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598Y1 -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 - Google Patents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598Y1
KR200472598Y1 KR2020130002720U KR20130002720U KR200472598Y1 KR 200472598 Y1 KR200472598 Y1 KR 200472598Y1 KR 2020130002720 U KR2020130002720 U KR 2020130002720U KR 20130002720 U KR20130002720 U KR 20130002720U KR 200472598 Y1 KR200472598 Y1 KR 200472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direction
stapler
staple
lower memb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재
Original Assignee
김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재 filed Critical 김호재
Priority to KR2020130002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5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7/00Accessories for nailing or stapling tool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1Driving means operated by manual or foot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 상면에 스테이플 받침부가 구비되며, 길이방향 하면에는 하나이상의 자석이 내장되고, 길이방향 후면에는 삽입부가 구비된 하부부재; 상기 하부부재 상면에 대응되어 위치되며, 길이방향 하면에는 스테이플이 내장된 스테이플장착부가 구비되고, 길이방향 후면에는 삽입부가 구되빈 상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의 길이방향 후면에 위치되어 면접설치되어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를 결합하는 중앙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고정장치는 받침대인 하부고정부재에 상부고정부재가 힌지축(12a)을 중심으로 결합된 구조이며, 상기 상부고정부재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부재의 삽입구에 삽입고정되는 제1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하부고정부재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부재의 삽입구에 삽입고정되는 제2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중앙고정장치의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각각 상부부재과 하부부재의 각각의 삽입구에 삽입되면서 서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Stapler With Separate Type Upper and Lower Members}
본 고안은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가능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평상시에는 중앙고정장치에 고정되어 사용되다가 필요시 중앙고정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만으로 종이류 프린트물의 원하는 위치에 철침(스테이플)을 고정시키는 제철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스테이플러는 학교나 집, 또는 학원 등 일상생활에서 여러 장의 프린터물을 찍을 때 사용하는 아주 유용한 기구이다. 그리고, 스테이플러에도 여러 가지 크기와 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여러장을 찍을 수 있는 큰 것과 몇 장만을 찍을 수 있는 아주 작은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스테이플러는 스테이플러의 폭보다 더 큰 종이와 같은 프린트물의 한가운데 부분은 찍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아무리 큰 스테이플러가 있다 하더라도, 그보더 더 큰 길이를 가진 프린트 물의 제철작업시에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다.
한편, 이 분야의 종래기술로서, 다용도 스페이플러(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47976, 2001년 9월 12일 등록)에 의하면, 책 등과 같이 다량의 서류로 된 인쇄물의 제본시 중앙 접는 부위를 가지런히 정렬하여 쉽게 철침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용도 스테이플러도 종이의 크기나 폭이 큰 경우에는 해당 위치에 정확히 철침(스테이플)을 제철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제철하려는 종이 프린트물 혹은 용지의 길이와 폭에 상관없이 원하는 위치에서 제철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가능하고 필요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는
길이방향 상면에 스테이플 받침부가 구비되며, 길이방향 하면에는 하나이상의 자석이 내장되고, 길이방향 후면에는 삽입부가 구비된 하부부재;
상기 하부부재 상면에 대응되어 위치되며, 길이방향 하면에는 스테이플이 내장된 스테이플장착부가 구비되고, 길이방향 후면에는 삽입부가 구비된 상부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의 길이방향 후면에 위치되어 면접설치되어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를 결합하는 중앙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고정장치는
받침대인 하부고정부재에 상부고정부재가 힌지축(12a)을 중심으로 결합된 구조이며,
상기 상부고정부재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부재의 삽입구에 삽입고정되는 제1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하부고정부재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부재의 삽입구에 삽입고정되는 제2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중앙고정장치의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각각 상부부재과 하부부재의 각각의 삽입구에 삽입되면서 서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에 의하면, 부피가 작아 휴대나 보관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고, 종이 크기에 상관없이 원하는 위치에 제철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용도의 스테이플러를 이용하여 학교나 가정, 학원, 사무실 등에서 위치에 상관없이 프린트물의 제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테이플러를 분리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결합상태로 사용가능하여 용도가 다양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분리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벽면등에 직접 접착시킨 후 제철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에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에서 하부부재와 자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에서 스테이플러의 결합 상태의 합체상태에서의 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에서 분리된 상태의 상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100)는
길이방향 상면에 스테이플 받침부(311)가 구비되며, 길이방향 하면에는 하나이상의 자석(420)이 내장되고, 길이방향 후면에는 삽입부(330)가 구비된 하부부재(30);
상기 하부부재(30) 상면에 대응되어 위치되며, 길이방향 하면에는 스테이플이 내장된 스테이플장착부(210)가 구비되고, 길이방향 후면에는 삽입부(220)가 구 비된 상부부재(20);를 포함한다.
참조부호 10은 중앙고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상부부재(20) 및 하부부재(30)의 길이방향 후면에 위치되어 면접설치된다.
상기 중앙고정장치(10)는 받침대인 하부고정부재(14)에 상부고정부재(12)가 힌지축(12a)을 중심으로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상부고정부재(12)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부재(20)의 삽입구(220)에 삽입고정되는 제1 돌출부(120)를 가진다.
상기 하부고정부재(14)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부재(30)의 삽입구(330)에 삽입고정되는 제2 돌출부(130);를 가진다.
상기 중앙고정장치(10)의 제1 돌출부(120) 및 제2 돌출부(130)는 각각 상부부재(20)과 하부부재(30)의 삽입구에 삽입되면서 고정된 상태로 되어 일반적인 스테이플러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도 1).
상부부재(20)의 스테이플러 장착부(210)를 전면부는 테이퍼부(20a)가 형성되어 제철작업시 스테이플러 장착부(210)가 방해받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100)는 평상시는 일반 스테이플러와 동일하지만, 중앙고정장치(10)를 제거할 경우, 상부부재(20)(혹은 상부 스테이플러)와 하부부재(30)(혹은 하부 받침대)가 분리된다.
이에따라,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상부부재(20)과 하부부재(30)만으로 이루어진 분리 스테이플러를 통해 프린트물의 제철이 가능하다.
또한,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30)를 중앙고정장치(10)로부터 분리시, 상부부재(20)에는 스테이플러가 장착된 스테이플러 장착부(210)가 내장설치되어 상부부재(2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러지게 되면 스테이플러가 배출되도록 되어있으므로, 상부부재(20)를 벽면에 접착시킨 후 제철작업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또한 상부부재(20) 및 하부부재(30)를 중앙고정장치(1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도 상부부재(20) 및 하부 부재(30)에 각각 자석(420)을 복수개 내장시켜, 중앙고정장치(10)를 제거한 후에도 상부부재(20) 및 하부부재(30)는 서로 고정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자석(420)을 상부부재(20) 및 하부부재(30)가 맞닿은 대향측면내에 각각 내장시킴으로써, 제철되는 종이면에 흠집을 내지않도록 제작하였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서처럼, 결합상태에서의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100)를 통해 일반적인 보통 스테이플러로서 사용될 수 있고, 도 6d에서처럼, 상부부재(20)만으로도 스테이플러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내장된 자석(420)을 부각시켜 표현하였다. 도 5에서 보면,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30)가 서로 자석(420)이 맞닿으면서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에 의하면, 부피가 작아 휴대나 보관하기 편리하고, 종이 크기에 상관없이 원하는 위치에 제철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다용도의 스테이플러를 이용하여 학교나 가정, 학원, 사무실 등에서 위치에 상관없이 프린트물의 제철이 가능하다.
또한, 스테이플러를 분리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결합상태로 사용가능하여 용도가 다양하다.
또한 분리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벽면등에 직접 접착시킨 후 제철작업을 할 수 있다.
10: 중앙고정장치
20: 상부부재
30: 하부부재
120, 130: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
420: 자석

