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811B1 -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811B1
KR101955811B1 KR1020170107797A KR20170107797A KR101955811B1 KR 101955811 B1 KR101955811 B1 KR 101955811B1 KR 1020170107797 A KR1020170107797 A KR 1020170107797A KR 20170107797 A KR20170107797 A KR 20170107797A KR 101955811 B1 KR101955811 B1 KR 101955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riction pad
conveyor
retain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051A (ko
Inventor
변덕구
Original Assignee
변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덕구 filed Critical 변덕구
Priority to KR1020170107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8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2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58Conveyor systems, e.g. rollers or bear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한궤도 타입의 벨트와, 벨트를 구동시키는 드럼으로 구성된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드럼의 외주연에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리테이너를 드럼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장착하는 1단계; 상기 드럼의 외주연에 장착된 리테이너 사이에 마찰패드를 장착하는 2단계;과정을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이 특징인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럼의 외주연에 마찰패드를 고정하는 작업공정이 단순하며, 마모와 손상이 발생할 시 작업자의 눈으로 즉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체시기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교체작업이 용이함으로 인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rum for conveyor}
본 발명은 무한궤도 타입의 벨트와, 벨트를 구동시키는 드럼으로 구성된 컨베이어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드럼에 마찰력을 증대시켜 큰 힘이 작용하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무한궤도 타입의 벨트와, 벨트를 구동시키는 드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벨트는 드럼과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컨베이어의 드럼은 외주면이 매끈하여 벨트와의 마찰력이 작아 큰 힘을 전달하기에는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컨베이어용 드럼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181724호에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켜 물품을 이송되도록 작동하는 헤드드럼과, 상기 헤드드럼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구동되도록 상기 헤드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하도록 축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홀 그룹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구조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체결홀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체결구 결합홀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금속재의 보강심재가 인서트되어 있는 러버 재질의 레깅스와, 상기 레깅스의 상기 체결구 결합홀에 끼워져서 상기 드럼의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어 상기 레깅스를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부착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용 헤드드럼이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특허등록번호 제1181724호에 구동수단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켜 물품을 이송되도록 하는 컨베이어용 헤드 드럼에 있어서, 드럼 바디와; 상기 드럼 바디의 외주면에 배치된 금속제의 픽싱편과; 상기 픽싱편이 상기 드럼 바디의 외주면에 콘택트된 상태에서 상기 픽싱편을 상기 드럼 바디 외주면에 고정하는 픽싱 용접부와; 상기 픽싱편의 상면에 부착된 레깅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픽싱편의 상면에 구비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픽싱편의 상면을 감싸도록 상기 레깅스가 사출 성형되어 상기 레깅스가 상기 걸림편에 의해 상기 픽싱편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편은 티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깅스가 상기 픽싱편의 상면에 사출 성형될 때에 상기 걸림편이 상기 레깅스에 내장되어 상기 픽싱편 상면에 상기 레깅스를 고정하도록 잡아주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픽싱편의 상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레깅스가 상기 픽싱편의 상면을 감싸도록 사출 성형될 때에 상기 레깅스가 하부에서 상기 걸림편에 의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 포지션에서 지지되어 상기 픽싱편의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픽싱편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결 걸림 지지편과, 상기 연결 걸림 지지편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 걸림 지지편과 함께 티자형을 이루도록 하는 걸림서포트편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 서포트편의 저면에는 걸림 죠오가 구비되어, 상기 픽싱편 위에 사출 성형된 상기 레깅스가 상기 걸림편에 의해 고정되도록 지지되면서 동시에 상기 걸림 죠오에 의해 추가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힘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용 헤드 드럼이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열거한 컨베이어 드럼은 마찰력은 증대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드럼의 외주연에 볼팅처리와 같은 작업으로 마찰패드를 고정하기 때문에 볼트 사이 및 드럼 안에 이물질이 들어가기 쉽고, 또한 한번 고정한 후에는 보수작업시 벨트 사이에 작업자가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공간적 제한으로 인한 보수작업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드럼의 외주연에 마찰패드를 고정하는 작업공정이 단순하며, 또한 마모와 손상이 발생할 시 작업자의 눈으로 즉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체시기 및 교체작업이 용이한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무한궤도 타입의 벨트와, 벨트를 구동시키는 드럼으로 구성된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주연에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리테이너를 드럼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장착하는 1단계; 상기 드럼의 외주연에 장착된 리테이너 사이에 마찰패드를 장착하는 2단계;과정을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럼의 외주연에 마찰패드를 고정하는 작업공정이 단순하며, 마모와 손상이 발생할 시 작업자의 눈으로 즉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체시기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교체작업이 용이함으로 인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컨베이어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드럼의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드럼에 장착되는 리테이너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드럼에 장착되는 마찰부재의 수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드럼에 리테이너와 마찰부재를 장착되는 작업사진.
