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382B1 - 접이식 스틱 구조 - Google Patents

접이식 스틱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382B1
KR102056382B1 KR1020180087568A KR20180087568A KR102056382B1 KR 102056382 B1 KR102056382 B1 KR 102056382B1 KR 1020180087568 A KR1020180087568 A KR 1020180087568A KR 20180087568 A KR20180087568 A KR 20180087568A KR 102056382 B1 KR102056382 B1 KR 102056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ocking device
pole
inclined surface
inn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엔지레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엔지레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엔지레져
Priority to PCT/KR2018/00993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6627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스틱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폴대용 파이프를 와이어를 이용해 연결함으로 접철이 편리하고 고정이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힘을 지지하는 최소한의 굵기를 가지는 파이프로 폴대를 구성하여 폴대용 파이프의 단위 길이를 작게 구성할 수 있고, 외측 파이프를 기준으로 내측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해제함이 용이한 잠금장치를 구비해 사용의 편이성을 높인 접이식 스틱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잠금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의 삽입 또는 인출 이동이 제한된 상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과, 끼워 맞춰진 형태로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어 접을 수 있으며 상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내부를 가로질러 하단부에 고정된 와이어에 의해 구속되는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접이식 스틱 구조 {A FOLDABLE STICK}
본 발명은 접이식 스틱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폴대용 파이프를 와이어를 이용해 연결함으로 접철이 편리하고 고정이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힘을 지지하는 최소한의 굵기를 가지는 파이프로 폴대를 구성하여 폴대용 파이프의 단위 길이를 작게 구성할 수 있고, 외측 파이프를 기준으로 내측 파이프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해제함이 용이한 잠금장치를 구비해 사용의 편이성을 높인 접이식 스틱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틱은 등산, 스포츠 경기 또는 환자의 보행 보조용 등과 같이 사용자의 몸을 의지하는 보조수단으로 사용한다.
특히, 등산은 산에 오르는 것으로 심신을 단련하고 즐거움을 찾는 행위를 말하며, 현재는 레저나 스포츠로 이용하거나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도전도 겸하여 위험한 산을 등정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산을 오르거나 내릴 때 신체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일률적인 지형을 갖지 못하는 산행시 신체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어 최근에는 산행가들에게 있어 등산용 스틱이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그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기능을 갖춘 등산용 스틱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등산용 스틱은 단순한 지팡이 역할을 넘어 두 다리에만 의존하는 보행의 노동을 팔에 상당 부분 분담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체력 소모를 줄이고 보행속도를 빠르고 안전하게 해 준다.
이러한 스틱은 연결 방식에 따라 접이식 타입의 스틱과, 삽입식 타입의 스틱으로 구분되어 사용한다.
삽입식 스틱은 복수의 폴대용 파이프를 망원경 또는 안테나와 같은 텔레스코픽 방식을 이용해 길이방향으로 파이프를 늘이고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한 형태이며, 접이식 스틱은 복수의 폴대용 파이프를 와이어 또는 줄을 이용해 연결하여 서로 분리한 후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형태이다.
통상, 전체가 동일 길이를 가지고 지탱하는 힘의 크기가 동일한 스틱일 경우, 접이식 스틱은 접을 때 파이프를 선행하는 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밀어넣는 것이 아니라 분리하여 접는 형태이므로 삽입식 스틱에 비해 사용하지 않을 때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다시 말해, 삽입식 스틱은 사용하지 않을 때 길이를 접이식 스틱과 동일한 길이까지 줄이기 위해서는 폴대를 구성하는 파이프 개수가 많이 필요한데, 이의 경우 최하부 폴대용 파이프의 직경이 매우 가늘어져 사용자의 무게 및 외력을 지탱하지 못할 우려가 발생한다.
현재는 다양한 등산용 도구들이 많아짐에 따라 사용이 간편하고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스틱의 개발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접이식 스틱은 (특허문헌 000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3484호와 (특허문헌 000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9287호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통상 접이식 스틱은 폴대용 파이프를 비탄성 줄(와이어 등)을 이용해 결속하는 형태와, 고무줄과 같은 탄성 줄에 의해 결속하는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탄성 줄에 의해 결속하는 형태는 사용에 따라 탄성력이 약해지거나 헐거워짐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파이프의 이탈이 발생해 사용시 안전사고가 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비탄성 줄을 이용한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비탄성 줄을 이용한 접이식 스틱은 통상 폴대를 구성하는 파이프 전체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지 않고, 상부측 폴대용 파이프를 삽입식 방식으로 구성해 사용자의 안정적인 길이조절 및 와이어에 대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a)(b)를 참조하여 이러한 종래의 접이식 스틱의 일 예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이식 스틱(10)은 손잡이부(10a)와 폴대(10b)로 구성한다.
손잡이부(10a)의 하부에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하고 잡을 수 있는 그립을 제공하도록 어느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제1 파이프(P1)를 구성한다.
이어서, 제1 파이프(P1)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파이프(P2, P3, P4, P5)를 이용하여 폴대(10b)를 구성한다.
이때, 상부측 폴대용 파이프인 제1 파이프(P1) 내지 제3 파이프(P3)는 삽입식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측 폴대용 파이프인 제4 파이프(P4)와 제5 파이프(P5)는 와이어(W)에 의해 절첩가능한 접이식 형태를 가진다.
제1 파이프(P1)는 하부에 연결한 직경이 작은 제2 파이프(P2)의 삽입 또는 인출을 제한하도록 잠금장치(20)를 가진다.
이러한 잠금장치(20)는 클램프 형상의 플립식 잠금장치로 파이프를 감싸는 가압부(23)와 가압힌지축(22) 및 레버(21)를 포함한다.
가압힌지축(22)에 연결된 레버(21)를 힌지회동시켜 열 때 가압을 해제하여 제2 파이프(P2)의 삽입 또는 인출을 가능하게 되고, 가압힌지축(22)에 연결된 레버(21)를 힌지회동시켜 닫을 때 가압하여 제2 파이프(P2)를 고정하어 삽입 또는 인출됨을 제한한다.
이어서, 제2 파이프(P2)의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하는 제3 파이프(P3)를 구비한다.
