트에 슬롯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아암 구조를 달리 형성함으로써 자동차 유리의 이송 과정에서 이를 뒤집어 줄 필요가 없는 경우 이를 제거하지 않고 연속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생산 효율이 최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립 오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의 로터리 조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의 샤프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의 흡착 아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의 스토퍼 아암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의 로터리 조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의 샤프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플립 오버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 및 각 구성의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플립 오버 장치는 일 예로서 자동차에 사용되는 유리를 제조하는 경우 이송 과정에 있어서 플립 오버(flip over)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공정 흐름의 최적화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샤프트(10) 및 아암 어셈블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10)는 상기 아암 어셈블리(20)의 회전축이 되며, 상기 아암 어셈블리(20)가 공급측 컨베이어(15a)에서 공급되는 유리(G)를 뒤집는 플립 오버 동작을 수행하면서 배출측 컨베이어(15b)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10)는 상기 공급측 컨베이어(15a)와 배출측 컨베이어(15b)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샤프트(1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slot, 11)이 형성된다(도 6 참조). 상기 슬롯(11)은 상기 샤프트(1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 형성되는데, 이는 공급측 컨베이어(15a)에서 공급되는 유리(G)가 뒤집어 질 필요없이 이송 공정이 진행되는 경우 상기 슬롯(11)을 통하여 배출측 컨베이어(15b)로 직접 이송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유리(G)가 플립 오버 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샤프트(10)는, 상기 슬롯(11)은 컨베이어(15a, 15b)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그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유리(G)는 상기 슬롯(11)을 통하여 공급측 컨베이어(15a)에서 배출측 컨베이어(15b)로 이동된다.
여기서, 유리(G)는 평면 또는 곡면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슬롯(11)은 상기 유리(G)의 상단면에서 하단면까지의 높이보다 큰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롯(11)을 통하여 배출측 컨베이어(15b)로 직접 이송하는 과정에서 유리(G)의 표면 혹은 모서리가 상기 슬롯(11) 내측과 접촉하여 스크래치 및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슬롯(11) 내부 표면에는 고무 수지가 코팅 혹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0)의 일단부에는 로터리 조인트(12)가 마련되고, 상기 로터리 조인트(12)는 구동 모터(13)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샤프트(10)를 회전시킨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후술할 아암 어셈블리(20)는 상기 샤프트(10)의 외주면에 한 쌍이 마련되고, 상기 아암 어셈블리(20)는 각각 세 개의 아암부(100, 200, 300)로 구성되므로 총 6개의 아암부가 상기 샤프트(10)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면서 유리(G)의 플립 오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13)는 상기 구동 기어(14)를 대략 60°의 각도로 단속적인 회동 동작이 진행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며, 이에 연동하여 상기 로터리 조인트(12) 및 샤프트(10) 역시 대략 60°의 각도로 단속적인 회동 동작이 진행된다.
한편, 플립 오버 동작 없이 유리(G)가 직접 슬롯(11)을 통과하는 경우 유리(G)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아암 어셈블리(20)가 상기 샤프트(10)에 체결되는 방식은 각 구성 요소에 따라 상이한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아암 어셈블리(20)는 상기 유리(G)를 공급측 컨베이어(15a)에서 배출측 컨베이어(15b)로 이송함과 동시에 플립 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10)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10)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아암 어셈블리(20)는 상기 슬롯(11)에 대해 대칭으로 한 쌍이 배치되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암 어셈블리(20)의 플립 오버 동작 없이 유리(G)가 직접 슬롯(11)을 통과하는 경우 유리(G)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아암 어셈블리(20)는 플립 오버 동작 시 상기 유리(G)를 흡착하기 위하여 흡입력을 전달하는 에어 라인(3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에어 라인(30)은 흡입력을 발생하는 별도의 흡입 모터(미도시) 등과 상기 아암 어셈블리(20)를 연결함으로써 유리(G)를 흡착하기 위한 흡입력을 상기 아암 어셈블리(20)에 전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 라인(30)은 상기 샤프트(10)의 내부에 매립되어 상기 아암 어셈블리(20)에 연결되는데, 이는 상기 샤프트(1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에어 라인(30)이 상기 아암 어셈블리(20)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파손을 막고, 고장 등으로 인한 작업의 효율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아암 어셈블리(20)는 상기 샤프트(10)의 외주면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제1아암부(100), 제2아암부(200) 및 제3아암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아암부는 상기 샤프트(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유리(G)를 흡착하여 플립 오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아암부(100) 및 제2아암부(200)는 상기 샤프트(10)의 외주면에 직접 체결되는 반면, 상기 제3아암부(300)는 상기 제2아암부(200)의 일단부에 체결된다. 이는 상기 제3아암부(300)가 상기 샤프트(10)의 외주면에 직접 체결되는 경우 상기 슬롯(11)의 일부분을 폐쇄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아암부(100), 상기 제2아암부(200) 및 상기 제3아암부(300)에는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101), 제2절곡부(102) 및 제3절곡부(103)가 각각 형성된다. 이는 상기 샤프트(10)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상기 아암부들의 각도가 60°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아암부(300)는 상기 제2아암부(200)의 일단부에 체결되는데, 상기 절곡부(101, 102, 103)들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아암부(100, 200, 300)들이 서로 간섭없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절곡부(101) 및 상기 제2절곡부(201)는 각각 상기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둔각으로 절곡 형성되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략 12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도 7 및 도 9 참조).
