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382Y1 - 레저용 스틱 - Google Patents

레저용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382Y1
KR200473382Y1 KR2020120012158U KR20120012158U KR200473382Y1 KR 200473382 Y1 KR200473382 Y1 KR 200473382Y1 KR 2020120012158 U KR2020120012158 U KR 2020120012158U KR 20120012158 U KR20120012158 U KR 20120012158U KR 200473382 Y1 KR200473382 Y1 KR 200473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ole
tip
pawl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2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063U (ko
Inventor
이지수
Original Assignee
이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수 filed Critical 이지수
Priority to KR2020120012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38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0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0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3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21Ski-sticks telescopic, e.g. for varying the length or for damping sh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27Details;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저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스틱은, 막대형상으로 하단이 뾰족한 촉과; 하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촉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중공의 기둥 형상이며, 상부 외주면 일부에 정해진 폭과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삽입홈과 관통된 세로홈이 형성된 폴; 상기 폴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외주면 상부에 설치되는 레버고정체와, 상기 레버고정체와 정해진 각도만큼 회동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이어지는 레버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고정체와 상기 레버몸체 사이에 탄성수단이 구비된 레버; 및 일단이 상기 촉의 일부와 힌지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폴에 형성된 세로홈을 관통하여 상기 레버의 레버몸체 끝단과 힌지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지지살;로 구성된다.
본 고안을 사용하면 필요할 때에만 뾰족한 촉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레저용 스틱{STICK FOR LEISURE}
본 고안은 레저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썰매타기, 스키 또는 등산과 같은 레저활동을 할 때 디딤역할 또는 받침 역할을 하는 레저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썰매, 스키 또는 등산과 같은 레저활동을 할 때에는 스틱과 지팡이 등(이하, 스틱이라 칭함)이 사용되고, 사용자가 상기 스틱을 사용하여 바닥에 디딤으로써 작용·반작용의 법칙에 따라 사용자의 몸이 앞으로 나아가는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종래의 스틱은 바닥에 디딤을 확고히 하기 위하여 끝이 날카로운 촉이 구비되어 외부에 노출되므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사용자나 주위 사람들이 상기 촉에 의해 찔리거나 긁히는 피해를 입을 염려가 있다.
KR 2002-0089064 A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할 때에만 촉이 돌출되어 바닥을 디디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폴 내부로 촉이 완전히 인입되어 사용자와 주위 사람들에게 촉에 의해 찔리거나 긁히지 않도록 안전을 꾀하는 레저용 스틱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스틱은, 막대형상으로 하단이 뾰족한 촉과; 하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촉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중공의 기둥 형상이며, 상부 외주면 일부에 정해진 폭과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삽입홈과 관통된 세로홈이 형성된 폴; 상기 폴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외주면 상부에 설치되는 레버고정체와, 상기 레버고정체와 정해진 각도만큼 회동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이어지는 레버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고정체와 상기 레버몸체 사이에 탄성수단이 구비된 레버; 및 일단이 상기 촉의 일부와 힌지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폴에 형성된 세로홈을 관통하여 상기 레버의 레버몸체 끝단과 힌지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지지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스틱에 있어서, 상기 촉의 상단과 상기 폴의 내부 천정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스틱은, 막대형상으로 하단이 뾰족한 촉과;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된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상기 삽입홈에 상기 촉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촉을 지지하며, 상단 일부가 외부로 절곡되어 상턱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상턱의 하방에 외부로 돌출된 하턱이 형성된 폴; 및 내부의 천정이 상기 촉의 상단과 밀착 또는 일체로 형성되며, 캡의 형태로 폴의 상부를 덮고,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턱에 걸려 외부로 이탈이 방지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스틱에 있어서, 상기 레저용 스틱은 상기 촉의 상부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폴의 내부 천정과 상기 상턱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스틱에 있어서, 상기 레저용 스틱은 손받침판이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스틱에 있어서, 상기 폴 내부의 삽입홈 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촉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촉 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사용되지 않을 때에 뾰족한 촉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촉이 타인을 찌르거나 긁는 사고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버가 하향인 레저용 스틱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버가 하향인 레저용 스틱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버가 하향인 레저용 스틱이 작동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버가 상향인 레저용 스틱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버가 상방인 레저용 스틱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버가 상향인 레저용 스틱이 작동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7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스틱의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스틱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스틱이 작동되었을 때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스틱은 촉(10)과 폴(20), 손잡이부(30), 레버(40) 및 지지살(50)로 구성된다.