제3 파이프(P3)는 제2 파이프(P2)에서 인출이 완료된 다음 상부측에 형성된 돌출형 스토퍼(3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한 제2 파이프(P2)로의 재차 삽입됨이 방지된다.
이러한 돌출형 스토퍼(30)는 상술의 잠금장치(20)로 대체되거나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제2 파이프(P2)는 스틱(1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용 폴대 구간이며, 제3 파이프(P3)는 이어지는 제4 및 제5 파이프(P4, P5)의 와이어 장력을 고정하거나 풀기 위한 폴대 구간이다.
제4 파이프(P4)와 제5 파이프(P5)는 손잡이부(10a) 또는 제1, 제2 파이프 내부 일측에서부터 고정된 와이어(W)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절첩된다.
또한, 제4 파이프(P4)와 제5 파이프(P5)는 동일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이식 스틱은 필요에 따라 제4 파이프 또는 제5 파이프와 동일한 파이프를 다수개 연결하여 보관시 길이를 최소화하거나 사용시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접이식 스틱(10)은, 제1 파이프(P1)와 제2 파이프(P2)를 연결하는 잠금장치(20)가 플립식의 레버를 젖히는 방식으로 고정 또는 해제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외력을 가해야 함으로 사용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제3 파이프(P3)를 재차 제2 파이프(P2)로 삽입하기 위해서는 돌출한 돌출형 스토퍼(30)를 눌러 파이프 내측으로 밀어놓은 다음 파이프를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매우 높았다.
다시 말해, 제1 파이프 내지 제3 파이프의 삽입 인출을 제한하는 잠금장치(20)와 스토퍼(30)를 각각 설치해야 해, 부품 수가 증대하고 제작의 불편함이 있으며, 사용시 잠금장치(20) 및 스토퍼(30)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많은 힘이 들어가 사용자의 불편함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잠금장치(20)를 구성하는 구성의 조합이 부피가 커 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됨이 많아 전체적인 스틱의 두께가 일부에서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어 미관상 좋지 않고, 등산용 스틱의 경우 손잡이(11)에 구비된 끈이나 벨트 등의 스트립(12)이 잠금장치(20)에 걸리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접이식 스틱(10)은 길이 조절을 위해서는 플립식의 잠금장치(20)을 열고 길이를 조절한 다음 잠금장치(20)를 재차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잠금장치(20)를 구성하는 가압힌지축(22) 및 레버(21)를 장착하기 위해 제작시 파이프에 홀 가공을 해야 하는 추가 공정이 요구되었다.
더불어, 잦은 사용에 따라 플립식의 잠금장치(20)는 자주 풀려 잠금기능이 약해지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압력을 높여주기 위한 조정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힌지축(22)과 레버(21)의 핀 연결 구조가 약해지면 잠금의 기능이 상실되어, 스틱의 수명보다 잠금장치(20)의 수명이 떨어져 스틱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3484호 (2014.06.16.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9287호 (2012.06.28.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폴대용 파이프를 와이어를 이용해 연결함으로 접철이 편리하고 고정이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접이식 스틱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잠금장치에 대한 밀어내는 단순한 조작으로 외측 파이프와 내측 파이프의 브레이크가 이루어지며 한번의 동작만으로도 길이조절을 위한 고정 및 해제가 용이해 사용의 편이성을 높인 접이식 스틱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경사면과 파이프의 외면 사이에 위치되는 잠금장치의 브레이크 구조에 따라 외측 파이프와 내측 파이프들이 이루는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상호 간의 위치에 대한 안정적이고도 강한 고정 및 용이한 해제가 이루어지고, 파이프들 상호 간의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접이식 스틱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하여,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조합이 파이프들 외측으로 돌출하는 범위를 최소화하여 다른 물품이나 물체에 걸리는 등의 거추장스러움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접이식 스틱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 구조는, 복수개의 폴대용 파이프로 구성하고 절첩 가능한 접이식 스틱 구조에 있어서 상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과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상부에 손잡이를 구비한 제1 파이프와, 제1 파이프를 외측 파이프로 하여 제1 잠금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의 삽입 또는 인출 이동이 제한된 내측 파이프로서의 제2 파이프와, 제2 파이프를 외측 파이프로 하여 제2 잠금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의 삽입 또는 인출 이동이 제한된 내측 파이프로서의 제3 파이프를 포함한다.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제3 파이프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적어도 2개의 폴대용 파이프로 구성하고, 끼워 맞춰진 형태로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어 접을 수 있으며, 상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내부를 가로질러 하단부에 고정된 와이어에 의해 구속된다.
한편, 제1 잠금장치와 제2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잠금장치는, 외측 파이프의 지지를 받아 전·후 방향에 대하여 고정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고, 내측 파이프와 대향하는 내면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설정한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한 제1부재와; 경사면에 간격을 둔 배치를 이루며, 전·후 방향에 대하여 고정 또는 슬라이딩 가능한 제2부재와; 제2부재에서 경사면 방향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의 리테이너부와; 볼·환봉·원형 파이프 중 하나 이상의 것으로 리테이너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를 받고, 노출한 외측이 경사면에 접촉 가능하며, 노출한 내측이 접촉하는 내측 파이프의 진행에 따라 구르는 브레이크와; 제1부재 및/또는 제2부재에 연결하여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상호 근접하거나 벌어지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노브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브레이크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근접함에 의해 경사면과 내측 파이프의 외면에 동시에 접촉한 상태에서, 경사면과 내측 파이프가 이루는 좁아지는 방향으로 굴러 이동할 때에 경사면과 내측 파이프의 외면에 쐐기 형식으로 끼여 압력을 부가하고, 반대 방향으로 구를 때에 그 압력의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리테이너부는, 브레이크의 내측과 외측 사이의 측부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홈 또는 홀 형상의 안착부를 형성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잠금장치와 제2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노브유닛은, 몸체의 전방으로 길이를 가지며 연장한 푸쉬바와, 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외측 파이프(P/O)의 둘레를 감싸는 밀림링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내측 파이프가 외측 파이프 내로 인입이 이루어지는 길이 조절시에, 후방에 위치한 제1 잠금장치의 푸쉬바가 전방에 위치한 제2 잠금장치의 밀림링부를 밀어 순차적으로 길이가 조절되게 한다.
