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978B1 -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978B1
KR102256978B1 KR1020200108901A KR20200108901A KR102256978B1 KR 102256978 B1 KR102256978 B1 KR 102256978B1 KR 1020200108901 A KR1020200108901 A KR 1020200108901A KR 20200108901 A KR20200108901 A KR 20200108901A KR 102256978 B1 KR102256978 B1 KR 102256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lectric vehicle
composition
pbt
interio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순
Original Assignee
강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순 filed Critical 강영순
Priority to KR1020200108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14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29B11/16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comprising fillers or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6Polymer particles coated by polymer, e.g. core shel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4Triazines containing cyanurate groups; Tauto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21Phosphates
    • C08K2003/327Aluminium phosph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내장재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PBT를 주재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내장재에 포함되는 난연재가 어느 한 쪽으로 뭉쳐지지 않고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유도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내장재의 난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기자동차용 내장재에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면서 기존 소재 대비 경량화 및 미려한 사출성형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PBT를 주재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에 있어서, 45 ~ 60중량%의 PBT(Polybutylen Terephthalate)와; 0.5 ~ 2중량%의 유기실리콘(fatty acids derivatives and silicones)과; 0.5 ~ 2중량%의 유동파라핀과; 20 ~ 40중량%의 유리섬유와; 11 ~ 25중량%의 난연제와; 0.5 ~ 1 중량%의 카본블랙과; 0.1 ~ 0.2 중량%의 1차 산화방지제와; 0.1 ~ 0.2 중량%의 항산화제와; 0.15 ~ 0.3 중량%의 성형안정제; 및 0.15 ~ 0.3중량%의 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미드(EBS);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PELLET MANUFACTURING METHOD FOR INTERIOR PANEL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내장재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BT를 주재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내장재에 포함되는 난연재가 어느 한 쪽으로 뭉쳐지지 않고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유도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내장재의 난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기자동차용 내장재에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면서 기존 소재 대비 경량화 및 미려한 사출성형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기자동차 내장재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경오염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세계적으로 전기자동차의 사용이 늘어가는 추세이다. 상기 전기자동차란, 재충전이 가능한 축전지로 움직이는 자동차로서, 이는 전동기가 축전지의 전기에너지를 기계 동력으로 바꾸어 자동차를 구동시킴에 따라, 소음이 적을 뿐만 아니라 집이나 직장에서 축전지를 재충전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사용의 편의성을 가진다. 이에, 인버터, 컨버터 차내충전기, 배터리팩, 휴즈박스 등으로 구성되는 전력변환장치는 전기자동차의 핵심구성품이라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용 전력변환장치는 내부에 구성되는 회로기판 및 전자부품들로 이루어진 모듈러들 보호가 위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커버들로 이루어진 내장재가 구성된다.
한편, 도 1과 같이, 상기 내장재 중, 전기자동차(EV)의 경우 전원박스, 제어시스템, Lid charger port, 배터리팩 등이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의 경우 전원박스, 제어시스템, Lid 전지하우징 등이며, 수소자동차의 경우 수소 디텍터 하우징, 수소제어시스템 등과 같이, 내열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폴리페닐렌 술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만큼의 고내열성이 요구되지 않는 용도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를 주재로 하는 내장재가 사용된다(이들을 '전기자동차용 내장재'라 통칭한다).
