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882Y1 - 전기차 전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차 전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882Y1
KR200474882Y1 KR2020120006367U KR20120006367U KR200474882Y1 KR 200474882 Y1 KR200474882 Y1 KR 200474882Y1 KR 2020120006367 U KR2020120006367 U KR 2020120006367U KR 20120006367 U KR20120006367 U KR 20120006367U KR 200474882 Y1 KR200474882 Y1 KR 200474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top cover
fastening
housing
posi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610U (ko
Inventor
오성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6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88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6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6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8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차의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전기차의 전력변환장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전체면이 상기 연장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가스킷; 상기 가스킷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을 커버하는 탑커버; 및 상기 탑커버, 상기 가스킷 및 상기 연장부를 순차적으로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 가이드 핀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가이드 핀은, 상기 가스킷 및 상기 탑커버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전력변환장치{Electric Power Transfer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s}
본 고안은 전기차의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환경오염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전기자동차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전기자동차란 재충전이 가능한 축전지로 움직이는 자동차를 말한다. 즉, 전동기가 축전지의 전기 에너지를 기계 동력으로 바꾸어 자동차를 구동시키는 특징이 있다. 전기자동차는 소음이 적을 뿐만 아니라 집이나 직장에서 축전지를 재충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변환장치(1)는 탑커버(2), 하우징(3), 체결부재(6) 및 오링(5)을 포함한다. 상기 탑커버(2)와 상기 하우징(3)은 상기 체결부재(6)에 의해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의 상면에는 상기 오링(5)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인 오링그루브(4)가 형성된다.
상기 오링그루브(4)에 상기 오링(5)이 삽입되고, 상기 탑커버(2)가 상기 하우징(3)의 상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6)가 상기 탑커버(2) 및 상기 하우징(3)에 체결된다. 그러면, 상기 오링(5)은 상기 탑커버(2)의 하면에 접촉된다. 상기 하우징(3) 및 상기 탑커버(2) 각각에는 상기 체결부재(6)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오링그루브(4)는 상기 하우징(3)의 체결홀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에 의하면, 상기 오링(5)은 실링시 요구되는 품질을 만족하기 위해 정밀하게 계산되어 설계된 압축률을 가져야 하므로 정밀도 측면에서 까다로운 작업을 요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하우징(3)에는 상기 오링(5)이 삽입할 수 있는 오링그루브(4)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오링그루브를 가공해야 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하여 작업에 번거로운 면이 있었다.
또한 하우징에 탑커버 조립시 오링그루브에서 오링이 빠져 나오면 실링 성능을 발휘할 수 없고, 작업자가 이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차 전력변환장치의 실링 부품으로 테프론 가스킷을 사용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전력변환장치의 조립시 발생 가능한 불량을 최소화하며 내구성이 향상되는 전기차 전력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력변환장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전체면이 상기 연장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가스킷; 상기 가스킷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을 커버하는 탑커버; 및 상기 탑커버, 상기 가스킷 및 상기 연장부를 순차적으로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 가이드 핀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가이드 핀은, 상기 가스킷 및 상기 탑커버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차 전력변환장치의 실링 작업시 실리콘 오링 대신 테프론가스킷을 사용함으로써 조립시 발생하는 불량을 최소화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는 전력변환장치의 외관 구성에 특징이 있으므로, 하우징에 수용되는 부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10)는, 탑커버(20), 하우징(30), 체결부재(40) 및 상기 탑커버(20)와 상기 하우징(30)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킷(5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0)은, 내부에 각종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바디(31)와, 상기 바디(31)의 상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31)는 예시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이 개구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디(31)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연장부(32)는 일 예로 상기 바디(3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에는 상기 체결부재(40)가 관통하기 위한 다수의 제 3 체결홀(33)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3 체결홀(33)은 서로 이격된다.
상기 연장부(32)에는 상기 가스킷(50)이 안착된다. 상기 가스킷(50)에는 상기 다수의 제 3 체결홀(33)과 동일한 수의 제 2 체결홀(53)이 형성된다.
상기 가스킷(50)은 일 예로 테프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킷(50)은, 상기 연장부(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가스킷(50)은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킷(50)의 전체면이 상기 연장부(32)에 안착된다.
상기 가스킷(50)에 의해서 실링 효과가 커지기 위하여, 상기 가스킷(50)의 폭은 상기 연장부(32)의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상기 가스킷(50)은 상기 연장부(32)의 상면에 접촉하는 제 1면(51)과, 상기 제 1면(51)과 마주보며 상기 탑커버(40)의 하면에 접촉하는 제 2면(5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면(51)과 상기 제 2면(52)은 평행하다.
상기 탑커버(20)는 직사각형의 판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탑커버(20)는 상기 가스킷(5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커버(20)에는 상기 체결부재(40)가 관통하기 위한 다수의 제 1 체결홀(21)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 1 체결홀(21)의 개수는, 상기 다수의 제 3 체결홀(33)의 개수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30)의 연장부(32)에는 하나 이상의 위치 가이드 핀(34)이 형성되고, 상기 탑커버(20) 및 가스킷(50)에는 상기 위치 가이드 핀(34)이 관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22, 54)이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상기 위치 가이드 핀(34)은 상기 연장부(32)의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조립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연장부(32)의 위치 가이드 핀(34)과 상기 가스킷(50)의 가이드 홀(54)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스킷(50)을 상기 연장부(32)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위치 가이드 핀(34)이 상기 가이드 홀(54)을 관통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장부(32)에 상기 가스킷(5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킷(50)의 움직임 방지되도록, 상기 위치 가이드 핀(34) 및 상기 가이드 홀(54)은 복수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위치 가이드 핀(34) 각각은 예시적으로 상기 연장부(32)의 코너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위치 가이드 핀(34) 중 두 개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연장부(32)의 위치 가이드 핀(34)과 상기 탑커버(20)의 가이드 홀(22)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탑커버(20)를 상기 가스킷(50)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위치 가이드 핀(34)이 상기 가이드 홀(22)을 관통한다. 이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상기 체결부재(40)를 상기 각 체결홀(21, 53, 33)에 체결시킨다. 이 때, 상기 체결부재(40)는 상기 제 1 체결홀(21), 제 2 체결홀(53) 및 제 3 체결홀(33)을 순차적으로 관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하우징에 그루브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공정이 간단해진다. 또한, 위치 가이드 핀에 의해서 가스킷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실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가스킷이 테프론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서 고온에서도 실링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40)는 볼트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재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10: 전력변환장치 20: 탑커버
30: 하우징 40: 체결부재
50: 가스킷