그리고, 상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내부 일측에 와이어 상단부와 고정연결한 와이어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때, 와이어 연결부는, 블럭 형상으로 제1 파이프에 삽입된 제2 파이프의 후방측 단부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와이어가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의 후방에 위치하고 와이어의 상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이동 가능한 블럭 형상의 고정부재와, 가이드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뾰족팁부와 연결된 파이프 일측에 충격을 완화하는 쇽업쇼바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 구조는, 복수개의 폴대용 파이프를 와이어를 이용해 연결함으로 접철이 편리하고 고정이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힘을 지지하는 최소한의 굵기를 가지는 파이프로 폴대를 구성하여 폴대용 파이프의 단위 길이를 작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잠금장치에 대한 적은힘과 밀어내는 단순한 조작만으로 외측 파이프와 내측 파이프의 브레이크가 이루어지며 삽입 또는 인출을 위한 고정 및 해제가 용이해 사용의 편이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경사면과 파이프의 외면 사이에 위치되는 잠금장치의 브레이크 구조에 따라 외측 파이프와 내측 파이프들이 이루는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상호 간의 위치에 대한 안정적이고도 강한 고정 및 용이한 해제가 이루어지고, 파이프들 상호 간의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조합이 내측 파이프의 외면에 접하는 브레이크를 감싸는 제1부재의 두께 범위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보다 부피를 줄이면서 폴대용 파이프 외측으로 돌출하는 범위를 최소화하여 스트립이 걸리거나 외부 다른 물체가 걸리는 등의 거추장스러움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체 스틱 자체의 굵기를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스틱과 달리 파이프 자체에 홀 가공을 하는 부가 공정이 필요 없어 제작의 편이성이 증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스틱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 구조에 따라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 구조에 적용한 잠금장치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a)(b)는 도 4에 따른 잠금장치의 내측 파이프의 외면과 경사면 및 이들 사이의 브레이크 상호 간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 구조에 적용한 잠금장치의 다른 실시예 및 그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a)(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 구조에 적용한 잠금장치의 또다른 실시예 및 그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a)(b)는 도 2에 따른 접이식 스틱 구조의 'A'와 'B' 부분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확대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내측의 표현은 파이프 둘레에 대한 법선 방향 중 각 구성부위로부터 파이프의 중심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외측의 표현은 내측과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방의 표현은 외측 파이프를 기준으로 내측 파이프의 인출이 이루어지는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후방의 표현은 전방과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다른 표현으로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병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부 또는 상방은 접이식 스틱의 뾰족팁부를 바닥에 접촉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웠을 때 손잡이가 구비된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하부 또는 하방은 이와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일측의 표현은 각 구성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한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타측의 표현은 일측과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기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1)은 적어도 4개 이상으로 복수개의 폴대용 파이프를 이용해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접이식 스틱(1)의 상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와이어(W)에 대한 장력 조절 및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적합한 전체 길이 조절을 위해 삽입식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접이식 스틱(1)의 사용시 제일 하부 선단에서 바닥에 접하는 뾰족팁부(13)를 포함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폴대용 파이프가 와이어(W)에 의해 절첩가능한 접이식 형태를 가진다.
설명의 용이를 위해, 도시에서 본 발명의 접이식 스틱(1)을 구성하는 상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제1 파이프(P1)와 제2 파이프(P2) 및 제3 파이프(P3)로 구성함을 도시하였고,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제4 파이프(P4)와 제5 파이프(P5)로 구성함을 도시하였다.
상술의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상부측 제3 파이프(P3)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상부에 사용자 손잡이(11)를 구비한 제1 파이프(P1)와, 제1 파이프(P1)를 외측 파이프(O/P)로 하여 제1 잠금장치(100a)에 의해 길이방향으로의 삽입 또는 인출 이동이 제한된 내측 파이프(I/P)로서의 제2 파이프(P2)와, 제2 파이프(P2)를 외측 파이프(O/P)로 하여 제2 잠금장치(100b)에 의해 길이방향으로의 삽입 또는 인출 이동이 제한된 내측 파이프(I/P)로서의 제3 파이프(P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파이프(P2)는 제1 파이프(P1)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삽입 또는 인출 이동이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스틱(1)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용 폴대 구간으로 이용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1)을 길이방향으로 펼쳐도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길이가 더 필요할 때 제2 파이프(P2)를 제1 파이프(P1)에 대하여 인출시킴으로 전체 접이식 스틱(1)의 길이를 사용자에 맞는 길이로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이프(P3)는 제2 파이프(P2)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삽입 또는 인출 이동이 이루어지며 이어지는 제4 및 제5 파이프(P4, P5)의 와이어(W) 장력을 고정하거나 풀기 위한 폴대 구간으로 이용한다.
다시 말해, 제4 및 제5 파이프(P4, P5)를 구속하는 와이어(W)는 비탄성으로 제4 파이프(P4)와 제5 파이프(P5)를 분리시켜 접기 위해서는 와이어(W)의 장력을 해제할 필요가 있다.
제3 파이프(P3)를 제2 파이프(P2) 내측으로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내부를 가로질러 위치한 와이어(W)의 장력을 해제하여 제4 파이프(P4)와 제5 파이프(P5)가 길이방향으로 분리가능하고 접을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1 파이프(P1)와 제2 파이프(P2)의 길이조절을 위한 고정 및 해제를 단속하는 제1 잠금장치(100a)와, 제2 파이프(P2)와 제3 파이프(P3)의 길이조절을 위한 고정 및 해제를 단속하는 제2 잠금장치(100b)는 작동되는 구조가 동일한 잠금장치(100)로 후술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제3 파이프(P3)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폴대용 파이프로 구성하고, 끼워 맞춰진 형태로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어 접을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상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파이프 내부를 가로질러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의 제일 마지막 파이프에 고정된 와이어(W)에 의해 구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와이어(W)는 폴대용 파이프에 장력을 제공한다.