상기 PBT를 주재로 하는 내장재의 경우, 주재인 PBT에 난할로겐 인계 난연제 및 유리섬유(Glass Fiber)를 일정비율 혼합하여 조성된다. 이 경우, 상기 유리섬유는 대략 3 ~ 4mm의 길이로 형성되어, 전기자동차의 내장재에 대한 인장강도를 향상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기자동차의 내장재는,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난연제가 전체에 균등하게 분포되지 않고, 어느 한 쪽으로 뭉쳐지는 뭉침현상에 의한 분산성 불량으로 균등한 품질을 약속할 수 없음에 따라 제품 신뢰성을 하락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자동차 내장재는 첨가되는 난연제 및 유리섬유 등에 의해 사출품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여, 제품 디자인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74882호(2014.10.22.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35321호(2018.04.06.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876754호(2018.07.10.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PBT를 주재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내장재에 포함되는 난연재가 어느 한 쪽으로 뭉쳐지지 않고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유도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내장재의 난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기자동차용 내장재에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면서 기존 소재 대비 경량화 및 미려한 사출성형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기자동차 내장재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45 ~ 60중량%의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와, 0.5 ~ 2중량%의 유기실리콘(fatty acids derivatives and silicones)과, 0.5 ~ 2중량%의 유동파라핀과, 20 ~ 40중량%의 유리섬유와, 11 ~ 25중량%의 난연제와, 0.5 ~ 1 중량%의 카본블랙과, 0.1 ~ 0.2 중량%의 1차 산화방지제와, 0.1 ~ 0.2 중량%의 항산화제와, 0.15 ~ 0.3 중량%의 성형안정제, 및 0.15 ~ 0.3중량%의 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미드(EBS)로 조성되는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에 있어서,PBT와 유동파라핀을 교반기에 투입시켜 3 ~ 10분 동안 교반시켜, 상기 PBT에 유동파라핀이 코팅 처리되도록 하는 1차 배합단계와; 상기 1차 배합단계를 통해 유동 파라핀이 코팅처리된 PBT가 수용된 교반기에 유기실리콘(fatty acids derivatives and silicones)과, 유리섬유와, 난연제와, 카본블랙과, 1차 산화방지제와, 항산화제와, 성형안정제, 및 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미드(EBS)를 투입시켜, 5 ~ 30분 동안 교반시키는 2차 배합단계와; 상기 2차 배합단계를 통해 교반이 완료된 조성물을 건조챔버에 투입시킨 후 50 ~ 70℃의 온도로 30 ~ 60분 동안 건조시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습기 또는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는 1차 건조단계와; 상기 1차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가 완료된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시켜, 다수의 가락형태로 인발되어 압출선을 형성하는 압출단계와; 상기 압출단계를 통해 형성된 압출선을 수냉방식으로 경화시키도록 하는 냉각단계와; 상기 냉각단계를 통해 경화된 압출선을 바이브레이터 및 열풍기를 이용하여 상기 압출선을 건조시키도록 하는 2차 건조단계와; 상기 2차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압출선을 7 ~ 11(mm)의 크기를 가지는 펠릿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절단단계; 및 상기 절단단계를 통해 형성된 펠릿을 7 ~ 11(mm)의 크기를 가지는 펠릿만 선별시켜 포장이 이루어져 납품신뢰성을 가지도록 하는 크기선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PBT를 주재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내장재에 포함되는 난연재가 어느 한 쪽으로 뭉쳐지지 않고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유도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내장재의 난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기자동차용 내장재에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면서 기존 소재 대비 경량화 및 미려한 사출성형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전력변환장치의 일종인 배터리팩을 보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펠릿의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은 주재인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45 ~ 60중량%와, 유기실리콘 0.5 ~ 2중량%와, 유동파라핀 0.5 ~ 2중량%와, 유리섬유 20 ~ 40중량%와, 난연제 11 ~ 25중량%와, 카본블랙 0.5 ~ 1 중량%와, 1차 산화방지제 0.1 ~ 0.2 중량%와, 항산화제 0.1 ~ 0.2 중량%와, 성형안정제 0.15 ~ 0.3 중량%, 및 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미드(EBS) 0.15 ~ 0.3중량%로 조성된다.
상기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는 치수안전성과 공학적 물성을 지닌 반결정체 플라스틱으로 자동차 즉, 전기자동차(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수소자동차를 포함)의 내장재로 주로 사용되는 조성물이다.
상기 유기실리콘은 재료의 평활성을 향상시켜, 사출성형시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는 성능을 발휘한다. 이 경우, 상기 유기실리콘은 지방산 유도체 및 실리콘(fatty acids derivatives and silicones)이다.
또한, 상기 유기실리콘은 0.5중량% 미만이면 원활한 평활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2중량%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영향을 미쳐 요구되는 난연성 및 인장강도를 얻을 수 없다.
