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156Y1 - 컨베이어 풀리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156Y1
KR200473156Y1 KR2020120012136U KR20120012136U KR200473156Y1 KR 200473156 Y1 KR200473156 Y1 KR 200473156Y1 KR 2020120012136 U KR2020120012136 U KR 2020120012136U KR 20120012136 U KR20120012136 U KR 20120012136U KR 200473156 Y1 KR200473156 Y1 KR 200473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ember
drum
clamping bar
conveyor pulley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2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필수
박지혜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텍산업개발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텍산업개발,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하이텍산업개발
Priority to KR2020120012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1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1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20Arrangements of rollers attached to mov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4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slip between driving element and load-carrier,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컨베이어 풀리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는 원기둥 형상의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이뤄 상기 드럼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는 축방향으로 긴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풀리(Pulley)로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외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Description

컨베이어 풀리{CONVEYOR PULLEY}
본 발명은 컨베이어 풀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풀리의 드럼의 외주면에 위치한 마찰부재의 착탈이 가능한 컨베이어 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원료 또는 자재 등을 짧은 시간에 이송하기 위하여 컨베이어(Conveyor)를 사용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크게 컨베이어 풀리와 컨베이어 벨트로 나눌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Belt)는 컨베이어 풀리(Pulley)와 접촉하고 있고, 컨베이어 풀리가 회전하면 컨베이어 풀리와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컨베이어 벨트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풀리와 컨베이어 벨트간에 미끄럼(Slip)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종래에는, 컨베이어 풀리의 드럼에 고무 등과 같은 미끄럼 방지부재를 부착하거나 미끄럼 방지부재를 코팅하여, 컨베이어 벨트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컨베이어 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베이어 풀리는 드럼(Drum)이 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드럼의 외주면에 고무(Rubber; 러버)가 설치된다.
컨베이어 풀리는 스틸(Steel) 드럼의 외주면에 10~30㎜ 두께의 고무 코팅이 있고, 고무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드럼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코팅된다.
종래의 컨베이어 풀리의 경우, 장시간 사용시 컨베이어 벨트와의 마찰 등으로 인해 고무가 쉽게 마모되기 때문에, 고무를 자주 교체해야 한다. 또한, 마모된 부분과 상관없이 고무 전체를 다 교체해야 했다. 따라서, 교체 작업은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공정수가 많고, 작업 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고무 교체작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컨베이어 풀리 전체를 컨베이어 본체에서 분해하고, 드럼에 코팅되어 있는 고무는 모두 벗겨내고, 다시 드럼에 고무 코팅을 함으로써, 컨베이어 풀리를 재가공하였다. 또한, 재가공되 컨베이어 풀리를 컨베이어에 재조립한 후, 시운전 및 운전조정 단계를 거쳤다.
따라서, 고무 교체작업은 작업성 측면이나 시간적인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효츌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베이어 풀리 드럼의 외주면 둘레에 착탈 가능한 마찰부재와 클램핑바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풀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컨베이어 풀리는, 원기둥 형상의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이뤄 상기 드럼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는 축방향으로 긴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풀리(Pulley)로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외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찰부재는 컨베이어 풀리와 컨베이버 벨트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마찰부재는 드럼의 원주 방형으로 간격을 위뤄 드럼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고, 드럼의 외면과 착탈가능하기 때문에, 마찰부재 중 일부가 마모되는 경우 마찰부재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마모된 마찰부재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풀리의 상기 마찰부재는, 컨베이어 벨트와의 마찰력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찰부재는 컨베이어 풀리와 컨베이어 벨트간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재질이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마찰부재는 고무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컨베이어 풀리의 상기 마찰부재는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풀리의 컨베이어 벨트와 마주하는 상기 마찰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홈이 있고, 상기 홈은 상기 드럼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찰부재의 상단은 컨베이어 벨트와 접하는 부분이고, 마찰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홈은 마찰부재와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마찰력을 높일수 있다. 