상기 촉(10)은 정해진 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며,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고, 상기 기둥 형상과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폴(20)은 하단이 개구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의 삽입홈(21)이 형성된 기둥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촉(10)이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촉(10)의 하단은 상기 폴(20)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폴(20)의 하단으로 노출된다.
상기 폴(20)은 상기 촉(10)을 지지하고, 상부의 외주면 일부에 정해진 폭과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삽입홈(21)으로 관통된 세로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폴(20)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0)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이 덧씌워져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손잡이부(30)를 손으로 말아 쥐었을 때 손가락의 위치에 골을 형성하여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레버(40)는 레버고정체(41)와 레버몸체(42)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고정체(41)는 상기 손잡이부(30)의 외주면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몸체(42)는 일부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레버고정체(41)와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힌지수단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레버몸체(42)는 정해진 각도만큼 회동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레버(40)는 레버고정체(41)와 레버몸체(42) 사이에 탄성수단(예컨대, 토션 스프링 등)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레버몸체(42)를 완력으로 당겼다가 놓으면 탄성수단에 의해 다시 펼쳐져 원상복구된다.
도 4 ∼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레버(40)는 레버몸체(42)가 상방을 향한 상태로 상기 손잡이부(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살(50)은 일단이 상기 촉(10)의 일부와 힌지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폴(20)에 형성된 세로홈(22)을 관통하여 상기 레버(40)의 끝단과 또 다른 힌지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도면에는 상기 지지살(50)이 상기 촉(10)의 측면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지지살(50)이 상기 촉(10)의 상측에 힌지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레버(40)의 레버몸체(42)를 완력으로 당기면 상기 레버몸체(42)와 지지살(50)이 힌지에 의해 회동하며 상기 지지살(50)이 밀리면서 촉(10)이 폴(20)의 하방으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레버(40)는 버튼 방식(미도시)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버튼을 손잡이부(30)에 세로로 설치하여 상기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지지살(50)이 상기 촉(10)을 폴(20)의 하방으로 밀어 상기 촉(10)이 하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버튼(미도시)은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0)를 쥐었을 때 손가락이 위치하는 모양에 따라 형성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미도시)에서 손을 떼면 버튼(미도시)은 탄성수단에 의해 원상회복되면서 상기 촉(10)은 상기 폴(20) 내부로 인입된다.
다른 또한 상기 촉(10)의 상단과 상기 폴(20)의 내부 천정에 설치되는 스프링(60)이 설치되어, 완력 해제시 상기 촉(10)이 폴(20) 내부에 인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레버(40)에 설치된 탄성수단 외에 별도의 탄성수단(예컨대, 인장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손잡이부(30)의 하측에 손받침판(70)이 더 포함되어 손잡이부(30)에서 미끄러질 경우 손을 받쳐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20) 내부의 삽입홈(21)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촉(10)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촉(1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8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부재(8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종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촉(10)의 외부에 상기 지지부재(80)가 설치되어 상기 촉(10)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것도 상관없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폴(20)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80)가 형성되되 상기 촉(10)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을 두어 상기 지지부재(80)가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상관없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스틱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스틱이 수직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로 사용되는 방법은 진행방향의 전방에서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 촉을 노출시켜 바닥을 디딤으로써 진행의 반대방향으로 밀어 작용·반작용의 법칙으로 전진하는 것이다.