상기 유동파라핀은 석유에서 분류한 파라핀유 가운데 상온에서도 고체로 변화하지 않는 부분을 모은 것으로서, 압출균일성 및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성능을 발휘한다. 이 경우, 난연제를 투입하기 전에 투입시켜, 상기 난연제의 뭉침현상을 방지시킴에 따라 상기 난연제의 균등한 분산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난연제의 균등한 분포로 난연제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추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종래의 난연제는 조성물과의 혼합에 있어서 어느 한 쪽으로 뭉쳐지는 뭉침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제품 국소부분에서만 난연성을 유지함으로써, 이를 보완코져 상기 난연제의 함량을 증가시켜야 했고, 이로 인해 제품 전체에 대한 난연성을 유지되나, 난연제의 추가로 인한 다른 조성물의 조성비율이 낮아짐으로 인장강도 등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이에, 상기 유동파라핀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난연제의 균등한 분산작용으로, 동일한 조건하의 난연성이 종래에 비하여 1 ~ 5중량% 조성비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다른 조성물의 함량에 대한 비율적 배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인장강도 등의 물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유동파라핀은 0.5중량% 미만이면 압출 균일성 및 분산성능을 얻을 수 없고, 2중량% 초과하면 분산성이 유지되나 다른 조성물의 조성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강화재의 일종으로,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를 강화한다.
상기 유리섬유는 규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를 용융 또는 가공하여 섬유모양으로 가공한 것으로, 단섬유 및 장섬유로 나눠지고, 여기서는 장섬유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섬유는 전기자동차용 내장재에 대한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7 ~ 11㎜로 형성된다.
즉, 종래의 PBT를 주재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내장재에 사용되었던 유리섬유는 최대 4㎜ 미만으로 형성됨에 따라 열적영향을 받은 위치에서 요구되는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을 나타내었고, 이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유리섬유에서는 20 ~ 40중량%의 함량과 함께 7 ~ 11㎜를 형성함으로써, 기계적 특성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상기 난연제는 전기자동차용 내장재에 대한 난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조성물이고, 이 경우, 11중량% 미만이면 요구되는 난연성을 확보할 수 없고, 25중량% 초과하면 요구되는 난연성이 확보되나 다른 조성물의 조성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난연제는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장재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0 ~ 20중량%의 인계난연제 및 1 ~ 5중량%의 질소계난연제가 혼합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인계난연제는 Surface Modified Aluminum phosphinate(AlPi)이고, 상기 질소계난연제는 MCA(Melamine Cyanurate)이다.
상기 카본블랙은 석유나 천연가스 등, 탄소를 포함하는 물질을 불완전 연소시켜 그을음과 같은 검은 탄소의 미립자이다.
상기 카본블랙은 강화 충전제로 사용되며, 내마멸성과 내연마성을 향상시키는 기능 및 난연성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카본블랙은 0.5중량% 미만이면 충전제 기능 및 난연성이 미비하고, 1중량%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함량에 영향을 주워 요구되는 기계적특성 또는 열적특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상기 1차 산화방지제는 고분자 대신에 라디칼을 만들어 고분자를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상기 1차 산화방지제는 pentaerythritol-tetrakis [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펜타 에리트 리톨 코어를 통해 연결된 4개의 입체 장애 페놀로 구성된 화합물로서, 화학식 : C73H108O12이고, PBT를 안정화시킨다.