마찰부재 상단에 형성된 홈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고, 홈의 갯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풀리는,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이뤄 상기 드럼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는 축방향으로 긴 클램핑바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바는 상기 마찰부재의 간격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클램핑바에 의해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풀리의 상기 클램핑바는, 상기 드럼의 외면과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풀리의 상기 클램핑바와 상기 드럼의 외면의 착탈은, 상기 클램핑바와 상기 드럼의 외면을 관통하는 결합구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구는 클램핑바를 드럼의 외면과 결합하게 하는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풀리는, 상기 드럼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클램핑바와의 결속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드럼의 외면에 클램핑바가 결속되고, 클램핑바에 마찰부재가 결속된 경우라도,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 마찰부재가 드럼에서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부재를 드럼의 양단부에 결합시킴으로써 마찰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는 드럼의 외면과 결속하는 클랭핑바의 양단부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풀리의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클램핑바의 착탈은, 상기 클램핑바의 상부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돌기의 하단과 상기 마찰부재의 하부의 양측면의 따라 형성된 걸림돌기의 상단이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착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풀리의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클램핑바의 착탈은, 상기 마찰부재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에 상기 클램핑바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돌기가 끼워져 착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풀리의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클램핑바의 착탈은, 상기 클램핑바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에 상기 마찰부재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돌기가 끼워져 착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풀리의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클램핑바의 착탈은, 상기 마찰부재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에 상기 클램핑바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돌기가 끼워진 상태이고, 상기 클램핑바가 상기 마찰부재의 상기 걸림홈에 포개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드럼과 착탈 가능한 마찰부재와 클램핑바를 사용함으로써, 마찰부재의 교체가 용이하고, 교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모된 마찰부재만을 별도로 교체할 수 있어, 마찰부재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컨베이어 풀리를 해체하지 않고, 마찰부재만 교체할 수 있어교체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베이어 풀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의 일실시예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분해사시도의 일실시예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측면의 단면을 나타낸 일실시예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마찰부재를 나타낸 일실시예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클램핑바를 나타낸 일실시예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정면의 단면을 나타낸 일실시예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마찰부재와 클램핑바와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일측면으로서의 제1실시예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마찰부재와 클램핑바와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타측면으로서의 제2실시예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마찰부재와 클램핑바와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타측면으로서의 제3실시예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마찰부재와 클램핑바와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타측면으로서의 제4실시예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마찰부재와 클램핑바와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타측면으로서의 제5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의 일실시예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분해사시도의 일실시예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1)는 드럼(2), 마찰부재(3), 클램핑바(4) 및 이탈방지부재(5)를 포함한다.
드럼(2)은 원기둥 형상이다. 축(6)은 드럼(2)을 관통하여 드럼(2)과 결합하고, 축(6)이 회전하는 경우, 드럼(2)도 함께 회전한다.
마찰부재(3)는 드럼(2)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이뤄 드럼(2)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고, 마찰부재(3)는 축(6)방향으로 긴 바(bar) 형상이다. 또한, 마찰부재(3)는 드럼(2)의 외면과 착탈 가능하다.
마찰부재(3)는 드럼(2)의 원주 방형으로 간격을 위뤄 드럼(2)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고, 드럼(2)의 외면과 착탈가능하기 때문에, 마찰부재(3) 중 일부가 마모되는 경우 마찰부재(3)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마모된 마찰부재(3)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찰부재(3)는 상단의 중심에는 축 방향으로 긴 홈이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바(Clamping bar; 4)는 드럼(2)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이뤄 드럼(2)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는 축(6)방향으로 긴 바(bar) 형상이다.
클램핑바(4)는 드럼(2)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이뤄 드럼(2)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고, 클램핑바(4)는 축(6)방향으로 긴 바(bar) 형상이다. 또한, 클램핑바(4)는 드럼(2)의 외면과 착탈가능하다.
마찰부재(3)와 클램핑바(4)와의 결속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5)는 드럼(2)의 양단에 위치한다.
이탈방지부재(5)는 원형이며, 중심에는 축(6)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있다.
