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709Y1 -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 - Google Patents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709Y1
KR200473709Y1 KR2020130001026U KR20130001026U KR200473709Y1 KR 200473709 Y1 KR200473709 Y1 KR 200473709Y1 KR 2020130001026 U KR2020130001026 U KR 2020130001026U KR 20130001026 U KR20130001026 U KR 20130001026U KR 200473709 Y1 KR200473709 Y1 KR 200473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astening
pipe
opening
extens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0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김병호
우해은
정동희
Original Assignee
한국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환경공단 filed Critical 한국환경공단
Priority to KR20201300010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7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7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47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 G01N1/2258Sampling from a flowing stream of gas in a stack or chimne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2001/2244Exhaled gas, e.g. alcohol det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소각로의 연돌부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 가스의 시료 채취를 위해 프루브를 설치시 플랜지 어댑터를 통해 좀더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실링제를 통해 연결관을 통한 누설을 방지하여 연소 가스의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FLANGE ADAPTER FOR COLLECTING COMBUTION GAS SAMPLE}
본 고안은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소각로의 연돌부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 가스의 시료 채취를 위해 프루브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누설에 의한 연소 가스의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소각로의 연돌부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 가스 중에는 다이옥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 오염물질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소각로의 연돌부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연소 가스 중에 포함된 오염 물질들의 함유량을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이들 중에 포함된 오염물들의 배출 농도를 감시 및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연돌부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 가스의 시료 채취를 위한 프루브는 연돌부의 측부를 관통 형성되는 연결관을 통해 연돌부 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연돌부에 연결 설치된 연결관의 내경 사이즈와 이에 삽입되는 프루브들의 외경 사이즈가 서로 차이를 가지기 때문에 연돌부 내부로 프루브를 삽입 설치시 프루브를 설정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들 사이 공간을 통해 누설이 발생하여 연소 가스의 측정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결관과 이를 통해 삽입 설치되는 프루브 사이 공간에 폐헝겁 등으로 틀어 막아, 설치된 프루브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함과 아울러 누설에 따른 측정 오차를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프루브 설치시 마다 폐헝겁을 이용한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많은 작업 시간이 소모하게 되며, 프루브 설치 부분을 정밀하게 밀폐시키지 못하여 누설에 의한 연소 가스의 측정 오차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각로의 연돌부의 연소 가스의 성분 분석을 위한 연소 가스 시료 채취시, 연결관을 통과해 연돌부 내부로 설치되는 프루브를 좀더 용이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프루브가 설치된 연결관을 통해 발생하는 누설에 의해 연소 가스의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는, 소각로의 연돌부 일측을 관통하는 연결관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관 플랜지부에 맞대어져 결합되는 중공 판형의 플랜지 체결부; 상기 플랜지 체결부의 중공부에 연통되며 일체로 상기 연결관 대향측에 연장 형성되어 통형의 연장관부; 및 상기 연장관부의 내주면 상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연장관부를 관통하며 상기 연돌부 내부로 연장 설치되는 프루브와의 사이에 밀폐시켜 누설을 방지하도록 하는 통형의 실링제;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부는 상기 플랜지부 대향측 후단 일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분할 절개된 연장관 개폐부가 남겨진 연장관 고정부에 힌지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프루브를 내부에 삽입 설치후 상기 연장관 개폐부를 상기 연장관 고정부에 닫아 체결 고정하도록 하는 체결 금구가 구비되며, 상기 실링제는 상기 연장관 개폐부 및 상기 연장관 고정부에 대응되게 실링 개폐부 및 실링 고정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 고정부가 상기 연결관 개폐부보다 더 큰 원호각을 갖도록 분할 형성되며 이때, 상기 연결관 개폐부의 원호각은 120° 내지 160°범위 이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관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 체결부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 체결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연결관 플랜지부가 끼워지게 삽입 고정단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랜지 체결부가 상기 연결관 플랜지부와 맞대어져 체결되도록 체결하기 위한 플랜지 체결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체결 수단은 복수의 고정 집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에 따르면, 소각로의 연돌부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 가스의 시료 채취를 위해 프루브를 설치시 플랜지 어댑터를 통해 좀더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실링제를 통해 연결관을 통한 누설을 방지하여 연소 가스의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를 통해 프루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랜지 어댑터를 통해 프루프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랜지 어댑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플랜지 어댑터의 개폐부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플랜지 어댑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플랜지 어댑터에 대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어댑터를 통해 프루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랜지 어댑터를 통해 프루프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100; 이하, 플랜지 어댑터라 한다.)는, 플랜지 체결부(110), 연장관부(120), 실링제(130), 실링판(140) 및 플랜지 체결 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랜지부(110)는 소각로의 연돌부(10) 일측을 관통하는 연결관(11)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관 플랜지부(12)에 맞대어져 결합되는 도넛 형태의 중공 원판형으로 이루어진다.