상기 1차 산화제는 0.1중량% 미만이면 안정적인 안정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0.2중량%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함량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항산화제는 다른 물질의 산화를 방해하는 물질로서, 다른 물질의 산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항산화제는 phosphorous acid tris(2,4-di-tert-butylphenyl) ester임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0.1중량% 미만이면 항산화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고, 0.2중량%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성형안정제는 사출 또는 압출성형시 성형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첨가제의 일종이다. 이 경우, 상기 성형안정제는 스테아르산칼슘(calcium-stearate)으로서, 계면활성성능 및 유화안정성도 함께 만족함으로써, 제품 성형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성형안정제는 0.15중량% 미만이면 원활한 성형안정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0.3중량% 초과하면 다른 물성에 영향을 미쳐 요구되는 난연성 및 인장강도 등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미드(EBS)는 이형제, 대전방지제 및 소포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화학식 : CH2NHC(O)C17H35이고, 성형 후 금형에서 사출품이 원활하게 탈락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0.15중량% 미만이면 금형에서 원활한 탈락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0.3중량% 초과하면 다른 조성물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PBT를 주재로 한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에 대한 비교표를 살펴보면,
실시 예 비교 예
유리섬유
22%
유리섬유
25%
유리섬유
27%
유리섬유
30%
유리섬유
25%
유리섬유
30%
밀도 1.47 1.51 1.53 1.57 1.51 1.57
충격강도 J/m 55 68 77 89 50 75
인장강도 Mpa 90 103 116 125 90 115
굴곡강도 Mpa 145 166 177 185 135 175
굴곡탄성률 Mpa 8,158 8,612 9,040 9,200 8,235 8,960
열변형온도 220 220 220 220 220 210
난연성 V0
1.5T
V0
1.5T
V0
1.5T
V0
1.5T
V0
1.5T
V0
1.5T
위의 비교예는, PBT를 주성분으로 하고, 유리섬유의 함량에 따른 실시 예를 비교하였다.
위의 비교예는, '현대 기아자동차' 및 글로벌 완성차의 내연기관 시험온도는 90℃±50℃로서, 이를 기준으로 하여 위의 결과치를 얻었다.
본 실시 예의 유리섬유 길이 7㎜, 비교예의 유리섬유 길이 4㎜이다.
이에, 유리섬유의 함량에 따라 기계적특성 및 열적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난연제의 함량을 줄임에도 동일한 난연성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은 1차 배합단계(S1)와, 2차 배합단계(S2)와, 1차 건조단계(S3)와, 압출단계(S4)와, 냉각단계(S5)와, 2차 건조단계(S6)와, 절단단계(S7), 및 크기선별단계(S8)를 포함한다.
상기 1차 배합단계(S1)는, 주재인 PBT 및 유동파라핀을 배합한 후 일정시간동안 교반시켜, 상기 PBT에 유도파라핀이 코팅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는, 45 ~ 60중량%의 PBT와 0.5 ~ 2중량%의 유동파라핀을 교반기에 배합시킨 후 상기 교반기의 교반작용에 의해 상기 PBT의 표면에 유동파라핀이 코팅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후술되는 조성물과의 균등한 교반작용이 수행되도록 한다.
특히, 유동파라핀이 코팅된 PBT는 난연제와의 배합 및 교반작용시에 유동파라핀의 유화작용에 의해 종래의 난연제가 어느 한 곳으로 뭉쳐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난연제의 균등한 분포를 유도하여 종래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난연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교반기 내에 배합된 PBT 및 유동파라핀은 3 ~ 10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다.
2차 배합단계(S2)는 상기 1차 배합단계(S1)를 통해 유동파라핀이 코팅 처리된 PBT에 나머지 조성물 즉, 유기실리콘과, 유리섬유와, 난연제와, 카본블랙과, 1차 산화방지제와, 항산화제와, 성형안정제, 및 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미드(EBS)를 교반기에 투입시켜 5 ~ 30분 정도 교반하여 배합시키는 단계이다.
삭제
1차 건조단계(S3)는 2차 배합단계(S2)를 통해 배합된 조성물을 건조시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습기 또는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확실한 물성의 특징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는, 배합된 조성물을 건조챔버에 위치시킨 후, 상기 건조챔버에 구성된 열선 등에 의해 50 ~ 70℃에서 30 ~ 60분 정도의 건조시간을 거침에 따라 조성물에 포함된 습기 또는 수분이 증발되도록 한다.
압출단계(S4)는 상기 1차 건조단계(S3)를 통해 조성물의 건조가 완료되면, 압출기를 통해 인발시켜, 다수의 가락을 가지는 압출선을 성형하는 단계이다.
냉각단계(S5)는 상기 압출단계(S4)를 통해 성형된 압출선을 수냉방식으로 경화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압출단계(S4)의 압출방식 및 냉각단계(S5)의 냉각방식은 본 출원인의 특허 제10-1865747호에서 제시하는 압출 및 냉각방식을 채용한다.