먼저 사용자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스틱의 손잡이부(30)를 잡고 폴(20)의 하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0)의 레버몸체(42)를 완력으로 당기면, 상기 레버몸체(42)와 힌지수단으로 연결되어 있고 세로홈(22)을 관통하는 지지살(50)이 삽입홈(21)에 삽입되어있는 촉(10)을 하방으로 밀어주며, 상기 촉(10)이 폴(20)의 하방으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레버몸체(42)에서 손을 떼면, 상기 레버고정체(41)와 레버몸체(42)가 탄성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버몸체(42)가 최초의 위치로 원상회복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살(50)이 당겨지고 상기 촉(10)이 폴(20)에 형성된 삽입홈(21)에 인입되면서 모습이 감추어진다. 동시에 스프링(60)이 촉(10)을 폴(20) 내부로 당기므로 상기 삽입홈(21)에 인입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아울러 상기 촉(10)이 폴(20)의 삽입홈(21)에서 슬라이딩을 할 때 지지부재(80)에 의해 지지 되므로 상기 촉(1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더불어 상기 손잡이부(30)의 하방에는 손받침판(70)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이 손잡이부(30)로부터 미끄러진 경우에 상기 손받침판(70)에 의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틱을 사용할 때에는 레버(40)의 레버몸체(42)를 당겨 촉(10)이 노출되도록 하여 바닥을 디디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레버(40)를 놓아 상기 촉(10)이 감추어지도록 하여 사용자 및 주위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스틱은 촉(10´)과 폴(20´) 및 손잡이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촉(10´)은 정해진 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며,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고, 상기 기둥 형상과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폴(20´)은 상부와 하단이 개구된 중공의 기둥 형상이다. 상기 폴(20´)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홈(21´)이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촉(10´)이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하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촉(10´)의 하단은 상기 폴(20´)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폴(20´)의 하단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폴(20´)은 상단 일부가 외부로 절곡되어 상턱(23)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부에는 상기 하턱(24)이 상기 상턱(23)의 하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상턱(23)과 하턱(24)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촉(10´)의 상부 둘레에는 스프링(60´)이 위치하되 상기 손잡이부(30´)의 내부 천정과 상기 상턱(23)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폴(20´)의 상부를 캡의 형태로 덮고 내부의 천정이 상기 촉(10´)의 상단과 밀착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31)이 형성되어 상기 하턱(24)에 걸려 외부로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0´)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이 덧씌워져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손잡이부(30´)를 손으로 말아 쥐었을 때 손가락의 위치에 골을 형성하여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폴(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손잡이부(30´)의 하측에 손받침판(70)이 더 포함되어 손잡이부(30´)에서 미끄러지는 손을 받쳐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20´) 내부의 삽입홈(21)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촉(10´)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촉(1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8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부재(8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종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촉(10´)의 외부에 상기 지지부재(80)가 설치되어 상기 촉(10´)이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것도 상관없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폴(20´)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80)가 형성되되 상기 촉(10´)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을 두어 상기 지지부재(80)가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상관없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스틱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도 7 내지 도 9는 스틱이 지면에 수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진행방향의 전방에서 진행방향의 반대쪽으로 촉을 노출시켜 바닥을 디딤으로써 진행의 반대방향으로 밀어 작용·반작용의 법칙으로 전진하는 것이다.
먼저 사용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스틱의 손잡이부(30´)를 잡고 폴(20´)의 하단을 하방으로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0´)를 잡은 상태로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손잡이부(30´)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하방으로 눌리면서 촉(10´)이 폴(20´)의 하단으로 노출되어 바닥을 찍고, 사용자는 작용·반작용의 원리로 앞으로 나아가기 쉬워진다.
만약 바닥이 딱딱하다고 하여도 상기 촉(10´)은 바닥을 찍어 마찰로 인해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상기 촉(10´)이 상기 폴(20´)에서 완전히 노출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30´)를 잡은 상태에서 레저용 스틱을 들어올리면 손잡이부(30´)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60´)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30´)와 폴(20´)이 서로 밀게 되어 상기 촉(10´)이 상기 폴(20´)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0´)의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턱(31)이 상기 폴(20´)의 외면에 형성된 하턱(24)에 걸려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폴(2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촉(10´)이 폴(20´)의 삽입홈(21´)에서 슬라이딩을 할 때 지지부재(80)에 의해 지지 되므로 상기 촉(1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더불어 상기 손잡이부(30´)의 하방에는 손받침판(70)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이 손잡이부(30´)로부터 미끄러진 경우에 상기 손받침판(70)에 의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스틱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10´: 촉 20, 20´ : 폴
21 : 삽입홈 22 : 세로홈
23 : 상턱 24 : 하턱
30, 30´ : 손잡이부 31 : 걸림턱
40 : 레버 50 : 지지살
60, 60´ : 스프링 70 : 손받침판
80 : 지지부재

Claims (6)

  1. 막대형상으로 하단이 뾰족한 촉(10)과;
    하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촉(10)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삽입홈(21)이 형성된 중공의 기둥 형상이며, 상부 외주면 일부에 정해진 폭과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삽입홈(21)과 관통된 세로홈(22)이 형성된 폴(20);
    상기 폴(20)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손잡이부(30);
    상기 손잡이부(30)의 외주면 상부에 설치되는 레버고정체(41)와, 상기 레버고정체(41)와 정해진 각도만큼 회동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이어지는 레버몸체(42)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고정체(41)와 상기 레버몸체(42) 사이에 탄성수단이 구비된 레버(40);
    일단이 상기 촉(10)의 일부와 힌지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폴(20)에 형성된 세로홈(22)을 관통하여 상기 레버(40)의 레버몸체(42) 끝단과 힌지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지지살(50); 및
    상기 촉(10)의 상단과 상기 폴(20)의 내부 천정에 설치되는 스프링(6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스틱.