도 6은 본 발명 리테이너의 평면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드럼에 장착된 마찰부재의 마모정도를 확인하는 고정클립의 개요도.
도 8은 본 발명 드럼에 장착되는 고정클립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드럼에 장착되는 고정클립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사용상태도.
본 발명 무한궤도 타입의 벨트(200)와, 벨트(200)를 구동시키는 드럼(100)으로 구성된 컨베이어의 드럼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100)의 외주연에 드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리테이너(110)를 드럼(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장착하는 1단계; 상기 드럼(100)의 외주연에 장착된 리테이너(110) 사이에 마찰패드(120)를 장착하는 2단계;과정을 포함하여 제작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리테이너(110)는 드럼(100)의 외주연에 접촉되는 접촉부(111)와, 상기 접촉부(111)에서 드럼(100)의 원주방향의 양측단이 상부로 절곡되는 수직부(112)와, 상기 수직부(112)의 끝단부에 드럼(100)의 원주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부(122)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마찰패드(120)는 드럼(100)의 외주연을 둘러싸기 위하여 원호형 판재형상으로서 원주방향의 양단에는 두께가 얇아지도록 단차가 형성되는 것으로, 두께가 두꺼운 중심부분의 고면부(121)와, 두께가 얇은 양단의 저면부(122)로 이루어져 있어, 드럼(100)의 일단에서 드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찰패드(12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드럼(100)은 외주연에 드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리테이너(110)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장착되고, 상기 리테이너(110) 사이에는 벨트(200)와의 마찰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마찰패드(120)가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리테이너(110)는 드럼(100)의 외주연에 접촉되는 접촉부(111)와, 상기 접촉부(111)에서 드럼(100)의 원주방향의 양측단이 상부로 절곡되는 수직부(112)와, 상기 수직부(112)의 끝단부에 드럼(100)의 원주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부(122)로 이루어져, 상기 마찰패드(120)는 리테이너(110)의 걸림부(122) 사이에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마찰패드(120)에는 마찰패드(120)의 고정 및 마모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고정클립(140)이 삽입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110)의 접촉부(111)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접촉부(111) 간에는 탄성부재(130)가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컨베이어의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는 무한궤도 타입의 벨트(200)와, 벨트(200)를 구동시키는 드럼(100)으로 이루어져 상기 벨트(200)는 드럼(100)과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컨베이어의 드럼은 외주면이 매끈하여 벨트와의 마찰력이 작아 큰 힘을 전달하기에는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 드럼의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드럼에 장착되는 리테이너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드럼에 장착되는 마찰부재의 수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드럼에 리테이너와 마찰부재를 장착되는 작업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럼(100)은 외주연에 드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리테이너(110)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장착되고, 상기 리테이너(110) 사이에는 벨트(200)와의 마찰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마찰패드(12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드럼(100)에 리테이너(110)와 마찰패드(120)를 장착하는 것은 드럼(100)의 외주연에 드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리테이너(110)를 드럼(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장착하는 1단계; 상기 드럼(100)의 외주연에 장착된 리테이너(110) 사이에 마찰패드(120)를 장착하는 2단계;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110)는 드럼(100)의 외주연에 접촉되는 접촉부(111)와, 상기 접촉부(111)에서 드럼(100)의 원주방향의 양측단이 상부로 절곡되는 수직부(112)와, 상기 수직부(112)의 끝단부에 드럼(100)의 원주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부(122)로 이루어져 있다.
즉, 리테이너(110)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7082377953-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리테이너(110)의 걸림부(122) 사이에 마찰패드(120)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마찰패드(120)가 직접적으로 벨트(200)에 접촉됨으로써 마찰패드(120)의 마찰력이 벨트(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이 되는 것이다.
상기 리테이너(110)은 금속재질을 사용하며, 마찰패드(120)는 마찰계수가 큰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작업이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이점이 있는 고무재질을 사용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마찰패드(120)는 리테이너(110)의 걸림부(122) 사이에 삽입이 용이하고, 벨트(200)에 직접적으로 접촉이 용이하도록, 단면이 ‘
Figure 112018084943078-pat00012
’형상이다.