2차 건조단계(S6)는 상기 냉각단계(S5)를 통해 냉각된 압출선에 묻어있는 수분을 2차 건조시키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는, 수냉방식으로 냉각된 압출선에는 다량의 물이 묻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압출선에 묻은 물을 확실하게 건조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압출선의 건조는 바이브레이터 및 열풍기를 이용하여 상기 압출선에 대한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열풍기의 건조 온도는 50 ~ 70℃이다.
절단단계(S7)는 상기 2차 건조단계(S6)를 통해 건조가 완료된 압출선을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펠릿형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는, 절단기를 통해 건조된 가락형태의 압출선을 절단시켜 7 ~ 15(mm)의 펠릿을 형성한다.
크기선별단계(S8)는 상기 절단단계(S7)를 통해 형성된 펠릿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단계이다.
이는, 절단 불량 또는 기타 이유로 7 ~ 15(mm) 이외의 크기를 가지는 펠릿을 선별시켜, 규정된 크기 즉, 7 ~ 15(mm)의 펠릿만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납품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에 의해 펠릿이 제조된다.
그러므로, PBT를 주재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내장재에 포함되는 난연재가 어느 한 쪽으로 뭉쳐지지 않고 균등하게 분산되도록 유도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내장재의 난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기자동차용 내장재에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면서 기존 소재 대비 경량화 및 미려한 사출성형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1: 1차 배합단계 S2: 2차 배합단계
S3: 1차 건조단계 S4: 압출단계
S5: 냉각단계 S6: 2차 건조단계
S7: 절단단계 S8: 크기선별단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45 ~ 60중량%의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와, 0.5 ~ 2중량%의 유기실리콘(fatty acids derivatives and silicones)과, 0.5 ~ 2중량%의 유동파라핀과, 20 ~ 40중량%의 유리섬유와, 11 ~ 25중량%의 난연제와, 0.5 ~ 1 중량%의 카본블랙과, 0.1 ~ 0.2 중량%의 1차 산화방지제와, 0.1 ~ 0.2 중량%의 항산화제와, 0.15 ~ 0.3 중량%의 성형안정제, 및 0.15 ~ 0.3중량%의 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미드(EBS)로 조성되는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에 있어서,
    PBT와 유동파라핀을 교반기에 투입시켜 3 ~ 10분 동안 교반시켜, 상기 PBT에 유동파라핀이 코팅 처리되도록 하는 1차 배합단계(S1)와;
    상기 1차 배합단계(S1)를 통해 유동 파라핀이 코팅처리된 PBT가 수용된 교반기에 유기실리콘(fatty acids derivatives and silicones)과, 유리섬유와, 난연제와, 카본블랙과, 1차 산화방지제와, 항산화제와, 성형안정제, 및 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미드(EBS)를 투입시켜, 5 ~ 30분 동안 교반시키는 2차 배합단계(S2)와;
    상기 2차 배합단계(S2)를 통해 교반이 완료된 조성물을 건조챔버에 투입시킨 후 50 ~ 70℃의 온도로 30 ~ 60분 동안 건조시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습기 또는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는 1차 건조단계(S3)와;
    상기 1차 건조단계(S3)를 통해 건조가 완료된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시켜, 다수의 가락형태로 인발되어 압출선을 형성하는 압출단계(S4)와;
    상기 압출단계(S4)를 통해 형성된 압출선을 수냉방식으로 경화시키도록 하는 냉각단계(S5)와;
    상기 냉각단계(S5)를 통해 경화된 압출선을 바이브레이터 및 열풍기를 이용하여 상기 압출선을 건조시키도록 하는 2차 건조단계(S6)와;
    상기 2차 건조단계(S6)를 통해 건조된 압출선을 7 ~ 11(mm)의 크기를 가지는 펠릿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절단단계(S7); 및
    상기 절단단계(S7)를 통해 형성된 펠릿을 7 ~ 11(mm)의 크기를 가지는 펠릿만 선별시켜 포장이 이루어져 납품신뢰성을 가지도록 하는 크기선별단계(S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
KR1020200108901A 2020-08-27 2020-08-27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 KR102256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901A KR102256978B1 (ko) 2020-08-27 2020-08-27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901A KR102256978B1 (ko) 2020-08-27 2020-08-27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978B1 true KR102256978B1 (ko) 2021-05-27

Family

ID=7613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901A KR102256978B1 (ko) 2020-08-27 2020-08-27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97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883A (ko) * 2006-07-28 2009-04-21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성형품
KR20110119628A (ko) * 2008-12-30 2011-11-02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 아이피 비.브이. 유리 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물품