이탈방지부재(5)의 가장자리에는 결합구(7)가 삽입되는 다수의 홀이 있고, 클램핑바(4)의 양단의 일측에도 결합구(7)가 삽입되는 다수의 홈이 있다.
따라서, 결합구(7)는 이탈방지부재(5)의 홀을 관통하여, 클램핑파(4)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이탈방지부재(5)와 클램핑바(4)를 결속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측면의 단면을 나타낸 일실시예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탈방지부재(5)는 드럼(2)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클램핑바(4)와 결합한다. 또한, 결합구(7)가 클램핑바(4)와 드럼(2)의 외면을 관통하여 클램핑바(4)와 드럼(2)을 결속시킨다.
결합구(7)는 클램핑바(4)의 장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클램핑바(4)와 드럼(2)의 외면을 관통함으로써, 클램핑바(4)와 드럼(2)을 결속시킨다. 결합구(7)는 볼트(Volt)를 사용하였다.
또한, 클램핑바(4)와 드럼(2)을 결속시키는 결합구(7)는 드럼(2)의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마찰부재를 나타낸 일실시예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찰부재(3)의 상단에는 마찰부재(3)의 양 측면을 따라 형성된 홈(32)이 있고, 마찰부재(3)의 중심 내부에는 마찰부재(3)의 장축을 따라 형성된 홀(31)이 있다.
또한, 마찰부재(3)의 양 측면을 따라 걸림홈(33)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33)은 클램핑바(4)와 착탈하는 수단이다. 도면상으로는 걸림홈(33)이 도시되어 있으나, 마찰부재(3)의 양 측면을 따라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클램핑바를 나타낸 일실시예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램핑바(4)의 상단에는 결합구(7)가 관통할 수 있는 다수개의 홀(41)이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바(4)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돌기(42)는 마찰부재(3)와 착탈하는 수단이다. 도면상으로는 걸림돌기(42)가 도시되어 있으나, 클램핑바(4)의 양 측면을 따라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정면의 단면을 나타낸 일실시예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드럼(2)의 외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마찰부재(3)와 클램핑바(4)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차례로 배치된다. 즉, 마찰부재(3)는 클램핑바(4) 사이에, 클램핑바(4)는 마찰부재(3) 사이에 배치된다.
B영역을 참조하면, 마찰부재(3)와 클램핑바(4)는 상호 결속되어 있으며, 마찰부재(3)는 내부 중심에 홀(구멍)이 형성된다.
마찰부재(3)와 클램핑바(4)는 상호 결속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마찰부재(3)의 중심에 형성된 홀(31)은 마찰부재(3)가 컨베이어 벨트와 접촉하는 경우, 마찰부재(3)의 형상이 유연하게 변할 수 있게 한다.
즉, 컨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마찰부재(3)에 압력이 가해지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마찰부재(3)는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마찰부재(3)의 형상이 변하게 되면, 컨베이어 벨트와 마찰부재(3)가 더욱 밀착되어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홀(31)은 컨베이어 벨트와 마찰부재(3)간의 마찰력이 더욱 커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와 접하는 부분인 마찰부재(3)의 상단에는 홈(32)이 드럼(2)의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마찰부재(3)의 상단에 형성된 홈은 마찰부재(3)와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마찰력을 크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마찰부재와 클램핑바와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일측면으로서의 제1실시예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클램핑바(4)의 단면은 T자형이고, 클램핑바의 상부의 양측면을 따라 걸림홈(b)이 형성되어 있다. 마찰부재(3)는 하부의 양측면의 따라 걸림홈(b)이 형성되어 있다.
마찰부재(3)와 클램핑바(4)와의 착탈은 클램핑바(4)의 상부의 걸림돌기(b)의 하단과 마찰부재(3)의 하부의 걸림돌기(b)의 상단이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착탈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마찰부재와 클램핑바와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타측면으로서의 제2실시예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마찰부재와 클램핑바와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타측면으로서의 제3실시예도이고,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마찰부재와 클램핑바와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타측면으로서의 제4실시예도이다.