그리고 상기 제3 절곡부(103)는 상기 샤프트(10)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도 8 및 도 10 참조). 이는 상기 제3아암부(300)가 상기 제2아암부(200)의 일단부에 체결되는데, 상기 제2아암부(200)와 상기 제3아암부(300)가 서로 이루는 각도가 60°로 형성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절곡부(101), 제2절곡부(102) 및 제3절곡부(103)의 내측에는 각각 보강 부재(102, 202, 302)가 마련되어, 각 아암부(100, 200, 300)의 절곡 부분에서의 취약한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아암부(100), 제2아암부(200) 및 제3아암부(300)는 각각 흡착 아암(400)과, 상기 흡착 아암(400)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스토퍼 아암(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흡착 아암(400) 및 한 쌍의 스토퍼 아암(500)은 상기 샤프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배치 간격은 공정 상의 유리(G)의 면적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G)를 견고하게 흡착하기 위하여 상기 흡착 아암(400)은 공정을 진행하는 유리(G)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 아암(500)은 상기 흡착 아암(400)을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토퍼 아암(500)은, 상기 흡착 아암(400)이 유리(G)를 흡착하는 경우 유리(G)를 지지하여 흔들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의 흡착 아암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의 스토퍼 아암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아암부(100, 200, 300)를 구성하는 흡착 아암(400)과 스토퍼 아암(50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상기 제1아암부(100) 및 제2아암부(200)의 흡착 아암(400)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의 (a) 및 (b)는 각각 상기 흡착 아암(400)의 평면과 측면을 나타낸다.
상기 흡착 아암(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15a, 15b)를 통해 이송 중인 유리(G)를 흡착하여 플립 오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프레임(410) 및 흡착 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410)은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체결 슬롯(412)이 관통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제1절곡부(101) 또는 제2절곡부(201)가 형성되도록 절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곡부(101) 및 제2절곡부(201)는 대략 12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절곡부(101) 및 제2절곡부(102)의 내측에는 각각 보강 부재(102, 202)가 마련되어, 절곡 부분에서의 취약한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410)의 재질은 부식 발생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강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 부재(420)는 상기 제1체결 슬롯(412)에 마련되어 유리(G)를 직접 흡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에어 라인(30)으로부터 흡입력이 전달된다(도 2 참조).
이러한 흡착 부재(420)는 유리(G)의 형상 또는 면적 등에 대응하여 제1체결 슬롯(412)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제1스크류(422), 플랜지(424) 및 흡착 러버(4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스크류(422)는 그 일단부가 상기 제1체결 슬롯(412)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제1프레임(41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에어 라인(30)과 연통되어 흡입력을 전달받으며, 중공의 관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424)는 상기 제1스크류(422)의 일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흡착 러버(426)는 상기 플랜지(424)의 일면에 마련되어 유리(G)에 직접 접촉하게 된다.
