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562Y1 -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562Y1
KR200472562Y1 KR2020140002736U KR20140002736U KR200472562Y1 KR 200472562 Y1 KR200472562 Y1 KR 200472562Y1 KR 2020140002736 U KR2020140002736 U KR 2020140002736U KR 20140002736 U KR20140002736 U KR 20140002736U KR 200472562 Y1 KR200472562 Y1 KR 2004725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wallowing
dysphagia
motion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환
박지수
Original Assignee
박지수
오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수, 오동환 filed Critical 박지수
Priority to KR2020140002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5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5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는, 일단부 및 상기 일단부에 대향하는 타단부를 가지며,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에 위쪽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연결되어 연하장애 환자의 가슴에 밀착되는 밀착부; 상기 밀착부의 단부에 연결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대체로 위쪽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연결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단부가 연하장애 환자의 턱과 목울대 사이 부분에 배치되는 운동부;를 포함하며, 연하장애를 겪는 환자의 연하근육 강화를 위해, 운동 조력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밀착부가 환자의 가슴에 밀착되고 상기 운동부의 단부가 환자의 턱과 목울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연하장애 환자가 그의 머리 및 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끄떡거려 상기 운동부의 단부를 정해진 압력 이상의 힘으로 누르고 복원되는 운동을 정해진 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swallowing muscles}
본 고안은 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하장애 를 겪는 환자들을 손쉽게 치료할 수 있는 저가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파킨슨씨 병, 척수 손상, 운동신경원 질병, 다발성 경화증, 근육이영양증, 중증 근무력증 및 헌팅턴씨 병 등의 신경학적 질환 환자들, 그리고, 치매, 급성 염증성 질환, 외상, 이소성 갑상선, 혈관 기형 및 식도암 등의 비신경학적인 질환 환자들의 경우 연하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연하"란 구강 내의 음식물을 위장관까지 전달하는 일련의 기능을 뜻하며, 연하장애는 연하작용 경로, 즉, 구강에서 위까지 전달되는 경로인 구강기, 인두기 및 식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 손상으로 인해서 음식물이 구강에서 위까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연하장애는 소위 "삼킴장애"라고도 일컫는다.
특별히, 연하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구강 내의 음식물들이 위장관으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연하 경로 이외의 다른 경로, 예컨대, 기도나 비강으로 이행함으로써 위험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연하장애 환자의 경우, 코를 통하여 영양을 공급하거나 위장의 구멍을 통하여 영양을 공급하기도 한다.
또한, 종래에는 연하장애를 겪는 환자에게 지속적인 물리치료를 시행하여 연하근육을 강화시키고 있으며, 또한, 특정 장비를 마련하여 목 부근의 근육들을 자극하여 연하근육을 강화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연하장애 개선 방법들은 고도로 숙련된 작업치료사의 도움을 받아야만 하거나, 고가의 장비를 이용해야만 하므로, 치료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비용 측면에서 환자에게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870912 공개특허공보 10-2009-0097931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고도로 숙련된 작업치료사의 도움을 받지 않고서도 누구나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근육 강화 운동을 손쉽게 도울 수 있는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환자의 비용 부담을 없앨 수 있는 저가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는, 일단부 및 상기 일단부에 대향하는 타단부를 가지며,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에 위쪽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연결되어 연하장애 환자의 가슴에 밀착되는 밀착부; 상기 밀착부의 단부에 연결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대체로 위쪽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연결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단부가 연하장애 환자의 턱과 목울대 사이 부분에 배치되는 운동부;를 포함하며, 연하장애를 겪는 환자의 연하근육 강화를 위해, 운동 조력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밀착부가 환자의 가슴에 밀착되고 상기 운동부의 단부가 환자의 턱과 목울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연하장애 환자가 그의 머리 및 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끄떡거려 상기 운동부의 단부를 정해진 압력 이상의 힘으로 누르고 복원되는 운동을 정해진 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에 상기 손잡이부와 이루는 내각이 50∼90°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밀착부의 단부에 대체로 수직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상기 연장부와 이루는 내각이 70∼90°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고, 상기 운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상기 지지부와 이루는 내각이 130∼160°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잇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밀착부, 연장부, 지지부 및 운동부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탄성력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본 고안에 따른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밀착부 및 운동부는 부드러운 스펀지 소재로 감싸질 수 있다.