연장관부(120)는 상기 플랜지 체결부(110)의 중공부에 연통되며 일체로 상기 연결관(11) 대향측에 연장 형성되어 원통형 상으로 이루어진다.
실링제(130)는 상기 연장관부(12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연장관부(120)를 관통하며 상기 연돌부(10) 내부로 연장 설치되는 프루브(20) 로드와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켜 이를 통한 누설을 방지하도록 중공 원통형의 테프론 실링 재질로 이루어진다.
실링판(140)은 상기 연결관 플랜지부(12)와 상기 플랜지 체결부(110) 사이에 교체 가능하게 개재되어 이들 사이에 발생하는 누설을 방지하도록 실링하기 위해 중공 원판형의 연성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플랜지 체결 수단(150)은 상기 플랜지 체결부(110)가 상기 연결관 플랜지부(12)와 맞대어져 체결된 상태를 잡아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 집게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도 3은 도 1의 플랜지 어댑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플랜지 어댑터의 개폐부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플랜지 어댑터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플랜지 어댑터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장관부(120)는 상기 플랜지부(110) 대향측 후단 일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분할 절개된 연장관 개폐부(122)가 남겨진 연장관 고정부(121)에 힌지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프루브(20)를 내부에 삽입 설치후 상기 연장관 개폐부(122)를 상기 연장관 고정부(121)에 닫아 체결 고정하도록 하는 체결 금구(126)가 구비된다.
그리고, 실링제(130) 역시 상기 연장관 개폐부(122) 및 상기 연장관 고정부(121)에 대응되게 실링 개폐부(132) 및 실링 고정부(131)가 원주 방향을 따라 분할 형성된다.
상기 실링제(130)의 실링 고정부(131)는 상기 연장관부(120)의 연장관 고정부(121) 내에 끼워져 안착 고정되고, 상기 실링제(130)의 실링 개폐부(132)는 상기 연장관부(120)의 연장관 개폐부(122) 내에 안착 고정되어 연장관 개폐부(122)와 함께 프루브의 설치를 위해 여닫히도록 한다.
한편, 연장관부(120)의 연장관 고정부(121)가 연장관 개폐부(122)보다 더 큰 원호각을 가지고 분할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좀더 바람직하다.
이처럼, 연장관 개폐부(122)를 연장관 고정부(121) 보다 더 작은 원호각(θ2< θ1)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프루브(20)를 설치후 연장관 고정부(121)에 의한 충분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개방 부분을 최소화하여 프루브(20) 설치시 이들 사이를 막아 누설을 좀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연장관 개폐부(122)의 원호각(θ2)은 120° 내지 160°범위 이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장관 개폐부(131)가 연장관부(120)의 측면도 상에서 중심선을 지나는 일측으로 편심되며 여닫히게 원호각(θ2)을 120° 내지 160°범위 이내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연장관 개폐부(122)의 원호각(θ2)을 120°미만으로 하는 경우 프루브(2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실링제(130)의 실링 고정부(131)의 개방각이 적어져 간섭을 받게 되며, 160°초과인 경우 실링 고정부(131)의 개방각(θ2)이 너무 커져 연장관 고정부(121)에 의한 지지력을 저하시키거나 실링제(130)에 의한 프루브(20)의 실링 효과를 저하시키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플랜지 체결부(110)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연결관(11)의 연결관 플랜지부(12)가 끼워져 서로 맞대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 고정단(111)이 연결관 플랜지부(12)의 두께만큼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플랜지 체결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삽입 고정단(111)을 연장 형성함으로써, 플랜지 어댑터(100)를 연결관(11)의 연결관 플랜지부(12)에 결합시 결합 위치를 좀더 쉽게 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플랜지 체결 수단(150)인 고정 집게를 이용해 체결 상태를 고정시 좀더 견고하게 이들의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100)를 이용해 연소 가스 시료 채취를 위한 프루브(20)를 설치 및 분해 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돌부(10)의 연결관(11)를 단부를 막고 있는 덮개(미도시)를 분리해제거하고, 플랜지 어댑터(100)를 연돌부(10)의 연결관(11)에 연장 결합한다.