도 8은 상기 제3아암부(300)의 흡착 아암(400)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8의 (a) 및 (b)는 각각 상기 흡착 아암(400)의 평면과 측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제3아암부(300)의 흡착 아암(400)은 제1프레임(41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아암부(100) 및 제2아암부(200)의 흡착 아암(4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인 제1프레임(410)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3아암부(300)의 제1프레임(410)은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체결 슬롯(412)이 관통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제3절곡부(30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아암부(300)가 상기 제2아암부(200)의 일단부에 체결되므로, 상기 제2아암부(200)와 상기 제3아암부(300)의 서로 이루는 각도가 60°로 형성되기 위하여 상기 제3절곡부(103)는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다.
도 9는 상기 제1아암부(100) 및 제2아암부(200)의 스토퍼 아암(500)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9의 (a) 및 (b)는 각각 상기 스토퍼 아암(500)의 평면과 측면을 나타낸다.
상기 스토퍼 아암(5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흡착 아암(400)이 컨베이어(15a, 15b)를 이송 중인 유리(G)를 흡착하는 경우 유리(G)를 지지하여 흔들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프레임(510) 및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프레임(510)은 상기 제1프레임(410)과 동일하게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체결 슬롯(512)이 관통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제1절곡부(101) 또는 제2절곡부(201)가 형성되도록 절곡된다.
상기 제1절곡부(101) 및 제2절곡부(201)는 대략 12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절곡부(101) 및 제2절곡부(102)의 내측에는 각각 보강 부재(102, 202)가 마련되어, 절곡 부분에서의 취약한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프레임(510)의 재질은 부식 발생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강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 부재(520)는 상기 제2체결 슬롯(512)에 마련되어 유리(G)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리(G)의 형상 또는 면적 등에 대응하여 제2체결 슬롯(512)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 부재(520)는 상기 제2체결 슬롯(512) 상에 두 개가 마련되나, 상기 스토퍼 부재(520)의 개수나 위치에 따라 본 고안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토퍼 부재(520)는 제2스크류(522) 및 스토퍼(52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스크류(522)는 상기 제2체결 슬롯(512)에 삽입되고, 너트 등의 체결 부재(526)에 의하여 상기 제2체결 슬롯(512)에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524)는 상기 제2스크류(522)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흡착 부재(420)에 흡착된 유리(G)를 지지함으로써 플립 오버 동작 수행 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하여 유리(G)가 흔들리거나 흡착 부재(42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524)는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스펀지 등의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상기 제3아암부(300)의 스토퍼 아암(500)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0의 (a) 및 (b)는 각각 상기 스토퍼 아암(500)의 평면과 측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제3아암부(300)의 스토퍼 아암(500)은 제2프레임(51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아암부(100) 및 제2아암부(200)의 스토퍼 아암(5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인 제2프레임(510)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3아암부(300)의 제2프레임(510)은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체결 슬롯(512)이 관통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제3절곡부(30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아암부(300)가 상기 제2아암부(200)의 일단부에 체결되므로, 상기 제2아암부(200)와 상기 제3아암부(300)의 서로 이루는 각도가 60°로 형성되기 위하여 상기 제3절곡부(103)는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의 동작에 따른 작용 및 효과 등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는 자동차 유리의 제조 공정에서 일측의 공급측 컨베이어(15a)를 통해 이송된 유리(G)를 반대로 뒤집힌 상태로 타측의 배출측 컨베이어(15b)에 안착시킨 후 계속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즉, 한 쌍의 아암 어셈블리(20)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아암부(100, 200, 300)가 60° 간격으로 회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공급측 컨베이어(15a)를 통해 공급된 유리(G)의 일면에 흡착 부재(420)가 밀착되고, 이와 동시에 에어 라인(30)으로부터 전달되는 흡입력에 의해 흡착 부재(420)에 진공압이 형성됨으로써 유리(G)가 흡착 지지 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유리(G)의 흡착이 이루어진 아암부(100, 200, 300)는 60° 간격으로 계속적인 회동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180° 회동이 이루어진 위치에서는 상기 에어 라인(30)으로부터 전달되는 흡입력이 제거됨으로써 유리(G)가 배출측 컨베이어(15b) 위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안착이 이루어진 유리(G)는 배출측 컨베이어(15b)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고, 각 아암부(100, 200, 300)는 다음 동작을 위해 계속적인 회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연속 동작을 통해 유리(G)에 대한 연속적인 플립 오버 작업이 수행되며, 특히 본 고안의 경우는 6분할 타입의 구조를 이룸으로써 정해진 시간에 보다 많은 양의 유리(G)에 대한 플립 오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르면 회전 중심축이 되는 샤프트(10)에 슬롯(11)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10)에 대한 아암부(100, 200, 300)의 체결 구조를 각각 달리 형성함으로써 자동차 유리(G)의 이송 과정에서 이를 뒤집어 줄 필요가 없는 경우 플립 오버 장치 제거하지 않고 연속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생산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샤프트 11: 슬롯