부가해서, 본 고안에 따른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는, 상기 운동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설치된 압력 게이지; 및 상기 운동부의 저항력을 조절하기 위한 저항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에 따르면, 일반인 누구라도 연하장애를 겪고 있는 환자의 가슴 및 목 부위에 본 고안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를 밀착시켜 주는 것만으로도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근육 운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도로 숙련된 작업치료사의 도움없이도 손쉽게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근육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는 값싼 폴리카보네이트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제작 가능하고, 그 사용 또한 용이하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 큰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즉, 본 고안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100)는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해 고도로 숙련된 작업치료사가 아닌 누구나 손쉽게 조력할 수 있는 운동 기구로서, 손잡이부(10), 밀착부(20), 연장부(30), 지지부(40) 및 운동부(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10)는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근육 운동을 도와줄 수 있는 모든 보통의 운동 조력자가 본 고안에 따른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100)를 파지하기 위한 부분이며, 일단부 및 상기 일단부에 대향하는 타단부를 가지고, 대체로 수평 방향(X)을 따라 연장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손잡이부(10)는, 예컨대, 납작한 직사각형의 막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운동 조력자가 잡기에 용이한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0)는 성인은 물론 초등학생 이상의 연하장애 환자의 운동을 도와줄 수 있는 모든 조력자가 손으로 잡기에 용이한 폭, 두께 및 넓이를 갖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밀착부(20)는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근육 강화 운동 시, 환자의 가슴에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그의 일단부가 손잡이부(10)의 타단부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10)와 이루는 내각(a)이 대략 50∼90°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부(20)는 손잡이부(10)와 대체로 동일한 직사각형의 막대 형상을 가지며, 예컨대, 연하장애 환자의 명치 부분에서부터 쇄골 아래 정도의 가슴 부분에 배치되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30)는 운동부(40)의 용이한 설치를 위해 마련되는 부분으로서, 손잡이부(10) 및 밀착부(20)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의 일단부가 밀착부(20)의 타단부에 대체로 수직한 내각(b)을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연장부(30)는 밀착부(20)와 90°이상의 내각, 또는, 90°이하의 내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연장부(30)는 이후에 설명될 지지부(40) 및 운동부(50)의 용이한 설치 및 유격을 고려한 길이를 갖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부(40)는 운동부(50)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그의 일단부가 연장부(30)의 타단부에 상기 연장부(30)와 이루는 내각(c)이 70∼90°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40)는 연장부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특히, 연하장애 환자의 운동에 적당한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운동부(50)는 본 고안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100)에서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근육 운동에 실질적인 역할을 하는 부분이며, 그의 일단부가 지지부(40)의 타단부에 상기 지지부(40)와 이루는 내각이 대체로 130∼160°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운동부(50)는 다른 구성 부분들과 동일하게 직사각형의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의 타단부가 연하장애 환자의 턱과 목울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지지부(40) 및 운동부(50), 특히, 운동부(50)는 연하장애 환자의 머리 또는 턱의 끄떡거림에 따라 아래로 눌렸다가 제자리로 복원될 수 있는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갖도록 마련되며, 이에 적당한 재질 및 두께의 것이 선택될 수 있고, 아울러, 상호 간 및 연장부(30)와의 결합 각도가 채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100)에 있어서, 전술한 손잡이부(10), 밀착부(20), 연장부(30), 지지부(40) 및 운동부(5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부(10), 밀착부(20), 연장부(30), 지지부(40) 및 운동부(50)를 포함하는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100)는, 예컨대, 성형 방식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본 고안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100)에 있어서, 손잡이부(10), 밀착부(20), 연장부(30) 및 지지부(40)는 일체형으로 제작되되, 적어도 압력에 의해 유격이 일어나는 운동부(50)는 별도 제작되어 지지부(4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아울러, 경우에 따라서 상기한 손잡이부(10), 밀착부(20), 연장부(30), 지지부(40) 및 운동부(50)들 또한 별도 제작된 후, 상호 간의 결합 구조로도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0), 밀착부(20), 연장부(30), 지지부(40) 및 운동부(50)를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100)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폴리머의 하나로 비교적 값이 싸고 취급이 용이하며 사출성형 및 열성형이 용이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금속 재질로도 제작될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100)를 폴리카보네이트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 운동부(50) 및 지지부(40)가 손쉽게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갖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조력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10)와 환자의 가슴에 밀착되는 밀착부(20) 및 환자의 턱과 목울대 사이 부분에 접촉하는 운동부(50)는 환자 및 운동 조력자에게 강한 압박 또는 압력에 의한 2차 손상이 미치지 않도록 부드러운 스펀지(60)나 실리콘 소재로 감싸질 수 있다.