즉, 마찰패드(120)는 드럼(100)의 외주연을 둘러싸기 위하여 원호형 판재형상으로서 원주방향의 양단에는 두께가 얇아지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두께가 두꺼운 중심부분은 고면부(121), 두께가 얇은 양단을 저면부(122)라 칭하기로 한다.
이에, 상기 마찰패드(120)의 저면부(122)가 리테이너(110)의 걸림부(122)와 드럼(100) 간에 형성된 공간 사이로 삽입이 되는 것이고, 상기 마찰패드(120)의 고면부(121)는 리테이너(110) 보다는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도록 하여 고면부(121)가 직접 벨트(200)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마찰패드(120)의 삽입방식은 드럼(100)의 일단에서 드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면 된다.
이때, 상기 리테이너(110)를 드럼(100)의 원주면에 체결하는 방식은 용접으로 체결하도록 하며, 또 다르게는 접착제로서도 리테이너(110)를 드럼(100)의 원주면에 접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8개의 리테이너(110)를 사용하여 드럼(100)의 외주연에 드럼(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용접으로 체결하였으며, 상기 리테이너(110) 사이에 마찰부재(120)를 장착하였다.
한편, 상기 드럼(100)의 외주연에 리테이너(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 리테이너의 평면 개요도로서, (a)는 리테이너(110)의 제1실시에 따른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리테이너(110)의 제2실시에 따른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c)는 리테이너(110)의 제3실시에 따른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4)는 리테이너(110)의 제4실시에 따른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각 실시에 따른 상기 리테이너(110)의 형상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110)는 드럼(100)에 접촉되는 접촉부(111)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접촉부(111)의 길이방향의 측면에는 마찰패드(120)가 삽입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로 절곡된 수직부(112)와 수직부(112)의 끝단부에 드럼(100)의 원주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113)가 접촉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111)에는 재료의 절감 및 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관통공(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b)는 리테이너(110)의 접촉부(111) 부분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분할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분할된 리테이너(110)를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드럼(100)의 외주연에 용접으로 체결하도록 한 것으로, 분할된 리테이너(110) 간의 간격은 마찰패드(120)의 원호길이에 대비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c)와 (d)는 분할된 리테이너(110) 사이 즉, 분할된 접촉부(111) 간에 탄성부재(130)가 장착하는 것으로, (c)는 탄성부재(130)로서 탄성을 지닌 그물망을 장착한 것이며, (d)는 탄성부재(130)로서 탄성을 지닌 로프 또는 와이어를 리테이너(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장착한 것이다.
특히, (d)에서 로프 또는 와이어는 45°정도 기울기를 지니도록 장착하였다.
또한, 상기 마찰패드(120)에는 마찰패드(120)가 리테이너(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클립(140)이 장착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 드럼에 장착된 마찰부재의 마모정도를 확인하는 고정클립의 개요도, 도 8은 본 발명 드럼에 장착되는 고정클립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드럼에 장착되는 고정클립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140)은 ㄷ자 형상으로서 양단이 마찰패드(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바늘처럼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르게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마찰패드(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바늘처럼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하게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마찰패드(120)에 마찰패드(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장착함으로써 마찰패드(12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클립(140)은 리테이너(110)의 걸림부(123)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며, 뾰족한 양단은 마찰패드(120)의 저면부(122)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 다르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패드(12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고정클립(140)의 뾰족한 부분을 삽입하는 것으로, 마찰패드(120)의 고면부(121) 단부 측에 삽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클립(140)은 고면부(121)의 단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클립(140)은 마찰패드(120)의 고정역할뿐 아니라 마찰패드(120)의 마모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럼의 외주연에 마찰패드를 고정하는 작업공정이 단순하며, 마모와 손상이 발생할 시 작업자의 눈으로 즉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체시기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교체작업이 용이함으로 인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드럼
110. 리테이너 111. 접촉부 112. 수직부
113. 걸림부
120. 마찰패드 121. 고면부 122. 저면부
130. 탄성부재
140. 고정클립
200. 벨트

Claims (3)

  1. 무한궤도 타입의 벨트(200)와, 벨트(200)를 구동시키는 드럼(100)으로 구성된 컨베이어의 드럼 제작방법으로서,