도시에서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제3 파이프(P3)와 동일 직경을 가지는 제4 파이프(P4)와 제5 파이프(P5)로 구성함을 표현하였으나, 이러한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스틱(1) 구조에 적용한 제1 잠금장치(100a)와 제2 잠금장치(100b)를 구성하는 잠금장치(100)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술에서 제1 잠금장치(100a)는 제1 파이프(P1)를 외측 파이프(O/P)로 하여 내측 파이프(I/P)인 제2 파이프(P2)의 삽입 또는 인출에 대한 고정 및 해제를 담당하고, 제2 잠금장치(100b)는 제2 파이프(P2)를 외측 파이프(O/P)로 하여 내측 파이프(I/P)인 제3 파이프(P3)의 삽입 또는 인출에 대한 고정 및 해제를 담당함을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제2 파이프(P2)는 제1 파이프(P1)에 대하여는 내측 파이프(I/P)가 되며, 제3 파이프(P3)에 대하여는 외측 파이프(O/P)가 됨을 인지하고 설명한다.
후술에서 제1 잠금장치(100a)와 제2 잠금장치(100b)는 잠금장치(100)로서 외측 파이프(O/P) 내에 상대적으로 작은 내측 파이프(I/P)를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하거나, 외측 파이프(O/P)에 대하여 내측 파이프(I/P)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한 잠금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파이프(O/P)에 대하여 지지를 받고, 외측 파이프(O/P)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부위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외측 파이프(O/P)의 측부를 관통 형성한 부위를 통해 대응하는 내측 파이프(I/P)의 외면 둘레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는 형상 부위를 갖는 제1부재(110)를 구비한다.
상술한 제1부재(110)는, 내측 파이프(I/P)의 외면에 대향하는 내면 중 파이프의 길이 방향 일부를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이미 설정한 각도(θ)의 경사면(S)으로 형성한다.
또한, 경사면(S)은, 제1부재(110)의 내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할 수 있고, 제1부재(110) 내면 둘레 중 한 곳 이상으로 분할한 각 부위에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S)은, 파이프 길이 방향 중 전방으로 갈수록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이루는 간격이 좁아지고, 반대로 후방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벌어진다.
그리고 내측 파이프(I/P)와 경사면(S)이 이루는 각도(θ)는, 예각을 기준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내측 파이프(I/P)와 경사면(S)이 이루는 각도(θ)는, 30° 미만에 있도록 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는 15° 이하에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사면(S)은, 후술하는 이미 설정한 굵기의 브레이크(140)가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경사면(S)에 동시에 접하여 내측 파이프(I/P)의 진행에 따라 접촉에 따른 마찰력으로 굴러 내측 파이프(I/P)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술한 경사면(S)이 이루는 각도(θ)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브레이크(140)가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경사면(S)에 동시에 접한 상태에서, 내측 파이프(I/P)가 경사면(S)과 이루는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진행(M1)할 때에, 브레이크(140)로 하여금 경사면(S)과 내측 파이프(I/P)에 대한 접촉과 그에 따른 마찰에 의해 내측 파이프(I/P)의 진행방향으로 굴러(R) 이동(M2)할 수 있도록 작은 각도(θ)를 지향한다.
즉, 브레이크(140)는, 내측 파이프(I/P)가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진행(M1)할 때에, 접촉하는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경사면(S)과의 마찰로 인해 구른다(R).
이렇게 구른 브레이크(140)는, 내측 파이프(I/P)의 진행(M1)방향인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W)으로 이동(M2)한 것이고,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경사면(S)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공간에 쐐기 형식으로 끼워지는 정도에 따라 접촉하는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경사면(S) 각각에 대하여 수직항력(f1, f2)을 제공한다.
이렇게 발생하는 수직항력(f1, f2)은, 경사면(S)을 갖는 제1부재(110)의 위치를 기준으로 내측 파이프(I/P)가 그 이상 진행(M1)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마찰력으로 작용한다.
여기서, 경사면(S)이 이루는 각도(θ)가 15°보다 큰 경우는, 내측 파이프(I/P)의 진행(M1)으로 브레이크(140)가 협소한 방향(W)으로 굴러 이동(M2)할 때에, 경사면(S)과 내측 파이프(I/P)에 접하는 브레이크(140)의 수직항력(f1, f2)을 포함한 마찰력이 약하여 경사면(S)과 내측 파이프(I/P)의 표면에서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브레이크(140)는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경사면(S) 각각에 대하여 수직항력(f1, f2)을 포함한 마찰력을 제공할 뿐 아니라, 동시에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경사면(S)으로부터 수직항력(f1, f2)과 동일한 크기의 항력(f1', f2' or f", f2")을 받는다.
이러한 항력(f1', f2' or f", f2")은, 도 5a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경사면(S)이 이루는 각도(θ)의 중간 방향을 기준으로 하면서 동시에 내측 파이프(I/P)의 진행(M1)과 반대 방향(-M1)에 있는 벡터 값을 합산한 반발력(f3' or f3")으로 작용한다.
다시 말해, 브레이크(140)는 협소한 공간 내에 쐐기 형식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경사면(S)이 이루는 각도(θ)에 의해 항시 반발력(f3' or f3")의 작용을 받으며, 접촉관계의 표면에 따른 마찰계수를 포함한 마찰력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반발력(f3' or f3")은,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경사면(S)이 이루는 각도(θ)가 클수록 강하다.
따라서, 내측 파이프(I/P)의 진행(M1)에 대응하여 경사면(S)에 대한 내측 파이프(I/P)의 위치 고정을 위해서는,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경사면(S)에 대한 브레이크(140)의 마찰력이 반발력(f3' or f3")보다 큰 상태에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내측 파이프(I/P)와 경사면(S)이 이루는 각도(θ)를 확대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내측 파이프(I/P)와 경사면(S) 및 브레이크(40)의 마찰계수가 높은 것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일 예로서, 후술하는 브레이크(140)는, 그 표면에 마찰계수가 높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우레탄 또는 러버 재질로 표면 코팅한 것일 경우,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경사면(S) 사이의 협소한 부위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 방향으로도 쉽게 빠지기 어려운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반대로, 내측 파이프(I/P)가 경사면(S)과 이루는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진행(-M1)할 경우에, 브레이크(140)는 상술한 반발력(f3' or f3")과 더불어 반대 방향으로 구르는 작용(-R)으로 인해 이동(-M2)하여 수직항력(f1, f2)을 점차적으로 줄임으로써 내측 파이프(I/P)의 진행(-M1)을 자유롭게 한다.