부가해서, 본 실시 예에서는 손잡이부(10)와 밀착부(20) 사이, 밀착부(20)와 연장부(30) 사이, 연장부(30)와 지지부(40) 사이, 그리고, 지지부(40)와 운동부(50) 사이의 결합 각도의 예를 들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를 이용한 연하근육 운동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조력자가 그의 손(300)을 아래에서 위를 향하도록 본 고안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100)의 손잡이부(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100)를 그의 밀착부(20)가 연하장애 환자(200)의 가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키고, 이와 동시에, 운동부(50)의 단부가 연하장애 환자(200)의 턱과 목울대 사이에 배치되도록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연하장애 환자(200)가 그 자신의 연하근육의 운동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압력, 즉, 미리 정해놓은 압력으로 운동부(50)에 압력을 가했다가 놨다가를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여기서, 연하장애 환자(200) 스스로의 운동부(50)에의 압력 인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머리(210)의 끄떡거림 방식,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턱(220)의 끄떡거림 방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연하근육 강화 운동을 위해 연하장애 환자(200)로부터 운동부(50)에 가해져야 할 압력의 정도는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인가 압력의 정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100)의 제작 시에 운동부(50)의 재질 및 두께, 지지부(40)와 운동부(50) 사이의 결합 각도 및 연장부(30)와 지지부(40) 사이의 결합 각도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운동부(50)를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만들면서 그 두께를 얇게 할 경우, 연하장애 환자(200)는 비교적 작은 힘만으로도 손쉽게 운동부(50)에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운동부(50)가 손쉽게 아래로 내려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경우는 연하근육의 손상이 심한 중증 환자에게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운동부(50)를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만들면서 그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할 경우, 연하장애 환자(200)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대한 운동부(50)의 저항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져서 연하장애 환자(200)로부터 더 큰 힘의 압력이 가해져야만 운동부(50)가 아래로 내려갈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경우는 연하근육의 손상이 약한 경증 환자에게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하게, 본 고안의 연하근육 강화 운동기구(100)를 금속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 그 두께와 운동부(50) 및 지지부(40) 사이의 결합 각도 등을 고려하여 연하장애 환자(200)의 연하근육 강화 운동에 필요한 운동부(50)에 인가되어야 하는 압력의 정도를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연하장애 환자(200)로부터 인가되어야 할 압력의 정도는, 다시 말해서, 연하장애 환자(200)의 연하근육 강화를 위해 필요한 압력의 정도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고안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100)에 압력 게이지 및 압력 저항 조절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조절 가능하다.
즉, 본 고안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100)에 압력 게이지 및 압력 저항 조절수단을 설치한 후, 연하장애 환자(200)의 연하근육 손상 정도에 맞추어 운동부(50)에 가해져야 할 압력 및 운동부(50)의 압력 저항 정도를 미리 조절해놓고, 설정된 압력에 의해 연하장애 환자(200)로부터 운동부(50)에 설정 압력이 반복적으로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연하장애 환자(200)의 연하근육 강화 운동이 신뢰성 있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운동부(50)의 압력 저항 조절수단은 운동부(50)와 지지부(4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통상의 완력 기에서처럼 스프링에 의한 방식 등을 적용하여 운동부(50)가 눌려질 수 있는 압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압력 게이지의 경우는 연하장애 환자(200)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운동부(50) 부분에 압력 센서를 설치한 후, 이 압력 센서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예컨대, 지지부(40) 등에 설치하여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압력 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지지부(40)가 아닌 다른 구성 부분에도 설치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100)는 작업치료사가 아닌 숙련이 없는 보통의 운동 조력자가 지지해주는 것만으로 연하장애 환자 스스로 반복적인 머리 또는 턱의 끄떡거림 운동만으로 연하근육을 손쉽게 강화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는 특별한 기계적 설계를 갖는 것이 아니라, 주요 구성요소들의 결합만으로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으므로 비용 측면에서 연하장애 환자에게 부담감을 전혀 주지 않는다.