    상기 드럼(100)의 외주연에 드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리테이너(110)를 드럼(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장착하는 1단계; 상기 드럼(100)의 외주연에 장착된 리테이너(110) 사이에 마찰패드(120)를 장착하는 2단계; 과정을 포함하여 제작되는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10)는 드럼(100)의 외주연에 접촉되는 접촉부(111)와, 상기 접촉부(111)에서 드럼(100)의 원주방향의 양측단이 상부로 절곡되는 수직부(112)와, 상기 수직부(112)의 끝단부에 드럼(100)의 원주방향으로 절곡되는 걸림부(122)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마찰패드(120)는 드럼(100)의 외주연을 둘러싸기 위하여 원호형 판재형상으로서, 원주방향의 양단에는 두께가 얇아지도록 단차가 형성되는 것으로, 두께가 두꺼운 중심부분의 고면부(121)와, 두께가 얇은 양단의 저면부(122)로 이루어져 있어, 드럼(100)의 일단에서 드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찰패드(12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는 것이며,
    상기 접촉부(111)에는 재료의 절감 및 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리테이너(110)의 접촉부(111) 부분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분할되어 있는 것이되, 분할된 리테이너(110) 사이에 탄성부재(130)가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130)로서 탄성을 지닌 그물망이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마찰패드(120)에는 마찰패드(120)가 리테이너(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클립(140)이 장착되는 것이되, 상기 고정클립(140)은 'ㄷ'자 형상으로서 양단이 마찰패드(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바늘처럼 뾰족하게 형성된 것이며,
    상기 마찰패드(12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고정클립(140)의 뾰족한 부분을 삽입하며, 상기 마찰패드(120)의 고면부(121) 단부 측에 삽입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클립(140)은 마찰패드(120)의 고정역할뿐 아니라 마찰패드(120)의 마모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인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70107797A 2017-08-25 2017-08-25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 KR101955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797A KR101955811B1 (ko) 2017-08-25 2017-08-25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797A KR101955811B1 (ko) 2017-08-25 2017-08-25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051A KR20190022051A (ko) 2019-03-06
KR101955811B1 true KR101955811B1 (ko) 2019-03-07

Family

ID=6576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797A KR101955811B1 (ko) 2017-08-25 2017-08-25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8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313B1 (ko) * 2020-09-08 2021-04-14 윤종대 컨베이어 벨트용 드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115A (ko)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JP5296231B2 (ja) 2012-02-03 2013-09-25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KR200473156Y1 (ko) * 2012-12-24 2014-06-13 (주)하이텍산업개발 컨베이어 풀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6231A (en) * 1976-02-02 1977-08-12 Teijin Ltd Production of acetylcellulose pulp
JPH05296231A (ja) * 1992-04-21 1993-11-0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ム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115A (ko)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JP5296231B2 (ja) 2012-02-03 2013-09-25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KR200473156Y1 (ko) * 2012-12-24 2014-06-13 (주)하이텍산업개발 컨베이어 풀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051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26693A (en) Flexible grain pickup elements and mounting
US8235850B2 (en) Multiple sprocket assembly
KR101955811B1 (ko) 컨베이어용 드럼 제작방법
KR101955810B1 (ko) 컨베이어용 드럼
RU201013742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материала с конвейерной ленты ленточного конвейера
KR101375499B1 (ko) 무한궤도용 고무패드
US6386654B1 (en) Protective cover for guide blocks
KR200473156Y1 (ko) 컨베이어 풀리
CA2838098C (en) Support module of sleeve for transmission line
US6851549B1 (en) Product capturing chain construction
EP1283153A1 (en) Crawler shoe
KR100786152B1 (ko) 차량 시트벨트용 슬립가이드의 결합구조
US2573486A (en) Sectional conveyer
KR101061454B1 (ko) 무한궤도 차량용 슈패드 어셈블리
US2691267A (en) Tool for separating chain links
RU170346U1 (ru) Зажимной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ий механизм трепальной машины
US1113746A (en) Metallic power-belt.
KR20120044069A (ko) 커브 벨트형 컨베이어
CN112119242A (zh) 用于连接传送带的两端部的具有垫片的接合装置
KR101593918B1 (ko) 컨베이어용 헤드 드럼
JP7102602B2 (ja) ベルトクランプ
KR102522650B1 (ko) 착탈식의 마찰부재가 구비된 풀리
US2271275A (en) Antiskid device
JPS61136806A (ja) 耐摩耗板
JPH0582920U (ja) コンベヤベルトの支持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