20: 아암 어셈블리 30: 에어 라인
100: 제1아암부 101: 제1절곡부
200: 제2아암부 201: 제2절곡부
300: 제3아암부 301: 제3절곡부
400: 흡착 아암 410: 제1프레임
412: 제1체결 슬롯 420: 흡착 부재
422: 제1스크류 424: 플랜지
426: 흡착 러버 500: 스토퍼 아암
510: 제2프레임 512: 제2체결 슬롯
520: 스토퍼 부재 522: 제2스크류
524: 스토퍼

Claims (12)

  1.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slot)이 형성되는 샤프트; 및
    흡입력을 전달하는 에어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슬롯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아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라인은 상기 샤프트의 내부에 매립되어 상기 아암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어셈블리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제1아암부, 제2아암부 및 제3아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아암부 및 제2아암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체결되며, 상기 제3아암부는 상기 제2아암부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부, 제2아암부 및 제3아암부에는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 제2절곡부 및 제3절곡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 및 상기 제2절곡부는 각각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둔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절곡부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 제2절곡부 및 제3절곡부에는 각각 보강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부, 제2아암부 및 제3아암부는, 각각 흡착 아암과, 상기 흡착 아암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스토퍼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아암 및 한 쌍의 스토퍼 아암은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아암은, 제1체결 슬롯이 형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체결 슬롯에 마련되는 흡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는, 상기 제1체결 슬롯에 체결되어 상기 에어 라인과 연통되는 중공의 제1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일면에 마련되는 흡착 러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아암은, 제2체결 슬롯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체결 슬롯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2체결 슬롯에 체결되는 제2스크류와, 상기 제2스크류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KR2020130006487U 2013-08-05 2013-08-05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KR200475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487U KR200475616Y1 (ko) 2013-08-05 2013-08-05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487U KR200475616Y1 (ko) 2013-08-05 2013-08-05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616Y1 true KR200475616Y1 (ko) 2014-12-16

Family

ID=5357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487U KR200475616Y1 (ko) 2013-08-05 2013-08-05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6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3598A (zh) * 2021-08-05 2021-09-07 江苏伟森家居有限公司 一种自动运输物料的木板加工翻转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280B1 (ko) 2007-02-13 2008-04-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판 투입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280B1 (ko) 2007-02-13 2008-04-1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판 투입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3598A (zh) * 2021-08-05 2021-09-07 江苏伟森家居有限公司 一种自动运输物料的木板加工翻转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175B1 (ko) 바닥 처리 세척 시스템
CN104919581A (zh) 用于处理工件的设备和方法
JP4270142B2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475616Y1 (ko) 자동차 유리 제조용 플립 오버 장치
JP2013049004A (ja) 塵埃除去装置
CN211253261U (zh) 药品包装系统
CN107413695A (zh) 高效瓶盖清理装置
KR101286727B1 (ko) 진공 리프팅 이송장치의 틸팅유닛
JP2015190076A (ja) 布接着装置
JP6961549B2 (ja) 包装システム
KR101605876B1 (ko) 박스 연속 제함기
CN205220108U (zh) 一种封面机面板传送装置的转送机构
JP6084005B2 (ja) 卵の移載装置
CN210418529U (zh) 一种高效稳定的纸板翻面机构及翻面设备
JPH0780610B2 (ja) 使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S5848541Y2 (ja) 噴霧乾燥機における粉体排出装置
CN217515572U (zh) 一种翻盖式包装盒自动开盒装置
JP4326233B2 (ja) 合成樹脂シート梱包製品の吸着装置
KR20110113103A (ko) 테이핑장치
KR101764778B1 (ko) 유연 제함 시스템의 박스 전달 장치
JP6096362B1 (ja) うちわの製造装置及びうちわの製造方法
KR101622837B1 (ko) 선별장치
KR20150054536A (ko) 패널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널 반전 방법
CN220518692U (zh) 一种柔性纸片分料机构
JP7263809B2 (ja) 保持機構及び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