KR200474882Y1 (ko) 2012-07-18 2014-10-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차 전력변환장치
JP2015199775A (ja) * 2014-04-04 2015-11-12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ペレットブレンド物、ペレットブレンド物の製造方法及び成形品
KR20180035321A (ko) 2016-09-29 2018-04-06 주식회사 성진정밀 전기자동차의 파워 콘트롤 유니트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1876754B1 (ko) 2016-12-16 2018-07-10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용 배터리모듈 제조를 위한 자기소화 성능 개선용 열경화성수지 조성물
KR102139653B1 (ko) * 2020-05-15 2020-07-30 강영순 자동차의 엔진룸에 사용 가능한 복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펠릿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883A (ko) * 2006-07-28 2009-04-21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성형품
KR20110119628A (ko) * 2008-12-30 2011-11-02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 아이피 비.브이. 유리 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물품
KR200474882Y1 (ko) 2012-07-18 2014-10-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차 전력변환장치
JP2015199775A (ja) * 2014-04-04 2015-11-12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ペレットブレンド物、ペレットブレンド物の製造方法及び成形品
KR20180035321A (ko) 2016-09-29 2018-04-06 주식회사 성진정밀 전기자동차의 파워 콘트롤 유니트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1876754B1 (ko) 2016-12-16 2018-07-10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용 배터리모듈 제조를 위한 자기소화 성능 개선용 열경화성수지 조성물
KR102139653B1 (ko) * 2020-05-15 2020-07-30 강영순 자동차의 엔진룸에 사용 가능한 복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펠릿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4236B (zh) 一种辐照交联无卤高阻燃电缆料及其制备方法
KR100722183B1 (ko)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난연성 섬유, 난연성 필름 및 난연성 성형품
DE202018006837U1 (de) Sekundärbatterie-Pack mit verbessertem Thermomanagement
KR20180104280A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CN110591335B (zh) 一种高阻燃低烟气毒性耐候电缆护套料及其制备方法
EP3543285A1 (en) Liquid crystal polymer composition for foam molding, method for producing foam molded body, and foam molded body
KR20100038701A (ko) 난연성이 우수한 전선피복용 친환경 난연 열가소성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복합수지 조성물
CN114702749A (zh) 一种阻燃聚烯烃及其制备方法
KR102256978B1 (ko) 전기자동차용 내장재 조성물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내장재용 펠릿 제조방법
CN115260754A (zh) 一种高韧性无卤阻燃pa66材料及其制备方法
JP5720778B2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Taghi-Akbari et al. Flammability, smoke produc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composites with an intumescent flame-retardant system and nano-silica
Zeng et al. Study on sol–gel-modified ammonium polyphosphate and its application in the flame-retardant polyurethane composites
US20190270860A1 (en) Foam-molding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foam-molded body, and foam-molded body
US11053364B2 (en) Optimized sizing for carbon fiber-sheet molding compound
CN108250573B (zh) 一种耐热氧老化的无卤环保阻燃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JP2002234999A (ja) 成形材料、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39653B1 (ko) 자동차의 엔진룸에 사용 가능한 복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펠릿 제조방법
EP4188982A1 (en) Flame resistant and hydrolysis resistant polyester composition and connectors made therefrom
Aydogan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various phosphorus compounds on the flammability properties of short carbon fiber‐reinforced polyamide 6 composites
JP2004196837A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102065459B1 (ko) 전자파차폐 방열플라스틱 성형품
KR101786245B1 (ko)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차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 차음재
JPWO2020105607A1 (ja) 繊維強化樹脂ペレット、混合ペレット及び射出成形品
CN104845079A (zh) 抗静电无卤阻燃pet/ptt合金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