도 9a 내지 9c를 참조하면, 마찰부재(3)의 양측면을 따라 걸림홈(a)이 형성되어 있고, 크램핑바의 양측면을 따라 걸림돌기(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찰부재(3)와 클램핑바(4)의 착탈은, 마찰부재(3)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a)에 클램핑바(4)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돌기(b)가 끼워져 착탈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클램핑바(4)의 걸림홈(b)은 마찰부재의 걸림홈(a)에 끼워져 있고, 클램핑바(4)의 상단은 걸림홈(b)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바(4)의 상단은 마찰부재(3)의 사이에서 마찰부재(3)와 접촉하고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클램핑바(4)의 걸림돌기(b)는 마찰부재의 걸림홈(a)에 끼워져 있고, 걸림홈(a)의 상부는 하부보다 마찰부재(3)의 중심에서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클램핑바(4)의 상부면은 편편한 평면을 이룬다.
도 9c를 참조하면, 클램핑바(4)의 걸림돌기(b)는 마찰부재의 걸림홈(a)에 끼워져 있고, 클램핑바(4)의 걸림돌기(b)의 상단은 아래로 일정각도 ?여진 형상이다. 걸림홈(a)의 상부는 하부보다 마찰부재(3)의 중심에서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클램핑바(4)의 상부면은 마찰부재(3)의 걸림홈(a)을 구성하는 면과 접촉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2개의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풀리의 마찰부재와 클램핑바와의 착탈을 설명하기 위한 타측면으로서의 제5실시예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마찰부재(3)와 클램핑바(4)의 착탈은, 마찰부재(3)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a)에 클램핑바(4)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돌기(b)가 끼워진 상태이고, 클램핑바(4)가 마찰부재(3)의 걸림홈(a)에 포개여진다.
즉, 클램핑바(4)의 걸림돌기(b)가 마찰부재(3)의 걸림홈(a)에 끼워지고, 마찰부재(3)가 클램핑바(4)를 둘러싸는 형태이다.
클램핑바(4)의 걸림돌기(b)는 클램핑바(4)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의 형상이고, 마찰부재(3)의 걸림홈(a)도 마찰부재(3)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의 형상이다.
클램핑바(4)를 사이에 두고 있는, 마찰부재(3)의 걸림홈(a) 중 어느 하나는 걸림홈(a)의 상부의 일정 거리까지만 클램핑바(4)의 상단과 접촉하고, 다른 하나는 걸림홈(a)의 상부의 가장자리 끝까지 클램핑바(4)의 상단과 접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컨베이어 풀리 2: 드럼
3: 마찰부재 4: 클램핑바
5: 이탈방지부재 6: 축(Axis)
7: 결합구

Claims (12)

  1. 원기둥 형상의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이뤄 상기 드럼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는 축방향으로 긴 클램핑바; 및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이뤄 상기 드럼의 외면을 둘러싸고 있는 축방향으로 긴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바는 상기 마찰부재의 간격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드럼의 외면과 착탈 가능하며,
    상기 클램핑바와 상기 드럼의 외면을 관통하는 결합구에 의하여 상기 클램핑바와 상기 드럼의 외면이 착탈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외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고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클램핑바에 의해 착탈 가능하며,
    상기 마찰부재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에 상기 클램핑바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돌기가 끼워진 상태이고, 상기 클램핑바가 상기 마찰부재의 상기 걸림홈에 포개여져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클램핑바가 착탈되는, 컨베이어 풀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컨베이어 벨트와의 마찰력을 높이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풀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고무인, 컨베이어 풀리.