그리고 도 5b에서 부호 "SM"으로 표시한 형상 부위와 같이, 변형된 제1부재(110')의 형상은, 상술한 경사면(S')의 각도(θ')가 충분히 작은 경우, 경사면(S)의 전·후 방향 구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브레이크(140)는,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경사면(S)이 이루는 협소한 공간 내에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될 수밖에 없으므로, 후술하는 리테이너부(130)의 설치를 위한 공간 이외의 구간으로 경사면(S)을 확대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브레이크(140)는,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경사면(S)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끼워짐에 있어, 그 굵기가 도 5b의 화살표 "d"로 표현한 만큼 줄어들 수 없는 강성과 내구성을 갖는 재질의 것을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브레이크(140)는, 그 강성 재질의 표면에 이미 설계에 따른 두께(양측 두께의 합이 도 5b의 화살표 "d"보다 작은 두께)의 마찰계수가 높은 우레탄 또는 러버 재질로 코팅한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브레이크(140)는, 내측 파이프(I/P)와 경사면(S) 사이의 협소한 부위에 끼워지면 빠지기 어려운 관계에 있으므로, 이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리테이너부(130)가 브레이크(140)를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상술한 제1부재(110)는, 외측 파이프(O/P)의 전단에 고정 설치한 브래킷(5)의 지지를 받는 상태로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고정한 상태에 있거나, 또는 전.후진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설명 중 제1부재(110)를,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파이프(O/P)의 전단에 고정한 것을 기준으로 할 때에, 제1부재(110)와 브래킷(5)은 일체인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제1부재(110)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을 기준으로 할 경우, 제1부재(110)는 브래킷(5)의 지지 및 안내를 받아 전·후진 가능한 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110)의 슬라이딩은, 브래킷(5)으로부터 노출한 부위를 갖거나, 후술하는 노브유닛(150)과 연결한 것으로 이루어질 때에, 사용자가 제1부재(110)의 노출 부위 또는 노브유닛(150)을 누르거나,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당기는 등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부재(110)가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은, 결국 브레이크(140)를 통한 마찰 작용을 받는 내측 파이프(I/P)까지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1부재(110)는 외측 파이프(O/P)의 전단에 고정한 상태에 있도록 하면서 후술하는 제2부재(120)가 슬라이딩 전·후진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제1부재(11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할 경우, 그 이동변위는 후술하는 설계에 따른 제한범위(예를 들어 브레이크(140)가 경사면(S)에 닿거나 닿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 있도록 한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부재(110)의 이동은,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자연상태에서 경사면(S)이 제2부재(120)에 근접하도록 하는 후술하는 탄성부재(6)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1)에 적용한 잠금장치(100)는, 상술한 경사면(S)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2부재(120)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2부재(120)는,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고정한 상태에 있도록 하거나, 또는 전·후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부재(120)의 고정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부재(110)가 단독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관계를 기준으로 하고, 상술한 브래킷(5)에 대하여 고정한 상태 또는 브래킷(5)과 일체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제2부재(120)의 이동은, 제1부재(110)를 고정한 상태 또는 제한한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에 대응하여 제1부재(110)에 근접할 수 있는 범위에 있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부재(120)의 이동은, 제1부재(110)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대응하여 제1부재(110)의 전·후진 방향과 상호 반대 방향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른 정지 위치는 상호 근접하여 그 사이에 놓인 브레이크(140)가 경사면(S)에 충분한 압력으로 접촉한 상태로 힘의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상호 벌어지려는 방향에 대한 정지 위치는 브래킷(5)의 지지를 받는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부재(120)는, 파이프(P1, P2)의 길이 방향에 있는 측부 중 상술한 경사면(S)에 대향하는 부위에, 경사면(S) 방향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의 리테이너부(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리테이너부(130)는 제2부재(120)와 일체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제2부재(120)에 일체와 마찬가지로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리테이너부(130)는, 그 위치가 제2부재(120)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리테이너부(130)는, 제2부재(120)로부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한 가장자리 부위가 경사면(S)과 내측 파이프(I/P)가 이루는 협소한 공간에 대하여 후술하는 브레이크(140) 위치보다 더 돌출해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후술하는 브레이크(140)가 경사면(S)과 내측 파이프(I/P)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쐐기 형식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상호 벌어질 때에 브레이크(140)를 경사면(S)과 내측 파이프(I/P)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리테이너부(130)는 후술하는 브레이크(140)에 대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와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가 노출하게 그 사이의 측부 둘레 중 적어도 전·후 방향측의 일부를 감싸도록 하거나, 브레이크(140)가 파이프 형상일 경우에 파이프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리테이너부(130)에는 후술하는 브레이크(140)가 내측 파이프(I/P)의 외면과 경사면(S)에 대하여 접촉할 수 있도록 그 측부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지니하는 홈 또는 홀 형상의 안착부(131)를 마련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한 잠금장치(100)는 상술한 리테이너부(130)의 지지를 받아 전·후진 방향으로 구르며 이동 가능하도록 한 브레이크(140)를 구비한다.
이러한 브레이크(140)는 볼, 환봉, 원형 파이프 형상의 것 중 하나 이상의 것을 하나 이상의 개수로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브레이크(140)의 형상 중 볼 형상인 경우는, 내측 파이프(I/P)의 둘레 형상이 원형 내지 각형 등 다양한 형상인 것에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내측 파이프(I/P)의 둘레가 원형 내지 타원형일 경우, 상술한 리테이너부(130)는 내측 파이프(I/P)의 둘레에 대하여 볼 형상의 복수 브레이크(140)들의 간격을 지지하도록 홈 또는 홀 형상으로 둘레 방향 측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위를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브레이크(140)의 형상이 환봉 또는 원형 파이프 형상인 경우는, 내측 파이프(I/P)의 표면 중 둘레 방향의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한 부위에 대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이에 대향하는 경사면(S)도 함께 평면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140)는, 아령 형상의 것일 수도 있고, 제1부재(110)의 경사면(S)과 내측 파이프(I/P)의 외면 간격이 협소해지는 공간으로 굴러 이동하여 그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내측 파이프(I/P)와 경사면(S)에 대응하여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 중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한 잠금장치(100)는, 상술한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 또는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노브유닛(150)을 구비한다.