플랜지 어댑터(100)를 연장 결합하기 위해서는 실링판(140)이 개재된 상태로 플랜지 체결부(110)를 연결관 플랜지부(12)에 맞댄 후 고정 집게(150)로 잡아 고정하도록 한다.
이때, 연결관 플랜지부(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 체결부(110)의 삽입 고정단(111) 내에 삽입된 상태로 맞대어져 결합 위치 선정 및 고정 집게에 의한 체결 상태의 유지가 용이해지도록 한다.
그 다음, 연장 결합된 플랜지 어댑터(100)를 이용해 프루브(20)를 연돌부(10) 내로 삽입 설치하기 위해, 연장관부(120)의 체결 금구(26)를 풀어 연장관 고정부(121)로부터 연장관 개폐부(122)를 개방한다. 이때, 실링재(130)의 실링 개폐부(132)가 연장관 개폐부(122)와 함께 실링 고정부(131)로부터 분리되어 개방된다.
그리고, 프루브(20)을 연장관부(120)와 연통 결합되는 연결관(11)을 통해 연돌부(10) 내부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삽입 한 후, 프루브(20)의 후단부를 실링 고정부(131) 중심 홈부 내에 끼워 안착시킨다.
그 다음, 실링 개폐부(132)와 일체로 연장관 개폐부(122)로 개방부를 덮고, 체결 금구(126)를 조여 잠궈 연장관부(120) 내에서 실링재(130)의 실링 개폐부(132)와 실링 고정부(131)에 의해 프루브(20)의 후단부 외주면을 감싸며 이들 사이를 막아 실링하도록 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설치된 프루브(20)를 이용해 연소 가스의 성분 분석을 위한 시료 채취 후, 프루브(20) 및 플랜지 어댑터(100)의 분리 과정은 상기한 설치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프루브(20)를 이용해 소각로의 연돌부(10) 내의 연소 가스의 성분 분석을 위한 연소 가스 시료 채취시, 플랜지 어댑터(100)를 통과해 연돌부(10) 내부로 좀더 용이하게 프루브(20)를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프루브(20)가 설치된 연결관(11)을 통해 발생하는 누설을 방지하여 연소 가스의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연돌부 11: 연결관
12: 연결관 플랜지부 20: 프루브
100: 플랜지 어댑터 110: 플랜지 체결부
111: 삽입 고정단 120: 연장관부
121: 연장관 개폐부 122: 연장관 고정부
130: 실링제 131: 실링 개폐부
132: 실링 고정부 140: 실링판
150: 고정 집게

Claims (6)

  1. 소각로의 연돌부 일측을 관통하는 연결관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관 플랜지부에 맞대어져 결합되는 중공 판형의 플랜지 체결부;
    상기 플랜지 체결부의 중공부에 연통되며 일체로 상기 연결관 대향측에 연장 형성되어 통형의 연장관부; 및
    상기 연장관부의 내주면 상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연장관부를 관통하며 상기 연돌부 내부로 연장 설치되는 프루브와의 사이에 밀폐시켜 누설을 방지하도록 하는 통형의 실링제;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부는,
    상기 플랜지부 대향측 후단 일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분할 절개된 연장관 개폐부가 남겨진 연장관 고정부에 힌지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프루브를 내부에 삽입 설치후 상기 연장관 개폐부를 상기 연장관 고정부에 닫아 체결 고정하도록 하는 체결 금구가 구비되며,

    상기 실링제는,
    상기 연장관 개폐부 및 상기 연장관 고정부에 대응되게 실링 개폐부 및 실링 고정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분할 형성되는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관 고정부가 상기 연결관 개폐부보다 더 큰 원호각을 갖도록 분할형성되는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
  3. 제2항에서,
    상기 연결관 개폐부의 원호각은 120° 내지 160°범위 이내로 이루어지는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
  4. 제1항에서,
    상기 연결관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 체결부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중공 원판형의 실링판을 더 포함하는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
  5. 제4항에서,
    상기 플랜지 체결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연결관 플랜지부가 끼워지게 삽입 고정단이 돌출 형성되는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