  4. 제1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와 마주하는 상기 마찰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홈이 있고, 상기 홈은 상기 드럼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컨베이어 풀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클램핑바와의 결속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 풀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2020120012136U 2012-12-24 2012-12-24 컨베이어 풀리 KR200473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136U KR200473156Y1 (ko) 2012-12-24 2012-12-24 컨베이어 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136U KR200473156Y1 (ko) 2012-12-24 2012-12-24 컨베이어 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156Y1 true KR200473156Y1 (ko) 2014-06-13

Family

ID=5149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136U KR200473156Y1 (ko) 2012-12-24 2012-12-24 컨베이어 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15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452B1 (ko) * 2017-05-25 2018-10-08 주식회사 제이유코리아 컨베이어용 풀리
KR20190022051A (ko) * 2017-08-25 2019-03-06 변덕구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
KR20190022035A (ko) * 2017-08-25 2019-03-06 변덕구 컨베이어용 드럼
KR102046322B1 (ko) 2019-01-17 2019-12-02 (주)효성테크 컨베이어용 파워드라이브풀리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과 상기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파워드라이브풀리
US11130639B2 (en) 2019-12-20 2021-09-28 Abb Schweiz Ag Modular pulley for continuous belt conveyor system
KR20220125851A (ko) * 2021-03-04 2022-09-15 주식회사 케이이씨 착탈식의 마찰부재가 구비된 풀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223A (ja) * 1997-01-22 2002-06-21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自動横方向並進コンベヤ
KR20090070115A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KR101181724B1 (ko) * 2010-11-15 2012-09-19 이장원 컨베이어용 헤드드럼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223A (ja) * 1997-01-22 2002-06-21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自動横方向並進コンベヤ
KR20090070115A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KR101181724B1 (ko) * 2010-11-15 2012-09-19 이장원 컨베이어용 헤드드럼 및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452B1 (ko) * 2017-05-25 2018-10-08 주식회사 제이유코리아 컨베이어용 풀리
KR20190022051A (ko) * 2017-08-25 2019-03-06 변덕구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
KR20190022035A (ko) * 2017-08-25 2019-03-06 변덕구 컨베이어용 드럼
KR101955811B1 (ko) * 2017-08-25 2019-03-07 변덕구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
KR101955810B1 (ko) * 2017-08-25 2019-05-30 변덕구 컨베이어용 드럼
KR102046322B1 (ko) 2019-01-17 2019-12-02 (주)효성테크 컨베이어용 파워드라이브풀리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과 상기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파워드라이브풀리
US11130639B2 (en) 2019-12-20 2021-09-28 Abb Schweiz Ag Modular pulley for continuous belt conveyor system
KR20220125851A (ko) * 2021-03-04 2022-09-15 주식회사 케이이씨 착탈식의 마찰부재가 구비된 풀리
KR102522650B1 (ko) * 2021-03-04 2023-04-17 주식회사 케이이씨 착탈식의 마찰부재가 구비된 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156Y1 (ko) 컨베이어 풀리
EP3441236B1 (en) Fastening member for use in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n airless tire and a rim
US9695688B2 (en) Round-shaft chisel arrangement, a retaining ring for a round-shaft chisel arrangement, a set with a clamping sleeve and a retaining ring, and a method for securing a round-shaft chisel in a tool holder
IL209937A (en) An embracing assembly with a retaining element guard
EP2508774A1 (en) Vibration-proof tool holder
CA3027020A1 (en) Wear liner assembly
WO2012059106A3 (en) Ductwork
KR101872113B1 (ko) 체인 가이드
KR20090078152A (ko) 스테빌라이저 바 부싱기구
US20060225257A1 (en) Snap ring
US20170355406A1 (en) Sprocket and elastic crawler drive mechanism
KR101545447B1 (ko) 고무장갑 금형
US20220232306A1 (en) Fix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a panel mounted device
CA2746210C (en) Device for preventing overdrawing of winch hook
KR101521749B1 (ko) 위험구역 표시벨트용 거치홀더
JP2011068459A (ja) フォークリフト用フォークカバー
US8226456B2 (en) Power tool packing apparatus
CN105579355A (zh) 将待运输的物品固定到载重架上的装置
KR101847218B1 (ko) 연마장치
KR20120116529A (ko) 토글 클램프
KR101216407B1 (ko) 토글 클램프
US10753027B2 (en) Washing machine
WO2011061138A1 (en) Drive pulley for cutting tools of machines for processing stones materials
KR100786152B1 (ko) 차량 시트벨트용 슬립가이드의 결합구조
JP2003184841A (ja) 止め輪及び止め輪着脱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