노브유닛(150)은, 제1부재(110)와 연결을 이루거나, 제2부재(120)와 연결을 이루거나,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에 모두 연결관계에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결국, 노브유닛(150)은, 사용자의 조작으로부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 중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둘을 이동시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를 상호 근접하게 하거나, 상호 벌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에 대한 노브유닛(150)의 연결 구성에 대하여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일 예의 노브유닛(150)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재(120)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술한 제1부재(110)가 브래킷(5)의 지지 및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한 것에 있어, 제1부재(1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 부위이거나, 제1부재(110)와 일체로 연결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노브유닛(150)은, 브래킷(5)의 외측으로 노출한 부위를 갖는다.
이러한 노브유닛(150)는 노출한 부위를 통해 사용자가 전·후 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때에, 그 힘을 연결관계의 제1부재(110)에 전달하여 제1부재(110)로 하여금 전·후진하게 한다.
이에 더하여, 노브유닛(150)은, 이미 설계에 따른 일 부위에 돌기 또는 홈이나 홀 형상 및 별도의 구성을 탑재한 형상의 걸림부(150a)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브래킷(5)은 노브유닛(150)의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이미 설정한 부위에서 걸림부(150a)에 대응하여 걸림 작용이 있도록 하는 결합부(5a)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150a)와 결합부(5a)의 설정 위치는, 상술한 걸림부(150a)와 결합부(5a) 상호 간의 결합한 경우에 대응하여, 제1부재(110)의 경사면(S)이 브레이크(140)를 충분한 힘으로 가압하는 상태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노브유닛(150)으로부터 그 작동 관계는, 도 6a를 참조하면, 상술한 걸림부(150a)와 결합부(5a)에 대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걸림부(150a) 부위를 눌러 그 결합 상태를 해제하면서 전방으로 밀어 외측 파이프(O/P)에 대한 내측 파이프(I/P)의 고정을 해제하게 한다.
이로부터 외측 파이프(O/P)에 대한 내측 파이프(I/P)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노브유닛(150)의 걸림부(150a)가 결합부(5a)에 대응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위치까지 후방으로 당기고, 이에 따라 내측 파이프(I/P)는 외측 파이프(O/P)에 대한 결정 위치에서 그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브래킷(5)을 포함한 노브유닛(150) 구성과 그에 따른 작동은 노브유닛(150)을 포함한 제1부재(110)의 슬라이딩 이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노브유닛(150)과 브래킷(5) 상호 간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없는 경우에 걸림부(150a)와 결합부(5a)의 결합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부재(6)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a에서 미설명 부호 '7'과 '120a'는, 상술한 걸림부(150a)와 결합부(5a)의 결합 위치에 대한 공차를 보상하기 위한 탄성편(7)이거나 제2부재(120)가 탄력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한 굴곡부(120a)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술한 노브유닛(150)의 다른 유형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재(110)를 고정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술한 제2부재(120)가 브래킷(5)의 지지 및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것에 있어, 제2부재(12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 부위이거나,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노브유닛(150)은, 브래킷(5)의 외측으로 노출한 부위를 갖는다.
이러한 노브유닛(150)는 노출한 부위를 통해 사용자가 전·후 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때에, 그 힘을 연결한 제2부재(120)에 전달하여 이동하게 한다.
이에 더하여, 노브유닛(150)은, 이미 설계에 따른 일 부위에 돌기 또는 홈이나 홀 형상 및 별도의 구성을 탑재한 형상의 걸림부(150a)를 형성하고, 브래킷(5)에는 노브유닛(15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이미 설정한 부위에서 걸림부(150a)에 대응하여 걸림 작용이 있도록 하는 결합부(5a)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150a)와 결합부(5a)의 설정 위치는, 상술한 걸림부(150a)와 결합부(5a) 상호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 제1부재(110)의 경사면(S)에 대하여 브레이크(140)가 충분한 힘으로 가압하는 상태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노브유닛(150)으로부터 그 작동 관계는, 도 6b를 참조하면, 상술한 걸림부(150a)와 결합부(5a)에 대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걸림부(150a) 부위를 눌러 그 결합 상태를 해제하면서 후방으로 당겨 외측 파이프(O/P)에 대한 내측 파이프(I/P)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로부터 외측 파이프(O/P)에 대한 내측 파이프(I/P)의 위치를 결정하면, 사용자는 노브유닛(150)의 걸림부(150a)가 결합부(5a)에 대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전방으로 밀고, 이를 통해 외측 파이프(O/P)에 대한 위치 결정된 내측 파이프(I/P)를 고정한다.
이러한 브래킷(5)을 포함한 노브유닛(150) 구성과 그에 따른 작동은 노브유닛(150)을 포함한 제2부재(120)의 슬라이딩 이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노브유닛(150)과 브래킷(5) 상호 간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없는 경우에 걸림부(150a)와 결합부(5a)의 결합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편(7b)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술한 노브유닛(150)의 또 다른 유형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브래킷(5)의 지지 및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것에 있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로부터 각각 연장한 부위 사이에 별도의 구성으로 개재하여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재(110)로부터 연장 연결한 부위와 제2부재(120)로부터 연장 연결한 부위가 내·외측 또는 둘레 방향 양측에 상호 간격을 두고 나란한 배치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각 연장 연결한 부위의 상호 마주보는 각 면에는 전·후 방향 배열의 래크를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브래킷(5)의 지지를 받아 고정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한 피니언(8)을 배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노브유닛(150)은, 적어도 일부가 브래킷(5)의 외측으로 노출한 부위를 갖는다.
이러한 노브유닛(150)는 노출한 부위를 통해 사용자가 전·후 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때에, 피니언(8)을 중심으로 하여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전·후진 하면서 연결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상호 근접하거나 벌어지게 그 힘을 각각 전달한다.