  6. 제1항에서,
    상기 플랜지 체결부가 상기 연결관 플랜지부와 맞대어져 체결되도록 체결하기 위한 플랜지 체결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체결 수단은 복수의 고정 집게로 이루어지는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
KR2020130001026U 2013-02-07 2013-02-07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 KR200473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26U KR200473709Y1 (ko) 2013-02-07 2013-02-07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026U KR200473709Y1 (ko) 2013-02-07 2013-02-07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709Y1 true KR200473709Y1 (ko) 2014-07-24

Family

ID=5198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026U KR200473709Y1 (ko) 2013-02-07 2013-02-07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7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1470A (zh) * 2018-05-04 2019-11-12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气体外溢检测装置及刮蜡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2909A2 (en) * 1988-05-18 1989-11-23 Newbow Engineering Industries Limited Reversible adaptor and gas analyser for tyres
JPH11201877A (ja) * 1998-01-08 1999-07-30 Horiba Ltd 二輪自動車の排ガス採取用アダプタ
JPH11201878A (ja) * 1998-01-08 1999-07-30 Horiba Ltd 二輪自動車の排ガス採取用アダプ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2909A2 (en) * 1988-05-18 1989-11-23 Newbow Engineering Industries Limited Reversible adaptor and gas analyser for tyres
JPH11201877A (ja) * 1998-01-08 1999-07-30 Horiba Ltd 二輪自動車の排ガス採取用アダプタ
JPH11201878A (ja) * 1998-01-08 1999-07-30 Horiba Ltd 二輪自動車の排ガス採取用アダプ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1470A (zh) * 2018-05-04 2019-11-12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气体外溢检测装置及刮蜡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201810517T4 (tr) Boru elemanlarının birleştirilmesi için rakor.
KR101955606B1 (ko) 배관용 클램프 장치
KR200473709Y1 (ko) 연소 가스 시료 채취용 플랜지 어댑터
EP3274703B1 (en) Sorbent tube holder
JP2008096308A (ja) 漏れ検査装置
CN214843807U (zh) 一种汽车空调管路气密性检验的快速夹钳结构
CN211401562U (zh) 一种密封效果更佳的水压检测夹钳
CN104500885B (zh) 法兰管对接夹具及抱卡式法兰管对接夹具
CN218350101U (zh) 一种外接式气体检验测量池
JP3146068U (ja) ガス用捕集管保持装置及びガス捕集装置
CN210800320U (zh) 一种检漏接头
CN213995935U (zh) 用于全自动热解析仪的便拆装式采样管
KR101754555B1 (ko) 배기가스 배출용 바이패스 밸브
CN219798886U (zh) 一种实用安全健康摩托车尾气收集检测装置
JP3165802U (ja) 菅体気密試験装置
CN220104590U (zh) 一种废气处理用采样装置
CN213903473U (zh) 一种便于安装采样管的一氧化碳浓度检测仪
CN210661747U (zh) 水质分析仪用手工翻边接头装置
CN211478209U (zh) 一种现场检测气体的辅助装置
CN215178986U (zh) 一种用于环境检测的空气取样装置
JP5295528B2 (ja) 付属部品の脱着装置
JP2002181607A (ja) 配管器具の着脱における2管固定装置
CN211904807U (zh) 一种具有采样孔的废气排气筒
CN218006520U (zh) 阻抗管拓展结构及阻抗管测试系统套件
JP2011237020A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