  2. 삭제
  3. 막대형상으로 하단이 뾰족한 촉(10´)과;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홈(21´)이 형성된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상기 삽입홈(21´)에 상기 촉(10´)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촉(10´)을 지지하며, 상단 일부가 외부로 절곡되어 상턱(23)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상턱(23)의 하방에 외부로 돌출된 하턱(24)이 형성된 폴(20´); 및
    내부의 천정이 상기 촉(10´)의 상단과 밀착 또는 일체로 형성되며, 캡의 형태로 폴(20´)의 상부를 덮고,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31)이 형성되어 상기 하턱(24)에 걸려 외부로 이탈이 방지되는 손잡이부(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스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촉(10´)의 상부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폴(20´)의 상기 내부 천정과 상기 상턱(23)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스틱.
  5. 제 1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20, 20´)의 외면 손잡이부(30, 30´)의 하방에는 손받침판(70)이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스틱.
  6. 제 1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20, 20´) 내부의 삽입홈(21, 21´)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촉(10, 10´)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촉(10, 1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스틱.
KR2020120012158U 2012-12-24 2012-12-24 레저용 스틱 KR200473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158U KR200473382Y1 (ko) 2012-12-24 2012-12-24 레저용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158U KR200473382Y1 (ko) 2012-12-24 2012-12-24 레저용 스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063U KR20140004063U (ko) 2014-07-02
KR200473382Y1 true KR200473382Y1 (ko) 2014-07-04

Family

ID=5199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158U KR200473382Y1 (ko) 2012-12-24 2012-12-24 레저용 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3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7642B (zh) * 2020-02-11 2022-02-25 山东科技大学 助力手杖及采用该手杖攀爬楼梯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810A (ja) * 2002-04-30 2003-11-11 Akio Koizumi 寒冷地用杖
JP2004105685A (ja) 2002-09-18 2004-04-08 Hideo Odagiri 握り部ワンクッチ操作型収納式滑り止め具および杖
JP3122879U (ja) * 2006-03-23 2006-06-29 襄 葛西 積雪寒冷地用杖
JP3150382U (ja) * 2009-02-26 2009-05-07 株式会社キザキ 出没可能なスパイク棒を有する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810A (ja) * 2002-04-30 2003-11-11 Akio Koizumi 寒冷地用杖
JP2004105685A (ja) 2002-09-18 2004-04-08 Hideo Odagiri 握り部ワンクッチ操作型収納式滑り止め具および杖
JP3122879U (ja) * 2006-03-23 2006-06-29 襄 葛西 積雪寒冷地用杖
JP3150382U (ja) * 2009-02-26 2009-05-07 株式会社キザキ 出没可能なスパイク棒を有する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063U (ko)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907B1 (en) Ergonomic safety runner for umbrella
US20140066274A1 (en) Method of doing pushups and pushup device employed in said method
US20080149155A1 (en) Handy hand walking cane
US8122900B1 (en) Cane with grasping device
JP5219082B2 (ja) 安全鉤竿
TWM246445U (en) Venetian blind operated with cordless structure
KR200473382Y1 (ko) 레저용 스틱
CN102232052A (zh) 带有半自动伸缩切盖刀的启塞钻
US7988022B1 (en) Sock applying device
US20120233799A1 (en) Brush with retractable bristles for easy cleaning
RU2754381C2 (ru) Рукоятка палки
US20130098411A1 (en) Safety umbrella
US9233271B2 (en) Rehabilitation or exercising chair device
CA2901594A1 (en) Quick release implement
JP4768959B2 (ja) 自立可能なステッキ
GB2505525A (en) Guy rope tent peg insertion and removal tool
KR10132556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접철식 등산용 스틱
JP7019123B2 (ja) ジャンプ傘
JP2008188325A (ja) 自立可能な杖体
JP3172364U (ja)
EP2572602B1 (en) Shaft structure of automatic umbrella
US20140360544A1 (en) Cane, crutch and walking stick retrieving tip
KR102056382B1 (ko) 접이식 스틱 구조
KR200434038Y1 (ko) 완력기 겸용 줄넘기
CN201642121U (zh) 医用器件操作手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