이에 더하여, 노브유닛(150)은, 내·외측 배치의 연장한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미 설계에 따른 일 부위에 돌기 또는 홈이나 홀 형상 및 별도의 구성을 탑재한 형상의 걸림부(150a)를 형성하고, 브래킷(5)에는 노브유닛(15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이미 설정한 부위에서 걸림부(150a)에 대응하여 걸림 작용이 있도록 하는 결합부(5a)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150a)와 결합부(5a)의 설정 위치는, 상술한 걸림부(150a)와 결합부(5a) 상호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 제1부재(110)의 경사면(S)이 브레이크(140)를 충분한 힘으로 가압하는 상태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노브유닛(150)으로부터 그 작동 관계는, 도 6c를 참조하면, 상술한 걸림부(150a)와 결합부(5a)에 대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노브유닛(150)을 누르거나 밀거나 당기는 동작 등을 통해 걸림부(150a)가 결합부(5a)에 대하여 결합 해제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로부터 외측 파이프(O/P)에 대한 내측 파이프(I/P)의 위치를 결정하면, 사용자는 노브유닛(150)을 다시 누르거나,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통해 걸림부(150a)가 결합부(5a)에 대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외측 파이프(O/P)에 대한 내측 파이프(I/P)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러한 브래킷(5)을 포함한 노브유닛(150) 구성과 그에 따른 작동은 노브유닛(150)을 포함한 제2부재(120)의 슬라이딩 이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노브유닛(150)과 브래킷(5) 상호 간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없는 경우에 걸림부(150a)와 결합부(5a)의 결합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부재(6)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1)에 적용한 잠금장치(100)는, 노브유닛(150)을 이용하여 밀어내는 단순한 조작만으로 브레이크(140)가 내측 파이프(I/P)와 외측 파이프(O/P)의 견고한 고정과 또 그 고정의 해제가 용이하다.
한편, 도 7(a)(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1)은 사용자가 제1 잠금장치(100a)만을 조작하여도 연속적으로 제2 잠금장치(100b)의 고정을 해제하여 길이조절을 이룰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제1 파이프(P1)에 대한 제2 파이프(P2)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잠금장치(100a)와, 제2 파이프(P2)에 대한 제3 파이프(P3)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잠금장치(100b)는, 구성하는 노브유닛(150)이 몸체의 전방으로 길이를 가지며 연장한 푸쉬바(151)와, 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외측 파이프(O/P)의 둘레를 감싸는 밀림링부(15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내측 파이프(I/P)가 외측 파이프(O/P) 내로 인입이 이루어지는 길이 조절시에, 후방에 위한 제1 잠금장치(100a)의 푸쉬바(151)가 전방에 위치한 제2 잠금장치(100b)의 밀림링부(152)를 밀어 한번의 조작으로 순차적인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1)은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이 상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파이프 내부를 가로질러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의 제일 마지막 파이프에 고정된 와이어(W)에 의해 구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도 8(a)를 참조하면, 상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내부 일측에 와이어(W) 상단부와 고정연결한 와이어 연결부(200)를 포함한다.
와이어 연결부(200)는 와이어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수단으로, 블럭 형상으로 제1 파이프(P1)에 삽입된 제2 파이프(P2)의 후방측 단부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와이어(W)가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10)와, 가이드부재(2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와이어(W)의 상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이동 가능한 블럭 형상의 고정부재(220)와, 가이드부재(210)와 고정부재(220)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부재(210)는 내부에 탄성부재(230)가 안착할 수 있도록 홈부를 형성하며, 후방 일측에 고정부재(220)가 걸려 안착되는 안착턱 및 전방측 단부에 와이어 관통홀을 가진다.
한편, 고정부재(220)는 와이어(W)가 묶여 고정된 블럭 형상으로 필요에 따라 측방에 가이드부재(210)의 단부에 걸려 안착되는 걸림턱을 구비한다.
탄성부재(230)는 항상 고정부재(220)를 밀어내게 되며 이에 따라 고정부재(220)에 고정연결된 와이어(W)를 탄성력 만큼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1)에 적용한 잠금장치(100)의 브레이크(140)가 경사면(S)과 내측 파이프(I/P)가 이루는 좁아지는 방향으로 굴러 이동할 때 쐐기 형식으로 끼여 압력을 부가하고, 반대 방향으로 구를 때에 그 압력의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잠금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1)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도 2에서와 같이 완전히 펼쳤을 때, 상술의 와이어연결부(200)의 탄성부재(230)가 와이어(W)를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후방으로 잡아당겨지게 된다.