Claims (5)

  1.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전체면이 상기 연장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가스킷;
    상기 가스킷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을 커버하는 탑커버; 및
    상기 탑커버, 상기 가스킷 및 상기 연장부를 순차적으로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 가이드 핀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킷은 테프론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탑커버 사이를 실링 가능하도록 상기 탑 커버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 상기 가스킷 및 상기 탑커버 각각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킷 및 상기 탑커버에는, 상기 위치 가이드 핀이 관통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 가이드 핀은, 상기 가스킷 및 상기 탑커버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전력변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가이드 핀은 다수 개가 구비되고, 다수 개의 위치 가이드 핀은 상기 연장부의 코너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가스킷 및 상기 탑커버 각각의 코너에 위치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전기차 전력변환장치.
KR2020120006367U 2012-07-18 2012-07-18 전기차 전력변환장치 KR200474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367U KR200474882Y1 (ko) 2012-07-18 2012-07-18 전기차 전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367U KR200474882Y1 (ko) 2012-07-18 2012-07-18 전기차 전력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10U KR20140000610U (ko) 2014-01-29
KR200474882Y1 true KR200474882Y1 (ko) 2014-10-22

Family

ID=5200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367U KR200474882Y1 (ko) 2012-07-18 2012-07-18 전기차 전력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8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978B1 (ko) 2020-08-27 2021-05-27 강영순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495A (ja) 2003-02-19 2004-09-09 Hitachi Ltd 液冷型電力用半導体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包含するインバータ
JP2007002844A (ja) 2005-06-24 2007-01-11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圧縮機用シリンダー組立体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873821B1 (ko) * 2007-08-07 2008-12-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수냉 인버터 구조물
KR20120061366A (ko) * 2010-12-03 2012-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용 전기장치의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495A (ja) 2003-02-19 2004-09-09 Hitachi Ltd 液冷型電力用半導体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包含するインバータ
JP2007002844A (ja) 2005-06-24 2007-01-11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圧縮機用シリンダー組立体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873821B1 (ko) * 2007-08-07 2008-12-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수냉 인버터 구조물
KR20120061366A (ko) * 2010-12-03 2012-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용 전기장치의 냉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978B1 (ko) 2020-08-27 2021-05-27 강영순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10U (ko)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4017B2 (en) Electric device body and electric device
JP5644657B2 (ja) 車載用電気機器のシールカバー
US9957736B2 (en) Electrical vehicle latch having a fluid tight electrical housing
US20150171386A1 (en) Battery pack
WO2018139515A1 (ja) コネクタ
US8248812B2 (en) Cover latch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US8345422B2 (en) Latch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2137587B1 (ko) 축전 장치
US20140321034A1 (en) Battery pack and electrical apparatus
US8308826B2 (en)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JP5924041B2 (ja) 電動工具セット
KR200474882Y1 (ko) 전기차 전력변환장치
CN105981234B (zh) 连接器
US828306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battery cover having elastic positioning element
JP4792697B2 (ja) 二次電池
JP6160303B2 (ja) スイッチユニット
KR20180137779A (ko) 배터리 팩 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037019A (ja) 電気機器及び電池パック及び電気装置
US8982568B2 (en) Battery cover latch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ame
KR101793730B1 (ko) 전지용 프레임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조립체
US20120237813A1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JP2019075497A (ja) 電子制御ユニット
US20120236478A1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EP2822154A2 (en) Brush plate and electrical motor mounted with the same
KR102091767B1 (ko) 전지 보호 구조물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