Claims (2)

  1. 길이방향 상면에 스테이플 받침부가 구비되며, 길이방향 하면에는 하나이상의 자석이 내장되고, 길이방향 후면에는 삽입부가 구비된 하부부재;
    상기 하부부재 상면에 대응되어 위치되며, 길이방향 하면에는 스테이플이 내장된 스테이플장착부가 구비되고, 길이방향 후면에는 삽입부가 구비된 상부부재;를 포함하는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의 길이방향 후면에 위치되어 면접설치되어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를 결합하는 중앙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고정장치는
    받침대인 하부고정부재에 상부고정부재가 힌지축(12a)을 중심으로 결합된 구조이며,
    상기 상부고정부재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부재의 삽입구에 삽입고정되는 제1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하부고정부재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부재의 삽입구에 삽입고정되는 제2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중앙고정장치의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각각 상부부재과 하부부재의 각각의 삽입구에 삽입되면서 서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

KR2020130002720U 2013-04-10 2013-04-10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 KR200472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720U KR200472598Y1 (ko) 2013-04-10 2013-04-10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720U KR200472598Y1 (ko) 2013-04-10 2013-04-10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598Y1 true KR200472598Y1 (ko) 2014-05-15

Family

ID=51489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720U KR200472598Y1 (ko) 2013-04-10 2013-04-10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59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625A (ko) * 2008-03-18 2009-09-23 김진탁 철침 호환장치 및 길이조절 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
KR20100117185A (ko) * 2009-04-24 2010-11-03 김재원 문서 및 대상물의 어떤 곳도 철할 수 있는 ‘에브리웨어 스테이플러’.
KR100999662B1 (ko) 2010-08-17 2010-12-13 김윤도 길이조절 스테이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625A (ko) * 2008-03-18 2009-09-23 김진탁 철침 호환장치 및 길이조절 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
KR20100117185A (ko) * 2009-04-24 2010-11-03 김재원 문서 및 대상물의 어떤 곳도 철할 수 있는 ‘에브리웨어 스테이플러’.
KR100999662B1 (ko) 2010-08-17 2010-12-13 김윤도 길이조절 스테이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9868B1 (en) Multipurpose stapler
JPH11208143A (ja) ファスナーを用いたバインジング方法とパンチャーを 兼ねたバインダー及びそのファスナー
CN206795996U (zh) 一种办公用多孔径纸张打孔器
KR200472598Y1 (ko) 상하분리형 스테이플러
CN103434293B (zh) 一种多功能装订机
JP6146189B2 (ja) 中綴じ機
KR200367738Y1 (ko) 스테플러를 이용한 제본기
CN208842134U (zh) 一种可拆装成画板箱的画板
CN207058492U (zh) 一种整齐装订订书机
JP6605314B2 (ja) 中綴じ製本装置
KR20110006427U (ko) 스탬프 겸용 스테플러
CN218364534U (zh) 分体式订书机
KR100584246B1 (ko) 스테플러를 이용한 제본기
CN212763325U (zh) 分体式便携订书机
CN219634895U (zh) 一种儿童图书画册
KR200386933Y1 (ko) 서류철 보조기
CN212055427U (zh) 一种具有四个钉脚的订书钉
JP3154578U (ja) 書見台
JP2008149420A (ja) パンチスタンド
CN215041616U (zh) 一种多功能夹紧结构及文件夹
KR101390997B1 (ko) 다용도 바인더
JP4515250B2 (ja) 中綴じ製本装置
JP7078669B2 (ja) 保持具
KR102098057B1 (ko) 스테이플러용 형틀
KR200353053Y1 (ko) 펀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