그리고 잠금장치(100)의 브레이크(140)는 경사면(S)과 내측 파이프(I/P)의 좁아지는 방향으로 끼이게 되고, 이에 따라 미세 틈 등이 발생함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에 따라 접이식 스틱(1)을 펼치고 난 후 잠금장치(100)가 구성된 부분의 흔들림이나 미세한 연결부분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탄성부재(230)가 와이어(W)를 잡아당기는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폴대용 파이프 부분의 연결부위가 이탈되거나 흔들림 또한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도 8(b)를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스틱(1)의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뾰족팁부(13)와 연결된 파이프 일측에 충격을 완화하는 쇽업쇼바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시에서는 제5 파이프(P5)에 쇽업쇼바부(300)를 구성하였으며 뾰족팁부(13)가 바닥지면과 부딪치면서 사용자의 손목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필요에 따라 뾰족팀부(13)는 홀더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제5 파이프(P5) 내측으로 삽입된 구조를 가지며, 홀더의 상부에 쇽업쇼바(3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충격완화를 위한 쇽업쇼바는 다양한 공지의 기술이 알려져 있으며, 탄성스프링, 공압, 유압 등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 바, 본원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쇽업쇼바의 구조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접이식 스틱 11 : 손잡이
13 : 뾰족팁부
P1 내지 P5 : 제1 내지 제5 파이프
100 : 잠금장치 100a : 제1 잠금장치
100b : 제2 잠금장치 110 : 제1부재
120 : 제2부재 130 : 리네이너부
140 : 브레이크 150 : 노브
S : 경사면 P/O : 외측 파이프
P/I : 내측 파이프 200 : 와이어연결부
300 : 쇽업쇼바부

Claims (6)

  1. 복수개의 폴대용 파이프로 구성하고 절첩 가능한 접이식 스틱 구조에 있어서,
    상부에 손잡이(11)를 구비한 제1 파이프(P1)와, 상기 제1 파이프(P1)를 외측 파이프(O/P)로 하여 제1 잠금장치(100a)에 의해 길이방향으로의 삽입 또는 인출 이동이 제한된 내측 파이프(I/P)로서의 제2 파이프(P2)와, 상기 제2 파이프(P2)를 외측 파이프(O/P)로 하여 제2 잠금장치(100b)에 의해 길이방향으로의 삽입 또는 인출 이동이 제한된 내측 파이프(I/P)로서의 제3 파이프(P3)를 포함한 상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과;
    상기 제3 파이프(P3)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적어도 2개의 폴대용 파이프로 구성하고, 끼워 맞춰진 형태로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어 접을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내부를 가로질러 하단부에 고정된 와이어(W)에 의해 구속되는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잠금장치(100a)와 제2 잠금장치(100b)를 구성하는 잠금장치(100)는,
    외측 파이프(O/P)의 지지를 받아 전·후 방향에 대하여 고정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고, 내측 파이프(I/P)와 대향하는 내면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설정한 각도(θ)의 경사면(S)을 형성한 제1부재(110)와;
    상기 경사면(S)에 간격을 둔 배치를 이루며, 전·후 방향에 대하여 고정 또는 슬라이딩 가능한 제2부재(120)와;
    상기 제2부재(120)에서 상기 경사면(S) 방향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의 리테이너부(130)와;
    볼·환봉·원형 파이프 중 하나 이상의 것으로 상기 리테이너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를 받고, 노출한 외측이 상기 경사면(S)에 접촉 가능하며, 노출한 내측이 접촉하는 내측 파이프(I/P)의 진행에 따라 구르는 브레이크(140)와;
    상기 제1부재(110) 및/또는 상기 제2부재(120)에 연결하여 상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전·후 방향으로 상호 근접하거나 벌어지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노브유닛(150);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140)는,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근접함에 의해 상기 경사면(S)과 내측 파이프(I/P)의 외면에 동시에 접촉한 상태에서, 경사면(S)과 내측 파이프(I/P)가 이루는 좁아지는 방향으로 굴러 이동할 때에 경사면(S)과 내측 파이프(I/P)의 외면에 쐐기 형식으로 끼여 압력을 부가하고, 반대 방향으로 구를 때에 그 압력의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틱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130)는,
    상기 브레이크(140)의 내측과 외측 사이의 측부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홈 또는 홀 형상의 안착부(131)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틱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장치(100a)와 제2 잠금장치(100b)를 구성하는 노브유닛(150)은, 몸체의 전방으로 길이를 가지며 연장한 푸쉬바(151)와, 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외측 파이프(O/P)의 둘레를 감싸는 밀림링부(152)를 포함하여,
    내측 파이프(I/P)가 외측 파이프(O/P) 내로 인입이 이루어지는 길이 조절시에, 후방에 위치한 제1 잠금장치(100a)의 푸쉬바(151)가 전방에 위치한 제2 잠금장치(100b)의 밀림링부(152)를 밀어 순차적으로 길이가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틱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내부 일측에 상기 와이어(W) 상단부와 고정연결한 와이어 연결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연결부(200)는,
    블럭 형상으로 제1 파이프(P1)에 삽입된 제2 파이프(P2)의 후방측 단부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와이어(W)가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10)와, 상기 가이드부재(2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W)의 상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이동 가능한 블럭 형상의 고정부재(220)와, 상기 가이드부재(210)와 고정부재(220)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틱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폴대용 파이프 부분은,
    뾰족팁부(13)와 연결된 파이프 일측에 충격을 완화하는 쇽업쇼바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스틱 구조.
KR1020180087568A 2017-09-29 2018-07-27 접이식 스틱 구조 KR102056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9937 WO2019066270A1 (ko) 2017-09-29 2018-08-29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스틱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69855 2018-06-18
KR1020180069855 2018-06-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382B1 true KR102056382B1 (ko) 2019-12-16

Family

ID=6905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568A KR102056382B1 (ko) 2017-09-29 2018-07-27 접이식 스틱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3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773Y1 (ko) 1999-12-11 2000-06-15 광동정밀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길이조절장치
US20100200032A1 (en) * 2009-02-12 2010-08-12 Ming-Hsien Lee Foldable walking stick with adjustable length and a shock-proofing mechanism
KR101276577B1 (ko) 2012-04-26 2013-06-18 김경원 등산용 스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773Y1 (ko) 1999-12-11 2000-06-15 광동정밀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길이조절장치
US20100200032A1 (en) * 2009-02-12 2010-08-12 Ming-Hsien Lee Foldable walking stick with adjustable length and a shock-proofing mechanism
KR101276577B1 (ko) 2012-04-26 2013-06-18 김경원 등산용 스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34993B (zh) 伸缩式手提箱手柄
KR200452439Y1 (ko) 지팡이
DE3050200C2 (ko)
CN103826494B (zh) 可折叠成两部分的伸缩手杖
US10064463B2 (en) Pole handle with handle loop
US6148477A (en) Expandable pull rod of luggage
KR101261783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US20180249797A9 (en) Portable storage apparatus that includes an integrated arrangement for converting the apparatus to a bed or a chaise
KR102056382B1 (ko) 접이식 스틱 구조
JP5800210B1 (ja) 折り畳み式ステッキ
KR102258526B1 (ko) 길이 조절 장치
KR200494472Y1 (ko) 다이얼타입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한 배낭
US10596447B1 (en) Foldable snow sliding device
US4367830A (en) Musical instrument support
KR101850970B1 (ko) 길이 조절 장치
EP3847922B1 (en) Length adjustment device
KR101915636B1 (ko) 작동의 용이성을 높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TWI458670B (zh) 手拉器具捲收纜繩結構
EP3238558A1 (en) Buckle for helmet
JP2013096578A (ja) 伸縮式ポールアセンブリ
US3734049A (en) Handle structure
JP3185265U (ja) 伸縮ステッキ
KR200299557Y1 (ko) 신축지팡이의 조절구 구조
KR960002727Y1 (ko) 등산용 지팡이
JP5202008B2 (ja) スーツ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