이상, 여기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10: 손잡이부 20: 밀착부
30: 연장부 40: 지지부
50: 운동부 60: 스펀지
100: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200: 연하장애 환자
300: 운동 조력자의 손

Claims (3)

  1.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에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연하장애 환자의 가슴에 밀착되는 밀착부;
    상기 밀착부의 상단부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에 위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가 연하장애 환자의 턱과 목울대 사이 부분에 배치되는 운동부;
    를 포함하며,
    연하장애를 겪는 환자의 연하근육 강화를 위해, 운동 조력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상기 밀착부를 환자의 가슴에 밀착하고, 상기 운동부의 상단부가 환자의 턱과 목울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연하장애 환자가 그의 머리 및 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끄떡거려 상기 운동부의 상단부를 정해진 압력 이상의 힘으로 누르고 복원되는 운동을 정해진 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에 상기 손잡이부와 이루는 내각이 50∼90°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밀착부의 상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에 상기 연장부와 이루는 내각이 70∼90°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고, 상기 운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상기 지지부와 이루는 내각이 130∼160°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밀착부, 연장부, 지지부 및 운동부는 탄성을 갖으며, 상기 손잡이부, 밀착부 및 운동부는 부드러운 스펀지 소재로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KR2020140002736U 2014-04-03 2014-04-03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KR200472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736U KR200472562Y1 (ko) 2014-04-03 2014-04-03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736U KR200472562Y1 (ko) 2014-04-03 2014-04-03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562Y1 true KR200472562Y1 (ko) 2014-05-07

Family

ID=5353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736U KR200472562Y1 (ko) 2014-04-03 2014-04-03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562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45A (ko) 2014-10-21 2016-04-2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759839B1 (ko) * 2016-05-31 2017-07-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90011067A (ko) 2017-07-24 2019-02-01 이동열 연하장애 개선용 밴드
KR20210001122U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리노디바이스 삼킴 운동 보조 기구
JP2021126483A (ja) * 2020-02-12 2021-09-02 佳世 西田 腹圧発声トレーニング器具
KR20210123529A (ko) 2020-04-03 2021-10-1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하근육 운동장치
KR20220033920A (ko) * 2020-09-10 2022-03-17 (재)예수병원유지재단 후드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KR20220063110A (ko) * 2020-11-09 2022-05-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하 장애 재활을 위한 운동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303A (ja) 2006-05-31 2007-12-13 Combi Wellness Corp 嚥下障害リハビリ訓練器
JP2009522059A (ja) 2006-01-04 2009-06-11 アクセレレイテッド ケアー プラ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嚥下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電気刺激デバイス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2059A (ja) 2006-01-04 2009-06-11 アクセレレイテッド ケアー プラ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嚥下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電気刺激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2007319303A (ja) 2006-05-31 2007-12-13 Combi Wellness Corp 嚥下障害リハビリ訓練器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45A (ko) 2014-10-21 2016-04-2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연하곤란 환자의 흡인 방지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759839B1 (ko) * 2016-05-31 2017-07-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연하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90011067A (ko) 2017-07-24 2019-02-01 이동열 연하장애 개선용 밴드
KR20210001122U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리노디바이스 삼킴 운동 보조 기구
KR200494260Y1 (ko) * 2019-11-15 2021-09-07 주식회사 리노디바이스 삼킴 운동 보조 기구
JP2021126483A (ja) * 2020-02-12 2021-09-02 佳世 西田 腹圧発声トレーニング器具
JP7034563B2 (ja) 2020-02-12 2022-03-14 陶山 佳世 腹圧発声トレーニング器具
KR20210123529A (ko) 2020-04-03 2021-10-14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하근육 운동장치
KR20220033920A (ko) * 2020-09-10 2022-03-17 (재)예수병원유지재단 후드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KR102437655B1 (ko) * 2020-09-10 2022-08-29 (재)예수병원유지재단 후드 강화를 위한 텐션형 훈련장치
KR20220063110A (ko) * 2020-11-09 2022-05-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하 장애 재활을 위한 운동기구
KR102649228B1 (ko) * 2020-11-09 2024-03-1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하 장애 재활을 위한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562Y1 (ko) 연하근육 강화용 운동기구
US7717834B2 (en) Therapeutic shoulder apparatus
KR102018566B1 (ko) 상지 재활을 위해 엔드 이펙터 타입의 재활로봇과 연결가능한 재활 로봇
US92206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temporomandibular joint range of motion and strengthening/massaging jaw muscles
CN109276407B (zh) 肘关节训练适配件及康复训练设备
US79980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dy work
CN103720572A (zh) 一种肢体助力阻力锻炼仪
US10427000B1 (en) Exercise and rehabilitation device
CN103919662A (zh) 偏瘫平衡训练仪
US10426992B2 (en) Barbell massage apparatus
KR20170093479A (ko) 드라이브샷에 영향을 주는 스윙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골프용 스파인 밴드
JP2004081676A (ja) バイオフィードバック装置及び方法
WO2018154425A1 (en) Physio-therapeutic device for guided mouth opening
CN113873980B (zh) 运动辅助器具以及该运动辅助器具的使用方法
CN211634148U (zh) 一种智能腿架
Fleerkotte et al. Effectiveness of the LOwer Extremity Powered ExoSkeleton (LOPES) robotic gait trainer on ability and quality of walking in SCI patients
TWI601556B (zh) 自動協調雙肢阻抗之雙肢健身器
JP2018534988A (ja) ボール打撃スイング練習補助具
KR20210123529A (ko) 연하근육 운동장치
Riener et al. Cooperative strategies for robot-aided gait neuro-rehabilitation
CN203710641U (zh) 乒乓球正手攻训练器
KR200494260Y1 (ko) 삼킴 운동 보조 기구
US11833381B2 (en) Stretching exercise equipment
JP7465423B1 (ja) ゴルフトレーニング器具
KR101324696B1 (ko) 뇌성마비 환자의 재활을 위한 포괄적인 상하지의 반복적 집중 근력강화 훈련 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